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Upcycling design의 현황과 Textile 제품에 응용된 소재별 연구

        손혜민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환경에 관하여 논의하는 것은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과거엔 환경을 단순히 보호하는 것에 초점을 맞췄다면, 지금은 친환경, 유기농 등과 같이 환경과 더불어 살아가는 방법에 관해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사회현상 속에 친환경이 트렌드로 자리 잡으며 리사이클링(Recycling)에 가치를 부여하는 업사이클링(Upcycling)의 개념이 형성되고 차츰 알려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 중에서 텍스타일(Textile)분야는 텍스타일이 가지고 있는 특성으로 인해 디자인에 업사이클링 개념을 도입하기 용의한 분야이다. 유명한 업사이클링 디자인 브랜드들을 살펴보면 대부분이 텍스타일 분야의 브랜드들인 것을 알 수 있다. 텍스타일 업사이클링 디자인은 우리나라 보다 국외에서 다양한 브랜드들을 보유하고 있어 활발하게 디자인되고 있기 때문에 국내․외를 비교, 분석하여 국내의 업사이클링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텍스타일 업사이클링 디자인의 활성화 방안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논문은 업사이클링에 대한 정의와 개념 정리를 통하여 인지도가 낮은 업사이클링을 알리는데 기여하고자 하였고, 비교 분석을 통하여 업사이클링 디자인이 가지고 있는 원료와 제작과정에 따른 특징을 도출하였다. 또한 업사이클링 디자인 현황을 토대로 거시적인 활성화 방법을 모색하였고, 소재별 텍스타일 업사이클링 디자인 제품과 국내외 브랜드들을 분석하여 미시적 관점의 활성화 방법을 연구하였다. 이러한 다양한 활성화 방법을 토대로 텍스타일 분야에 있어 업사이클링 디자인이 활발하게 활용될 수 있고, 그와 더불어 업사이클링 디자인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기를 기대한다.

      • 배변장애 환자에서의 배변조영술 소견

        손혜민 계명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배변조영술은 배변장애 환자에서 항문 직장의 형태와 기능장애를 평가하는 중요한 항문직장 생리검사방법이나 검사준비에 시간이 소요되고 검사 시 환자의 불편한 점 등을 이유로 널리 사용되고 있지 않다. 4년간 시행한 배변조영술의 경험을 고찰하여 보고 변비 환자와 그 외 배변장애 환자 간에 검사소견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1년 1 월1일에서부터 2015년 12월 31일까지 계명대학교 동산병원에서 배변조영술을 시행한 117명의 환자들 중에서 이전에 항문직장수술을 시행했거나 검사가 불완전했던 45명을 제외한 72명을 대상으로 하여 영상검사소견과 임상병력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영상분석은 정지 영상과 배변을 보게 하는 동안 촬영된 동영상에서 항문직장각 측정하였고, 배변 시 직장류, 직장중첩증, 직장탈출, 치골직장근 이완부전과 같은 형태적 이상소견이 있는지 확인하였고, 바륨조영제가 충분히 배출되었는지 판단하였다. 임상병력기록에서 환자의 배변장애를 배변 시 폐쇄증상을 주소로 한 변비그룹(41명)과 변비 외 배변장애그룹(31명)으로 나누어 영상분석 결과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배변장애그룹에서 배변 시 항문직장각의 증가가 비정상을 보인 빈도는 63.4%이었고, 배변 동영상에서 형태적 이상을 보인 빈도는 81.9%이었다. 변비 그룹과 변비 외 배변장애 그룹간의 비교에서는 배변기 항문직장각과 배변기각도 - 안정기각도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배변기: 변비 그룹 113.3 ± 20.0°, 변비 외 배변장애 그룹 130.5 ± 20.7°, p=0.001, 배변기각도 - 안정기각도: 변비 그룹 12.9 ± 12.3°, 변비 외 배변장애 그룹 8.6 ± 7.1°, p=0.005). 형태적 이상은 치골직장근 이완부전의 빈도가 변비 그룹, 변비 외 배변장애 그룹 각각 46.3%, 19.4%로 변비 그룹에서 높은 빈도로 발견되었다(p < 0.05). 배변장애환자에서 항문직장각 측정값 보다는 배변 시 동영상촬영이 구조적 이상과 비정상적인 변형을 역동적으로 관찰할 수 있어서 더 유용하였다. 변비 그룹에서 변비 외 배변장애 그룹에 비해 배변 시 항문직장각 증가 정도가 적었고 치골직장근 이완부전빈도가 높았다. Fluoroscopic defecography is an useful and physiologic examination to evaluate the physiological and anatomic features of anorectum and pelvic floor in functional defecation disorders. However, fluoroscopic defecography is not widely used due to its long preparation time and the discomfort of the patients. Fluoroscopic defecography findings were assessed, and a comparison of the parameters of the constipation group and the other chief complaint group was performed. Of 117 patients who underwent fluoroscopic defecography at Keimyung University Dongsan Hospital from January 1, 2011 to December 31, 2015, 45 patients with previous history of anorectal operation or incomplete defecography exam were excluded. The defecography findings and medical records of a total of 72 patients were retrospectively assessed. For image analysis, the anorectal angles (ARA) at rest, squeeze, and strain spot images and dynamic cine images were measured, retained contrast materials and structural abnormalities such as rectocele, intussusception, rectal prolapse, or nonrelaxing puborectalis syndrome (NRS) were observed. The patients were sub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ir chief complaints; constipation group (group A) and other chief complaints group (group B). Out of all the patients, an abnormal increase in ARAs was observed in 63.4% and structural abnormalities were observed in 81.9%. In comparison, the values for defecation ARAs and the increase in defecation-rest ARAs (D - R) in group A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group B (Defecation ARA: group A 113.3 ± 20.0°, group B 130.5 ± 20.7°, p=0.001, D - R: group A 12.9 ± 12.3°, group B 8.6 ± 7.1°, p=0.005). Rates of NR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A (group A: 46.3%, group B: 19.4%, p=0.024). ARAs based on dynamic cine defecography imaging may be more useful than those of spot defecography images in the evaluation of functional pelvic floor dysfunction and structural abnormalities in functional defecation disorders. The constipation group revealed significantly lower values of D - R and higher rates of NRS.

