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수업기피 현상에 대한 실증적 분석: 영향요인 탐색을 중심으로

        송경오 ( Song Kyoung-oh ),허은정 ( Hur Eun Ju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6 초등교육연구 Vol.29 No.3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수업기피 현상이 단순히 학생 개인의 심리적 문제가 아니라 학생 개인의 배경적 조건과 학습 환경, 그리고 학교 특성변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가정 하에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수업기피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수준 요인을 실증적으로 탐색하였다.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년 자료 전국 초등학교 5학년 학생 4,393명과 해당 학교 371개를 대상으로 위계선형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학생 수준에서 학생의 성별, 내적동기 이외에도 외적동기와 무동기, 그리고 학업자아개념과 휴대전화 중독변인이 초등학생 수업기피에 유의미한 영향관계를 나타냈다. 학교 수준에서는 설립유형, 교직경력 학교평균, 교사열의, 그리고 개별화 수업방법이 수업기피에 부적인 영향력을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는 초등학생의 수업기피를 줄이기 위해서는 교사의 정서적 지지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그런데, 교사의 정서적 지지는 교사 개인의 노력만으로 가능한 것이 아니라 모든 학생이 존중 받는 수업의 문화를 형성할 수 있는 학교 내 물적, 인적 토대와 교사가 전문가로서의 자율성과 책임을 가질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explore what factors affect class evasion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 in Korea. The study assumes that students` class evasion phenomenon is affected by not only individual psychological factors but also their background factors including learning environment and school climate. The data for this study have been taken from the KELS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and the survey from 4,393 elementary fifth-year students in 371 elementary schools were used for the analysis. Based on the HLM (Hierarchical Linear Model) analysis, the study shows that external motivation, de-motivation, academic self-concept, and smart phone addiction as well as gender, intrinsic motivation influence students` evasion in the class. In the school level, school type, teachers` career, teachers` enthusiasm, and individualized instruction negatively influence students` evasion in the class. The results imply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evasion in the class is closely related with teachers` emotional supports. The study also concludes that teachers` emotional encouragement does not only rely on individual teachers` effort. Structural resources and human resource are required to build up the school culture that respects for all students, in addition, policy suppor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have more autonomy as educational experts.

      • KCI등재

        교육정책 실패의 교훈으로서 ‘정책학습’에 관한 연구 : 교원성과급 정책사례를 중심으로

        송경오(Kyoung-oh Song)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5

        이 연구는 교육정책의 반복적인 정책실패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현상을 규명하려는 학술적 노력이 부족했다는 문제의식에서 정책학습이라는 관점에서 교육정책의 변화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정책이 수립된지 20여 년이 넘었지만, 여전히 정부와 교원단체 간에 갈등이 심각한 교원성과급 정책을 정책 분석사례로 삼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교원성과급 정책은 김대중 정부에서 문재인 정부에 이르기까지 총 11차에 걸친 정책 내용의 변화가 있었다. 정부가 새롭게 출범할 때마다 교원성과급 정책은 내용에 변화가 생겼을 뿐만 아니라, 동일 정부 시기 동안에도 정책변화는 지속되었다. 둘째, 각 정부별 정책 내용의 변화 단계에서 어떠한 정책학습이 있었는지를 분석하였을 때, 대부분 ‘정치적 정책학습’과 ‘도구적 정책학습’이 이루어졌다. 즉, 정책의 목표나 가치에 대한 근본적인 논의보다는 교원성과급 정책의 옹호를 위해 차등지급의 비율을 조정하는 정책학습을 이어왔다. 이와 같은 현 상황을 회복하기 위해 이 연구는 교원성과급 정책의 기본적인 가치와 전략을 검토하는 ‘사회적 정책학습’을 통해 경직된 교직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는 대안적인 정책 제시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changes in educational policy from the perspective of policy learning,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 lack of academic efforts to identify such phenomena despite repeated policy failures in educational policy. To this end, it has been more than 20 years since the policy was established, but it was analyzed using the policy analysis case of the teacher incentive policy, which still had severe conflicts between the government and teacher uni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re were 11 changes in the policy content from the Kim Dae-jung administration to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Whenever the government was newly launched, not only the contents of the policy for teacher incentives changed, but also the policy changes continued during the same government period. Second, when analyzing what kind of policy learning took place at the stage of change in each governments policy content, most of them were political policy learning or ‘instrumental policy learning’. Rather than a fundamental discussion about the goal of the policy, it has only repeated policy learning that adjusts only the ratio of differential payments to defend the teacher incentive policy. In order to recover from this current situ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present an alternative policy that can change the rigid society of teachers through social policy learning, which examines the basic values and strategies of teacher incentive policies.

