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20년대 말 1930년대 초 상하이 일본인 거류민사회의 중국 인식과 정치 행동

        송가배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2023 亞細亞硏究 Vol.66 No.2

        In the late 1920s, living through the turbulent collision of Japanese imperialist expansion and Chinese nation-state construction, Japanese nationals in Shanghai maintained a chauvinistic attitude. This paper focuses on the Chinese perceptions and the related political actions of the short-term Settlers, or Kaisya ha, as they laid the foundation for collective perceptions of the community. To be specific, Kaisyaha asserted the theory of China as an “uncivilized nation” during the 1930 negotiations for the abolition of extraterritorial jurisdiction. Immediately after the Wanbaoshan incident, they advocated for a unified settlement of problems in Manchuria and Yangtze River area. When the Manchurian Incident broken out, they led a political movement to oust the National government of Jiang Jieshi, urging the Japanese government to invoke the right of self-defense. It is important to emphasize that their Chinese-related discourses had a strong political orientation, seeking to intervene in Japanese imperial policy toward China. At first glance, they appeared to criticize Shidehara diplomacy and move closer to Tanaka diplomacy, but they envisioned a plan based on their own local experiences and interests in Shanghai. On one hand, they criticized the existing Manchurian-centered state policy and sought a unified solution to the Yangtze and Manchurian issues. On the other hand, they embraced Shidehara’s economic-centered diplomacy and demanded that the status of the Yangtze River area be elevated in national policy. 1920년대 후반 상하이의 일본인 거류민은 일본의 제국주의적 팽창과 중국의 국민국가 건설이 부딪히는 격동의 현장 속에서 배외주의적인 태도로 일관하였다. 본고는 이들의 중국 인식을 형성하고 전파한 주체로서 거류민 중 회사파(會社派)의 중국 관련 언설과 행동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이들은 1930년 치외법권 철폐 협상 시기 중국의 ‘비문명국가’론을, 만보산사건 이후에는 만몽-장강 문제의 일체 해결을 주장하였고, 만주사변 이후에는 난징국민정부 축출과 자위권 발동을 촉구하는 정치운동을 전개하였다. 회사파의 중국 언설은 일본 정부의 대중국 정책에 개입하고자 하는 강한 정치성을 갖고 있었다. 이들은 일견 시데하라 외교를 비판하고 다나카 외교로 접근하는 것으로 보였으나, 상하이라는 공간의 지역적 경험 및 이해관계를 기반으로 한 방안을 구상하였다. 한편으로 그들은 기존의 만몽 중심의 국책을 비판하고, 장강과 만몽 문제의 일체 해결을 주장하였다. 동시에 시데하라의 경제외교를 수용하면서 국책에서 장강 유역의 위상을 높일 것을 요구하였다.

      • KCI등재

        중일전쟁시기 상하이 흥아건국운동의 주장과 문학(1939~1941) - 동아시아적 시각에서 중국 점령지 문학 다시 읽기를 위한 시론

        송가배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2 동방학지 Vol.200 No.-

        From the East Asian perspective by He Zhaotian, this paper re-read literature in Shanghai under Japanese occupation. This paper tried to produce an alternative history of literature which was written by collaborators, or Hanjian, during 1939~1941 in Shanghai; at the same time, it tried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which Chinese academia and society was facing. The movement for Asiatic regeneration and national reconstruction, or Xingya Jianguo, headquarter (1939~1941) has been excluded from the history of modern Chinese literature because it was regarded as a national betrayer. However, its arguments and literature are important materials that allow us to grasp the thought and feelings of the occupied Shanghai intellectuals. According to Yuan Shu, the ideology of the movement is centered on peace, anti-Communism, and Sino-Japan cooperation. He emphasizes the ultimate goal of the movement is to achieve independence and liberation of the Chinese people. Zhang Ziping criticized Japan-centeredism in the Sino-Japanese cultural collaborative works and argued that the Chinese should lead cultural projects in line with the very reality and demand of China. 본고는 허자오톈의 동아시아적 시각 하에 상하이 점령지 문학을 다시 읽는 작업으로, 중국대륙학계의 문제의식과 난제를 이해하면서도 비판적으로 대안적인 점령지 문학사를 재구성하고자 시도하였다. 흥아건국운동본부(1939~1941)는 ‘친일’ 대중운동기관으로, 평화, 반공, 중일합작의 기치 아래 일군의 대중매체를 출간하였다. 하지만 중국현대문학사에서는 ‘문화한간’이라는 이유로 배척당해왔다. 본고는 이들 역시 점령지의 문화주체라고 보고, 그 주장과 문학에서 점령하 상하이 지식인의 문제의식과 내면을 읽어내고자 하였다. 대표 위안수는 친일의 궁극적인 궁극적인 목표가 중화민족의 독립과 해방임을 천명하였다. 문화위원회 주석 장즈핑은 중일문화합작에서 일본중심주의를 비판하며, 중국인이 중국의 현실과 수요에 맞추어 문화 사업을 주도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흥건운동본부의 문학은 정부의 이데올로기를 선전하면서 동시에 비판하는 공간이었다. 기관지 『흥건』 게재 소설은 철저히 평화운동의 선전에 복무하여, 항전의 비극을 성토하고, 중국에 침입한 서구 제국주의를 비판하였다. 반면 장즈핑의 연애소설은 점령지 협력자의 내면 세계와 점령지 현실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드러냈다.

