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신경초종 진단에 있어 자기공명영상촬영(MRI)의 진단적 가치

        김정일,김엄지,문태용,이인숙,송유선,최경운,Kim, Jeung Il,Kim, Um Ji,Moon, Tae Yong,Lee, In Sook,Song, You Seon,Choi, Kyung U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4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20 No.2

        목적: 연부조직 종양 중 지방종과 신경초종(Schwannoma)은 자기공명영상촬영(MRI)만으로 충분한 진단적 가치를 가지는 종양이다. 하지만 신경초종의 경우 종양의 특성상 MRI에서 다양한 형태의 영상으로 나타날 수 있고, 신경주변에 생긴 다른 종양이 MRI상 신경초종으로 오인되는 경우도 드물지 않게 있다. 따라서 MRI상 신경초종으로 의심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MRI에서 신경초종을 감별할 수 있는 인자들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월부터 2013년 5월까지 술 전 자기공명영상촬영(MRI)상 신경초종(schwannoma)이 의심된 환자 104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모든 환자에서 수술적 치료를 통한 조직검사를 시행하여 최종 진단 하였다. 조직 검사 결과 신경초종이 나온 경우를 1군으로 하고, 다른 병변이 나온 경우를 2군으로 나누어서 MRI 상 신경초종을 의심할 수 있는 영상의학적 소견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104예의 조직검사 결과 신경초종으로 진단된 경우는 92예이며, 신경초종 외에 다른 병변으로 진단된 경우는 12예였다. MRI 특이 소견중 target sign은 1군에서는 41예(45%), 2군에서는 없었으며, fascicular sign은 1군에서는 47예(51%), 2군에서는 2예(17%), fat split sign은 1군에서는 44예(48%), 2군에서는 5예(42%), nerve entering and exiting sign은 1군에서는 28예(30%), 2군에서는 1예(9%)가 나타났다. 위 네가지 소견 모두 나타나지 않은 경우는 1군에서 8예(9%), 2군에서 6예(50%) 였다. 종양이 신경 주행 경로에 있는 경우는 1군에서 52예(57%), 2군에서 5예(42%)였다. Chi-squared test를 이용한 통계학적 분석에서, 위의 네가지 소견 중 target sign이 신경초종의 진단과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p<0.05). 결론: 신경초종 진단에 MRI가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지만, 신경초종이 지닌 여러가지 특성으로 인해 MRI상 신경초종으로 의심된 경우라고 하더라도 최종적으로는 다른 종양으로 확진 된 경우가 드물지 않게 있다. 그러므로 MRI상 과녁징후가 보이지 않는 신경초종의 경우에는 다른 종양의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접근을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Purpose: To diagnose soft tissue tumor, such as lipoma and Schwannoma,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is sufficient in most cases. However, various characteristics are found in MRI images of Schwannoma, thus other type of tumors are often misdiagnosed as Schwannoma with MRI images. In this study, we evaluate the diagnostic value of specific MRI findings of Schwannoma.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2 to May 2013, 104 patients who are suspected as Schwannoma rith MRI images are included in data, and the final diagnosis is confirmed with biopsy. Patients are divided into group 1 and group 2 who are confirmed as Schwannoma and other disease with biopsy, respectively. Results: 92 patients were diagnosed as Schwannoma (group 1) and 12 patients were diagnosed as other disease (group 2). We investigate the diagnostic value of specific MRI findings of Schwannoma. 41 patients of group 1 (45%) and 0 patients of group 2 (0%) showed target sign, 47 patients of group 1 (51%) and 2 patients of group 2 (17%) showed fascicular sign, 44 patients of group 1 (48%) and 5 patients of group 2 (42%) showed fat split sign, 28 patients of group 1 (30%) and 1 patients of group 2(9%) showed nerve entering and exiting sign, and 8 patients of group 1 (9%) and 6 patients of group 2 (50%) showed none of four specific findings on their MRI images. 52 patients of group 1 (57%) and 5 patients of group 2 (42%) have tumors on the pathway of nerve. Target sign could be considered as the best diagnostic value of the sign we investigate (p<0.05). Conclusion: Although specific MRI findings have powerful diagnostic value, patients are often misdiagnosed as Schwannoma with MRI findings. Therefore, if patients who are suspected as Schwannoma based on MRI findings have no target sign on their MRI images, we should consider the possibility of other disease.

