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시각장애 아동 청소년의 정보요구 및 정보행태에 관한 연구 : 시각장애 특수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송한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립장애인도서관이 설립된 이래로 시각장애인의 정보 접근권을 보장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사회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이용자연구가 조금씩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나, 그들이 가지는 정보요구가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며, 특히 시각장애를 가지고 있는 아동과 청소년에 대한 관심은 더욱 적은 편이다. 시각장애인들의 스마트폰과 인터넷의 보급률이 50%에 육박하는 가운데, 정보 접근방식이 다양해지면서 정보요구 역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아동 및 청소년 집단은 그 어느 집단보다도 최신 기술을 빠르게 받아들이며, 학업이나 진로로 인해 다른 이용자 집단과는 구별된 정보를 요구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시각장애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아동과 청소년 25명을 대상으로 시각장애 아동 군과 청소년 군이 가지는 정보요구의 주제, 자주 이용하는 정보원, 그리고 정보를 찾는 데 있어 느끼는 어려움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시각장애 아동과 청소년의 학교도서관의 이용행태를 살펴보고자 학교도서관을 방문하는 목적, 도서관 담당교사와의 교류 여부, 그리고 학교도서관 이용만족도에 알아보았다. 그 결과, 시각장애 아동은 취미, 학업, 장래희망, 자연, 생활정보, 철학 등에 대한 정보요구가 있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인적 정보원과 인터넷을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보를 획득할 때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등과 같은 기기 이용에 있어 제한된 환경과 정보를 찾는 잘못된 방법으로 인해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각장애 아동은 독서교육에 참석하기 위해 도서관에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밖에도 도서를 대출반납하거나 자료조사를 위해서도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담당교사와 교류하는 데 있어서 그들은 교사의 부재로 인해 많은 경우 교류를 하지 않았으나, 몇몇 학생들은 간헐적으로나마 교류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드물게 정기적으로 교류하였다. 시각장애 아동이 도서관 이용에 만족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었으며, 원하는 도서가 없거나 관내 서가 정리가 잘 되어 있지 않아 도서관 이용에 만족을 느끼지 못하였다. 반면 시각장애 청소년의 경우 취미, 진로, 생활정보, 학업 등에 대한 정보요구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청소년들은 인터넷, 인적 정보원, 책을 주로 이용하였으며, 정보를 찾을 때 장애, 기기의 이용, 제한적 환경으로 인해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이 학교도서관에 방문하는 가장 큰 목적은 도서를 대출하고 반납하기 위함이었으며, 그밖에도 야간 자율학습의 공간으로 도서관을 활용하거나 교류의 장으로 도서관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었다. 시각장애 청소년은 도서관 담당교사와 정기적 혹은 간헐적으로 교류하는 경우가 대체로 많았지만, 그들이 도서관 이용에 있어 만족을 느끼는 경우는 매우 드물었다. 본 연구는 국내 시각장애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정보요구와 정보행태 및 학교도서관 이용행태에 대해 연구를 수행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지닌다. 특히 정보소외계층에 대한 사회 전반적인 관심이 쏟아지는 가운데, 그동안 연구가 거의 드물었던 시각장애 아동 청소년 계층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수행하고, 시각장애를 가진 성인과의 차이를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차별점이 있다. 연구 결과는 전국의 시각장애 특수학교 도서관 및 점자도서관에서 시각장애를 가진 아동과 청소년을 위한 정보서비스 방안을 모색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After the National Library for the Disabled in Korea had been established in 2013, social movements emerged to guarantee the right of access to information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However, there have been just a few studies on the information needs of blind children and teenagers. Blind people’s information needs have become various due to advances in technology. For example, almost 50% of blind people in Korea uses a smart device and can access the Internet easily: Their information needs are going to grow. Children and teenagers, in particular, are good at adopting new technology, and they may have increased information needs associated with their studies or career aspirations. Thus, based on interviews with students at the School for the Blind, the thesis suggests ways to improve the school library for use by the visually impaired. The intent of the research is to help overcome information gaps. The researcher interviewed 25 students who attend the school for the Blind in Korea in September and October 2016. The present study collected ideas regarding their information needs, information sources they use frequently, and the difficulties these students face when they look for information. Furthermore, the interviews collected information about how blind children and teenagers use the library, including their purpose for visiting the library, their communication with the librarian teacher,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library experience. The interviews indicated that visually impaired children need information about hobbies, their studies, careers, nature, life information, and philosophical questions. Also, the results showed that they use people sources such as parents, teachers, and the Internet to fulfill these needs. However, in looking for information, children find it difficult when smart devices do not work as anticipated. Also, visually impaired children usually visit the library for reading education, and sometimes they stop by the library to check out and return books or search for information. Occasionally, their librarian teachers are not in the library, so they do not communicate with them. Most of the children are not satisfied when they use the library because they cannot find the materials they seek. On the other hand, visually impaired teenagers show a different side. Blind teenagers need information to solve hobbies, careers, life information, and studies questions. Most of them use the Internet to look for such information, and they encounter difficulties due to physical obstacles and a limited environment. The major reason teenagers visit the library is to check out and return books. Furthermore, they come to the library to study and communicate with their teachers and friends. The visually impaired teenagers who were interviewed interact with their teachers a lot; however, those students who do not have librarian teachers cannot do so. Students are seldom satisfied when they use the library because of a lack of materials they want to read.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the interviews with visually impaired children and teenagers revealed their information needs, information behavior, and the way they use the school library. The results will be used in developing information services for blind people in the library at the School for the Blind and the Braille Library.