      • 연애대중과 소설 : 1950-60년대 대중소설을 중심으로

        손혜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39

        This study examines the development of ‘romantic relationship’ in the postwar popular narratives and its relationship to the formation of the subject. Through liberation from Japan and war against North Korea, with political freedom, discourse on ‘free love’ started as the core means of sexual freedom. Marriage and romantic relationship we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issues on sexual desire emerged with dual punishment on adultery, absence of male, and female head of family and so on in postwar era. Popular novels written in this time truly shows the very shift in ‘the concept of romantic relationship’. Popular writers, such as Bi-seok Jeong and Kye-ju Park, depicted lust as a desire accompanied by romantic relationship, which paved new ways in romance narrative. One of the most remarkable features in postwar popular narrative was the frequent appearance of romantic relationships across generations. When the relationships wound up broken, it is replaced by the solidarity of young generation. From those works, the desire to form a subject converged on the identity of people of postcolonial nation. These narratives showed characteristics of enlightenment. However, unlike ostensible messages, it reveals that the control over women’s sexuality has failed, which led to the excessive punishment on them. By 1960s, female writers dominated the popular novels. Kyongni Park, Shin-jae Kang, Hee-suk Choi and so forth wrote many stories where people go through ‘romantic relationship’ and reach the ‘inwardness’. For them, romantic relationships are aesthetic.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inwardness’ that is constructed this way is closely connected to the objectified sexuality in postwar era. Moreover, it is worth mention that the ‘inwardness’ confined in ‘family’ is another pair of the ‘inwardness’ that the male writers gave shape to. The course that women’s ‘inwardness’ reconstructed under the category of ‘romantic relationship’ and ‘family’ is intertwined with the phase after April Revolution when the pubic and private sphere got rapidly readjusted. The novels from this era that is set in revolution circumstances, the death of male characters is represented as apolitical meaning. After their death, female characters face the task to form subject by means of ‘romantic relationship.’ 