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컴퓨터과학 교육에서 협동학습과 개별학습의 학습효과 연구

        송민경,조용주,Song, Min-Kyoung,Cho, Yong-Joo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6 No.1

        본 논문은 컴퓨터과학 교육에서 협동학습과 개별학습이 학습자에게 어떠한 효과가 있는 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협동학습은 우리나라 IT 기업들에서는 프로젝트 방식의 업무 처리 비중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컴퓨터 과학 분야의 학습자들에게 협동학습의 훈련은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개별학습과 협동학습에 대해 학습자들이 어떠한 견해를 가지고 있는지를 연구하고 학습 유형 별 실험을 통해 어떠한 학습의 차이를 가져오는지 설문과 실험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서울 소재의 한 대학교에 컴퓨터 관련학과 전공과목을 수강하는 학생들을 학습 방법에 기초해서 두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하였고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효과 및 문제점을 논의한다. This paper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and individual learning in computer science education. Most works and projects are accomplished in groups in most IT companies in Korea. Thus, cooperative learn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spects that must be learned in schools. This research studies how students think of individual and cooperative learning. It also researches and analyzes how different learning methods would affect the learning effects with surveys and experiments, which were conducted during two consecutive semesters with students in a department of a computer related major at a university in Seoul. This research compares and analyzes the results after dividing the students in two groups based on the different learning methods.

      • KCI등재

        자원봉사단체 간 네트워크의 발달단계 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송민경(Song, Min-Kyoung),김주현(Kim, Ju-Hyun),이현주(Lee, Hyen-Joo)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0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35

        본 연구에서는 자원봉사단체 간 네트워크의 발달단계모형을 제시하고, 자원봉사관련 비영리민간기관을 대상으로 자원봉사네트워크의 발달단계별 내용과 발달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탐색적 조사분석을 실시하였다. 기관 간 자원봉사네트워크 발달단계의 이론적 모형은 3단계로 구성되는데, 자원봉사네트워크 제 1단계에서는 ① 정보교류·의견교환, ② 친목도모·유대관계, ③ 실적관리?인정보상, 제 2단계에서는 ① 대상자의뢰, ② 물적자원 교류, ③ 인적자원교류, 제 3단계에서는 ① 정기모임, ② 공동사업, ③ 공식계약, ④ 협의체 구성을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기관 간 자원봉사네트워크의 발달모형을 근간으로 사회복지기관 및 시설, 다문화전문기관 및 시설, 교육기관, 자원봉사전문기관 중심의 자원봉사네트워크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 제 1단계, 2단계, 제 3단계 순으로 자원봉사네트워크가 활성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또한, 모든 기관에서 동종계열과의 자원봉사네트워크는 비교적 활성화되어 있는 반면, 이종계열과의 자원봉사네트워크는 기관 유형별로 자원봉사네트워크의 발달 특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The study proposes the conceptual model of inter-organizational network of non-profit organizations in voluntary sector, which facilitates and performs major tasks at three developmental levels: ① information exchange and communication, ② intimacy promotion and rapport building, and ③ the volunteer recognition and award at the first level; ① volunteer referral, ② interchange of material resources, and ③ interchange of human resources at the second level; ① regular formal meeting and assembly, ② collaboration and partnership, and ③ MOU or mutual agreement on service development and provision, ④ the council of volunteers/organizations at the third level.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that explores the inter-organizational network of non-profit organizations in voluntary sector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nter-organizational network have been developed and followed according to the level as proposed in this study. Next, comparatively, it has been well-developed that the inter-organizational network among the homogeneous activities and service areas whereas it has been poor-developed among the heterogenous activities and service areas. Finally, according to the organization types and services areas, it has been founded that there are disparities in the developmental levels of inter-organization network in voluntary sector.