      • 뷰티헬스산업 종사자가 지각하는 반영구화장 교육 인식과 직무 만족의 관계

        송한나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뷰티헬스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반영구화장 교육에 관한 인식이 직무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 참가자는 뷰티헬스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332명을 표집으로 조사하여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반영구화장 교육 인식에 사용된 측정 도구의 하위요인은 실무연관성, 강사직무 태도, 위생관리, 교육환경 등 4개 요인으로 구성하였으며, 직무 만족의 하위요인은 직무 자체, 급여 만족, 동료 관계, 명예와 인정, 기술향상 등 5개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에 사용된 척도는 타당도 검증 및 신뢰도 검증을 수행한 후 최종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연구 참가자의 배경특성에 따라 다변량 분산분석(MANOVA)을 실시하였으며, 반영구교육 인식과 직무 만족의 하위요인 간 구조적 관계와 영향력 검증을 위해 상관관계 분석과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로 첫 번째 연구 참가자의 배경특성인 성별, 나이, 최종학력, 교육 기간, 교육 1회 소요시간, 교육비용, 비용의 적절성, 실무경력에 따른 다변량 분산분석(MANOVA) 결과에서는 참가자의 교육 인식과 직무 만족에 따라 다양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로 교육 인식의 하위요인을 예언 변인인 독립변수로 하고 직무 만족을 결과 변인인 종속변수로 하여 각각의 영향 관계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에서 교육 인식이 직무 만족에 다차원적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 반영구화장 교육 인식 변인과 직무 만족의 전체 영향 관계의 통계적 유의성에서는 실무연관성 요인, 강사직무 태도, 교육환경 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위생관리 요인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뷰티헬스산업 종사자의 배경특성에 따른 교육 인식과 직무 만족의 차이를 실증적으로 확인하였으며 직무 만족에 영향을 끼치는 교육 인식의 하위요인의 다차원적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가 반영구화장 교육 현장에서 객관적인 자료로 사용될 것을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examining how the perception of semi-permanent makeup education affects job satisfaction among beauty and health industry workers. The study participants conducted empirical analysis by sampling 332 people who are engaged in the beauty health industry. The sub-factors of the measurement tool used in the recognition of semi-permanent makeup training consisted of four factors, including practical relevance, instructor job attitude, hygiene management, and educational environment.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were job itself, salary satisfaction, peer relationships, honor It was composed of five factors, such as accreditation and technological improvement. The scale used in the questionnaire was subjected to a final analysis after validation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were performed. For data processing,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MANOVA)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articipant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nd influence between sub-factors of semi-permanent education perception and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as a result of the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according to the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study participant, such as gender, age,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training period, training time required, training cost, appropriateness of cost, and working experience, participants' perception of educ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various differences according to job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Second, using the sub-factor of education perception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s a predictive variable and job satisfaction as the dependent variable as the outcome variable,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each influence relationship showed that education perception had a multidimensional effect on job satisfaction. Confirmed. And in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variable of semi-permanent makeup education and the overall effect of job satisfaction, the factors related to practice, the attitude of the instructor,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hygiene management factor was not.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ifference between education perception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workers in the beauty health industry was empirically confirmed, and the multidimensional influence of sub-factors of education perception affecting job satisfaction was verified.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will be used as objective data in the field of semi-permanent makeup education.

