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점령기 일본문학의 "패전" 표상과 검열 -히사오 주란(久生十蘭)의 『무(だいこん)』를 중심으로-

        송인선 ( In Sun Song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3 No.-

        히사오 주란의 『무(だいこん)』는 천황의 종전방송이 있던 8월15일부터 일본의 항복문서조인이 이루어진 9월2일까지 18일간에 걸친 패전 정국의 시기를 다룬 작품이다. 1947년 1월부터 대중잡지에 연재되었으며, 그중 점령군 묘사가 두드러지는 제6회분이 ‘게재 보류’의 검열처분을 받았다. 『무』의 잡지 연재와 단행본 출간은 점령기 일본의 검열정책이 변화하던 시기에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무』의 잡지 연재 판본과 검열 때문에 생기게 된 제6회분의 이본(異本), 그리고 연재 종료 일 년 후에 출판된 단행본판을 비교하여, 그 속에 그려진 ‘패전’과‘점령’을 고찰하였다. 점령군을 그리거나 ‘피점령’의 현실을 환기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점령기에 매우 엄중한 검열처분이 행해진다. 그런데 『무』는 검열에 걸린 제6회 연재분 외에도 점령군의 모습과 패전국민의 심리를 대담하게 표출한 부분들이 적지 않다. 이는 무엇보다도 1947년부터 검열정책이 완화되기 시작한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하지만 본고는 그러한 텍스트 외부의 물리적 조건 외에도 텍스트 내부에서 『무』의 표현들이 살아남을 수 있었던 원인들을 함께 분석하고자 하였다. 『무』는 단편적으로는 미국에 대한 반감을 그대로 노출하면서도 결국 전쟁의 유일한 책임소재로서 일관되게 일본 ‘군부’를 내세우고, ‘해방군’으로서의 미국을 노골적으로 부각시킴으로써 표면적으로는 점령정책에 적극적으로 부응하고 있다. 히사오 주란은 제6회분의 게재 보류이후에 연재 전체분의 내용을 미리 제출해야 했는데, ‘영미파(英美派) 화평주의자’인 외교관아버지와 딸 ‘무(사토코)’의 점령정책 순응은 이 소설의 전체적인 인상을 결정지으며 검열관이 연재 계속 여부를 판단하는 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했으리라 여겨진다. 세부적으로는 반어와 풍자가 함께하고 검열에 대처하는 작가의 전략적 순응으로 읽을 수 있는 여지도 보이지만 결과적으로 풍자는 방향성을 잃고, 소설 전체에서 보다 뚜렷한 메시지로 부각되는 것은 표면에 드러난 ‘점령정책에의 적극 부응’이다. 『무』는 완화된 검열정책의 수혜자로서 ‘프레스코드’나 여타지침들에서 중요하게 체크하고 있는 내용들 중 상당부분을 건드리고 있지만, 결과적으로 검열정책 변동에 따른 작가의 심리적 구속의 이완과 한계를 동시에 보여준 작품으로 남고 말았다. The ‘Daikon (radish)’ by Hisao Juran is a work on the 18 days period from the August 15th, when the Japanese emperor gave the broadcasting on the end of war, till the September 2nd, when the surrender document of Japan was signed. The work was serially published in a popular magazine from January 1947. The 6th episode, which was conspicuous in the description of the occupying army, received the censorship disposition of ‘hold for publication’. The serial publishing of the ‘Daikon’ in the magazine and the publishing of it as a book were done during the period, when the censorship of occupation period Japan was changing. This study contemplated the ‘the defeat in war’ and ‘occupation’ by comparing the serial publication of the ‘Daikon’ in the magazine, the different version of the 6th episode created by the censorship and the ‘Daikon’ as a book, which was published one year after the serial publishing in the magazine finished. There was very serious censorship disposition during the occupation period on the content, which arouse the public opinion on the reality of ‘being occupied’, or the content, which describes the occupying army. Other than the 6th episode of the ‘Daikon’, which received the censorship disposition, there are multiple parts in the other episodes, where the author boldly described the occupying army and the psychology of the people who lost the war. This has very close relation with the fact that the relaxation of the censorship policy began from 1947. However,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reasons why the expressions in the text of the ‘Daikon’ could have survived, in addition to the physical condition outside the text. The ‘Daikon’ exposed the raw hostility against United States in pieces; however, the work is actively and outwardly supporting the occupation policy by consistentlyclaiming that the Japanese military is wholly responsible for the war and obviously highlighting United States as the ‘liberation army’. Hisao Juran was asked to submit the content of all episodes in advance after the 6th episode received the ‘hold for publication’ disposition. It is believed that the support on the occupation policy by the father, a U.K./United States supporting pacifist and a diplomat, and the daughter ‘Satoko’ worked as an important element in the judgment of the censor on whether this novel would be allowed for continued publication. The work ‘Daikon’ has irony and satire here and there; while there is a room, which can be read as a strategic support by the author in coping with the censorship. However, the satire in the ‘Daikon’ consequently splits toward the direction of chaos while the highlighted clear message in the whole novel is ‘active support on the occupation policy’. The work ‘Daikon’, as the beneficiary of the relaxed censorship policy, is touching substantial parts which were the main checkpoints in the press code or the censorship key log; however, it ended up as a work, which showed the psychological binding of the author caused by the change in the censorship policy and the limitation of the relaxation.

