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소통 의도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 커뮤니케이션 체계 제안

        송지훈(Song Jihoon),기정민(Ki Jeongmin),황동욱(Hwang Dongwook) 한국HCI학회 202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2

        최근 자율주행 시스템의 점진적인 발전으로 기존에 통용되어 오던 비상등과 상향등의 차량 간 커뮤니케이션 방식보다 좀 더 세분화되고 구체적인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기존의 도로 위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탈피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시스템을 제시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다가올 미래의 자율주행 차량과 일반차량이 동시에 주행하게 되는 환경에서는 차량간 또는 차량과 도로 위 보행자들과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의 재정립이 필요해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씽킹 방법론을 적용하여 자율주행 차량 운전자의 페르소나를 설정하고 도로 주행 시 발생할 수 있는 구체적인 커뮤니케이션 상황을 제시 및 분류하고, 커뮤니케이션 주체에 따른 분류와 우선순위 설정을 거쳐 자율주행 차량이 외부로 보내는 커뮤니케이션 신호 체계를 도출하고자 한다. 또한, 기존의 시각적 정보 송출을 통한 커뮤니케이션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커뮤니케이션 의도 체계화, 신호색상 체계 확립을 통해 통합 커뮤니케이션 체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HR Analytics 연구 동향 및 실무적 활용을 위한 제언 : Bibliometrics 분석 및 HR 실무진의 의견을 중심으로

        이중학(Joonghak Lee),송지훈(Jihoon Song),전유진(Eungene Jeon),송현정(Hyunjung Song) 동국대학교 경영연구원 2020 경영과 사례연구 Vol.42 No.2

        본 연구에서는 Bibliometrics 분석을 기반으로 HR Analytics에 대한 해외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의 국내의 HR Analytics 연구 분야에서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시대에 더욱 중요해지고 있는 데이터 중심의 의사결정이 조직 및 학계에서 받아들여지기 위해서는 Business Analytics 대한 더욱 많은 연구가 필수적이다. HR 분야에서도 데이터 중심의 의사결정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고 이에 학계와 실무에서도 그 관심도는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리뷰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더욱 광범위한 내용을 바탕으로 분석하여 보다 많은 내용을 연구자들이 참고할 수 있도록 내용을 분석하였다. 추가적으로, 국내 인사 실무자들에게 설문을 실시하여 국내 기업의 HR Analytics 도입 현황과 HR 실무진들이 느끼는 HR Analytics 도입의 필요성과 장애 요인, 그리고 HR Analytics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하여 필요한 역량 등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연구자들이 실질적으로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HR Analytics의 방향성을 잡을 수 있도록 돕고자 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research trends of human resources (HR) Analytics globally and provides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HR Analytics. Based on a bibliometric analysis, we basically show the research trends of HR Analytics. In addition, using a survey from HR practitioners in South Korea, we identify the status of adoption of HR Analytics in Korean firms, constraining factors of adoption of HR Analytics, and required competencies of using HR Analytics. Finally, we provid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of HR Analytics.

      • KCI등재
      • KCI등재

        취약점 기능군 강조부분 변화시키기를 통한 취약점 완성하기 과제가 인지부하, 학습전이, 교수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최순리 ( Soonri Choi ),송지훈 ( Jihoon Song ) 한국교육공학회 2019 교육공학연구 Vol.35 No.3

        전체 과제는 기존 일반적인 과제 제시 방법에서 취약점 완성하기 과제로 제시하고 이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문제는 사전지식이 형성되어 있는 학습자들이 복합적 학습을 수행할 때, 취약점을 기준으로 제시한 완성하기 과제가 인지부하, 학습전이, 교수효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강원도에 소재한 고등학교 1학년 2학년 학생 32명을 무작위 배분하여 두 집단으로 분류하였다(일반적인 과제, 취약점 완성하기 과제). 우선, 사전 검사를 통해 취약점을 확인했으며, 두 집단모두 사전 검사 기반의 취약점 기능군의 학습을 진행했다. 단, 통제 집단은 기능군별 일반적인 과제를 수행했고, 처치 집단은 취약점 완성하기 과제를 수행했다. 집단의 인지부하, 학습전이, 교수효율성은 독립표본 t검증(t-test)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과제는 사전검사로 확인된 지식을 제외하여 취약점 기능군별 학습 과제를 반복 수행하는 취약점 기능군 강조부분 변화시키기에 유의미한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부하 유형에 따른 내재적 인지부하, 외재적 인지부하, 본유적 인지부하 취약점 완성하기 과제 집단이 낮은 내재적 인지부하와 높은 본유적 인지부하가 나타났다. 더불어 과제에 적합한 난이도는 개별 사전지식에 따라 제공된 취약점 완성하기 과제가 학습자에게 적합한 과제 난이도를 제공하여, 주요 가설 검증에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research verified the effects of the least-abled completion tasks instead of conventional whole tasks. Research questions identified whether the least-abled sets of completion tasks is effective on cognitive load, learning transfer, and instructional efficiency when learners with prior knowledge performs complex tasks. To examine the research questions,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was conducted. 32 participants in their first and second year of high school in Kangwon-do enrolled in the research.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o groups(Conventional tasks, The least-abled sets of completion tasks). All participants identified their least-abled sets of constituent skills through prior test, and both groups carried out learning process of the least-abled sets of constituent skills based on the results. However, controlled group carried out conventional tasks according to constituent skills. Experimental group carried out the least-abled sets of completion tasks. In order to analyze the results of cognitive load, learning transfer, and instructional efficiency,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the least-abled sets of completion tasks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intrinsic cognitive load and higher germane cognitive load. In addition, the least-abled sets of completion tasks according to the prior test results suggested appropriate task difficulty.

