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Justice and Cooperation

        송지우 한국분석철학회 2017 철학적 분석 Vol.0 No.38

        The concept of cooper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political philosophy, and in particular in Rawls’s theory of justice. Yet this concept remains surprisingly under-theorized. In this paper, I make the following arguments in an attempt to help correct for this oversight. First, I argue that we find at least three distinct senses of cooperation at work in the relevant discussions: cooperation as mutual advantage, or interaction through which each participant is better off than she would be without the interaction; cooperation as reciprocity, or interaction in which all participants receive their fair share; and cooperation as productive interaction, i.e., interaction that produces a different pattern or sum of benefits and burdens than would obtain without the interaction. Second, I argue that clarity about which sense of cooperation we are employing at which point in our theory matters for our conclusions about justice. Specifically, I argue that cooperation theorists should take cooperation as productive interaction to mark out the foundational scope of justice, i.e., the range of persons who owe each other duties of justice(of any kind, or at all). Cooperation as reciprocity, meanwhile, shapes the content of justice specifically by reference to an account of the fair shares of the benefits and burdens that arise from productive interaction. Via this account of fair shares, cooperation as reciprocity also guides our determination of the scope of civic obligations, and more broadly obligations of reciprocity. While the sense of cooperation as mutual advantage enjoys popular currency in the literature, it serves no independent role in determining the scope or content of justice. Appreciating this point helps us to better navigate longstanding debates about the scope of global justice.

      • KCI등재

        주권과 보충성: 개념 검토를 통해 본 국제법 규범 이론의 필요성

        송지우 한국법철학회 2018 법철학연구 Vol.21 No.2

        This article attempts a normative examination of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in international law, especially in view of its potential as a structural alternative to prevailing norms of state sovereignty. The article first presents a theoretical account of subsidiarity as a prioritizing principle. It then critically examines prominent versions of subsidiarity optimism, i.e., views on which the subsidiarity principle can fruitfully replace traditional sovereignty norms. The article argues that such optimism becomes appropriate only when the principle is supported by an adequate substantive normative theory of international law. The article concludes by sketching one such theory, namely one that rests on a foundational commitment of justificatory individualism, or the idea that norms must be justifiable to each person by appeal to her individual reasons. 이 글은 국제법상 보충성 원칙(principle of subsidiarity)의 규범적 검토를 시도한다. 보충성 원칙은 최근 국가 주권 규범에 대한 구조적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 글은 이러한 가능성을 점치는 이른바 보충성 긍정론자들의 주장을 비판적으로 살펴본다. 이를 위해 우선, 보충성을 낮은 단계 우선성을 추정하는 일종의 추정 규칙(presumption rule)으로 개념화한다. 이어서 이와 같은 개념적 자원을 토대로 보충성 긍정론을 검토하며, 보충성 원칙이 고전적 주권 개념의 대안이 되려면 원칙의 기저에 별도의 규범 이론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끝으로 이러한 이론으로 정당화 개인주의(justificatory individualism), 즉 제도와 규범의 정당화는 그 적용을 받는 각 개인에게, 그 사람의 개별적 이유에 근거해 정당화되어야 한다는 명제를 근간으로 하는 이론을 제안한다.

      • KCI등재

        어퍼머티브액션(affirmative action)의 종말과 적극적 조치의 미래: 미국 연방대법원 SFFA 대 하버드(Harvard) 판결의 쟁점과 여파 분석