      • KCI등재후보

        Wnt 억제물질에 의한 지방줄기세포의 연골분화 촉진

        송인선 ( In Sun Song ),임군일 ( Gun Il Im ) 한국조직공학과 재생의학회 2010 조직공학과 재생의학 Vol.7 No.5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nt inhibitors on chondrogenesis from adipose stem cells (ASCs). Two Wnt antagonists, secreted frizzled-related protein (sFRP)-1 and Dickkopf-related protein (DKK)-1, were treated on passage 3 ASCs in pellet culture. Cell viability was measured at various concentrations (2, 10, 50nM) of each inhibitor by MTT assay, and the inhibition of β-catenin was examined by western blot analysis. Chondrogenic differentiation was analyzed by glycosaminoglycan (GAG) assay and Safranin-O staining, and the gene and protein expression of chondrogenic markers by quantitative RT-PCR and Western blot analysis. The cell viability of ASCs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in the concentration of Wnt inhibitors we used. The expression of β-catenin decreased with the treatment of either inhibitor.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of proteoglycan, and the type II collagen gene and protein expression in ASCs treated with either sFRP-1 or DKK-1. The gene expression of type I collagen decreases while that of type X collagen increased with the treatment of either sFRP-1 or DKK-1. The overall results suggest that the Wnt inhibitiors enhanced chondrogenesis from ASCs.