      • KCI등재

        사지에 발생하는 지방육종의 예후 인자에 대한 분석

        박기영(Kee Young Park),김정일(Jeung Il Kim),이인숙(In Sook Lee),송유선(You Seon Song),최경운(Kyung Un Choi) 대한정형외과학회 202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5 No.4

        목적: 지방육종의 치험 예들을 분석하여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 인자를 밝히고, 향후 효과적인 치료의 접근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2년부터 2015년까지 지방육종으로 진단, 치료받은 환자 총 45예 중 고분화 지방육종 4예를 제외한 41예를 분석하였다. 성별, 나이, 발생 부위, 병기, 조직학적 분류, 방사선 치료, 항암 화학 치료 등이 무병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점액성 지방육종으로 진단된 28예에 대해서는 원형세포 성분 포함 여부에 따른 분석을 추가로 진행하였다. 결과: 진단 시 평균 연령은 52.05세(25–82세), 평균 추시 기간은 63.7개월이었으며, 평균적인 무병 생존율은 41.7%였다. 점액성지방육종의 경우 무병 생존율은 43.2%였다. 분석 결과 나이, 발생 부위 조직학적 분류 등은 무병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병기(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stage)와 성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을 나타내었다. 점액성 지방육종에 대해서는 원형세포 성분에 따른 결과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지방육종의 병기와 환자의 성별이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유효한 인자로 나타났다. 지방육종은 여러 예후 인자들에 의해 치료 결과에 차이를 보이므로, 치료에 있어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야 한다. Purpose: The aim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define the prognostic factors for liposarcoma to aid in the selection of effective treatment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analyzed 41 cases out of 45 cases diagnosed with and treated for liposarcoma 2002 to 2015; 4 cases of well-differentiated liposarcoma were excluded. The effects of sex, age, site, stage, and histological classification on survival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For 28 cases diagnosed with myxoid liposarcoma, additional analysis was performed after the inclusion of round cell components. Results: The mean age at diagnosis was 52.05 years (range 25–82 years) and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63.7 months. The diseasefree survival rate was 43.2%. Most factors, including sex and age,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survival rate. On the other hand, the stage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stag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survival rate. The survival rate of patients with myxoid liposarcoma was 69% and the local recurrence and metastasis results vari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round cells. Conclusion: The stage of liposarcoma and the sex of the patient were found to be effective factors for prognosis. When planning the treatment for liposarcoma, the treatment outcome for liposarcoma differs according to several prognostic factors.

      • KCI등재

        수족부의 단관골에 발생한 내연골종의 치료

        김정일(Jeung Il Kim),최경운(Kyung Un Choi),이인숙(In Sook Lee),송유선(You Seon Song),정재윤(Jae Yoon Jeo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2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5 No.2

        목적: 수족부에 발생하는 내연골종에 대한 비수술적, 수술적 치료의 결과 차이를 분석하여 향후 내연골종의 효과적인 치료 방법에 대해 알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부터 2017년까지 내연골종으로 진단받고 치료받은 환자들 중 그 발생부위가 수족부의 지골, 중수골, 중족골의 단일 병변에 해당하는 총 102예 중 6개월 이상 추시한 74예에 대해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수부에 발생한 내연골종의 기능적인 결과에 대해서는 Wilhelm과 Feldmeier가 제시한 미용상의 문제, 관절 운동성, 파악력, 영상학적 소견 등을 분석하여 우수(excellent), 양호(good), 충분(satisfactory), 불량(poor) 4군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74예 중 30예는 비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44예에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관절운동 제한 및 통증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 74예 중 18명의 환자에서 병적 골절이 동반되어 있었으며 이 중 9명은 비수술적 치료, 9명은 수술적 치료를 시행받았다. 단순 방사선 추시상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18예에서 모두 골유합 소견이 확인되었으며 관절운동 범위와 통증, 외형, 근력 등의 기능적인 측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수족부에서 발생하는 내연골종에 있어서 수술적, 비수술적 치료 모두에서 비교적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기능적인 측면에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수술적 치료로 인한 부작용 및 여러 가지 단점들을 고려하였을 때 비수술적 치료 역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치료법이라고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n appropriate treatment method by comparing nonsurgical treatment and surgical treatment for enchondroma in the hands and feet. Materials and Methods: Seventy four cases with enchondroma of the hands and feet from January 1996 to March 2017 were selected to evaluate the functional outcomes. Thirty cases were treated with nonsurgical treatment, and 44 cases were treated with surgical treatment, such as curettage only or curettage with a bone graft.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18.1 months. The functional results were analyzed using the Wilhelm and Feldmeier formula. Results: The mean age was 38 years, and the age range was between eight and 69 years. According to the Wilhelm and Feldmeier formula, the mean score of hand enchondroma was 3.09±0.85 and 3.20±0.91 in the non-operative and operative group, respectively. The mean scores of the foot except for the grip strength were 2.57±0.79 and 2.75±0.50, respectively.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according to the functional results. Among the 18 cases of enchondroma with pathological fractures, nine cases were treated non-surgically and nine cases were treated by surgically. In all 18 cases, complete bone healing was observed at the final follow-up. Conclusion: Relatively satisfactory results were obtained in both surgical and nonsurgical treatment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unctional outcomes. In cases of enchondroma in the hands and feet, nonsurgical treatment can also be a good treatment option.