      • KCI등재

        교육행정구현과정에서 교육주체들의 자기소외 현상

        송경오(Song Kyoung-Oh) 한국교육행정학회 2017 敎育行政學硏究 Vol.35 No.2

        이 연구는 자기소외(identity-alienation)가 결코 개인적 수준의 문제가 아니라 자기 주체성 을 상실한 심각한 사회구조적 문제라는 인식하에 교육행정맥락에서 자기소외의 개념을 개발 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주체들의 자기소외현상을 설명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 는 대학교수, 교직원, 그리고 교사들이 업무과정에서 어떻게 자기소외를 경험하는지, 그리고 자기소외 경험의 결과는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를 이론적으로 설명하고, 면담을 통해 실증적인 사례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교육주체들은 지나친 성과중심 시스템 하에서 자신의 노동이 창조적이고 즐거운 행위가 아닌 생계수단으로 전락하는 자기소외를 경험하였다. 또한 권위주의 조직문화의 고립된 근무환경 하에서 동료와 경쟁적으로 대립하고, 인간다운 사회적 교류가 어려운 자기소외를 경험하였다. 업무과정에서 기쁨을 누리지 못하는 교육주체들은 사 적인 삶에 머무르게 되고 공동의 목표를 설정하고 공동선을 추구하는 정치적 활동이 거의 배 제된다. 자기소외를 경험한 교육주체들은 자신의 사유와 판단을 유보하고 표현을 꺼려하는 무소신의 양상, 완전한 몰입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심오한 놀이꾼(deep player)의 소멸, 자신이 무슨 일을 하고 있는지 깨닫지 못한 채 전문가로서 자유의지는 사라지고 조직의 규율과 법이 윤리적 판단 기준이라고 여기며 이에 복종하는 양상을 보인다. Under the recognition that self-alienation is not a matter of personal level but a serious social structural problem, this study has developed the conception of self-alienation and explained the self-alienation of the educators. Specifically, this study discusses theoretically how educational subjects experience self-alienation during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education administration, and how the results of such self-alienation experiences appear. Then, it examines empirical cases through interviews. First of all, under the high stakes performance-based administrative system, the educators have experienced self-alienation, in which their labor is not a creative and pleasant activity but a means of livelihood. In addition, due to the isolated and discriminative working conditions, the educators have experienced competitive alienation with their colleagues and difficulty in social relationships between their colleagues. Educational actors who do not enjoy in the working process have stayed in their private lives, and have experienced self-alienation in which political activities that set common goals and pursue the common good in the field of public opinion are almost exempted. Educational actors tend to be reluctant to express their opinions without all sorts of reasons and judgments. In addition, it happens that the disappearance of a profound deep player that makes original works through complete immersion in the scene of education. And it is shown that educators tend to obey the discipline and law of the organization, regarding as the basis of ethical judgment.