      • 관람객의 의미형성을 위한 소통적 역할로서의 재현과 관람경험에 대한 연구

        송한나 동덕여자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notion of representation in the existing Museum Studies have been interpreted as a notion of visual imitation that reflects the form of an already-existing object. In museum exhibitions, the notion of representation thus has been adopted as a dramaturgical requisite to reflect the existence ‘as realistic as possible.’ Based on such interpretation, methodological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which adopt representation as a physical element constituting an exhibition such as model production, diorama exhibition directing technique, and visitor's circulation. The notion of representation interpreted as visual method thus has been adopted as an entertainment factor in real museum exhibitions to draw visitor's interest and stimulate senses by creating object, person, and event as lifelike. Representation adopted as visual method in museum exhibitions may be effective in a way that it attracts visitors and maximizes atmosphere of the exhibition space. However, such interpretation and implementation of representation raises concerns that it excludes visitors from interpreting an exhibit and its inherent conception and meanings from one's own perspective. Representation as visual imitation therefore possesses a limit in carrying out the notion of representation in experience-centered museums where the potential goal of an exhibition is to act as a “signifying practice" allowing visitors to make their own meanings about the exhibit. This study recognizes the lack of research on representation as communicative vehicle for visitor's meaning-making and thus investigates the notion of representation as ‘signifying language' in the context of visitor's meaning-making and visitor experience. To discuss about visitor's meaning-making and visitor experience through representation as signifying language that acts as communicative vehicle, this study conducted theoretical study and case study. In the theoretical study, the notion of representation from linguistic perspective, collective memory from sociological perspective, museum as mnemonic practice, and representation as communicative vehicle in experience-centered museums have been investigated. In addition, theories on visitor's meaning-making and visitor experience from museum educational perspective have also been investigated and from the finding, role of representation for visitor's meaning making in museum exhibition have been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 theoretical research, this study conducted case study to implement the findings to the real museum environment. Adopting the reflective and constructivist approach on representation asserted by Stuart Hall, Sudoguksan Museum of Housing and Living, ‘Memory Void' at Berlin Jewish Museum, and U.S. Holocaust Memorial Museum have been selected as case studies to investigate visitor's process of interpreting the exhibition from different representational approaches. In the case study, total of 50 visitors composing group visitors of more than 2 persons at each museum have been interviewed before and after the visit, and their conversations during the visit have been recorded to analyze their process of meaning making and visitor experiences. From the theoretical and case studies, this study implies meaning of representation as communicative vehicle in museum context, argues significance of museum's role as signifying practice for visitor's meaning-making and visitor experience, and proposes a further study. 기존 박물관 연구에서 재현의 개념은 이미 존재하고 있는 사물에 대한 상(像)을 반사하는 시각적 모방의 개념으로 해석되어 왔다. 박물관에서의 재현은 존재를 ‘최대한 실제와 같이’ 보여주는 연출적 요소로 해석되었고 이를 기반으로 모형 제작 및 디오라마 연출기법, 전시물을 중심으로 한 동선 구성 등과 같이 전시를 구성하는 물리적 요소로서 재현의 개념을 적용한 방법론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이처럼 시각적 연출방법으로 해석된 재현은 실제 박물관 전시에서 ‘마치 실제처럼’ 사물, 사람, 사건을 연출함으로써 관람객의 관심을 끌고 감성을 자극하는 엔터테인먼트적 요소로 적용되고 있다. 박물관 전시에서 시각적 연출방법으로 적용된 재현은 관람객의 흥미를 끌고 전시공간의 연출적 분위기를 극대화한다는 점에서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시각적 모방을 통해 ‘존재 그 자체’를 보여줌으로써 존재에 대한 의미를 전달하고자 한 기존 박물관 전시에 적용된 재현의 개념은 존재가 내포하는 개념 및 의미를 관람객 스스로 해석하는 과정을 배제하는 것으로 존재의 의미를 연출된 이미지로 각인화하여 인식할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점을 지닌다. 이처럼 시각적 모방의 개념으로 해석된 재현은 관람객 스스로 전시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의미를 형성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의미를 만드는 실천(signifying practices)”적 역할로 전환된 체험 중심 박물관에 적용하는데 한계점을 지닌다. 본 논문에서는 관람객의 의미형성을 위한 소통적 역할로서 재현의 개념 및 박물관 전시의 맥락에서 재현을 통한 관람객의 관람경험에 대한 연구가 미비함을 인식하고 존재가 내포하는 의미를 소통하는 ‘의미작용의 언어적 역할(signifying language)’로서 재현의 개념을 관람객의 의미형성과 관람경험의 관계 속에서 고찰한다. 의미작용의 언어로서 재현의 개념 및 소통적 역할로서 재현을 통한 관람객의 의미형성 과정과 관람경험을 논의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이론 연구와 사례 연구를 진행한다. 이론 연구에서는 언어학 관점에서 재현의 개념 및 재현의 근본적인 토대로 작용하는 정신적 재현을 사회학 관점에서 집단기억과 기억 실천적 역할로서 박물관의 역할을 고찰하며 오브제 중심에서 체험 중심으로 전환된 박물관 개념변화에 따른 소통적 역할로서 재현에 대해 살펴본다. 또한 소통적 역할로서 재현을 통한 관람객의 의미형성과 관람경험을 관람객 스스로 전시를 해석하는 해석적 과정 및 박물관 학습의 관점에서 고찰하고 이를 통한 관람객의 의미형성을 위한 박물관 전시에서의 재현의 역할에 대해 논의한다. 이론 연구에서 검토된 논의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재현적 접근에 따른 실제 박물관에서의 관람객의 의미형성 과정과 관람경험을 고찰하기 위한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론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논의된 스튜어트 홀의 재현에 대한 반영적 접근 및 구성주의적 접근을 근거로 사례 연구에서는 반영적 접근에서 관람객의 감성을 자극하기 위한 시각적 모방의 개념으로 재현을 해석한 수도국산달동네박물관, 구성주의적 접근에서 관람객의 자발적 해석 과정을 위한 조형적 상징으로 재현을 해석한 베를린유대인박물관의 ‘기억의 공간’ 및 역사적 맥락을 전달하기 위한 서술적 역할로서 재현을 해석한 미국 홀로코스트 메모리얼 박물관을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각 박물관의 재현적 접근에 따라 관람객이 전시를 해석하는 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각 박물관의 2명 이상 관람객 집단 총 50명을 대상으로 관람 중 관람객 간의 대화를 분석하였으며 관람 동기와 관람경험 간의 관계를 고찰하기 위해 관람 이전 및 직후 관람객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론 연구와 사례 연구를 통해 본 논문에서는 그동안 검토되지 않았던 소통적 역할로서 재현의 개념 및 이를 통한 관람객의 의미형성과 관람경험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고 이를 위한 실천적 방법으로서 재현적 접근을 통한 박물관 전시의 방향을 제언한다.