      • KCI등재

        학교 내 학생들 간의 권력관계와 학교폭력

        송민경(Min Kyoung Song) 한국아동복지학회 2014 한국아동복지학 Vol.- No.46

        본 연구는 학교폭력이 학교 내 학생들 간의 권력관계를 토대로 발생한다는 것을 밝히고자 했다. 학교 내 학생들은 집단 안에서 서열과 계급을 정하고, 그에 따른 역동을 통해 권력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권력관계는 학생들의 태도와 행동 등을 결정하는 중요요인으로 학교폭력은 이것이 부정적으로 발현될 때 나타났다. 권력관계에서 힘(권력)이 있는 학생들은 권력의 이점을 누리며, 자신들의 마음대로 행동했고, 가해자가 되기도 했다. 반면힘(권력)이 없는 학생들은 행동에 제약을 받고 피해자가 되기도 했으며, 학교폭력 사실을 인지한 많은 학생들은 권력관계 내에서 이를 묵인하는 방관자가 되었다. 의미 분석에는 초·중·고에 재학 중인 학생 9명의 구술 자료가 사용되었고,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에 반영될 수 있는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occurrence of school violence is based on the power relationship among students in the school. Students were found to make ranks and hierarchy within student groups, and the dynamics associated within the hierarchical structure created group power relationship. Power relationship was an important factor to determine students` attitudes and behaviors. School violence occurred when dynamics of power relationship was expressed negatively. Students who had the power took advantage of the power, took great liberty in their behaviors, and became offenders of school violence. Whereas students who didn`t have the power were restricted in their behaviors and became victims. Also many students who recognized school violence became bystanders conniving with the situation. We used oral data of 9 student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for the meaning analysis, and presented practical suggestions for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coping strategies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

        중도입국청소년을 둔 여성결혼이민자의 재혼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송민경 ( Min Kyoung Song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4 한국가족복지학 Vol.45 No.-

        본 연구의 목적은 중도입국청소년을 둔 여성결혼이민자의 재혼경험에 대해 깊이 있게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들은 이미 본국에서 출산과 양육을 거친 어머니였고, 재혼 가족 안에서 전혼 자녀를 잘 양육하고, 스스로도 안정된 삶을 향유하고자 했다. 연구참여자들은 일하기 위해 한국에 왔다가 친척의 소개로 한국 남성을 만나기도 하고, 자녀에게 아버지가 필요함을 인식해서 적극적으로 재혼할 남성을 찾기도 했다. 그런 과정에서 전남편보다 가정적일 것 같고, 자신의 자녀를 잘 양육해 줄 것 같은 한국 남성이 재혼 상대자가 되었다. 재혼 후 그들은 한국 남편의 지지를 토대로 자녀와 자신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핵심범주는 「백조가 될 미운 오리새끼를 키우며 살아가기」로 구성되었다. 결과 분석에는 중도국청소년을 둔 여성결혼이민자 10명의 구술 자료가 사용되었고,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들 가족을 위한 프로그램에 반영될 수 있는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marriage-experiences of woman marriageimmigrant with immigrant youth. They were already mothers having experienced birth and parenting at home, wanting to not only parent the children of previous marriage but also have stable life. Those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study came to Korea for working and therein met Korean men by relatives` introduction. Also they tried to find males for remarriage, thinking their children need fathers. In the process, remarriage partners were males who were more family-oriented, and seemed to nurture their children well compared to their ex-husbands. After remarriage, they showed the efforts trying to improve their children as well as themselves based on Korean husbands` supporting. Core category consists of “getting along with ugly duckling tuning into a swan”. Result analysis used oral data of 10 female marriage immigrants with immigrant youth and presented practical suggestions to social welfare program for this families.