      • KCI등재

        미국 No Child Left Behind(NCLB) 교육개혁을 보는 시각과 전망

        송경오(Song Kyoung-oh) 한국교육행정학회 2007 敎育行政學硏究 Vol.25 No.4

        본 연구는 미국의 NCLB 교육개혁을 보는 다양한 시각들을 검토함으로써 미국 교육개혁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를 기반으로 NCLB 교육개혁이 가지는 가능성과 한계를 고찰하여 우리나라 교육개혁에 시사점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첫째, NCLB 교육개혁은 교육의 결과차원에서 평등을 실현시키기 위해 도입된 개혁으로 볼 수 있다. 둘째, NCLB 교육개혁은 독점적인 공립학교체제를 철폐하고 공립학교체제의 시장화를 통해 교육의 효과를 높이고자 하는 의도로 볼 수 있다. 셋째, NCLB 교육개혁은 획기적인 개혁내용에도 불구하고 정치적 이해관계와 현실적인 타협으로 인해 일부 지역에서만 변화를 이끄는 진화과정(evolutionary process)로서 볼 수 있다. 세 가지 시각을 통해서 보았을 때 NCLB 교육개혁은 개혁으로서 가질 수 있는 성공의 가능성과 동시에 한계를 갖는다. NCLB 교육개혁의 보상과 처벌을 강조하는 책무성 시스템은 학생의 학업성취에 대한 책무를 묻는다는 점에서 긍정적일 수 있으나, 시스템의 기술적인 한계와 집행과정에서 많은 윤리적 문제를 안고 있다. NCLB 교육개혁은 외재적 책무성 강조로 학교구성원들의 자발적이고 내적인 책무성 향상을 이끌어 낼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질 수 있으나, 학교구성원의 내적 책무성은 공유된 기대와 규범, 협동적 관계를 통해서 길러질 수 있다는 한계를 지닌다. NCLB 교육개혁은 주정부 및 지방교육청과 단위학교간의 연계를 통해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개발하고 운영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지만, 외부기관의 역량이나 의지가 부족할 경우 학교가 모든 부담을 안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내용은 미국의 NCLB 교육개혁을 다각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is study classifies views on the current U.S. educational reform, No Child Left Behind(NCLB), using the three perspectives: reform as accomplishment of educational equality, reform as transformative process into educational privatization, and reform as evolutionary process. From the first perspective, NCLB educational reform has been introduced in order to preserve educational equality of lower SES students. In the second perspective, NCLB educational reform would be expected to contribute to educational privatization through destroying monopoly of public school system. The third perspective regards NCLB educational reform as evolutionary reform process rather than revolutionary. This study finds that NCLB educational reform has possibilities in terms of educational accountability on learning outcomes. Whereas, NCLB educational reform has technical limitations and ethical issues in terms of high-stakes accountability systems. In addition, external accountability which is one of the critical ideas of NCLB educational reform, has limitation in encouraging school members' internal accountability.

      • KCI등재

        교사 신뢰, 교사 협력과 학교 효과성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송경오(Song, Kyoung-Oh),최진영(Choi, Jinyoung)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4 교육과학연구 Vol.4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eacher trust in the principal and colleagues, teacher collaboration, and school effectiveness. For this study, 373 elementary teachers completed a questionnai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eans of teacher trust in the principal were lower than those of teacher trust in colleague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of teacher trust according to the school type and the school size. The total mean of trust in the principal perceived by public school teachers was lower than that perceived by private school teachers. Also, the total mean of trust in colleagues perceived by teachers in schools with more than and equal to 48 classes was lower than that perceived by teachers in schools with less than 48 classes. Third, teacher trust in colleagues had a direct effect on school effectiveness and an indirect effect on school effectiveness through teacher collaboration. Fourth, teacher trust in the principal had an indirect effect on school effectiveness through teacher collaboration. Lastly, teacher collaboration had a direct effect on school effectiveness. These results showed that teacher trust and teacher collaboration should be considered as key factors for enhancing school effectiveness.

      • KCI등재후보

        한국과 미국의 기초학력보장정책 비교 분석

        송경오(Song, Kyoung-oh),박주성(Park, Jusung) 한국공공사회학회 2015 공공사회연구 Vol.5 No.1

        정부가 모든 학생들의 기초학력보장을 책임지겠다는 취지에서 시작한 한국의 기초학력보장정책은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새로운 전환기를 맞이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과 유사한 정책을 추진한 바 있는 미국의 기초학력보장정책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한국의 기초학력보장정책이 직면한 상황을 엄밀하게 진단하고, 정책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한국과 미국의 정책이 제기된 배경 측면에서 검토해보았을 때, 한국의 경우 기초학력이 미달된 학생의 학력증진을 목표로 삼지만, 미국은 경제적 격차에 따른 학력격차 완화를 정책목표로 삼고 있다. 정책의 책무주체 측면에서 보았을 때, 두 나라 모두 중앙정부가 책무요구자이고, 단위 학교가 일차적인 책무이행자로 간주하였다. 반면, 정책의 책무 유인체제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한국은 교육부 주도의 저부담 책무성 전략을 채택하였다. 반면, 미국은 연방정부와 주정부의 이원화된 정책추진 주체를 가지고, 고부담 책무성 전략을 학교선택과 함께 운용하고 있었다. 미국과의 비교분석은 한국의 기초학력보장 정책의 향후 개선을 위해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Basic Achievement Guarantee Policy which has been sparked from demands for school accountability, disclosure of information on school achievement, and "basic achievement zero plan" was launched in transition since the current government. This study,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Basic Achievement Guarantee Policy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ensures strict diagnosis of Korean policy, and implications for policy improvements. Considering the policy objective side, Korean policy aims to promote individual student"s achievement, but the policy in the United States aims to decrease the student achievement gap due to economic disparities. In terms of policy content, Korea has adopted low-stakes accountability strategy which led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While, the United States has a dual strategy of high-stakes accountability and school choice. In terms of policy support system, bo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have equipped with a multi-dimensional learning support system for low achievement students. A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United States provide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future improvement of Basic Achievement Guarantee Policy in Korea.