본 연구는 전후 등장한 ‘연애대중’의 존재에 주목하고, 50-60년대에 생산된 대중소설을 대상으로 ‘연애’의 서사적 문법을 주체 형성과 연관하여 살펴보았다. 전쟁을 통한 급격한 계급 변동과 도시화, 미국발 자본주의 체제로의 본격적인 진입은 새로운 ‘대중성’이 출현하는 제도적 기반을 예비하고 있었다. 이 무렵 형성된 도시대중들에게‘연애’는 그야말로 가장 도시적이면서 현대적인 문화경험이었다. 이제 연애를 개인에게 주어진 당연한 권리이자 교양의 하나로 인지하는 도시대중들이 등장한다. 연애는 당대 대중들에게 풍속이자 ‘교양’이었다. 이 시기에 이르러 비로소 연애는 대중적 차원으로 상상되기 시작했으며, 연애에 대한 관심은 모든 계급, 성별, 연령을 아우를 수 있었다. ‘연애대중’의 출현으로 대중화 된‘연애’관념은 60년대로 이어지면서 ‘낭만적 사랑’의 관념 아래 포섭된다. 한편, 해방과 전쟁을 거치며, 정치적 자유와 더불어 논의된 ‘자유연애’는 성적 자유와 같은 섹슈얼리티를 핵심적인 기제로 하여 담론화 되기 시작한다. 전후 간통쌍벌죄의 제정과 남성의 부재, 여성가부장의 대두 등은 결혼과 연애를 분리하고 성욕의 문제를 가시화 하는 계기로 작동하고 있었다. 이 시기 창작된 대중소설은 이러한 ‘연애관념’의 변화를 충실하게 담아내고 있었다. 정비석, 박계주 등의 대중작가들은 연애와 그에 동반되는 욕망으로서 애욕을 다루면서 연애서사의 새로운 문법을 만들기 시작한다. 전후 대중서사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 중 하나는 바로 세대간 연애가 자주 등장한다는 점이다. 이들의 연애는 실패로 끝나고, 그 자리를 대신하는 것은 청년세대의 연대이다. 그리고 작품에서 주체구성의 욕망은 탈식민 국가의 ‘국민’이라는 정체성으로 수렴된다. 이 서사들은 계몽적 서사의 특징을 보인다. 그럼에도 중요한 것은, 표면적 메시지와 달리 여성의 섹슈얼리티에 대한 통제가 실패했음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이는 여성의 섹슈얼리티에 대한 과잉 처벌로 드러난다. 60년대에 이르면, 대중소설계에서 연애는 여성작가들의 전유물이 된다. 박경리, 강신재, 최희숙 등 작가들은 ‘연애’를 경유하여 ‘내면’에 도달하는 서사를 다수 창작한다. 이들의 연애는 유미주의적 성격을 보인다. 우리는 이렇게 구성된 ‘내면’이 전후 타자화 된 섹슈얼리티와 닿아있으며, 당대 남성작가들이 형상화 한 ‘내면’의 짝패이자 ‘음화’라는 사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여성연애소설은 소위 ‘4.19 세대’ 남성작가들이 서사 속에서 제물화 했던 바로 그 여성들의 ‘내면’을 주축으로 하고 있었다. 남성작가들의 소설에서 남성인물의 주체 정립이 ‘누이’나 ‘어머니’를 훼손하고 부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면, 여성작가들의 소설에서 여성인물의‘내면’은 가부장의 권위를 문제시 하고 ‘부친 살해’를 상징적으로 구현하는 방식을 통해 창출된 것이다. 여성의 ‘내면’이 ‘연애’와 ‘가정’이라는 친밀성의 영역 아래 재구성되는 과정은 4.19 이후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이 급속하게 재조정 되는 국면과 맞물려 있다. 이 무렵 혁명을 배경으로 한 소설에서 우리는 남성인물의 죽음이 비정치적 의미로 재현되는 장면을 목격할 수 있다. 서사에서‘혁명 이후’는 남성인물의 정신적 탈진과 여성인물의 구원으로 구현되고, 이 분할은 ‘대중’의 관념이 남성-정치적 주체-청년/ 여성-소비 주체-주부로 분화되는 양상과 포개어진다. 이는 4.19를 기점으로 여성을 가정에 복속시키고자 한 정권의 보수화와 연동하는 것이다. 그러나 동시에 이 시점은 여성작가들이 익숙한 공/사 분할을 근거로 출현한‘가정성’의 관념을 전유하면서 여성의 주체성에 대해 적극적으로 사유하기 시작한 순간이기도 하다. 서사 속 여성인물들은 결코 정권이 강제한 안전한 가정주부에 머물지 않으며, ‘시민성’이라는 관념이 내재하고 있는 젠더차이를 의식화 하고 체제질서에 질문을 던진다. 50-60년대 대중소설에서 연애 관념이 변화하는 양상을 추적하고, 60년대에 돌발적으로 출현한 ‘여성적 자의식’을 역사화 하는 이 작업은 ‘연애’와 ‘여성’, ‘대중소설’라는 낯익은 결합의 역사성을 밝히고, 근대문학에 내재한 성차를 재구하려는 시도라 할 수 있다. 나아가 ‘4.19 세대’를 주축으로 형성된 ‘시민의식’의 젠더적 성격을 폭로하는 것이기도 하다.