      • 한국 사회의 계급위치와 계층의식 격차에 미치는 경제, 문화, 사회적 요인에 관한 연구 : 부르디외의 자본의 형태를 중심으로

        송한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Since the Currency Crisis in 1997, the phenomenon of social inequality has been embedded in Korean society, centered on the propositions such as 'Collapse of the middle class' and 'Expansion of the poor'. Until the mid-1990's, the percentage of the optimistic assessment on class identification was higher on the back of the economic boom. However, the ratio of individuals' perception as middle class dropped sharply while experiencing the rapid social changes. Therefore, when studying the inequality of Korean society, increasing social anxiety and sense of crisis raise the need for examining factors which affect class position and identification in both objective and subjective level.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described as the subjective aspect of the stratum, is the key link connecting the structure and an act. Despite the importance of discussion on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studies in sociology have focused mainly on the objective class position. Although there is a tendency to decide an act according to belongingness of the class that specific individual identifies subjectively, studies on class and stratum have shown limitations while neglecting factors of the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It is impossible to evaluate the meaning of the class if the individuals' class consciousness is not considered thoroughly. In this manner, it is suggested to conduct studies considering both objective class and subjective stratum. Yet, studies centered on discussion of both dimensions hardly can be found in the social science community up until now.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a mechanism forming the rank of the class and stratum, noticing the increasing percentage of non-correspondence between class position and class identification after the Currency Crisis in Korean society. This study is based on theoretical concept of capital by Bourdieu, who tried to find out the reasons of differentiation and reproduction of the class and stratum from the cultural and social processes.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sychological factors of values and satisfaction rate influencing the class and stratum based on the critical awareness that class identification – meaning cognitive belongingness formed through the differences of stratum in the social relations - is built up by individual attitudes and values. Bourdieu's idea of the forms of capital is applied along the process. Thus,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that difference between class position and class identification is created from a complex causal relationship through subjective factors including values, satisfaction rate, and economic, cultural and social capital in the Korean society. Based on the data of large-scaled nationwide questionnaires for 2,000 adult men and women over the age of 19, the study drew a conclusion as follows. First, it shows that economic resources are considered preferentially when judging a stratum position. As economic factor played a fundamental role in basic living to cultural life, subjective dimensions of financial satisfaction along with the family income was defined by the difference between class position and class identification. Especially, as one has higher family income and economic satisfaction, one recognizes his stratum position higher rather than his objective class position. Therefore, it shows that economic factors act as important key in judging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Second, it shows that cultural capital, cultural values and satisfaction of one's parents and family members function significantly in forming a gap between class position and class identification in addition to economic factors. The higher educational level and a stratum one's father has, the higher recognition one has on his subjective stratum compared with his objective class. Therefore, in Korean society, it is regarded that the backgrounds of one’s parents have an effect on the recognition of his subjective stratum. Furthermore, this study shows that the higher cultural attainments one has, the higher recognition one has on his stratum position in the social hierarchy than class position, while the higher cultural knowledge one has, the lower recognition one will have on class identification. That is, if one has higher cultural knowledge on the classical music, art and literature but can't practice it as the substantive cultural act, there will be few possibilities to operate the mechanism that judges a subjective stratum higher. Therefore, the study found that the cultural capital which i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axis of the class in Korean society act as the important element for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as a new axis of cultural differentiation to make distinction cultural attainments and knowledge. Cultural capital seems to be an important factor for explaining the discord of the class and stratum in the Korean social system. Third, the study shows that the more an individual or one's family holds the social capital, the more one evaluates his or her stratum position higher. Regarding the social values, it indicated that as one has a conservative political inclination and higher trust in the society, he or she recognizes class identification higher than his or her objective class position.