      • KCI등재

        초등교사의 고용형태에 따른 교사의 질 관련 변인 차이 분석

        송경오(Song Kyoung Oh),최진영(Chio Jin Young) 한국비교교육학회 2015 比較敎育硏究 Vol.25 No.3

        이 연구는 OECD 6개 국가에서 초등교사의 고용형태(전일제 또는 시간제 여부, 정규직 또는 비정규직 여부)에 따라 교사의 질(수업준비도, 구성주의 신념, 효능감, 협력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OECD가 2014년에 제공한 2013 교수ㆍ학습국제조사(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TALIS)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정규직 교사보다는 정규직 교사가 수업준비도, 구성주의 신념, 효능감과 협력도에 있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간제 교사보다는 전일제 교사가 구성주의 신념을 제외하고 수업준비도, 효능감과 협력도에 있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전일제 정규직 교사는 기타 고용형태의 교사들에 비해 수업준비도와 효능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구성주의 신념과 협력도에 있어서는 전일제 정규직과 전일제 비정규직의 평균값이 시간제보다 높게 나타나 전일제 교사 여부가 교사의 신념과 협력도에 중요한 변수임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eacher quality related variables according to the employment status. Using TALIS provided by OECD, this study statistically verified the difference in teacher quality related variables of elementary teachers in six different countries, depending on the employment status of these teachers (i.e. full-time vs. part-time, permanent vs. non-permanent).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ull-time teachers demonstrated higher average scores than part-time teachers on teacher quality variables(constructivist beliefs, teacher efficacy, preparation, and collaboration). Secondly, permanent teachers had higher average scores than fixed term contract teachers on teacher efficiency, preparation, and collaboration, but not on constructivist beliefs. Thi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full-time permanent teachers demonstrated higher average scores on all the teacher quality variables than teachers with other employment status and thi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implication of the current study is that policy makers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the goals of education and unique characteristics of teaching profession when determining directions for teacher policies such as part-time employment.

      • KCI등재

        전남형 미래학교에 대한 요구 분석 및 모형 탐색

        송경오(Song, Kyoung-oh),김성아(Kim, Seong-a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4

        목적 이 연구는 학생 수의 급격한 감소와 학력 저하, 지역사회의 열악한 재정지원 등의 문제를 안고 있는 전남지역에서 초⋅중등 교사의 관점을 통해 새로운 학교 모형에 대한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전남지역 특수성에 기반한 미래학교 모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전남지역 초등 및 중등교사들로 구성된 초점 집단 면담을 실시하여 현행 교육과정 운영의 어려움과 전남형 미래학교 모형에 대한 요구사항을 파악하였다. 이후 미래학교 문헌 분석과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전남지역 미래학교 모형을 설계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전남지역 초⋅중등 교사들은 ‘혼자서 하는 교육과정 재구성의 어려움’, ‘전남지역의 학생 혁신을 반영하지 못하는 국가교육과정’, ‘교직 노령화에 따른 다양한 교육 활동의 어려움’, ‘교육 운영에 대한 행정지원 체제의 낮은 인식 수준’이라는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현장교사들은 전남지역 학교 교육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초⋅중등 작은 학교 통합교육’, ‘초중등 교사 교차교육’, ‘마을 중심의 교육공동체 운영’, ‘지역사회와의 네트워크를 통한 교육자원 공유’ 등을 공통적으로 요구하였다. 결론 이 연구는 전남지역에 도입할 수 있는 미래학교 모형으로 전남의 소규모 지역에서는 ‘초⋅중등 작은 학교 통합모형’을 그리고 장기적으로 ‘마을 교육공동체 학교 모형’을 제안하였다. 반면, 전남지역의 중⋅대규모 도시지역에서는 ‘지역사회 연계 학교모형’ 운영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 future-type school model in Jeonnam region, which has problems such as a sharp drop in the number of students, a decline in academic ability, and poor financial support from the local community. Methods To this end, the future-oriented school models which were mentioned in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and through FGI with expert councils and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the environmental change and the demands of the school sites in Jeollanam-do region were identified. Results In this study, three models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as a type of future school in Jeonnam region, ‘small school integration model’ where small schools of myeon unit, which share a close distance and environment, are united to operate a curriculum, second, a ‘village education community model’ where the human and physical resources of the village, the environment, and the school curriculum are organically combined and operated, and third ‘community-to-school linkage model’ where the institutions, facilities, and resources in the local community are utilized in conjunction with the curriculum of schools. Conclusions In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a ‘small school integration model’ and a ‘village education community model’ be combined and operated in small areas in Jeonnam, and a ‘community-to-school linkage model’ be operated in mid-to large urban areas.