      • KCI등재

        기업 근로자 대상 일의 소명의식에 관한 메타분석

        박민지(Minji Park),조현아(Hyeonah Jo),송지훈(Jihoon Song) 한국기업교육학회 2022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기업 근로자 대상 일의 소명의식에 관한 국내·외 연구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조직에서 적용할 수 있는 HR실행 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지난 10년간 국내·외에서 수행한 총 87편의 기업 근로자 대상 일의 소명의식 관련 연구들을 선정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도출된 변인은 욕구위계이론과 소명의식으로서의 일에 대한 이론(Work as a Calling Theory)에 근거하여 개인과 직무/조직 차원으로 구분하였다. 효과크기 산출을 위해 Fisher’s Z값과 상관계수 값을 산출하고, Egger의 절편 검증과 Orwin의 안정성 계수를 통해 출판편향을 검증하였으며 출판편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분석 결과 첫째, 개인 수준의 변인 중 삶의 의미와 일의 소명의식 간의 효과 크기가 가장 높았다. 둘째, 직무/조직 수준의 변인 중 직무열의(work engagement)와 일의 소명의식 간의 효과 크기가 가장 높았다. 셋째, 조화 열정(harmonious passion)과 소명의식인식(perceiving a calling), 조직후원인식(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과 소명의식실행(living a calling)간의 효과 크기가 크고 정(+)적으로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기업 근로자의 일의 소명의식에 관한 학문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related to work as a calling, focus on the employees, and suggest implications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To meet the purpose, a total of 87 studies on work as a calling were selected over the past decade. The derived variables were classified into individual and work or organizational dimensions based on Maslow’s hierarchy of needs and Work as a Calling Theory. Fisher’s Z value and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calculated to calculate the effect size. Funnel plot, Egger’s regression, and Orwin’s fail-safe N were used for publication bias analysis, 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publication bias does not exis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size between life meaning and work as a calling was the highest among the individual variables. Second, the effect size between work engagement and work as a calling was the highest among the organizational variables. Third, harmonious passion and perceiving a calling were positively related,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living a calling were positively related. Based on the study results, we proposed th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work as a calling for employees in the organization.

      • 석탄/Biomass CO2 혼합 가스화에 따른 1단 분류층 가스화기 성능 변화에 대한 전산수치해석적 연구

        홍정우(Jungwoo Hong),박상신(Sang Shin Park),송지훈(Jihoon Song),황정호(Jungho Hwang) 한국연소학회 2011 KOSCOSYMPOSIUM논문집 Vol.- No.43

        Technology on gasification of co-gasification from mixed coal and biomass has been important. This paper performe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on simulating gasifier from reaction constant of CO2 gasification with mixed coal and biomass. The results of CFD increased H2 higher blending ration of biomass, while decreased CO.