      • 통계적 사고 발달을 위한 의사소통학적 접근 : 중학교 교과서 과제 텍스트 분석

        손혜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통계 개념의 지도와 학습은 사회적 상황에서 발생하며, 통계적 사고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지식을 상황과 맥락에 맞게 활용하는 역량이다. 그럼에도 우리는 지금까지 통계 교육에서 계산, 기능, 절차 중심 교수법에 치중한 지식을 가르쳐왔다. 여러 가지 대안을 바탕으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있었음에도 통계 교육의 문제점은 지속하여 나타났다. 한편 학습을 개인의 사적 지식 습득이기보다 공동체에 소속한 참여자가 되는 것으로 설명하는 Sfard(2008)의 의사소통학적 관점은 공동체 구성원으로서 개인의 사고를 대인 간 의사소통이 개인화된 것으로 본다. 이를 따라 통계 수업에서 저자와 학생, 교사, 그리고 본문의 사람, 장소, 사물 등은 같은 대상을 주제로 의사소통하는 통계적 담론 공동체의 참여자가 된다. 그런데 아직까지 통계 고유의 특징으로 자료의 변이성, 실세계 맥락 등을 반영하여 담론으로서 통계 영역 교과서 텍스트를 분석한 연구는 흔치 않았다. 이에 더하여 통계적 사고가 지식을 상황과 맥락에 맞게 활용하는 역량에 의해 가능하며 사회적 상황에서 발생하는 통계 개념의 지도와 학습의 특성상, 본 연구는 지금까지와 달리 의사소통학적 관점에서 통계 교육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연구의 목적은 교과서 텍스트가 담론으로서 통계를 서술하는 방식과 담론 공동체를 결속할 수 있는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에서 의사소통의 변화를 논함으로, 의사소통학적 관점에서 학생들의 통계적 사고 발달을 도모하고 통계 교육 개선에의 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담론으로서 통계의 특징을 서술하고,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과 통계적 사고의 발달을 의사소통학적 관점에서 논하였다. 그다음 의사소통학적 접근과 사회기호학을 통합한 담론적 관점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분석틀을 구성하고 통계 영역 과제 텍스트를 분석하였다. 통계학습자로서 경험할 담론을 구성하는 교과서 텍스트에는 실세계 맥락의 행위주체, 통계적 문제해결 4단계를 수행하는 행위주체가 나타난다. 본 연구는 Sfard(2008)의 대상화를 이루는 두 개념 탈인간화(alienation)와 사물화(reification)로 텍스트에서 실세계 맥락 행위주체의 존재와 행위를 어떻게 표현하는지 분석하였다. 통계적 문제해결 주체인 학생의 행위는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에서 의사결정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되었다. 1. 중학교 수학 교과서 통계 영역 과제 텍스트에 인간의 존재와 행위는 어떻게 대상화되어 나타나는가? 2. 중학교 수학 교과서 통계 영역 과제 텍스트에 4단계로 구성된 통계적 문제해결과정에서 텍스트와 학생의 관계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연구 대상은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 통계를 포함하는 중학교 1, 3학년 10종 출판사의 20개 교과서 848개의 과제이었다. 먼저 교과서 텍스트에 대상화된 언어 표현이 자료의 실세계 맥락에 영향을 줄 수 있음에 주목하여 탈인간화와 사물화 관점에서 인간의 존재와 행위의 대상화를 분석하였다. 이후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에서 참여 주체성을 논하고자 단계마다 학생의 의사결정에 따라 답을 열어두고 통계적 문제해결을 수행하게 하는지, 정해진 절차에 따라 답을 정해두고 통계적 문제해결을 수행하게 하는지를 기준으로 텍스트와 학생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연구 문제 1에 대하여, 통계 영역 과제 텍스트의 실세계 맥락에서 대상화는 행위주체와 그 행위를 텍스트에 표현하였더라도 생략 가능한 형용사(구)로 문법적 지위를 변화(최윤선, 2014)시켜 실세계 맥락을 생략 가능하게 한 것과 같다고 볼 수 있었다. 이는 나아가 자료가 존재의 의미로서 가질 수 있던 실세계 맥락, 그리고 맥락에서 부여되는 변이성이 제거될 수 있음을 의미하였다. 연구 문제 2에 대하여, 통계적 탐구질문 설정 단계를 포함하는 과제는 모두 학생이 직접 통계적 탐구질문을 설정하게 요구하고 절차를 열어두어 그 결과 또한 자료에 따라 달라질 것이었다. 그러나 연구 결과 학생들은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의 자료의 수집과 숙고 또는 자료 분석 단계부터 경험한다고 볼 수 있었고, 통계적 탐구질문 설정 과제의 수가 전체의 3%인 25개로 현저히 적어 현행 교과서 과제만으로 변이성의 고려나 분명한 목적에 의한 통계적 탐구질문 설정의 경험에 참여하지 못할 수 있었다. 자료의 수집과 숙고 단계를 포함하는 과제도 통계적 탐구질문 설정 단계를 포함하는 과제와 마찬가지로 전체의 11%인 97개로 그 수가 적었다. 그러나 단계 안의 대부분의 과제에서 학생이 단지 잘 정돈되어 제시되는 자료로만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을 경험하는 것이 아니라, 의사결정을 바탕으로 자료를 수집, 숙고하는 기회가 주어졌다. 그런데 통계적 탐구질문을 설정하고 이에 답할 수 있는 자료를 수집, 숙고하는 단계는 학생들이 스스로 판단하여 상황에 맞는 문제를 설정하고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는 단계로서, 학생들이 두 단계의 적절한 루틴을 익혀 이후의 의사소통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의사결정 가능한 과제와 절차를 익히는 과제의 비율을 조절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었다. 자료 분석 단계를 포함하는 과제는 특히 전체 848개 과제의 99%인 840개이었다. 자료 분석 단계는 독자적으로 수행되기보다 실제로 다른 단계와 연계되었고, 자료 분석의 루틴을 익히는 과제들이 다수이었다. 그러나 그 안에서도 의사소통적 사고에 관하여 학생들에게 한 번 수용된 결과를 다시 비판적으로 판단하는 통계적 사고를 경험하고 맥락에 맞게 결과를 재구성하는 의사소통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었다. 결과 해석 단계를 포함하는 과제는 전체 848개 과제 중 3%인 25개로 통계적 탐구질문 설정 단계만큼 소수이었다. 결과 해석에서의 의사소통은 변이성과 맥락을 고려하여 통계적 문제해결 전 과정의 경험을 의미 있게 해주는 핵심적 과정이다(이지연, 임해미, 2021; Bright & Friel, 2012). 이로부터 학생들이 결과 해석 단계에서의 추론과 의사결정을 통해 통계적 담론 공동체의 의사소통에 주체적으로 참여하고 더 나은 해석을 하는 순환의 작용을 위해, 결과 해석 단계를 포함하는 과제를 정교하게 구성하여 비중 있게 제시할 필요성을 찾을 수 있었다. 연구의 결론으로 다음의 네 가지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통계 영역 과제 텍스트에서 실세계 맥락의 대상화에 의해 자료가 의미를 잃을 수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실세계 맥락의 대상화를 벗어나는(disobjectification, Sfard, 2008) 관점에서 텍스트 서술상의 변화가 필요하였다. 둘째, 통계 영역 과제 텍스트에서 대상화로 의미를 잃을 수 있던 자료는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에서 새로 양적 기호의 의미를 가질 수 있었다. 이는 단어의 의미가 그 사용에 있다는 Wittgenstein의 관점을 따라 자료로부터 선행연구에서 지적한 계산, 기능, 절차를 수행하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의하여야 하였다. 셋째,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의 모든 단계에서 의사결정과 정답에 관해 두 가지로 분류되는 과제 비율의 적절한 조절이 필요하였다. 넷째, 자료가 가지는 실세계 맥락은 통계적 문제해결의 전 단계에서 연계되어 의미 있게 사용되어야 하였다. 이로부터 본 연구는 첫째, 의사소통학적 관점에서 통계적 사고의 발달을 위한 과제를 연구·개발하여야 할 필요가 있고, 둘째, 본 연구의 결과로 개발된 과제를 실제 교실 수업에 적용해보는 연구가 필요하며, 셋째, 앞으로 개발될 2022개정 교육과정의 통계 영역에 의사소통학적 관점의 반영을 제안할 수 있다는 제언을 하였다. 