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besides the social network, subjective dimension of individuals' values serves as one of the factors explaining the gap between class position and class identification in the extension of the social capital. To summarize, this study examined the social structural factors specified into economic, cultural and social factors which are functioning in multi-dimensional ways.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lass position and class identification was mutually considered in an exploratory manner. Especially, it organized each factor into the capital concept of Bourdieu and uplifted the relevance among the class position, class identification and the capital as the main topic. It made significance in that the study expanded the concept of capital to subjective dimension of the values and satisfaction rate. Finally, the study found the meaning in investigating the class and stratum structures based on multi-dimensional elements through the special hierarch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society – as the study have looked over the factors influencing the gap between class position and class identification examined from the phenomenon forming a causal relationship involving complex process of an individuals, parents and family backgrounds. 한국 사회는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중산층 몰락', '빈곤층 확대'와 같은 명제를 중심으로 사회 불평등 현상이 중요한 현상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1990년대 중반까지는 경제 호황에 힘입어 계층의식에 대해 낙관적인 평가를 하는 비율이 높았으나, 외환위기 이후 급격한 사회변화를 경험하면서 중산층 귀속의식이 급격히 하락하였다. 이처럼 사회적 불안감과 위기감이 고조됨에 따라 한국 사회의 불평등과 관련한 연구에서는 계층의 객관적 차원뿐만 아니라 주관적 차원 역시 동시에 고려해야 할 요소로 살펴 볼 필요성을 제기한다. 계층의 주관적 측면으로 설명할 수 있는 주관적 계층의식은 구조와 행위를 매개하는 핵심적인 연결고리이다. 이와 같이 계층의식 논의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사회학 연구의 흐름은 주로 객관적 계급위치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다. 특정 주체가 주관적으로 파악하는 계층귀속감에 따라 행위를 결정하는 경향이 있음에도, 한국 사회에서의 계급·계층연구는 상대적으로 주관적 계층의식에 대한 요인을 경시한 한계가 있다. 계급에 대한 개인의 의식을 고려하지 않은 상황에서는 계급의 의미는 평가 불가능하다. 이처럼 객관적 계급과 주관적 계층을 동시에 고려하는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지만, 사회과학계에서 두 차원의 논의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한국 사회가 외환위기 이후 계급위치와 계층의식이 일치하지 않는 비율이 높아지는 점에 착안하여, 계급 및 계층적 위계를 형성하는 기제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계급과 계층이 분화되고 재생산되는 이유를 문화적, 사회적 과정에서 찾는 부르디외의 자본의 개념을 이론적 자원으로 하여 설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사회적 관계에서 다른 계층과의 차이에 대한 인지적 소속감을 의미하는 주관적 계층의식은 개인의 태도와 가치관을 통해 구성된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부르디외의 자본의 형태를 확장하여 계급 및 계층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의 가치관 및 만족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즉 한국 사회의 계급위치와 계층의식 차이가 경제자본, 문화자본, 사회자본과 더불어, 가치관 및 만족도와 같은 주관적 요인들을 통한 복합적인 인과관계에서 형성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전국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대규모 설문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한국 사회에서는 계층적 위치를 판단하는 데 있어서 경제적 차원을 우선적으로 생각하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본적인 생활에서부터 문화적인 생활에 이르기까지 경제적 요인은 근본적인 요소이므로, 가구소득과 더불어 주관적 차원의 재정 만족도 역시 계급위치와 계층의식 차이로 귀결되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특히 가구소득과 경제적 만족도가 높을수록 객관적인 계급위치보다 자신의 계층적 위치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점에서, 경제적 요인은 주관적 계층의식을 판단하는 데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계급위치와 계층의식 격차를 형성하는 원인으로 경제적 요인 이외에도 부모 및 가족의 문화자본과 문화적 가치관 및 만족도가 중요하게 작용하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아버지의 교육수준과 계급이 높을수록 본인의 객관적 계급에 비해 주관적 계층을 높게 인식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한국 사회에서는 개인의 주관적 계층을 인식함에 있어서 부모 배경이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볼 수 있다. 그리고 본인의 문화소양이 높을수록 계급위치보다 사회위계상에서 자신의 계층적 위치를 높게 인식하는 반면, 문화지식이 높을수록 오히려 계층의식을 낮게 판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클래식 음악, 미술, 문학과 관련한 고급문화 지식이 높더라도 이를 실질적인 문화적 행위로 실천하지 못하면 주관적 계층을 높게 판단하는 기제로 작동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사회에 존재하는 계급의 축에 따라 분화되는 문화자본을, 새로운 문화적 분화의 축으로서 '주관적 계층의식'이 문화소양, 지식 등을 구별짓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곧 문화자본이 한국의 사회적 맥락에서 계급과 계층 간의 불일치를 설명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셋째, 본인 및 가족이 보유하고 있는 사회자본이 많을수록 계층적 위치를 높게 판단하는 점을 살펴볼 수 있었으며, 사회적 가치관에서도 역시 정치적 성향이 보수적일수록, 그리고 사회에 대한 신뢰가 높을수록 자신의 객관적인 계급위치보다 계층의식을 높게 인식하는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으로 관계를 맺고 있는 연결망 이외에도 주관적 차원의 개인의 가치관도 사회자본의 연장선상에서 계급위치와 계층의식 격차를 설명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본 연구는 계급위치와 계층의식을 상호 고려하여 이들의 관계를 탐색적으로 확인하였으며, 다차원적으로 작용하는 사회구조적 요인을 경제, 문화, 사회적 요인으로 구체화하여 살펴보았다. 특히 각 요인들을 부르디외의 자본 개념으로 체계화하여 계급위치와 계층의식, 그리고 자본과의 관련성을 연구의 주요 논의로 끌어 올렸으며, 자본의 개념을 주관적 차원의 가치관 및 만족도로 확장하여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계급위치와 계층의식 격차에 미치는 요인은 본인과 부모, 그리고 가족 배경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인과관계를 형성하는 현상에서 살펴볼 수 있었듯이, 다차원적 요소에 입각한 계급 및 계층구조를 한국 사회의 계층적 특수성을 중심으로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 임신기 예비부모의 원가족 모애착과 태아애착의 관계에 대한 성차연구 : 부부관계 질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송한나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임신기 예비부모의 성별에 따른 원가족 모애착, 부부관계 질, 우울 및 태아애착에 대한 차이를 살펴보고, 이들의 구조적 관계에서 부부관계 질과 우울의 매개효과와 성차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현재 첫 자녀를 임신한 상태의 분만 경험이 없는 기혼의 예비부모 340명(남성 113명, 여성 227명)이다.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통해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분석, 상관분석 및 독립표본 t-test가 실시되었고, AMOS 20.0 프로그램을 통해 구조방정식 모형 및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했으며, 성별에 따라 구조모형의 경로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다집단분석이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관계 질은 예비 아버지가 예비 어머니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은 예비 어머니가 예비 아버지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부모의 원가족 모애착과 태아애착의 관계에서 부부관계 질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모형에 대하여 다집단분석 결과, 부부관계 질이 태아애착에 미치는 경로와 원가족 모애착이 우울에 미치는 경로에서 성차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매개효과의 차이에서 예비 아버지는 원가족 모애착과 태아애착의 관계를 부부관계 질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 어머니는 부부관계 질과 우울을 통한 다중매개경로가 모두 유의하게 나타나 예비 어머니의 부부관계 질과 우울이 원가족 모애착과 태아애착을 부분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임신기 예비부모의 성별에 따라 태아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원가족 요인, 관계적 요인, 정서적 요인의 차이를 근거로 임신기 예비부모를 위한 가족교육과 상담, 치료 등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점을 반영한 적절한 개입 방향을 논의하였다.