      • KCI등재

        Kolb의 경험학습이론 관점에서 비대면 비교과 프로그램 학습 경험의 학습양식과 경험학습 단계에 대한 관계 연구

        최순리(Soonri Choi),강수민(Soomin Kang),송지훈(Jihoon S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5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기간 동안 비대면으로 진행된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 양식과 학습 경험의 현상을 살펴보기 위해 Kolb의 학습 양식과 경험 학습 단계에 따른 경험 학습 단계별 구성 요인들의 관계를 확인했다. 방법 자료 수집은 경기도 소재 S대학교에서 3학기(2020년 1학기부터 2021년 1학기)동안 개인정보동의를 받아서 진행된 에세이 111편을 문서 분석하였다. 비대면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 양식을 분석하기 위해서 첫째,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활용하여 Kolb의 학습 양식에 따른 범주화 과정이 이뤄졌으며, 범주화된 수치를 Kolb의 경험학습 이론 단계를 기준으로 산포도로 확인하고 학습 양식별 특징을 범주화된 내용 기준으로 제시했다. 둘째, 경험 학습 단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분석된 범주화 내용을 Kolb의 경험 학습 이론에 따라 재구성하여 구성 요인들의 영향 관계를 확인했다. 결과 비대면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 양식은 확산자와 적응자가 높은 유형으로 나타났고, 수렴자와 융합자가 낮은 유형으로 나타났다. 경험학습 단계에 따른 영향 관계는 구체적 경험 단계에서 상황 노출의 부정적인 학습 경험이 긍정적인 학습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고, 반성적 관찰 단계에서 행동 수정을 하고 부정적 정서가 환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추상적 개념화 단계에서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지원적 자원이 활용되고 학습에 적용하여 능동적 실천 단계에서 학습 전략을 일반화 하려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비대면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 상황에서는 정서적 측면과 학습에 대한 지원적 요소가 긍정적인 학습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촉진하는 것을 확인했고, 이에 대한 이론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했다. Objectives This study observ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lb’s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according to the learning styles and experiential learning steps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learning styles and experiential learning steps during an co-curricular program progressed online during COVID-19 pandemic. Methods The data for this study has been collected during 3 semesters (Semester 1 of 2020 to Semester 1 of 2021) in the University in Gyeonggi-do province, South Korea. The collected data for the study are 111 essays used for a document analysis during this five-semester period. To analyze the learning styles on this online co-curricular program, two methods were employed. First, a categorization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Kolb’s learning type using constant comparison, then the categorized data is expressed in a scatter plot based on the steps of Kolb’s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The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earning type is presented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categorized data. Second, the categorized data that was analyzed to understand the experiential learning steps was then reconstructed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making up the leaning steps. Results There were high percentages of “divergers” and “accommodators” among the students in this online co-curricular program, but less of the “convergers” and “assimilators” in the student group. In the experiential learning steps, it is shown that a concrete experience stage allowed the students to experience positive learning through a negative learning experience, and a reflective observation stage allowed the students to modify their behaviors and refresh their negative emotions related to the studies. Additionally, students were able to utilize supporting resources to effectively use the program as well as applying them during an abstract conceptualization, and ultimately learn to generalize their study strategy during the active experimentation stage. Conclusions Current study elucidated that emotional support and other supporting resources on the learning material facilitated positive learning experiences in an online co-curricular program, and some theoretical implications as well as real-life applications are discussed in this article.

      • KCI등재

        HR 애널리틱스 연구 및 실무에서의 베이지안 통계 활용 : 퇴임 임원의 데이터를 중심으로

        이중학(Joonghak Lee),Steven Kim,송지훈(Jihoon Song),장다니엘(Daniel Jang) 한국인사관리학회 2020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4 No.3

        머신 러닝, 인공 지능 등의 기술로 대변되는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시대에 HR 역시 빠른 속도로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고 있다. 특히 조직 내의 다양한데이 터와 이를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을 활용한 HR 애널리틱스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 여러 HR 애널리틱스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질적 연구에 비해서 양적 연구는 절대적인 숫자가 적다고 할 수 있다. 많은 머신 러닝 방법과 인공 지능 방법은 베이지안 통계를 기반으로 하는데, 기존의 사회과학 연구와 빈도주의 통계에 더 익숙한 HR 애널리틱스 연구자 및 실무자들 사이에서는 베이지안 통계의 이해와 활용에 익숙하지 않기도 하다. 베이지안 네트워크, naive 베이즈, 토픽 모델링 등 예측적 목적의 비즈니스 애널리틱스(business analytics)에서 다양한방 법을 활용함에도 불구하고 HR 분야에서는 베이지안 통계의 자세한 소개 및 그 활용이 거의 이뤄진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폭넓은 HR 애널리틱스의 활용을 위해서 베이지안 통계의 소개와 베이지안 통계 방법론을 활용한데이 터 분석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더불어, 조직 임원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어떠한역 량이 퇴임할 확률과 관계가 높은지를 설명하였다. 이는 HR애널리틱스에서 큰 관심이 있는 성공/실패하는 리더의 특성 연구와 맥을 같이하며, 국내에서는 거의 진행된 바 없으므로 학문적/실무적 기여점이 높다고 할 수 있다.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which is represented by technologies such as machine learn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HR is also rapidly adopting new technologies. In particular, there have been increased interests in HR analytics which utilizes the technologies to process various data collected in organizations. Among recent studies related to HR analytics, the number of quantitative research is less than the number of qualitative research. Many methods in machine learn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re based on Bayesian statistics, but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in HR Analytics, who are more experienced in social science and frequentist statistics, have relatively less experiences in the Bayesian methods. Despite the use of various methods in predictive business analytics such as Bayesian network, naive Bayes and topic modeling, Bayesian statistics has not been thoroughly introduced and has been rarely used in the HR fields. In this study, we provide an introduction to Bayesian statistics and examples of Bayesian data analysis for the wide use of Bayesian methods in HR analytics. In addition, we analyzed data of executives in an organization and explained which capability is highly associated with the probability of retirement. This is in line with HR analytics studies that characterizes successful and unsuccessful leaders, which is of great interest, and this research has contributions to both academia and practice as there has been little progress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