연구의 관점에 따르면 통계 학습을 문제를 풀고 정답을 맞히는 개인의 사적 행위의 집합으로 보는 관점을 넘어, 통계를 둘러싼 환경에 놓인 교사와 학생, 그리고 교과서 텍스트에 나오는 인물들까지 담론 공동체에서 통계적 대상을 주제로 의사소통하는 참여자로 바라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은 통계적 담론 공동체의 의사소통에 초점을 두어 학생 참여와 맥락, 그리고 실세계 맥락과의 연계를 더 강조하게 해줄 것이다. 통계 학습에서 교과서를 마주한 학생들은 실제로 담론 공동체에서 참여와 의사소통, 그리고 주체적인 의사결정을 통해 실질적인 통계적 사고를 발달시킬 기회를 가질 것으로 기대한다. Guidance and learning of statistical concepts occur in social situations, and what enables statistical thinking is the ability to use knowledge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context. Nevertheless, we have taught knowledge focused on computational, functional, and procedural-oriented teaching methods in statistics education. Despite efforts to improve problems based on various alternatives, the problems of statistics education continued to appear. On the other hand, Sfard (2008), who explains learning as becoming a participant belonging to a community rather than acquiring personal knowledge, sees individual thinking as personalized communication as a member of a community. Accordingly, in statistics classes, authors, students, teachers, and people, places, and objects in the text become participants in a statistical discourse community that communicates with the same subject. However, there have been no studies that analyzed the text of textbooks in the statistics as a discourse reflecting the variability of data and the context of the real world as characteristics of statistics. In addition, statistical thinking is possible by the ability to use knowledge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context, and due to the nature of teaching and learning of statistical concepts occurring in social situations, this study saw a need for a change in statistics education from a communicational perspectiv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iscuss the change in communication in the method of describing statistics as a discourse and the statistical problem-solving process that binds the discourse community, suggesting alternatives to promote students' statistical thinking and improve Korea's statistics education. To this end,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statistics were presented as discourse, and the process of statistical problem-solving and the development of statistical thinking were discussed from a communicational point of view. Next, an analysis framework was constructed based on previous studies from a discoursive perspective that integrated communicational approaches and social semiotics, and the statistics task text was analyzed. In the text of the textbook that constitutes the discourse to be experienced as a statistics learner, the agent of action in the context of the real world and the agent of action that performs the four steps of statistical problem-solving appear. This study analyzed how the existence and behavior of real-world contextual actors are expressed in the text with two concept alienation and reification that make up the objectification of Sfard(2008). The behavior of students who are the agent of statistical problem-solving was analyzed for decision-making in the statistical problem-solving proces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How is human existence and behavior objectified in the task text in the statistics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2. How does the relationship between text and students appear in each step of statistical problem-solving consisting of four steps in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statistics task text?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848 tasks in 20 textbooks by 10 publishers in the first and third grades of middle school, including statistics in the curriculum 2015 revised. First, this research analyzed the objectification of human existence and behavior from the perspective of alienation and reification, noting that language expression objectified in textbook text can affect the real-world context of data. After that, to discuss agency of the participant at each statistical problem-solving step,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xt and students was analyzed based on whether the answer was opened according to the students’ decision-making and the answer was set according to the set procedur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or research question 1, objectification in the real-world context of the statistics task text was the same as that of changing the grammatical status(Choi Yoon-sun, 2014) to an adjective that can be omitted even if the agent and its action were expressed in the text. This further meant that the real-world context that data could have as a meaning of existence and the variability imparted in the context could be removed. For research question 2, all tasks including the step of formulating statistical