        송지우 한국아메리카학회 2023 美國學論集 Vol.55 No.2

        미국 연방대법원은 최근 ‘공정한 입시를 위한 학생들’(Students for Fair Admissions, SFFA) 사건에서 미국 대학의 어퍼머티브액션(affirmative action) 정책이 미국 수정헌법 14조의 평등보호조항(Equal Protection Clause) 아래 위헌이라고 결정했다. 본 논문은 이 판결에 이르는 미국 연방대법원의 법리를 검토하고, 미국의 어퍼머티브액션 정책을 더 넓은 의미의 적극적 조치, 즉 교육·고용 등에서 소수자집단 구성원의 대표성이나 지위를 제고하기 위하여 형식적 기회 개방 이상의 조치를 하는 정책 전반의 맥락에서 파악한다. 어퍼머티브액션이 금지된 시점에서 향후 미국에서 활용될 수 있는 여타 적극적 조치 유형을 탐색하며, 이들 유형의 도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쟁점들을 탐색한다. 특히 적극적 조치를 부당한 차별로 추정하는 미국 법리의 이례적인 구조 그리고 미국 연방대법원의 개별화(individualization) 원칙과 인종불문주의(colorblindness) 원칙이 논의에 어떤 영향을 줄지 평가한다. 끝으로 이번 SFFA 사건을 적극적 조치의 분배정의 맥락에 대한 검토의 계기로 삼을 것을 제안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United States (U.S.) Supreme Court’s jurisprudence on affirmative action as it culminated in the Court’s recent decision in Students for Fair Admissions (SFFA) v. Harvard (2023) (SFFA). After contextualizing the U.S. model of affirmative action within a wider range of theoretical and policy positions on affirmative action found internationally and tracing the Court’s decisive role in shaping the U.S. model, this article presents and analyzes the Court’s reasoning in SFFA. It maps out points of legal and political contestation that will likely arise going forward, in particular surrounding questions about individualization, colorblindness, and “indirect affirmative action.” Finally, the article articulates and examines the prospects of taking SFFA as an occasion to re-evaluate the broader distributive contexts of educational opportunity in the United States, in particular the contexts of zero-sum competition that were seemingly presupposed by both the majority and the dissent in SFFA.

      • KCI등재

        대입 추첨제는 어떤 문제의 답이 될 수 있을까? ―능력주의 비판론과 평등주의 이론의 관점에서―

        송지우 한국법철학회 2022 법철학연구 Vol.25 No.1

        Meritocratic principles and merit-based selection have recently been under attack. I engage these criticisms using resources from egalitarian theory. Drawing on the tradition of understanding talent, merit, and fair selection procedures in an institution-dependent sense, I assess the conditions under which merit-based inequalities could be appropriate. Throughout, I focus on the case of higher education admissions at the bachelor’s level (college admissions). I examine, in particular, the recently popular proposal to admit college students by lottery. I argue that familiar anti-meritocratic arguments for this proposal require non-obvious empirical support. I also argue, however, that there may be pro tanto reasons of procedural fairness for lottery admissions that depend not on empirical consequences but rather on the requirements of fairness as anchored in an institutional account of the merit appropriate to college admissions contexts. This procedural fairness argument may also fail to yield conclusive reasons for lottery admissions, for example if sufficiently bad consequences can be anticipated. Nonetheless, the argument is interestingly distinguishable from familiar arguments for lottery admissions in that it sees admissions lotteries not as a solution to the ills of meritocracy but rather as the result of carrying out merit-based selection on the understanding of merit appropriate to the institutional context. 이 글은 최근 주목받고 있는 능력주의 비판론을 평등주의 이론, 특히 능력을 제도의존적인 것으로 보는 평등주의 전통의 관점에서 검토한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관점에서 능력 기반 선발의 결과로 발생하는 불평등이 정당화될 수 있는 조건이 있는지, 있다면 무엇인지 탐색하고, 이 탐색을 기반으로 능력주의의폐해에 대응하는 정책으로 최근 빈번하게 제기되어온 대입추첨제의 사례를 살펴본다. 통상적인 대입 추첨제 지지 논변은 추첨제 도입으로 특정한 경험적 결과가 나타날 것을 전제한다는 점에서, 도입 시 해당 사회에서 예상되는 경험적 여파를 좀 더 주도면밀하게 연구해야 그 적절함을 판단할 수 있다. 이 점을 지적함과 동시에 이 글은 대입 추첨제 도입의 다른, 비결과적인 지지 근거로 절차적 공정성 논변을 검토한다. 절차적 공정성 논변에 따르면, 대학 입시에서 해당 제도적 맥락에 적합한 능력만을 반영한다면 오히려 추첨이 현행 제도보다 공정할 수 있다. 절차적 공정성 논변 역시 추첨제의 프로 탄토 이유(pro tanto reason)를 제공할 뿐이며, 예상되는 경험적 결과가 충분히 부정적일 경우 추첨제 도입의 최종적 이유(conclusive reason)가 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나 추첨제를 능력주의의 폐해에 대한 해법이 아니라, 적절한 능력 기반 선발 원리를 도입한 결과로 본다는 점에서 여타 논변과 주요하게 구분된다.

