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에피소드 요소와 직무 몰입의 이론적 관계와 에피소드 요소 탐색을 통한 구조적인 개념적 통합 모형

        최순리(Soonri Choi),최서현(Seohyun Choi),손채현(Chaehyeon Son),김다정(Dajeong Kim),송지훈(Jihoon Song) 한국기업교육학회 2021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23 No.3

        본 연구의 연구1은 에피소드 요인, 번성, 가변적 직무 몰입, 안정적 직무 몰입의 이론적 관계를 밝히고, 연구2는 에피소드 요소들을 탐색하여 구조적인 개념적 통합 모형을 구성함으로써 개인이 직무 몰입 상태에 이끌어지는 총체적인 구조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에피소드는 선행연구에서 밝히고 있는 JD-R 요인들과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업무 환경이 가정으로 확대됨에 따라 가정 자원 요인을 포함하였다. 문헌 분석은 2019년 1월부터 2021년 4월 15일까지 국외에서 연구된 논문 268편을 확인하였다. 연구1의 결과로 에피소드 요인, 번성, 가변적 직무 몰입, 안정적 직무 몰입의 이론적 관계는 직무-요구 자원이론(Job and demand-resource theory), 확장-형성 이론(Broaden-build theory), 인지평가이론(Cognitive evaluation theory)으로 관계를 확인했고, 연구2의 결과로 에피소드 요소 탐색은 1차 인지와 정서의 요인으로 분류하고, 2차 정신적 업무 중심 내부와 외부, 심리적 자기중심 내부와 외부로 분류하였다. 결론적으로 연구1의 이론적 모형과 연구2 에피소드 요소 탐색의 구조적인 개념적 통합 모형을 제시하여 일상생활과 업무 상황에 따라 나타나는 인지와 정서의 요인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확장된 업무 환경 확장에서 직무 몰입 상태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에피소드 요인과 요소의 개념적 영향 관계와 직무 몰입의 실증 연구를 위한 이론적 기반을 제시했다. The aim of this study 1 is to identify theoretical relationships among episodic resources, thriving, variable work engagement, and stable work engagement, and the study 2 has its aim to explore the episodic resources and to construct a conceptual integration model to find structure in which individuals are driven to work engagement. ‘Episodes’ included job demands and job resources identified in previous research and home resources as the work environment expanded to home due to COVID-19. The literature review identified 268 articles published overseas from January, 2019 to April 15th, 2021. As a result of study 1, the theoretical relationships of episodic resources, thriving, variable work engagement and stable work engagement were identified based on Job demand-resource theory (JD-R theory), Broaden-build theory, and Cognitive evaluation theory. As a result of study 2, episodic resources were primarily classified as cognitive and emotional factors, and reclassified as cognitive task-oriented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emotional egocentric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o sum up, this study identified how cognitive and emotional factors are related within daily life and work situation through integrated conceptual model. These findings provid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empirical study of the episodic resources and work engagement and the episodic factors that can be experienced through the expansion of work environment.

      • KCI등재

        취약점 기능군 강조부분 변화시키기를 통한 취약점 완성하기 과제가 인지부하, 학습전이, 교수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최순리 ( Soonri Choi ),송지훈 ( Jihoon Song ) 한국교육공학회 2019 교육공학연구 Vol.35 No.3

        전체 과제는 기존 일반적인 과제 제시 방법에서 취약점 완성하기 과제로 제시하고 이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문제는 사전지식이 형성되어 있는 학습자들이 복합적 학습을 수행할 때, 취약점을 기준으로 제시한 완성하기 과제가 인지부하, 학습전이, 교수효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강원도에 소재한 고등학교 1학년 2학년 학생 32명을 무작위 배분하여 두 집단으로 분류하였다(일반적인 과제, 취약점 완성하기 과제). 우선, 사전 검사를 통해 취약점을 확인했으며, 두 집단모두 사전 검사 기반의 취약점 기능군의 학습을 진행했다. 단, 통제 집단은 기능군별 일반적인 과제를 수행했고, 처치 집단은 취약점 완성하기 과제를 수행했다. 집단의 인지부하, 학습전이, 교수효율성은 독립표본 t검증(t-test)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과제는 사전검사로 확인된 지식을 제외하여 취약점 기능군별 학습 과제를 반복 수행하는 취약점 기능군 강조부분 변화시키기에 유의미한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부하 유형에 따른 내재적 인지부하, 외재적 인지부하, 본유적 인지부하 취약점 완성하기 과제 집단이 낮은 내재적 인지부하와 높은 본유적 인지부하가 나타났다. 더불어 과제에 적합한 난이도는 개별 사전지식에 따라 제공된 취약점 완성하기 과제가 학습자에게 적합한 과제 난이도를 제공하여, 주요 가설 검증에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research verified the effects of the least-abled completion tasks instead of conventional whole tasks. Research questions identified whether the least-abled sets of completion tasks is effective on cognitive load, learning transfer, and instructional efficiency when learners with prior knowledge performs complex tasks. To examine the research questions,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was conducted. 32 participants in their first and second year of high school in Kangwon-do enrolled in the research.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o groups(Conventional tasks, The least-abled sets of completion tasks). All participants identified their least-abled sets of constituent skills through prior test, and both groups carried out learning process of the least-abled sets of constituent skills based on the results. However, controlled group carried out conventional tasks according to constituent skills. Experimental group carried out the least-abled sets of completion tasks. In order to analyze the results of cognitive load, learning transfer, and instructional efficiency,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the least-abled sets of completion tasks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intrinsic cognitive load and higher germane cognitive load. In addition, the least-abled sets of completion tasks according to the prior test results suggested appropriate task difficulty.