      • KCI등재

        전쟁책임과 점령기 일본문학 -다케다 다이준의 「심판」이 말하지 않은 것-

        송인선 ( In Sun Song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9 No.-

        다케다 다이준(武田泰淳)의 『심판(審判)」(1947)은 일본의 전범재판이 진행중이던 시기에 집필되었다. 이 소설은 ‘지로(二郞)’라는 일본병사가 중국에서 저지른 전쟁범죄와 그에 따른 죄의자각, 책임의 문제를 다루고 있으며, 일본문단에서는 가해자 일본군의 자화상과 전쟁책임의 문제를 비교적 이른 시기에 착실하게 추구한 작품으로 평가받아 왔다. 하지만 본 논문은 『심판」 이 그 시기 보기 드물 정도의 깊은 성찰을 보인 작품이었다는 점에 동의하면서도, 현재의 시각으로 보았을 때 ‘지로’의 치열한 내적 탐구의 계기와, 죄책의 자각이라는 주제의식에 이르는 과정에, 실은 매우 핵심적인 사항들이 결락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따라서 이 소설을 사법적 차원만이 아니라 도덕적 차원의 전쟁책임 논의에 비추어, 작품의 공백과 ‘지로’의 한계라는 관점에서 재독하였다. 소설 속에서도 ‘지로’의 심판은 사법적인 제재로 귀결되는 것이 아니라 도덕적인 차원의 자기처벌을 수용하는 것으로 그려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로’가 저지른 두 번의 민간인 사살은 단지 피해자와 가해자 사이의 국적의 차이가 총격의 유일한 동기라고 할 만큼 무의미한 살인이었다. 특히 첫 번째 사살은 국가의 명령계통에 따라 행해진 것이었기에 일본이 일으킨 침략전쟁과 전쟁범죄에 대해 ‘비(非)일본인’이 추궁해야 할 전쟁책임의 문제를 보다 근본적으로 내포하고 있다. 국민으로서 성실하게 징병의 의무에 응한 ‘지로’가 그 성실의 결과 양민 살상이라는 범죄를 저지르게 되는 이 소설은, ‘지로’의 배후에놓인 국가적 책임의 계통구조를 상기시키고, 동시에 엄연히 그 구조의 일부로 작용하는 말단병사의 정치적.도덕적 책임의 엄중함도 함께 일깨울 수 있는 플롯을 갖추고 있다. 하지만 『심판」은 명령계통을 거슬러 올라가 책임의 근원지를 드러내거나 암시하지 않았고, 지로 자신의 가해 의식도 별반 드러내지 않았다. ‘지로’의 희박한 가해자의식은 ‘전시하’라는 예외적 상황 속에서 자신의 배후에 놓인 국가의 명령계통에 책임의 상당 부분을 전가하고 있기 때문일 텐데, 현실의 도쿄재판에서 ‘천황’이 빠졌듯이, 소설 속에서도 최고책임자와 말단의 연결고리는 공백으로 남아있다. 또한 『심판」은 전쟁책임을 다루면서도 고통에 찬 ‘타자’의 호소와 항의의 목소리를 결락하고 있다. 지로는 자신의 전쟁범죄와 그 범죄를 약혼녀에게 고백한 행동까지도 본인의 의지와 결단에 의한 것이었다고 얘기함으로써 스스로를 ‘책임질 주체’, ‘사죄할 주체’로서 정립하고 있 다. 그러나 많은 이들이 강조하듯 ‘책임(Responsibility)’을 ‘타자에 대한 응답(Response) 가능성’이라고 보거나, 레비나스(Emmanuel Levinas)처럼 ‘주체’를 ‘타자’에 대한 윤리적 책임을 통해서 비로소 성립하는 개념으로 본다면, 지로가 전쟁책임을 받아들이는 경로에는 ‘타자(=피해당사자)에 대한 윤리적 책임성’으로서 존재하는 ‘주체’의 모습은 희박하다. 전쟁의 최고책임자, ‘타자’, 가해의식 등 『심판」이 말하지 않은 것들은 패전 이후 지금까지 현실 속에서 전개되어 온 일본의 전쟁책임 논의에서도 거의 침묵으로 일관되거나 가려진 부분과 겹치는데, 그런 점에서 『심판」은 오히려 말하지 않은 ‘공백’들을 통해서, 패전 70주년에도 여전히 현재진행형인 동아시아에서의 전쟁책임 문제를 진지하게 들여다보게 하는 소설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Simpan’ by Takeda Taijun (1947) deals with the issues of war crime committed in China by a Japanese soldier Jiro, according realization of crime and responsibility and it has been considered as a piece of literary work that pursued the issue of self-portrait of perpetrator Japanese solider and responsibility of war at a relatively early period. Although this paper shares the opinion that ‘Trials’ was a piece of literary work that showed moral introspection rare during the period, this paper focused on the fact that it lacked very core matters from today’s perspective during the process of arriving at the cause of Jiro``s intensive internal exploration and thematic consciousness of realization of responsibility for a crime. Accordingly, it interpreted this novel once again from a perspective of gap of the