      • KCI등재

        일본군 점령시기 상해 문예월간 《雜誌》 소설란 연구 — 譚惟翰, 張愛玲, 徐淦을 사례로

        송가배 한국중국어문학회 2022 中國文學 Vol.110 No.-

        일본군 점령시기 상해의 문예월간 《잡지(雜誌)》(1942.8-1945.8) 소설란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특정 작가만을 선택적으로 연구하거나 전체를 기계적으로 정리할 뿐 매체의 시각에서 구조적으로 접근하지 않고 있다. 이 글에서는 탄웨이한(譚惟翰), 장아이링(張愛玲), 쉬간(徐淦)을예로 소설란 구성을 살펴보았다. 탄웨이한은 《잡지》가 점령이라는 정치적 분기점과 관계없이해파(海派) 문학 전통을 연속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장아이링은 《잡지》가 적극적으로 후원한 스타 신진작가로, 1940년대 새로운 대중문학을 대표한다. 쉬간은 위안수(袁殊) 휘하의 지하공작자로, ‘고도(孤島)’ 시기부터 추구하였던 비주류 전쟁서사를 발전시켰다.

      • KCI등재
      • KCI등재

        일본군 점령하 중국현대문학(1931-1945)의 연구방법론 검토

        송가배 한국중국어문학회 2019 中國文學 Vol.99 No.-

        본 논문은 일본군 점령하 중국현대문학(1931-1945)의 연구사를 ‘혁명사’ 시각과의 관계를중심으로 정리하였다. ‘전(前)30년’ 시기 동안 배제 및 망각되었던 윤함구문학은 1980년대 신시기 문학담론에 의해 문학사 속으로 복귀하였지만, 여전히 ‘혁명사’ 시각의 영향 하에 놓여있었다. 1990년대 중반에 이르러 첸리췬과 장취안은 윤함구문학의 새로운 연구방법과 이론을통해 전환적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후 ‘포스트 혁명사’ 시기는 다원화된 방법으로 지방문학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는 동시에 ‘문학식민’의 이론으로 점령지역 전체의 비교연구가 시도되었다. 근래 ‘동아시아 식민주의’ 하의 ‘점령구문학’ 연구가 시도되고 있는 바, 그것은 기존의 연구사를 보다 철저하게 이해 및 검토해야 하며, 지역적 시야로서 ‘동아시아’를 어떠한 문제의식 하에 요청하는지 비판적으로 사고해야 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y of studies on Lunxianqu wenxue, or Chinese Modern literature under Japanese occupation, focusing on how it has been related to the perspective of ‘Revolutionary history’. Lunxianqu wenxue was completely excluded from literary history and forgotten among people during the ‘Previous thirty years’, until the movement of New Era literary discourses brought it back again in the 1980s. While researchers of the area were still influenced by the perspective of ‘Revolutionary history’ in the 1980s, Qian Liqun and Zhang Quan came up with new research methods and thoughts in the mid-1990s. Then in the ‘Post-Revolutionary history’ era, various research methods have been applied to local literature; at the same time, ‘Cultural colonization’ theory has been used for comparative studies on the entire literature under Japanese ruling and occupation. With the recent rising of Zhanlingqu wenxue studies from the perspective of East Asian Colonialism, this paper asserts that it should be subjected to careful scrutiny from the following two aspects: whether it has thorough understanding and reviewing of existing studies, and whether it has undergone full and critical exploration of the ‘East Asia’ as a regional perspective.