      • KCI등재

        Kolb의 경험학습이론 관점에서 비대면 비교과 프로그램 학습 경험의 학습양식과 경험학습 단계에 대한 관계 연구

        최순리(Soonri Choi),강수민(Soomin Kang),송지훈(Jihoon S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5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기간 동안 비대면으로 진행된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 양식과 학습 경험의 현상을 살펴보기 위해 Kolb의 학습 양식과 경험 학습 단계에 따른 경험 학습 단계별 구성 요인들의 관계를 확인했다. 방법 자료 수집은 경기도 소재 S대학교에서 3학기(2020년 1학기부터 2021년 1학기)동안 개인정보동의를 받아서 진행된 에세이 111편을 문서 분석하였다. 비대면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 양식을 분석하기 위해서 첫째,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활용하여 Kolb의 학습 양식에 따른 범주화 과정이 이뤄졌으며, 범주화된 수치를 Kolb의 경험학습 이론 단계를 기준으로 산포도로 확인하고 학습 양식별 특징을 범주화된 내용 기준으로 제시했다. 둘째, 경험 학습 단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분석된 범주화 내용을 Kolb의 경험 학습 이론에 따라 재구성하여 구성 요인들의 영향 관계를 확인했다. 결과 비대면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 양식은 확산자와 적응자가 높은 유형으로 나타났고, 수렴자와 융합자가 낮은 유형으로 나타났다. 경험학습 단계에 따른 영향 관계는 구체적 경험 단계에서 상황 노출의 부정적인 학습 경험이 긍정적인 학습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고, 반성적 관찰 단계에서 행동 수정을 하고 부정적 정서가 환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추상적 개념화 단계에서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지원적 자원이 활용되고 학습에 적용하여 능동적 실천 단계에서 학습 전략을 일반화 하려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비대면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 상황에서는 정서적 측면과 학습에 대한 지원적 요소가 긍정적인 학습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촉진하는 것을 확인했고, 이에 대한 이론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했다. Objectives This study observ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lb’s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according to the learning styles and experiential learning steps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learning styles and experiential learning steps during an co-curricular program progressed online during COVID-19 pandemic. Methods The data for this study has been collected during 3 semesters (Semester 1 of 2020 to Semester 1 of 2021) in the University in Gyeonggi-do province, South Korea. The collected data for the study are 111 essays used for a document analysis during this five-semester period. To analyze the learning styles on this online co-curricular program, two methods were employed. First, a categorization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Kolb’s learning type using constant comparison, then the categorized data is expressed in a scatter plot based on the steps of Kolb’s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The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earning type is presented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categorized data. Second, the categorized data that was analyzed to understand the experiential learning steps was then reconstructed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making up the leaning steps. Results There were high percentages of “divergers” and “accommodators” among the students in this online co-curricular program, but less of the “convergers” and “assimilators” in the student group. In the experiential learning steps, it is shown that a concrete experience stage allowed the students to experience positive learning through a negative learning experience, and a reflective observation stage allowed the students to modify their behaviors and refresh their negative emotions related to the studies. Additionally, students were able to utilize supporting resources to effectively use the program as well as applying them during an abstract conceptualization, and ultimately learn to generalize their study strategy during the active experimentation stage. Conclusions Current study elucidated that emotional support and other supporting resources on the learning material facilitated positive learning experiences in an online co-curricular program, and some theoretical implications as well as real-life applications are discussed in this article.

      • KCI등재

        인터랙티브 3D 학습자료의 상호작용 정도와 시각단서 제공유형이 인지부하에 미치는 영향

        이경민(Kyoungmin Lee),최순리(Soonri Choi),최서현(Seohyun Choi),김동식(Dongsik Kim)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2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5

        Interactive 3D learning materials are used in various fields for advantages such as immediate feedback and declarative knowledge acquisition, but complex interactive functions in learning materials may reduce learners attention, concentration and lead high cognitive loa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learning materials design that can reduce extraneous cognitive load and increase attention and concentration by providing appropriate visual cues for effective use of interactive 3D learning material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he visual cueing types on cognitive load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teractivity of interactive 3D learning materials was identified. It was confirmed that providing both high and low-level interactive 3D learning materials with external visual cues is effective in reducing extraneous cognitive load and increasing germane cognitive loa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