literarywork and Jiro``s limitation in light of the discussion on responsibility of war not only from judicial level but also from moral level. Jiro’s act of killing civilians by shooting twice was a meaningless act of murder and the only motive for shooting was the difference of nationality between the victim and perpetrator. The first killing more fundamentally contains the issue of responsibility of war that should be interrogated by ‘non-Japanese’ for the war of invasion and war crimes committed by Japan since the killing was committed according to the chain of command of the state. This novel in which Jiro that faithfully responded to the draft obligation as a citizen ends up committing a crime of civilian killing as a result of such faithfulness has a plot that reminds of the chain structure of national responsibility that lies behind Jiro, as well as enlightening the severity of the political & moral responsibility of a low-ranking solider that acts as a part of such structure. However, ‘Trials’ neither reveal or imply the root of responsibility by tracing back to chain of command nor particularly reveal the consciousness of perpetrator of Jiro. It``s because Jiro``s insufficient consciousness of perpetrator is shifting a significant part of his responsibility to the national chain of command that lies behind him in an exceptional situation of wartime. Accordingly, connecting link between the chief and lowest persons of responsibility remains in vacuum in the novel just as the Japanese emperor was not included in Tokyo Trials. In addition, Trials omits the painful appeal of ‘the other’ and voice of protest even while dealing with responsibility of war. Jiro who says that his war crime and act of confessing his crime to his fiancee also resulted from his will and determination appears as establishing himself as ‘subject to take responsibility’ and ‘subject to apologize’. If ‘responsibility’ is seen as ‘the possibility of response to the other’ as emphasized by many people or subject is seen as a concept that is established only upon moral responsibility on the other as Emmanuel Levinas, the appearance of ‘subject’ that exists as ‘responsibility for the other’ is lacking in the way Jiro accepts his responsibility of war. The untold things by Trials such as the chief person responsible for war, the other and consciousness of wrongdoing are consistently silenced or overlap with concealed areas in the discussions on Japan’s responsibility of war that have unfolded since the defeat. In that sense, Trials is a novel that makes readers seriously look into the issue of Japan’s responsibility of war in East Asia not only immediately following the defeat but also currently through the untold ‘vacuums’.