      • 진로탐색 집단상담이 정신지체 고등학생의 진로의식 성숙에 미치는 효과

        송한나 부산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ffects of Career Search Group Counseling on the career consciousness maturity of mentally retarded high school students.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sampled 6 students from special classes of a high school located in Pusan, who were diagnosed as having mental retardation. Then the researcher carried out pre- and post-tests to determine how Career Search Group Counseling is effective in maturing the career consciousness of the mentally retarded high school students. In addition, the researcher made a questionnaire survey to know how smoothly and deeply the counseling was made at each session of the program. Furthermore, the researcher made a qualitative analysis of what changes were made in the career consciousness maturity of the subjects during the counseling.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ffects of Career Search Group Counseling on the mentally retarded high school students were pre- and post-tested using Career Maturity Test. The tests showed that the counseling was effective in maturing the surveyed students’ career consciousness itself and sub-areas of the consciousness, or planning, independence and determination.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scores for the smoothness and depth of Career Search Group Counseling when investigated through 10 sessions of the program. Even though somewhat fluctated, those scores at 8th to 10th sessions of the counseling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at the lst session of the program. This indicates that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counseling smoothly and deeply. Thus, if Career Search Group Counseling is applied during a period as long as 8 sessions or more, it could be smoother and deeper. Third, a qualitative analysis of changes in career consciousness maturity through Career Search Group Counseling showed that the mentally retarded high school were deciding their future career on the basis of understanding themselves and preparing for it in advance. As it moved from session to session, Career Search Group Counseling became more effective in the career consciousness maturity of the mentally retarded high school students, especially in terms of planning, independence and determination.

      • 청소년의 자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요인에 관한 연구

        송한나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가족변인을 가족 환경적 변인, 가족 관계적 변인, 가족 심리적 변인의 세 가지 영역으로 분류하고 이 세 가지 영역에서의 가족 내 요인과 청소년의 자살생각 및 시도와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각 차원과 청소년의 자살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충남·충북 지역의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793명을 대상으로 가족환경변인, 부모-자녀 의사소통방식, 가족 내 유대감과 자살행동을 측정하기 위한설문을 실시하였다. 단순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가족 환경적 변인 중 가족 생활사건 빈도가 유일하게 청소년의 자살생각과 시도를 예측하였고, 가족 관계적 변인은 부-개방형 의사소통과 모-개방형 의사소통이 부적으로, 부-폐쇄형 의사소통, 모-폐쇄형 의사소통이 정적으로 청소년의 자살생각과 시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가족 심리적 변인인 좌절된 소속감과 짐이 되는 느낌은 모두 청소년의 자살생각과 시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반면, 가족 구성원의 수, 한 부모 가정여부, 부모의 교육수준과 같은 가족 구조 및 인구통계학적 변인들은 청소년의 자살생각과 시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세 가지 차원의 가족변인들을 상호 통제한 후 청소년의 자살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가족 생활사건 빈도와 짐이 되는 느낌만이 청소년의 자살생각과 시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이 가족 내에서 경험하는 환경적, 관계적, 심리적 스트레스가 자살생각과 시도와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며, 그 중에서도 특히 가족 스트레스 사건의 경험과 자신이 가족에서 짐이 된다는 주관적인 지각이 이들의 자살생각과 시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송한나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While youth unemployment issues come to the front and knowledge economy society is arrived, university students have to made bases for being grown to mature professionals that enable to manage future life productively. However, cognitive aspects on careers have been highlighted till now in spite detailed practicing processes of career performs are very important. Also, each university is helping students to prepare successful career preparations recently and strengthens leadership educations as methods of training talents whom the society needs, and the self-leadership among them is expected to give helps in achieving career goals by affecting individuals in the process of career decision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erefore, this study intended to provide a basic data to self-leadership competency program through which university student’s career educations could be strengthened, and aimed at verifying which affecting relations were existed between university student’s