investigative questions required students to formulate statistical investigative questions themselves and left the procedure open, and the results would also vary depending on the data. However, the study found that students experienced collecting and considering the data or analyzing the data in the statistical problem-solving process, and the number of formulating statistical investigative questions tasks was significantly small, 3% of the total, so students could not participate in the current textbook assignment. The number of tasks including the collecting and considering the data step was small, with 97, or 11% of the total, as with tasks including the formulating statistical investigative questions step. However, in most of the tasks in the step, students were given the opportunity to collect and consider the data based on decision-making, rather than experiencing the statistical problem-solving process only with well-organized and presented data. However, the step of formulating statistical investigative questions, collecting and considering the data that can be answered is a step in which students judge themselves, set contextual problems, and collect necessary data, and adjust the ratio of decidable tasks and procedures so that students can learn more actively in future communication. In particular, 840 tasks, 99% of the total 848 tasks, including the analyzing the data step. The analyzing the data step was actually linked to other steps rather than being performed independently, and there were many tasks to learn the routine of data analysis. However, it was also possible to provide students with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statistical thinking that critically judges the accepted outcome once and to reconstruct the outcome according to the context. The tasks including the interpreting the results step were 25 tasks, 3% of the total 848 tasks, which were as few as the formulating statistical investigative questions step. Communication in interpreting the results step is a key process that makes the experience of the entire statistical problem-solving process meaningful, taking into account variability and context(Lee Ji-yeon, Im Hae-mi, 2021; Bright & Friel, 2012). From this, it was found that students need to organize and present tasks that include the interpreting the results step in order to act as a cycle that independently participates in the communication of statistical discourse communities and interprets them better through reasoning and decision-making at the interpreting the results step.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four things could be derived. First, the data could lose meaning by objectifying the real world context in the statistics task text. To prevent this, it was necessary to change the text description from the perspective of disobjectification(Sfard, 2008) of the real world context. Second, data that could lose meaning by objectification in the statistics task text could newly have the meaning of a quantitative symbol in the statistical problem-solving process.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can lead to the calculation, function, and procedure pointed out in previous studies from the data according to Wittgenstein's point of view that the meaning of the word is in its use. Third, at all steps of the statistical problem-solving process, it was necessary to appropriately adjust the ratio of tasks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for decision-making and correct answers. Fourth, the real-world context of the data had to be used meaningfully in connection with all steps of statistical problem solving. From this, this study suggested that first, it is necessary to research and develop tasks for the development of statistical thinking from a communicational perspective, second, a study to apply the tasks develop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o actual classroom classes, and third, it is possible to suggest reflect communicational perspective in the statistical area of 2022 revised curriculum. According to the study, the viewpoint of seeing statistical learning as a set of personal actions to solve problems and answer them will be changed, then teachers, students, and characters in textbooks can be viewed as participants in communities communicating statistical objects. This perspective will focus on communication in the statistical discourse community, further emphasizing student participation, context, and connection with real-world context. Students facing textbooks in statistics learning are expected to have the opportunity to develop practical statistical thinking through participation, communication, and autonomous decision-making in the discourse community.