      • KCI등재

        해방/패전 체험과 미(美,米)점령기의 "영어" 이야기-염상섭과 고지마 노부오의 소설을 중심으로

        송인선 ( Song In Sun ) 한국비교문학회 2014 比較文學 Vol.0 No.64

        아시아·태평양전쟁 이후, 각각 해방과 패전을 맞이해 연합군에 의한 점령통치에 들어간 한국과 일본에서는 ‘영어’가 새로운 공용어로 쓰이게 되었다. 이 시기를 배경으로 한국과 일본의 문학작품에서도 낯선 언어인 ‘영어’에 얽힌 다양한 에피소드를 통해 일상에서의 영어의 위상과 미국의 영향력을 그린 작품들이 등장한다. 한국작가 염상섭의 「양과자갑」(1948)이나 『효풍』(1948), 일본작가 고지마 노부오(小島信夫)의 「아메리칸 스쿨(アメリカン·スク一ル)」(1954)은 모두 해방/패전 직후의 영어를 주요 소재로 삼고 있고, 영어 선생님이나 영문학 강사 등 영어와 밀접하게 관련된 인물을 등장시켜 새로운 권력언어로 부상한 영어에 대한 지식인들의 미묘한 태도와 복잡한 심경을 그리고 있다. 이 논문은 전후의 일본과 한국에서 영어를 둘러싸고 벌어졌던 사회풍속도를 비교하고 그것이 양국의 문학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 고찰하고자 하였다. 특히 양국의 작품에는 영어 선생님임에도 불구하고 회화나 통역 등 특정한 경우에 한해 영어 사용을 완강히 거부하는 인물들이 공통적으로 등장하고 있으며, 그들의 영어거부의 내면에는 제국 혹은 식민지라는 양국의 서로 다른 과거의 체험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아메리칸 스쿨」의 경우, ‘일본어는 일본인의 혈액’이라는 국어관을 신봉하는 인물이 등장하고 있는데, 언어와 정신의 직접적 관련성을 주장하는 이러한 국어관은, 일찍이 일본이 동화정책의 일환으로 식민지에서 행했던 <국어교육=일본어교육>의 논리이기도 했다. 과거의 일본이 식민지에 적용시켰던 동화정책의 논리가 이번에는 영어와 미국에 대한 불안감으로서 ‘피점령 일본’에 부메랑처럼 되돌아와 있는 것이다. After Japan lost the Asia-Pacific War and Korea met liberation from Japanese annexation, both Korea and Japan began to receive the governance by occupying allied forces. Accordingly, ‘English’ became a new official language in Korea and Japan. The literary works of Korea and Japan during this period described the position of English in daily living and the influence of United States at the time by way of various episodes related to English, an unfamiliar language. In the [Yangkwazagap(Western-style confectionery box)] (1948) and [Hyopoong(Wind at dawn)] (1948) by Korean novelist Yeom Sang-seop as well as the [American School, アメリカン·スク一ル] (1954) by Japanese novelist Kojima Nobuo (小島信夫) took the English immediately after the liberation/defeat-in-war as the major material of the novels and described the subtle attitude and complex feeling of intellectuals on English, which became a new language of power, by presenting the characters closely related to English such as an English teacher or a lecturer on English literature. This study compares the cultural landscape in society with English in the center in Korea and Japan after the Asia-Pacific War and contemplated how English was reflected in the literatures of Korea and Japan at the time. Characters that stubbornly refuse to use English on certain specific occasion, even they are English teachers, appear in the novels of Korea and Japan at this time in common. And the different past experiences of Korea and Japan having been an empire or a colony are influencing the refusal of English use on certain specific occasion in these novels. In the Japanese novel [American School], a character has strong belief in the view on national language, which sees that ‘Japanese language is the blood of Japanese people’. This view on national language, which asserts that language and spirit are directly related, was a part of the earlier assimilation policy of imperial Japan and the logic of “national language education = Japanese language education“, which Japan enforced in its colony, Korea. The logic of assimilation policy, which the imperial Japan enforced on its colony, came back to ‘occupied Japan’ like a boomerang as an anxiety on English and United States.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미군정하 검열과 천황제의 존속 -다나카 히데미쓰의 소설분석을 중심으로-

        송인선 ( In Sun Song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3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5 No.-