      • KCI등재

        인권, 평등, 차별: 이론적 조감

        송지우 한국인권학회 2022 인권연구 Vol.5 No.2

        This article presents a conceptual overview of the relation between discrimination and inequality in human rights. Drawing on themes from human rights theory, theories of discrimination, and egalitarian theory, it presents a conceptual mapping on which (i) the non-discrimination principle in the human rights practice is egalitarian in a status egalitarian sense, with implications for the justifiability of particular kinds of material inequality, such that specifying the sense of equality at stake becomes normatively relevant; (ii) wrongful discrimination in human rights is fruitfully understood in reference to a pluralist egalitarian framework; and (iii) material inequalities resulting from wrongful discrimination are related to but distinct from material inequalities resulting from unfairness, in ways that have ramifications for debates about measures such as affirmative action. 이 글은 최근 인권 이론과 정치철학・법철학 논의에 기초하여 인권 규범과 담론 내 차별과 평등의 개념을 조망한다. 이들 개념에 대한 이론적 고찰은 정치철학과 법철학을 포함한 실천철학 영역에서 오랜 기간 누적되었지만, 그 시사점이 인권 정치와 정책에 충분히 반영되어왔는지는 불분명하다. 실천철학 내에서도 평등과 차별에 관한 논의는 국제인권규범의 역할, 내용, 그리고 정당화를 주로 다루는 인권 이론의 논의와 동떨어져 전개되는 경향이 있다. 이 글은 이처럼 각각 전문화된 영역에서 발전해온 논의들의 교차점을 탐색하여 생산적인 논점을 발견하고, 그럼으로써 연구자와 실무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이론적 자원을 축적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평등과 차별 모두 그 유형과 부당함을 다원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현상의 좀 더 섬세한 진단과 대응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 동시에 차별과 불평등, 그리고 공정과 정의와 같은 유관 개념들의 손쉬운 등치는 경계해야 한다는 점, 그리고 그 대신 이들 개념의 다양한 연관성을 식별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논증한다.