      • KCI등재

        제1차 상하이사변 시기 일본인거류민사회 토착파 연구

        송가배 한국중국학회 2024 중국학보 Vol.107 No.-

        상하이 일본인거류민사회의 경험으로 살펴본 제1차 상하이사변은 단순히 만주사변의 부속 사건이 아니라 1920년대 중일 민중간의 갈등을 드러내는 사회적, 경제적 사건이었다. 동시에 영구 정착민인 토착파 거류민이 조계도시 상하이의 통치체계 속에서 일본인 커뮤니티를 제도적으로 건설하고자 하는 본격적인 계기이기도 하였다. 한편으로 토착파는 배일보이콧운동으로 인한 경제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자치조직인 거류민단, 각로연합회를 통해 본국정부에 저리대금 융통과 같은 방안을 요청하였다. 이는 단순히 일시적인 구제책이 아니라 만주 지역을 선례로 하여 상하이의 일본인사회에 대해서도 완비된 금융기관을 설치하고자 하는 제도 건설의 행위였다. 다른 한편으로 토착파는 현지의 공부국에 대해서도 경찰력 증원 등 자신들의 이익과 민의가 보다 잘 반영될 수 있도록 조계 행정에 개입하고자 하였다. 물론 상하이사변의 본질은 무력 사용을 통해 중일 갈등을 해결한 ‘침략성’에 있다. 토착파 민중은 ‘폭력적인 지나를 응징’함으로써 배일 사태를 해결하고자 했다. 따라서 일본인의 중국 이민이 제국주의적 침략의 교두보가 되었던 측면도 분명히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고에서는 상하이사변 전후의 과정을 거류민의 경험을 토대로 세밀히 들여다봄으로써, 이들이 조계도시 상하이의 일원으로 지역사회를 건설하면서 제국정부의 대륙정책 틀 안과 밖을 넘나들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The First Shanghai Incident, examined through the experiences of the Japanese community in Shanghai, was not merely a side event of the Manchurian Incident, but a social and economic event that revealed conflicts between Sino-Japanese people in the 1920s. At the same time, it was also an opportunity for the Japanese permanent settlers to institutionalize the Japanese community within the governance system of the Shanghai International Settlement. On the one hand, to overcome the economic crisis caused by the anti-Japanese boycott, the permanent settlers requested measures such as low-interest loans from the home government. This was not just a temporary relief, but an act of institution-building to establish a fully-fledged financial institution for the Japanese community in Shanghai, using the Manchurian region as a precedent. On the other hand, the permanent settlers also sought to intervene in the administration of Settlement government so that their wishes could be better reflected, such as increasing the Jananese police force. Of course, the essence of the First Battle of Shanghai 1932 lies in the fact that Japanese used force to resolve the Sino-Japanese conflict. the permanent settlers sought to resolve the anti-Japanese movements by “punishing the violent China”.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Japanese immigration to China became a bridgehead for imperialist aggression. Nevertheless, by examining the process before and after the Shanghai Incident in detail based on the experiences of the Japanese nationals, this paper aims to reveal that they existed both within and outside the framework of the imperial government's China policy while building their communities as members of the cosmopolitan city of Shanghai.

      • KCI등재

        문화대혁명은 사상계몽운동이었는가? ―한 조반파의 문혁 연구에 대한 비평적 읽기

        송가배 ( Song Gabae )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22 中國硏究 Vol.91 No.-

        In recent years, Korean researchers of Chinese Modern Literature have increasingly questioned the validity of Chinese New Era’s enlightenment discourse which has been dominantly influential since the 1980s in Korea. In order to overcome the narrative of Enlightenment, they started to focus on the ideological aspect of the Cultural Revolution (CR), which is naturally contributable to the redefinition of enlightenment that has been exclusively related to the May Forth so far. This paper reviews Lin Weiran’s Ph.D. dissertation An Abortive Chinese Enlightenment: The Cultural Revolution and Class Theory (1996). First, Lin Weiran (1996) describes the CR as ideological movement led and engaged in by the mass (renmin qunzhong), and the movement was characterized by political activities such as intense debates in everyday life. In this sense, Lin claims the CR as nothing less than Chinese enlightenment. Lin’s work helps Korean researchers secure specific and prolific historical resources to redefine the CR as an ideological revolution, consequently resolving the problem of integrating enlightenment and Mao’s mass line. Second, Lin highlights the role of the former Rebels in the Democracy Wall Movement (1978-1982). The Red Guard radicalism--‘theory of a new class’, which is reguarded as the core of ‘new intellectual trend’ (xin sichao) by Lin, criticizes a new bureaucratic class or the speical privileged class in PRC. Lin argues that ‘theory of a new class’ is an important starting point in explaining the Democracy Wall Movement activists’ democratic arguments. Last but not least, Lin overlooks radical innovations of system during the CR. As a result, Lin fails to address or account for Mao’s dilemma between revolutionizing and governing the coun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