        본 논문에서는 제2차 세계대전에서의 패전 이후, 전쟁의 통수권자였던 일본의 천황과 그 지배체제를 둘러싼 논의가 연합군 점령 하의 일본문학과 문화 표상의 공간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점령정부는 그러한 표현물들에 대해 어떠한 반응과 태도를 취하였는지를 당시의 검열 양태를 통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전시체제의 억압에서 벗어난 점령기에는 다양한 의견과 이야기들이 소설과 영화, 에세이를 통해 표출되기 시작했다. 그중에서도 천황 및 천황제 유지를 둘러싼 논의는 패전 이후에도 전전(戰前)의 권위를 연장하고자 하는 일본 구(舊)지배체제의 의지(意志)가 일반 국민들과는 어떻게 공명ㆍ길항하고 있었는지 가늠해볼 수 있는 거울이 된다. 또한, 그에 대한 점령정부의 대응은, ``점령``을 통해 피점령국을 효율적으로 통치하고 점령주체의 의도에 부합하는 전후일본으로 재건시키고자 했던 새로운 지배 권력의 정치적 욕망을 엿볼 수 있는 틈새가 되기도 한다. 본 논문에서는 다나카 히데미쓰의 미완성 소설을 통해, 패전 이후에도 일상생활의 레벨에서 변함없이 작용하는 연장된 전전체제와 천황에 대한 민심의 소재를 더듬어 보았다. 나카노 시게하루는 ``무법한 권위에 대한 관성적이고 타성화한 의존 심리``를 ``일본인의 일본인다움``으로 요약한 바 있는데, 다나카 히데미쓰 역시 천황제에 관해 나카노와 관점을 공유하며 이를 자신의 소설 속에서 "일본적" 습성과 일상의 모습으로 풍자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상징``이라는 단어의 첨가로 전전과 전후를 절합(節合)하는 일본의 천황제가 일본의 내부적 논리에 의해서만 유지되었던 것이 아니라 미국이라는 점령주체와의 첨예한 줄다리기와 긴밀한 교섭 끝에 얻어진 결과물이라는 사실은 검열의 양태를 통해서도 드러나고 있었다. 본 논문은 천황(제)를 둘러싼 구체적인 검열 사례와 검열 기준을 통해, 검열 그 자체가 ``미완의 탈(脫)제국``에 머문 전후일본 만들기에 공조했을 뿐 아니라, 천황(제)야말로 모호하고 이중적인 점령정부의 검열 태도를 단적으로 드러낸다는 사실을 분명히 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Japanese emperor, who was the supreme commander of war, and the discussion on the governing system of Japan after Japan`s defeat in World War Ⅱ through the expressions in Japanese literature and cultural contents under the occupying Allied Forces.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response and attitude of Allied Forces occupying government on such expressions by way of the censorship pattern and attitude at the time. During the occupation period, when Japan got out of the oppression during war footing, various opinions and stories began to be expressed in novels, essays and films. Among such expressions, the discussion on the continuation of emperor and emperor system is a good indicator in learning how the willpower of old Japanese governing system to extend the pre-war authority was sympathized with or contended by general Japanese people. In addition, the responses of occupying government on such discussion gives the insight on the political desire of new governing power at the time, who wanted to efficiently govern the occupied country and rebuild post-war Japan in accordance with the intention of occupying entity. This study searched people`s view on emperor and pre-war system, which continued on everyday living level without change after defeat, by way of incomplete novel of Tanaka Hidemitsu. Nakano Sigeharu said that `the dependence psychology on lawless authority, which became a habitual routine` can be summarized as the ``Japanese-like of Japanese`` and the novel of Tanaka Hidemitsu is a good expression of this viewpoint. However, it is a well-known fact that the Japanese emperor system, which articulated pre-war and post-war by adding the word ‘symbolic``, was not kept by Japanese internal logic but it was the result of acute tug-of-war and close negotiation between Japan and the occupying entity, which was the United States. This study explicitly clarified that the censorship cooperated in making post-war Japan, which was an ``incomplete post-empire``, by its censorship standard and detail censorship cases on the emperor(system) and the emperor(system) clearly tells the ambiguous and equivocal censorship attitude of occupying government at the time.

      • KCI등재

        일본 대중소설의 전후점령기 표상 - 시시 분로쿠가 그리는 패전 정서와 피점령 심리를 중심으로

        송인선(Song, In-sun)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21 아시아문화연구 Vol.56 No.-