      • KCI등재

        개인주의와 국제법규범

        송지우 한국법철학회 2023 법철학연구 Vol.26 No.2

        Various areas of international law—and more broadly the current ‘liberal international order’—are often criticized as being objectionably individualistic in their content and underlying conception of personhood. Against this backdrop, I distinguish among and investigate three distinct kinds of individualism—the explanatory thesis of methodological individualism, the justificatory thesis of justificatory individualism, and substantive individualism, or theses about the constitution of self and relations between individuals and their communities. I argue that appreciating the theoretical independence of these three kinds of individualism can help us better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different critiques of individualism. I am especially interested in establishing independent theoretical space for justificatory individualism, on which, for an international legal norm to be justifiable, it must be justifiable to each individual person who is subject to the norm by appeal to individual reasons, rather than to the reasons of some collective or reasons that aggregate claims across individuals. Justificatory individualism is importantly distinct from both methodological and substantive indi- vidualism. Whereas methodological individualism, by its inner logic, is plausibly understood sometimes to give way to methodological statism at the international level, justificatory individualism does not similarly allow for such flexibility between individualism and statism: international legal norms must remain individualistic in justifiability. Whereas substantive individualism is the direct target of most prominent critiques of individualism in international law, justificatory individualism, in its modest normative building blocks and procedural orientation, is typically not directly susceptible to these critiques. Throughout, I use the example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to illustrate my arguments. 본 논문은 국제법규범, 그리고 나아가 현재의 이른바 ‘자유주의적 국제질서’가 지나치게 개인주의적이라는 비판을 배경으로, 국제법규범에 관한 개인주의를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특성과 서로의 관계를 탐구한다. 구체적으로는 설명 논제인 방법론적 개인주의(methodological individualism), 규범의 정당화에 관한 논제인 정당화 개인주의(justificatory individualism), 그리고 개인의 정체성 구성에 있어 사회적 사실들의 역할 혹은 개인과 공동체 사이 도덕적 관계의 성격에 관한 논제인 실질적 개인주의(substantive individualism)를 구분한다. 본 논문은 세 가지 개인주의의 이론적 상호독립성을 파악하는 것이 해당 비판의 범위와 강도 및 중요성을 이해하는 데 유용하다고 논증한다. 나아가 본 논문은 상대적으로 덜 익숙한 논제인 정당화 개인주의의 독립적인 이론 공간을 확립하고자 한다. 정당화 개인주의에 따르면, 어떤 국제법규범이 정당화가능(justifiable)하려면 그 규범은 규범의 적용을 받는 각 개인에게 해당 개인의 개인적 이유들(individual reasons)에 근거하여 정당화될 수 있어야 한다. 정당화 개인주의는 방법론적 개인주의, 실질적 개인주의의 양자로부터 주요하게 구별된다. 방법론적 개인주의는 특정한 (자유주의적) 인간관이나 규범론을 함축하지 않는 논제이며, 국제법규범이나 국제 현상을 설명함에 있어서 방법론적 개인주의를 활용하지 않는 선택은 통상 규범적 함의를 지니지 않는다. 이와 달리 정당화 개인주의는 국제법규범의 정당화에 관한 논제로, 그로부터의 이탈은 주요한 규범적 함의를 지닌다. 그러나 또한 정당화 개인주의는 특정한 유형의 실질적 개인주의를 함축하지는 않는다. 이 점이 중요한 이유는, 자유주의 국제질서와 국제법에 대한 이른바 ‘개인주의 비판’(individualism critique)이 많은 경우 구체적인 실질적 개인주의 명제를 대상으로 해서이다. 정당화 개인주의는 이들 비판의 직접적인 대상이 되지 않는다. 본 논문은 논의를 아우르는 사례로 국제인권법의 경우를 활용한다. 요컨대 본 논문은 방법론적 개인주의, 실질적 개인주의, 그리고 정당화 개인주의의 구분과 관계 파악을 통해 현재의 국제법 및 국제질서에 제기되는 이른바 ‘개인주의 비판’(individualism critique)의 좀 더 정확한 이해를 도모하고, 정당화 개인주의의 독자적인 공간을 확인하고자 한다.

      • KCI등재

        거리 그래프를 이용한 손가락 검출

        송지우,오정수,Song, Ji-woo,Oh, Jeong-su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0 No.10

        본 논문은 깊이 영상의 손 영역을 위해 거리 그래프를 정의하고 그것을 이용해 손가락을 검출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거리 그래프는 손바닥 중심과 손 윤곽선 사이의 각과 유클리디안 거리로 손 윤곽선을 표현한 그래프이다. 거리 그래프는 손끝들의 위치에서 국부 최댓값을 갖고 있어 손가락 위치를 검출할 수 있고 손가락 개수를 인식할 수 있다. 윤곽선은 항상 360 개의 각으로 나누어지고 그들은 손목 중심을 기준으로 정렬된다. 그래서 제안된 알고리즘은 손의 크기와 방향에 대해 영향을 받지 않으며 손가락을 잘 검출한다. 다소 제한된 인식 실험 조건에서 손가락 개수 인식 실험은 1~3 개의 손가락은 100% 인식율과 4~5 개 손가락은 98% 인식율을 보여주었고, 또한 실패한 경우도 추가 가능한 단순한 조건에 의해 인식이 가능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This paper defines a distance graph for a hand region in a depth image and proposes an algorithm detecting finger using it. The distance graph is a graph expressing the hand contour with angles and Euclidean distances between the center of palm and the hand contour. Since the distance graph has local maximum at fingertips' position, we can detect finger points and recognize the number of them. The hand contours are always divided into 360 angles and the angles are aligned with the center of the wrist as a starting point. And then the proposed algorithm can well detect fingers without influence of the size and orientation of the hand. Under some limited recognition test conditions, the recognition test's results show that the recognition rate is 100% under 1~3 fingers and 98% under 4~5 fingers and that the failure case can also be recognized by simple conditions to be available to ad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