      • KCI등재
      • KCI등재

        초음파 유도하 침 생검을 이용한 연부조직 종양의 진단에 있어 양전자방출 컴퓨터 단층촬영술의 유용성

        전세빈(Se Bin Jun),김정일(Jeung Il Kim),이인숙(In Sook Lee),송유선(You Seon Song),최경운(Kyung Un Choi) 대한정형외과학회 202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6 No.5

        목적: 연부조직 종양의 진단을 위해서는 생검이 필요하지만, 육종 등 이질성을 가진 종양들의 특징상 정확한 부위의 채취가 어려워 수술적 개방 생검으로도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초음파 유도하 침생검이 진단율을 올릴 수 있는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자기공명 관류영상(magnetic resonance perfusion)에서 발견된 연부조직 종양을 진단하는 데 있어 초음파 유도하 침 생검의 정확도를 평가하고, 양전자방출 컴퓨터 단층촬영술(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PET–CT)의 유용성에 대해 알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4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자기공명 관류영상에서 발견된 연부조직의 종양에 대해 초음파 유도하 침 생검을 시행한 총 152예의 환자들 중 최종 진단을 얻어 초음파 유도하 침 생검의 결과와 비교할 수 있었던 86예에 대해 그 정확도를 후향적으로 평가하였다. 총 86예의 환자를 자기공명 관류영상만을 시행한 50예와 자기공명 관류영상과 PET–CT를 함께 시행한 36예로 나누어 그 정확도를 비교, 분석하여 PET–CT가 초음파 유도하 침 생검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지 알고자 하였다. 결과: 총 86예의 환자들 중 자기공명 관류영상만을 시행한 50예 중에서는 34예에서 최종 진단과 초음파 유도하 침 생검의 결과가 일치하였으며, 자기공명 관류영상과 PET–CT를 함께 시행한 36예 중에서는 32예에서 최종 진단과 초음파 유도하 침 생검의 결과가 일치하여 초음파 유도하 침 생검의 정확도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 중 연부 조직 육종만 따로 분류한다면 자기공명 관류영상만을 시행한 12예 중에서 6예에서 최종 진단과 초음파 유도하 침 생검의 결과가 일치하였고 자기공명 관류영상과 PET–CT를 함께 시행한 18예 중에서는 17예에서 최종 진단과 초음파 유도하 침 생검의 결과가 일치하여 마찬가지로 초음파 유도하 침 생검의 정확도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연부조직 종양을 진단함에 있어 초음파 유도하 침 생검은 정확도가 높은 유용한 검사로 알려져 있지만 육종의 경우 이질성이 있어 자기공명 관류영상만으로는 정확한 생검 부위를 설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PET–CT 영상은 이러한 연부조직 종양에서 침 생검 부위를 특정하고 정확도를 유의하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A biopsy is needed to diagnose soft tissue tumors. However,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pinpoint the site of a tumor due to the heterogeneity of sarcomas. Thus, even when an open biopsy is conducted, it is difficult to diagnose a soft tissue tumor. In such cases, an ultrasound (US)-guided biopsy is used to improve the diagnostic accuracy. This study evaluated the accuracy of US-guided biopsy for a diagnosis of soft tissue tumors found initially in a magnetic resonance (MR) perfusion and assessed the availability of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PET–CT) for a diagnosis of soft tissue tumor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14 to December 2018, the US-guided biopsy was performed on 152 patients with a suspected soft tissue tumor found in an MR perfusion and 86 cases were definitively diagnosed with a soft tissue tumor. The accuracy of the US-guided biopsy was assessed retrospectively. Among the 86 cases, only MR perfusion was used before the biopsy in 50 cases, while both MR perfusion and PET–CT was conducted on 36 cases. The accuracy was analyzed to determine if the PET–CT could improve the precision of a biopsy. Results: From 86 cases, 34 out of 50 cases, in which only MR perfusion had been conducted, matched the result of the definitive diagnosis and the US-guided biopsy. 32 out of 36 cases, in which both PET–CT and MR perfusion were conducted, matched the definitive diagnosis and the US-guided biopsy. These results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ccuracy of US-guided biopsy. In the case of soft tissue sarcomas, 6 out of 12 cases, in which only MR perfusion had been conducted, matched the result of the definitive diagnosis and the US-guided biopsy. 17 out of 18 cases, in which both PET–CT and MR perfusion were conducted, matched the definitive diagnosis. Moreover US-guided biopsy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ccuracy of US-guided biopsy. Conclusion: In diagnosing soft tissue tumors, a US-guided biopsy is a well-known tool for its high accuracy. However, the heterogeneity of sarcoma makes it difficult to locate the exact site for a biopsy using only MR perfusion. Thus, the use of PET–CT will meaningfully improve the accuracy of a diagnosis by precisely targeting the site for the US-guided biopsy.