        본 논문에서는 시시 분로쿠의 『왁자지껄』을 중심으로, 점령기 대중소설들에 드러나는 일본인들의 패전 정서와 피점령 심리를 고찰하였다. 『왁자지껄』은 구체적인 점령기 풍속과 민주주의의 핵심어들이 유머와 함께 빈출하고, ‘시코쿠(四國) 독립’이라는 과감한 발상이 전개된 소설이다. 본고는 시시 분로쿠의 소설들이, 제국에서 패전국으로의 변화된 위상 속에서 국가에 대한 달라진 감정을 그리고 있다고 보고, 그러한 표상 속에 담긴 패전 의식과 피점령 심리를, 당시의 일본 사회상과 세론을 참고하며 분석한 것이다. 원심적인 국가 정책 대신 구심점으로서의 향리를 주창하는 『왁자지껄』 속의 평화운동은, 패전을 계기로 한 제국주의 비판의 세론과 염전감정을 반영한다. 그러나 소설 속 제국주의 비판은 일본의 내적 성찰의 체재를 취하면서도, 함의적으로는 종종 원조제국들인 서구 열강의 과거를 향하고 있다. 또한 ‘시코쿠 독립’의 제안은 상상된 공동체로서의 ‘국가’ 에 대한 내발적 각성이라기보다, 내셔널리즘의 가치가 폭락하던 패전 직후의 분위기에 동반된, 국가로부터의 도피심리의 연장선에 있다. 열도의 광범위한 공습과 원폭의 환기, 혼미와 공포가 강조된 전후사회 조형 역시, 시시 분로쿠의 점령기 소설이 도피의식 뿐 아니라 잠재된 피해자 의식을 표상하고, 그 너머에 존재하는 ‘과거’의 적대국이자 ‘현재’의 점령주체를 향한 패전 감정과 피점령 심리의 표출이기도 하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따라서 소설 속의 일본민속과 비서구적 가치에 대한 애착감정은 자타에 의해 억압된 내셔널아이덴티티 복구에 대한 원망(願望)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패전 일본이 과거를 대신할 새로운 국가정체성의 기반으로 ‘평화’나 ‘문화’를 선택했듯이, 시시 분로쿠 소설 역시 ‘평화’를 전면화한 채, 내셔널한 가치의 복구로 수렴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This paper considered emotion of defeat and occupied psychology of Japanese people described in Shishi Bunroku’s novels during the occupation period focusing on the 『Tenya Wanya』. The peace movement in the novel reflects critical public opinion on the imperialism and anti-war sentiment taking the defeat as an opportunity. The criticism of imperialism in the novel appears to be introspection of Japan itself, but implicitly, it sometimes heads toward the past of the Western powers, the original empires. And proposal for the ‘independence of Shikoku’ is considered psychology of escape from the defeated Japan rather than voluntary awakening of the ‘state’ as an imagined community. Through the potential victim mentality in the formation of postwar society that repeats mention of air-raid and atomic bomb and emphasizes confusion, it is also found that Shishi Bunroku’s novels during the occupation period are the expression of complex emotions toward hostile country of the ‘past’ and occupied psychology toward occupier of the ‘present’. Accordingly, attachment to Japanese folklore and non-western values described in the novel is considered a wish for restoration of national identity suppressed by itself and others.

      • KCI등재

        특집논문 : 반역하는 “단카이(團塊)” -전공두(全共鬪)와 일본의 대중사회-

        송인선 ( In Sun Song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3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0