self-leadershi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did the self-efficacy have mediating effects between two matters. Thus, the study set up research issues same as follows. First, 'Which influences are affected to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from behavior focused strategies, natural reward strategies, and constru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 as university student’s self-leadership ones?' Second, 'Does the self-efficacy have mediating effects between university student’s self-leadershi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For solving research issues, the study carried out a questionnaire by objecting to university students of 5 universities. Total 500 sheets were distributed and 476 ones were collected, and then answers of 462 sheets (effective rate: 92.4%) were used for doing analyses after exempting inappropriate answers. Regarding to measuring tools, that of Shin Young-kuk, Kim Myung-so, Han Young-suk (2009) who applied tools of Houghton and Neck (2002) in relation with the self-leadership was used, and Kim Yeon-sun (2008) having applied tools of Chen, Gully, and Eden (2001) in relation with self-efficacy, tools of Lim Eun-mi, Lee Myeong-suk (2003) for analyz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were utilized. In brief, analysis results are same as the following. First, behavior focused strategies and natural reward ones affected significant influences to effort actions for achieving goals and career searches utilizing special tools among sub-factor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s the result of analyzing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leadership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but constructive thought strategies of the self-leadership were displayed as not affecting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other hand, only behavior focused strategies of the self-leadership were came out as affecting significant influences in the career search item through surrounding persons among sub-factor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Second, as the result of verifying mediating effects of the self-efficacy in relation with behavior focused strategie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s sub-factors of the self-leadership, the self-efficacy was shown as having partial medicating effects on behavior focused strategies of the self-leadership, effort actions for achieving goal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career searches through surrounding persons. However, the self-efficacy appeared not to have mediating effects in relations with career consultations utilizing specialized agencies and experts together with career searches using behavior focused strategies and career searches utilizing specialized tools. Third, as the result of verifying mediating effects of the self-efficacy in relation with constructive thought strategies as sub-factors of the self-leadershi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e self-efficacy had partial medicating effects to constructive thought strategies of self-leadership, effort actions for achieving goal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career searches utilizing specialized tools, and career searches through surrounding persons. Also, the self-efficacy was came out as having full mediating effects in relation with career consultations utilizing expert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ogether with constructive thought strategies of the self-leadership. Fourth, as the result of verifying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in relation with natural award strategie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e self-efficacy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s in career consultations utilizing specialized agencies and experts for achieving goals of natural award strategie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self-leadership, and it became clear to have full mediating effects regarding career searches through surrounding persons at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Nonetheless, the self-efficacy turned out to have not any mediating effects in relation with career searches utilizing specialized tools at natural reward strategies of the self-leadership and specialized tool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Based on study findings, study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strengthening professional and systematic career education services is necessary by being led by university. Second, in order to promote self-leadership competency, educational programs that could create synergy of self-leadership competency by linking sub-factors rather than educating one factor intensively. Third, leadership programs from respect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s that are able to create individual performance and development shall be established afterwards by cultivation competency programs related to effectiveness variable like self-efficacy in executing self-leadership researches. 청년실업 문제가 대두되고, 지식경제 사회로 변화하면서 대학생은 미래의 삶을 생산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성숙한 직업인으로서 성장하기 위한 기초를 닦아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서 진로수행의 구체적 실천과정이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는 진로에 관한 지식이나 태도와 같은 인지적인 측면만이 부각되어 왔다. 