      • KCI등재

        점액섬유육종과 점액성 지방육종의 비교분석

        전세빈(Se Bin Jun),김정일(Jeung Il Kim),최민준(Minjun Choi),이인숙(In Sook Lee),송유선(You Seon Song),최경운(Kyung Un Choi) 대한정형외과학회 202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7 No.6

        목적: 점액섬유육종과 점액성 지방육종은 모두 고령환자의 사지에서 호발하며 임상적, 영상학적으로 유사한 소견을 가지고 있어 구분이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양전자방출단층촬영(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PET-CT) 등을 이용하여 진단에 도움이 될만한 소견을 확인 및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1월부터 2020년 1월까지 점액섬유육종과 점액성 지방육종으로 수술 받은 44명의 환자(점액섬유육종 21명, 점액성 지방육종 23명)를 대상으로 후향적 코호트 연구를 시행하였다. 수술 전에 촬영한 환자들의 MRI, PET-CT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총 44예의 환자들을 비교한 결과, 평균 나이의 경우 점액섬유육종은 65.76세, 점액성 지방육종은 51.83세였다(p=0.003). 종양의 평균 크기는 점액섬유육종은 5.5 cm, 점액성 지방육종은 11.3 cm로 점액섬유육종에서 작은 크기를 보였다(p=0.006). MRI상 근막꼬리징후는 점액섬유육종의 9예에서 발견되었으나 점액성 지방육종에서는 보이지 않았다(p=0.001). 술 후 경계양성으로 나온 예가 점액섬유육종에서 9예, 점액성 지방육종에서는 3예였다(p=0.047). 그 외에 PET-CT를 이용한 maximum standardized uptake value (SUVmax)와 국소 재발은 점액섬유육종에서 높은 값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는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는 않았다. 결론: 점액섬유육종의 경우 점액성 지방육종보다 크기는 작으나 국소 재발의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는 수술 후 경계 부분에서 종양세포가 양성으로 나온 것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술 전에 시행한 양전자방출단층촬영의 SUVmax는 점액섬유육종에서 높은 섭취를 보여 이것이 두 군의 술 전 감별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술 전에 촬영한 MRI 소견상 근막꼬리징후가 점액섬유육종에서 유의미하게 높게 관찰되었다(p=0.001). Purpose: Both myxofibrosarcoma and myxoid liposarcoma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and both commonly occur at the extremities in the elderly. While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linical entities, they both have similar clinical and radiographic featur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identify features that help the diagnosis of the two tumors by comparing their radiographic features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nd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PET-CT). In addition, we compared features, such as the biopsy results, clinical manifestations, local recurrence, and metastasis.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was performed on 44 patients (21 myxofibrosarcoma patients and 23 myxoid liposarcoma patients) who had been diagnosed with myxofibrosarcoma or myxoid liposarcoma and underwent surgery between January 2007 and January 2020. Findings that helped the diagnosis of each tumor were identified by comparing preoperative MRI and PET-CT and the clinical features of the 44 patients. Results: In the group of 44 patients, the average patient age was 65.76 years for myxofibrosarcoma and 51.83 years for myxoid liposarcoma (p=0.003). The average tumor size was smaller for myxofibrosarcoma patients at 5.5 cm vs. 11.3 cm for myxoid liposarcoma (p=0.006). The presence of fascial tail sign on MRI was significanty different between the two tumors, found in nine myxofibrosarcoma patients and not seen in any myxoid liposarcoma patients (p=0.001). A postoperative positive margin was found in 9 myxofibrosarcoma cases and 3 myxoid liposarcoma cases (p=0.047). The maximum standardized uptake value (SUVmax) on PET-CT and local recurrence were higher in the case of myxofibrosarcoma, but this difference was not clin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Myxofibrosarcoma is smaller than myxoid liposarcoma but has a much higher local recurrence rate, which could be related to higher postoperative positive resection margins. The SUVmax value on preoperative PET-CT had a higher uptake in the case of myxofibrosarcoma which could help distinguish the two tumors before surgery. In addition, the fascial tail sign was found more frequently in the case of myxofibrosarcoma on preoperative MRI (p=0.001).