      • KCI등재

        미국 위탁아동의 친권상실선고 이후 입양 결정요인에 관한 생존분석

        송민경(Song Min-Kyou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07 한국사회복지학 Vol.5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에서 친권상실이 선고된 위탁아동의 입양률 추이를 살펴보고, 입양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을 규명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미국 위탁보호와 입양에 관한 패널데이터 FY1999-FY2002를 이용하여 1998년 10월부터 2002년 9월까지 32개 주를 추출하여 총 26,895명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사건사 분석의 Kaplan-Meier 분석과 비례적 위험회귀모형(Cox proportional hazards regression model)을 이용하여 친권상실선고 이후 소요되는 위탁기간에 따른 입양률 추이와 위험 입양배율(hazard ratios for adoption)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로는 친권상실선고 이후 3개월-19개월까지 입양률이 급속히 증가하다가 20개월이 지나면서 오히려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었다. 입양여부와 관련한 주요 요인으로서는 백인아동일 경우, 나이가 어릴수록, 선입양가족, 도시소재의 위탁보호일 경우, 양부모 위탁가족, 또는 인종적으로 동일한 위탁부모에 의해 위탁보호 될 경우 입양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아동이 지체나 장애가 있을 경우, 신체학대나 성학대를 경험한 경우, 친부모의 양육능력부족으로 위탁보호 된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입양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결과 친권상실 이전에 발생한 위탁보호 원인이 친권상실 이후에도 입양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입양촉진방안으로 친권상실선고 이후 제공된 위탁서비스 활용과 적극적 지원방안 모색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사회에서 요보호아동의 친권개입의 정책적 방향과 항구적 보호마련을 위한 함의와 제언을 개괄적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iming and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the adoption of legally-free foster children. The sample of the study was drawn from foster care files of Adoption and Foster Care Analysis and Reporting System(AFCARS) in 32 states between October 1998 (FY 1999) and September 2002(FY 2002). The timing post-TPR to adoption was examined by plotting the Kaplan-Meier cumulative hazard function for adoption and by plotting the KM hazard functions stratified by child's race and child's age at TPR. Cox proportional-hazards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risk factors for adoption of legally-free foster children after TPR. The hazard of adoption was very low immediately after TPR but increased steadily starting at 3 months and then declined after 20 months. The cumulative hazard functions for White non-Hispanic children and Black non-Hispanic children crossed over at 13 months after TPR. Racial minority status, older age, and disability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hazard of adoption. Physical abuse, sexual abuse had the lower hazard for adoption compared by neglect. Caretaker's inability to cope had the slightly lower hazard for adoption whereas inadequate housing showed the slightly greater hazard for adoption. Characteristics of foster care services turned into be powerful predictors of adoption. Specifically, legally-free children placed in pre-adoptive homes, those who shared the same racial/ethnic background with their foster caretakers, and those who were placed in two-parent families have a greater likelihood of adoption. Th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foster care service provisions after TPR to facilitate adoption of legally-free foster children. Furthermore, a more substantial resources and targeted support for foster children who experience physical abuse and sexual abuse in need of adoption should be provided for moving the foster children into permanency.

      • KCI등재
      • KCI등재

        판례의 규범력에 관한 연구

        송민경(Song, Min Kyoung) 한국법학원 2018 저스티스 Vol.- No.167

        그간 우리의 재판실무나 법해석학에서 판례가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의 문제가 간과되어온 면이 없지 않았다. 판례는 법원(法源)이라 할 수 없지만 사실상의 구속력을 갖는다는 통념적인 이해가 판례에 관한 근본적이고 생산적인 이해를 정립하는 데 장애가 되었는데, 실상 판례는 법률가의 법 해석에 있어 출발점이 되므로 판례가 후속 사건에 미치는 영향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 올바른 법 해석을 도모할 수 없다. 본고는 영미법계 국가에서와 달리 선례구속의 원칙이 제도적으로 수용되고 있지 아니한 우리 법제에서는 판례가 선례로서 구속력을 지닐 수 없음을 재차 확인하면서도 이에 머물지 않고, 판례가 갖는 힘을 이론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판례가 갖는 힘의 근거를 심리적 구속력, 권위적 구속력, 설득적 구속력, 관행적 구속력 등의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는데, 이러한 설명들 중 그 어느 것도 판례의 본원적인 힘에 접근하지 못한다. 다만 관행적 구속력 이론은 판례가 지닌 힘의 강도를 적당한 수준에서 설명하면서도 그 힘이 내포한 규범적 근거를 드러내는 주장으로서 여러 이론들 중에서 비교적 납득할 만한 입장인 것처럼 보이지만, 법관들이 개별 사안에서 추구하는 원리적 일관성이 단순히 수단적 가치를 넘어서 수행적 가치를 갖는다는 점을 제대로 짚어내지 못했다는 면에서 한계를 드러낸다. 본고는 판례가 지닌 규범력의 근거로 ‘같은 것을 같게, 다른 것을 다르게’ 판단해야만 하는 통합성의 이념을 제시하는데, 이는 우리 헌법 제11조 제1항에 규정된 법 앞의 평등원칙에서 유래하는 요청이기도 하다. 이에 따라 후속 사건을 맡은 법관은 판례를 원칙적으로 존중할 의무를 지는데, 판례가 원칙적 존중을 요구한다는 것은 판례가 사법적 판단에 있어 ‘역치(閾値)’로 작용함을 뜻한다. 판례의 견해에 완전한 동의를 표하기 어렵다고 생각할지라도 법관은 이에 따르지 아니할 특별한 근거가 없는 한, 판례를 통해 제시된 법에 관한 이해를 후속 사건에서도 일관되게 따르는 것이 합당하다고 여긴다. 판례 이탈의 예외적 정당화 사유로서 ① 판례의 견해가 법에 관한 명백하게 잘못된 이해라고 평가할 수 있을 때(인식적 측면), ② 판례의 잘못된 견해로 인하여 광범위한 법익 침해나 부정의 등 중대한 결과가 초래될 때(결과적 측면)을 들 수 있는데, 특히 본고는 전자와 관련하여 보다 세부적인 유형으로 나누어 고찰한다. 판례의 준거력은 재판 전제로서의 논점인 주론에 한하여 미친다고 볼 수 있는데, 바로 그것이 법적 삼단논법에서 대전제에 위치하는 법명제이다. 한편, 판례를 분석적으로 고찰할 때 이유명제와 결론명제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판례의 준거력은 이유명제와 결론명제에서 각기 다른 양상으로 작용한다. What the precedent means has been out of sight in the practice of trial or jurisprudence. It has been commonsense that the precedent cannot be a source of law but has de facto binding force, which hinders fundamental and productive understanding of the precedent. We cannot get a accurate grip of what the law is unless we understand the influence that the precedent has on later cases. This article reaffirms that the precedent has no binding force in lack of stare decisis, nevertheless seeks an theoretical explanation of why the precedent has a normative force on following cases. The force can be explained in terms of psychological, authoritative, persuasive and conventional theory, but none of them can approach the fundamental dimension of it. Though conventional Theory seems to be the most acceptable among them since it explains the strength of the precedent’s force properly and reveals the normative ground, it has a weak point in the it cannot grasp the performative meaning from which judges pursue consistency in dealing with cases. This article suggests as a ground the precedent’s normative power ‘the ideal of integrity’, which amounts to constitutional principle of equality. A judge has an obligation to respect the precedent in principle, which means that the precedent work as a threshold guiding judicial decision. He would think it right to follow the precedent unless there are compelling reasons against following it. There are several justifications for refusing to follow the precedent when it is considered to be clearly erroneous or expected to infringe basic rights and cause injustice. The precedent has a force on the ‘holding’ that is the premise of judicial decision, that is, the legal proposition located in the major premise in legal syllogism. We analyze the precedent into conclusive proposition and reason-giving proposition, each having different mode of normative power.