      • 한국 경상북도와 중국 산둥성(山东省)의 문화관광산업 비교연구

        손혜민 호서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한국의 경상북도와 중국의 산둥성을 사례로 삼아 양 지역 문화관광산업의 현황, 발전전략, 그 구조적 문제 등을 분석하고, 그에 기초하여 가능한 대응 전략 혹은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한국의 경상북도와 중국의 산둥성의 문화관광산업 자원과 문화관광산업 현황을 구체적으로 관찰하고, 또 양 지역 문화관광산업 자원의 기반 위에 개발한 각각의 성공적인 문화관광사례를 분석하였다. 둘째, SWOT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한국의 경상북도와 중국의 산둥성의 문화관광산업이 당면한 강점, 약점, 기회 및 위협 등의 4가지 요인을 체계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양 지역의 문화관광산업 발전의 구조적 문제점을 추적하였다. (1) 강점 측면에서 보면, 경상북도는 3대문화권과 함께 다양한 문화관광자원을 보유하고 있고, 문화관광과 접목할 수 있는 산업구조 및 분포를 가지고 있다. 산둥성 역시 제노문화를 포함한 풍부한 문화관광자원을 보유하고 있고, 지리적 이점과 편리한 교통 조건을 갖추고 있으며, 또 강한 경제력과 시장수요를 가지고 있다. (2) 약점의 측면에서 보면, 경상북도는 항공교통이 취약하며, 3대문화권 간의 불균형발전이 문제이며, 중소도시 집합체로서 복합적 관광기능 취약하다. 산둥성은 문화자원이 지역적으로 파편화되어 있으며, 문화관광상품의 질적 수준이 낮고 경쟁력 있는 브랜드가 부족하다. 또 국제관광객 시장이 편중화되어 있고, 문화관광 마케팅 홍부과 미흡하다. (3) 기회의 측면에서 보면, 경상북도는 문화관광의 사회적 수요가 증대되고 있으며, 코로나19로 인해 관광트렌드가 변화하고 있다. 또 국제적 수준의 축제 개최로 인지도가 상승하고 있으며, 적극적인 재정지원과 더불어 문화자원의 통합도도 이루어지고 있다. 산둥성은 국민의 소득 증대에 따른 새로운 시장수요의 증대되고 있으며, 교통망 구축으로 시장 공간이 확대되고 있다. 적극적인 문화관광산업 정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신기술을 응용한 문화관광산업이 육성되고 있다. (4) 위협의 측면에서 보면, 경상북도는 문화관광 시장의 치열한 경쟁에 직면하고 있으며, 코로나19의 장기적 영향이 미칠 것이다. 또 고령사회 진입과 관광인력 활용의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산둥성 역시 문화관광 시장은 경쟁이 치열하다. 문화자원 및 생태계 훼손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 시장시스템을 확립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셋째, 양 지역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각각의 구조적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여, 향후 양 지역 문화관광산업 발전전략의 수정이나 재구성 혹은 새로운 전략 수립을 위한 참고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With Gyeongsangbuk-do, Korea and Shandong-province, China as examples, this paper analyzes current situations of their cultural tourism industry, their development strategies and structural problems and puts forward corresponding schemes on the basis of that. First of all, current situations of cultural tourism industry of Gyeongsangbuk-do, Korea and Shandong-province, China are analyzed and successful cases in terms of that are illustrated on the basis of cultural tourism industry resources of the two provinces. Second, SWOT analysis is used to give a systematic comparison and analysis of advantages, weaknesses, opportunities and threats of cultural tourism industry in Gyeongsangbuk-do, Korea and Shandong-province, China. The results reveal structural problems i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tourism industry in the two provinces. (1) In terms of the advantages, three culture circles of Gyeongsangbuk-do Province has many kinds of cultural tourism resources as well as industries closely related to cultural tourism. Shandong Province also own rich cultural tourism resources which include Qilu culture. Besides, it possesses geographical advantages and convenient transportation conditions as well as strong economic strength and huge potentials of market demands. (2) As far as the weaknesses are concerned, Gyeongsangbuk-do Province has weak air traffics and unbalanced development of three cultural circles. In addition, Gyeongsangbuk-do Province, as the aggrega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has vulnerable comprehensive tourism functions. Shandong Province has fragmented cultural tourism resources and low-quality cultural tourism products and lacks competitive brands. What’s worse, the international tourist market of Shandong Province is not developed in a balanced way and its cultural tourism marketing propaganda remains to be further improved. (3) As far as opportunities are concerned, Gyeongsangbuk-do Province is having more and more social demands for cultural tourism. However, tourism trends are changing due to COVID-19. Gyeongsangbuk-do Province is becoming more and more famous because of its holding international level of the celebrations of international level. With more and more active financial supports, Gyeongsangbuk-do Province also gradually integrates its cultural resources. In Shandong Province, with the increase of national income, it has more and more new market demands. Besides, the construction of transportation networks also helps expand the market. Shandong Province is actively implementing policies for cultural tourism industry and adopting new technologies to foster its cultural tourism industry. (4) In terms of the threats, Gyeongsangbuk-do Province is now facing the fierce competition in the cultural tourism market and struggling to reduce the long-term impact of COVID-19. What’s worse, the government also has to solve the problem of the aging society and the application of tourism talents. The cultural tourism market of Shandong Province is also facing fierce competitions. There are more and more problems in terms of the damage of cultural resources and ecological environment. Thir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two places, this paper puts forward specific schemes to solve structural problems of the two places so as to provide reference for the revision or the formulation of new development strategies for cultural tourism industry of the two places in the future.