또한 최근 각 대학들이 대학생의 성공적인 진로 준비를 돕고 사회에서 요구하는 인재 양성을 위한 방안으로 리더십 교육을 강화하고 있는데, 그중에서도 셀프리더십은 진로결정과 진로준비행동의 과정 속에서 개인에게 영향을 주고, 개인의 효과성 개발에 도움을 주어 진로목표 달성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대학생의 진로교육을 강화할 수 있는 셀프리더십 역량 프로그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는 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진로준비행동이 어떤 영향 관계에 있으며, 이 둘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다음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전략인 행동중심적 전략, 자연적 보상전략, 건설적 사고전략은 진로준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를 갖는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 수도권과 지방에 소재하고 있는 5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500부를 배포하여 476부가 회수되었고, 부적절한 응답을 한 14부를 제외한 총 462부(유효율 92.4%)의 응답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사용된 측정도구로 셀프리더십은 Houghton과 Neck(2002)의 측정도구를 번안한 신용국, 김명소, 한영석(2009)의 측정도구, 자기효능감은 Chen, Gully와 Eden(2001)의 측정도구를 번안한 김연선(2008)의 측정도구, 진로준비행동은 임은미, 이명숙(2003)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구체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결과, 진로준비행동의 하위 요소 중 목표달성을 위한 노력행동과 전문도구를 활용한 진로탐색에는 셀프리더십의 행동중심적 전략과 자연적 보상전략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셀프리더십의 건설적 사고전략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진로준비행동의 하위 요소 중 주변인을 통한 진로탐색 항목에서는 셀프리더십의 행동중심적 전략만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셀프리더십의 하위 요소인 행동중심적 전략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셀프리더십의 행동중심적 전략과 진로준비행동의 목표달성을 위한 노력행동, 주변인을 통한 진로탐색과의 관계에 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셀프리더십의 행동중심적 전략과 진로준비행동의 전문도구를 활용한 진로탐색, 전문기관과 전문인을 활용한 진로상담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를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셀프리더십의 하위 요소인 건설적 사고전략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셀프리더십의 건설적 사고전략과 진로준비행동의 목표달성을 위한 노력행동, 전문도구를 활용한 진로탐색, 주변인을 통한 진로탐색과의 관계에 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셀프리더십의 건설적 사고전략과 진로준비행동의 전문인을 활용한 진로상담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완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셀프리더십의 하위 요소인 자연적 보상전략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셀프리더십의 자연적 보상전략과 진로준비행동의 목표달성을 위한 노력행동과 전문기관과 전문인을 활용한 진로상담과의 관계에 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진로준비행동의 주변인을 통한 진로탐색에는 완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셀프리더십의 자연적 보상전략과 진로준비행동의 전문도구를 활용한 진로탐색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를 갖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가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은 전문도구의 활용 및 전문기관과 전문인을 통한 진로탐색을 적게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 주도의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진로교육서비스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셀프리더십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하나의 요인만을 집중적으로 교육하는 것 보다는 행동중심적 전략과 자연적 보상전략, 건설적 사고전략을 연계하여 셀프리더십 역량의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해야 할 것이다. 셋째, 자기변화 및 성장과 관련된 셀프리더십 연구에 있어 자기효능감과 같은 효과성 변인과 관련된 역량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개인의 성과와 조직의 발전을 창출할 수 있는 인적자원개발 측면의 리더십프로그램을 구축해나가야 할 것이다.

      • 존 윌리엄스의 영화음악 <해리포터와 아즈카반의 죄수>에 대한 주요 주제음악 연구

        송한나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Harry Potter film series began in 2001, maintaining its popularity until the final film was released ten years later. Throughout the series, many aspects of the films, such as the cast, director, music, film set, etc., have garnered much attention from public. In particular, the music plays a large part in setting up the characters and background of the films, and also contributes greatly to the publicity of the Harry Potter franchise. Among the four music composers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films, John Williams, who composed for the first three films, also stands out as the composer od "Hedwig's Theme", which is likely the most recognizable piece in the entire series. The main part of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music composed for the third film in the Harry Potter series, 'Harry Potter and the Prisoner of Azkaban' (2004), by John Williams. Preceding that is a section on the history of film music, and an overview of John Williams's life and achievements, along with an introduction of the Harry Potter series' history and plot. The film score consists of two types of music : the main themes, which are modified according th the scenes in which they appear, and individually composed themes. Of the 13 pieces of music analysed in this thesis, the 9 individually composed themes are analysed first. The music of two main themes, "Double Trouble" and "A Window to the Past" are selected and analysed. Then, the way in which the themes are modified and how they appear in the music of other scenes are analysed through the changes in harmony, rhythm, tempo, instrumentation and notation, and so forth. Through this study, we can observe how John Williams implies and connects the scenes of the film through his music. 해리포터 영화는 2001년을 시작으로 10년간에 걸쳐 인기리에 종영한 영화이다. 이 영화로 인해 배우, 감독, 음악, 영상, 배경지 등 많은 분야들이 주목을 받는다. 특히 음악은 영화의 인물과 배경에 큰 역할을 하며 해리포터를 크게 알리는데 기여한다. 음악에 참여한 4명의 작곡가들 중 1-3편을 작곡한 존 윌리엄스는 ‘Hedweg's Theme’이라는 대표 음악을 해리포터의 중심에 서는 작곡가가 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그가 가장 마지막에 작업한 <해리포터와 아즈카반의 죄수(Harry Potter and the Prisonr of Azkaban, 2004)>의 주요 음악에 대해 연구한다. 그리고 연구에 앞서 영화음악의 역사와 존 윌리엄스의 생애와 업적, 해리포터 시리즈의 역사 및 줄거리에 대해 알아본다. 이 작품의 음악의 구성에 있어서 2개의 메인 주제음악, 이를 장면에 맞게 변형시켜 나타낸 음악, 개별적으로 작곡된 음악으로 구성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분석한 13개의 음악 중 개별적으로 작곡한 9개의 주제 음악들을 먼저 분석한다. 그리고 영화의 메인 주제음악으로 선정된 ‘Double Trouble’과 ‘A Window to the Past’의 음악을 분석한 후 이것이 다른 장면의 음악에서 어떻게 변형되어 나타나는지를 화성, 리듬, 템포, 악기구성 및 기법 등을 통해 분석한다. 이를 통해 존 윌리엄스가 영화의 장면을 어떻게 암시하고 관련지어서 표현하는지를 볼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