      • KCI등재

        미국의 학대피해 위탁아동의 친권상실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송민경(Min Kyoung Song) 한국아동복지학회 2006 한국아동복지학 Vol.- No.22

        본 연구는 미국의 학대피해 위탁아동을 중심으로 위탁보호기간 소요에 따른 친권상설 위험율의 추이와 친권상설에 관한 요언을 분석하였다. 특히, 1997년 개정된 아동 복지법(the Adoption and Families Safety Act, 이후 ASFA) 이후 최초 위탁보호된 아동의 친권상실 위험율의 추이를 살펴본 결과 1개월에서 6개월 사이에는 친권상실이 매우 미비하게 발생했으나, 이후 계속 꾸준히 증가하다가 19개월에서 24개월 사이에 가장 빈번히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대피해 아동이 최초 위탁보호 당시 연령이 어릴수록, 흑인아동일 경우, 부모가 약물중독이나 유기로 인해 위탁보호된 경우, 그리고 선입양가족이나 일반위탁가족에 보호된 경우에 비교적 높은 친권상실 가능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러한 피학대아동에 대한 공적 친권개입과 친권상실에 대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공적 친권개입과 친권상실에 대한 정책적 함의와 제도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timing and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the termination of parental rights who first enter foster care due to child abuse and neglect.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sample was drawn from foster care files of Adoption and Foster Care Analysis and Reporting System (AFCARS) in 32 states between October 1998 (FY1999) and September 2002 (FY2002). The timing from first entry into foster care to TPR was examined by plotting the Kaplan-Meier survivor / and hazard functions. Surve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risk factors for TPR of foster children. The hazard of TPR was very low after first entering foster care, but in­creased rapidly starting at 10 months and then declined after 32 months in care. Factors associated with a higher likelihood of TPR include younger age, Black / African Ame­rican, parental substance abuse and parental abandonment, and pre-adoptive family hom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ore specific targeted strategies and perma­nency planning via TPR should be developed for racial minority children and older children. Also, this study recommends more intensive family reunification efforts for the cases that involve parental substance abuse and specialized care for drug treatment in order to avoid TPR and promote permanency in child welfare system.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