      • KCI등재

        학교혁신을 위한 교사 전문적 정체성의 의미와 중요성 : 자유학기제와 혁신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송경오(Song Kyoung-Oh) 한국교육행정학회 2015 敎育行政學硏究 Vol.33 No.4

        이 연구는 교사의 전문적 정체성(professional identity)을 세우는 일이 학교혁신의 기본전제 라는 문제의식에서 교사의 전문적 정체성이 무엇이고, 왜 중요한지에 대해 우선 이론적으로 고찰한다. 교사의 전문적 정체성 형성은 가르침이라는 노동이 단순히 생존을 위한 노동이 아 닌 자아를 계발하고 보살피는 일임을 의미한다. 즉, 교직의 존재가치와 신뢰성을 회복하는 일 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교사를 단순히 행정적이고 기술적 통제에 따라 교 수활동을 수행하는 대상이 아닌 집단적 책무성에 기반한 자율성 발현을 통해 창조적인 탐구 활동을 수행하는 존재로 보아야 함을 주장한다. 이후 이 연구는 교사의 전문적 정체성이 어 떻게 발현되고 있는지를 혁신학교와 자유학기제 사례를 통해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두 유형의 학교혁신 사례에서 교사들은 자신을 수동적 존재가 아닌 수업의 주체자로서 인 식하는 경향이 강했고, 학생의 성장과 행복을 도울 수 있는 조력자로서 자신을 인식하였다. 혁신학교와 자유학기제에서 교사의 전문적 정체성 형성은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한 동료교사 와의 집단적 학습경험이 중요하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수업과 관련한 활발한 지적(知的) 활동 또한 교사들이 전문적 정체성을 인식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이 사례연구에서는 교 사의 전문적 정체성 회복이 개인의 성장을 넘어서 집단지성을 발휘하는 교사공동체 발전의 필요성을 인식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교사의 전문적 정체성은 교사들이 고독과 상실감의 바다를 헤엄쳐 나갈 수 있는 힘과 변화가 부담스러웠던 교사들에게 용기를 가질 수 있게 해주는 힘이 되기도 한다. Upon the premise that developing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 is one of the key principles in innovation schools,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discussion on what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 is and why it is so important. Building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 implies that teaching as a profession is not just labor for survival, but it is a part of personal growth as individuals. That is, building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 is to recover the importance and credibility of teaching profession in our society. In this sense, this study maintains that teachers must be considered as entities that perform creative activities, based on collective accountability, as manifestation of autonomy. In addition,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how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 is manifested in the cases of innovation schools and free semesters. These cases demonstrate that teachers have a strong tendency to consider themselves as main bodies of education and facilitator of student growth and happiness. Collective learning experience with colleagues in restructuring teaching curriculum seems to play a critic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 Active intellectual activities related to teaching also play a role. These case studies show that developing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 not only leads to teachers' personal growth, but it also helps teachers to appreciate collective accountability as a teacher. This study also shows that professional identity serves as driving force for teachers to maintain teaching profession in harsh environment. Korean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