      • KCI등재

        상완골 양성 골종양에 동반된 병적 골절의 치료 방법에 대한 비교

        김정일(Jeung Il Kim),김엄지(Um Ji Kim),문남훈(Nam Hoon Moon),김휘택(Hui Taek Kim),안태영(Tae Young Ahn),이인숙(In Sook Lee),송유선(You Seon Song),최경운(Kyung Un Choi) 대한정형외과학회 201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1 No.6

        목적: 상완골의 양성 골종양에 동반된 병적 골절의 치료 방법 중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의 결과를 비교하여 효과적인 접근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월부터 2014년 4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에서 상완골의 양성 골종양에 동반되어 병적 골절로 진단된 환자는 총 15예로, 이 중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8예와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7예를 대상으로 하여 골절 유합에 걸리는 기간과 원발 종양의 관해 정도를 비교하였다. 진단 시 평균 연령은 13.1세(1-19세)였고 남자 8명, 여자 7명이었으며 평균 추시 관찰 기간은 24.9개월(4-72개월)이었다. 치료 후 원발 종양의 관해에 대한 평가는 변형 Neer 분류를 사용하였다. 결과: 두 군 간의 연령, 성별, 평균 추시 관찰 기간에는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골유합은 15명의 환자 모두 2차적인 전위 없이 이루어졌고, 골유합에 걸리는 기간(p=0.164)과 종양의 관해정도(p=0.931) 모두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군과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군 사이에서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상완골 양성 골종양에 동반된 병적 골절에서 수술적 치료뿐 아니라 보존적 치료도 하나의 중요한 치료 방법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appropriate therapeutic approach by making a comparison between conservative therapy and surgical therapy for a pathologic fractures of the humerus caused by benign bone tumor. Materials and Methods: We selected 15 cases with a pathologic fracture of the humerus caused by benign bone tumor from January 2000 to April 2014 to evaluate the fracture union period and remission of primary bone tumor. Eight cases were treated with conservative therapy, and 7 cases by surgical therapy. The mean age was 13.1 years, and the age range was between 1 year and 19 years; there were 8 male cases and 7 female case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24.9 months, with a range from 4 months to 72 months. We evaluated the remission of primary benign tumor in accordance with the ‘Modified Neer classification’ system. Resul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sex, and mean follow-up period between the two groups. The pathologic fracture was united in all cases without secondary displacemen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acture union period (p=0.164) and remission of primary benign tumor (p=0.931)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We suggest that both conservative and surgical therapies can be a treatment for pathologic fracture of the humerus caused by benign bone tum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