        ``전공투”는 전후일본의 베이비붐 세대에 해당하는 ``단카이 세대``가 그들의 청춘시절에 경험했던, 기성세대와 기성사회를 향한 격렬한 반역이었다. 따라서 전공투는 그 배경이 되고 있는 전후일본의 고도성장과 대중사회화의 진전이라는 시·공간을 파악했기에 매우 유효한 단서가 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1960년대 후반에 일어났던 일본의 학생운동 ``전공투``를, 일본의 대중사회 상황과 관련지어 살펴보았다. 전공투운동은 대학생의 수가 대거 늘어나는 대학대중화의 현실 속에서 발생했다. 대학들은 규모의 팽대화에 상응하지 못한 채 여러 가지 문제들을 드러내게 되었고, 전공투의 표면적인 발단은 학내문제였다. 하지만 ``매스(mass)로서의 지식인``이라는 이 모호한 주체들의 반역은 학내문제에만 머물지 않고 베트남 반전운동이나 신좌익운동으로 확산되었다. 그것은 전공투의 전사(前史)로서 존재하는 1960년의 미일 안전보장 반대투쟁 당시의 신좌익 학생 당파들이, 변천을 거친 끝에 ``전공투``에도 참여하고 있다는 사실에서 이미 예견된 것이었다. 하지만 초기 전공투는 당파(sect)에 속한 학생들보다 무당파(non-sect) 학생들이 주도하던 운동이었고 바로 그 점이 이전의 학생운동과는 다른, ``전공투``의 새로운 성격이기도 했다. ``전공투``는 일본 사회에서 지식인과 대중에 대한 논의를 야기했다. 스스로를 엘리트가 아닌 대중으로 규정하는 그들은, 대중에 대한 계몽이라는 지식인의 고전적 역할과 입지에 의문을 제기했다. ``전공투``는 이른바 ``TV공동체``의 균질한 문화 감수성으로 대변되는 대중사회에서 자란 전후 세대에게 ``자기표현``과 ``자기확인``의 통로가 되기도 했다. 그들은 다양한 비주류 문화를 구가하며 바리케이드 안에서 엄숙주의를 벗은 채, 솔직한 감성의 해방을 추구한 세대였다. 부모 세대와는 다른 분방한 표현과 욕망의 긍정은 ``전공투``가 지닌 일종의 유희성으로 지적되며, 때로는 비판적으로 때로는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진다. 하지만 전공투는 후반으로 갈수록 폭력을 동반하며 과격해지고, 기존의 ``논섹트`` 중 일부는 당파로 흡수되어 집단에 대한 일체화를 극단화해갔다. 운영방식도 민주적인 방법에서 벗어나 섹트의 헤게모니 다툼의 장으로 변질되면서, 끝내 대중과는 유리된 운동으로 소멸하고 말았다. 투쟁이 끝난 후 대부분 ``기업전사``가 된 단카이 세대의 반역은, ``주체``와 ``부화뇌동``사이의 다양한 스펙트럼 위에 있었다. 전공투는 결과적으로 일과성의 실패한 운동이 되었지만 복수의 자아들이 다각적인 모색을 통해 새로운 가능성과 소통의 토대를 가늠해보는 시험대가 되었고, 40여년 전에 그들이 제기했던 문제들은 풍화와 변모를 거치면서도 여전히 현재의 숙제로 남아있다. 40년이 지난 시점에도 다시금 전공투가 일본 사회에서 되물어지고 있는 이유는 바로 그 지점일 것이다. ``Zenkyoto`` is a fierce rebellion against the older generation and the existiong society which was experienced by ``Dankai`` generation in their youth, who correspond to the baby boom generation in postwar Japan. Therefore, Zenkyoto can be a very effective clue to understanding space and time, high growth in postwar Japan and a progress for mass society, which is its background. This paper examined a Japanese student movement, Zenkyoto which took place in the late 1960s associating it with Japanese mass society. Zenkyoto movement occurred in the reality of universities becoming popular where the number of college students increased in a massive way. Universities were faced with many problems without corresponding to the expansion of the scale, and a superficial beginning of Zenkyoto was involved with problems with school. However, the rebellion of these ambiguous subject of ``intellectuals as mass`` was expanded to anti-Vietnam War or New-Left Movement without being limited to problems within the school. This was already predicted in a fact that new left students sects at the time of a struggle against Japan-USA Security Treaty in 1960, which is as a prehistory of Zenkyoto were also participated in ``Zenkyoto`` as a result of undergoing change. But Zenkyoto at the early stage was a movement led by non-sect students rather than those belonging to sect and the very aspect of this was its new characteristic which is differentiated from previous student movements. ``Zenkyoto`` led to a discussion on intellectuals and the public in Japanese society. They defined themselves not as elites but as the general public and raised a question on intellectuals` classical role of enlightenment of the public and their position. ``Zenkyoto`` was also a route of ``self-expression`` and ``self-confirmation`` for the postwar generation grown up in mass society, which is represented as homogeneous cultural sensitivity of so-called ``tv community``. They were generation pursuing liberation of honest sensitivity breaking from rigorism in barricades while enjoying a variety of non-mainstream cultures. Freewheeling expressions and affirmation of desire differentiated from their parents` generation is pointed out as a sort of enjoyment ``Zenkyoto`` has, and they are accepted critically sometimes or positively sometimes. However. Zenkyoto went to extremes being accompanied by violence with the lapse of time, and some of the existing ``non-sect`` was absorbed into sect and unification into the group ran to extremes. As their operation methods deviated from democratic ones and it was transformed into a field of fight for hegemony of sect, finally it became extinct as a movement isolated from the public. After their struggle ended, the rebellion by Dankai generation most of whom ``corporate warriors`` was on various spectra between ``subjects`` and ``blind following.`` Eventually, Zenkyoto in itself became a movement limited to a transient one. However, features of their being and their questions towards the world were headed for high growth and mass society where they were raised and positioned, which have become a reason why Zenkyoto is significant in modern society as well.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