      • 관계욕구 미충족과 우울증상의 관계: 자기친절의 조절효과

        손혜민 대구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자기친절이 관계욕구 미충족과 우울증상 사이에서 조절 기능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경북에 위치한 두 대학교에서 심리학 강좌를 수강하는 대학생 516명(남 250, 여 266)을 대상으로 관계욕구 미충족, 우울증상, 자기친절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계욕구 미충족과 우울증상, 자기친절의 성차분석 결과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우울증상을 높게 보고하였고, 관계욕구 미충족과 자기친절에서는 유의한 성차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관계욕구 미충족과 우울증상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관계욕구 미충족 수준이 높을수록 우울증상은 높게, 자기친절은 낮게 보고되었고 자기친절의 수준이 높을수록 우울증상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계욕구 미충족과 우울증상 사이에서 자기친절의 조절효과를 검증해본 결과, 자기친절은 조절변인으로 기능하였고, 관계욕구 미충족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를 완충하는 역할을 하였다. 종합하면, 관계욕구가 많이 충족된 대학생들에 비해 충족이 덜 된 학생이 우울증상을 많이 경험하지만 관계욕구가 미충족된 학생이라고 하더라도 개인의 고통이나 부적절감에 대해 관대하고 인내하며 스스로 이해하고 격려하는 자기친절의 수준이 높을수록 비교적 우울증상을 덜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만으로 단정 짓는 데 한계를 지니며 반복적으로 검증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논의된 제한점과 제언을 반영하여 후속 연구를 통해 관계욕구 미충족과 우울증상 사이에서 자기친절의 조절효과가 반복 검증된다면,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들의 우울증상과 관련된 임상 및 상담 장면에서 우울의 예방 및 대처 전략을 위한 유익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kindness between dissatisfaction of relatedness needs and depressive symptom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16 university students(male 250, female 266) in Gyeongbuk-do province of South Korea. The data was collected by using the scales of the Relatedness scale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Scale(BPNS), Korean version of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K-PHQ-9), and the Self-Kindness scale of Korean version of the Self-Compassion Scale(K-SCS).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female students were shown to have more depressive symptoms than male students. Second, students who had a higher dissatisfaction scores of relatedness needs had higher scores in depressive symptoms. Third, the self-kindness showed the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dissatisfaction of relatedness needs and depressive symptoms. These results imply that self-kindness shows a buffering effect in lowering depressive symptoms regardless of the dissatisfaction of relatedness needs.

      • 잡지 『문학예술』연구 : '세계주의'와 현대화의 기획

        손혜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논문은 잡지 ??문학예술??의 편집원리를 ‘세계주의’로 규정하고, 전후 ‘세계주의’가 ??문학예술??을 통하여 전개되어가는 양상을 분석하여 ‘세계주의’의 당대적 의미와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월남문인과 ‘세계주의’의 관련성을 고찰하는 한편, 잡지 ??문학예술??의 현대화 기획이 보여주는 ‘현대’의 상을 구체화하였다.이를 위해 이 논문에서는 ??문학예술??이 발간되었던 당대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살피고, 잡지의 주체였던 월남문인들과 ??문학예술??의 지향이 어떠한 상관성을 갖는가를 알아보았다. ??문학예술??은 전쟁 중에 발간된 종합지 ??사상계??와 더불어 월남한 지식인들이 제도권 내로 편입하는 데 중심적인 매체로서 기능하고 있었다. 이는 월남문인을 포함한 북한 출신의 지식인들이 전쟁 이후 문단에서 ‘타자’로서 존재하였다는 사실과 관련이 깊다. ??문학예술??과 ??사상계??를 통한 월남문인 세력권의 형성은 타자의 위치에서 결속을 도모할 수밖에 없었던 이들의 사회적 위치와 결부되어 있었던 것이다. 두 매체가 모두 외국문학/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편집노선을 견지하고 있었던 것 역시 이러한 사정과 무관하지 않은데, 이는 ??문학예술??의 편집원리인 ‘세계주의’와 연관하여 해석이 가능하다.이를 분석하기에 앞서, 먼저 ??문학예술??이 표방하였던 ‘세계주의’의 개념을 재정의할 필요가 있다. 본고는 ‘세계주의’를 세계사적 동시성을 전제로 하여 문학에 있어 세계적 보편성을 지향하였던 전후 문학 장의 한 경향으로서 정의하였다. 이 때 중요한 것은 이 시기 ‘세계주의’가 지향한 ‘세계적 보편성’이란 곧 서구로 대변되는 보편을 의미하는 것이었으며, 이는 철저한 반공의식을 저변으로 하는 동시에 ‘현대’에 대한 자의식과도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었다는 점이다. 전후 문학 장에서 ‘세계주의’는 서구문학사조의 적극적 수용을 통하여 세계화를 지향하는 한편, 서구문학을 세계문학과 동일시하고 이를 잣대로 한국문학을 평가하려는 움직임으로 나타났다. 이는 ??문학예술??의 편집노선에서 역연하게 드러난다. ??문학예술??은 서구문학을 적극적으로 번역, 소개하였으며, 서구이론에 근거한 평론들을 활발히 게재하고 서구화를 통한 현대화를 주장하는 담론을 지속적으로 생산하였다. ‘세계주의’ 편집원리는 또한 추천 제도와 월평 제도를 규율하는 원리로서 기능하고 있었는데, 이를 가장 분명하게 보여주는 것이 바로 ‘번역추천제’의 존재이다. ‘번역추천제’는 ‘번역’의 문제에 천착하였던 ??문학예술??의 특성을 뚜렷하게 보여주는 제도로, ‘세계주의’의 원리를 제도적 차원에서 구현하고 있었던 것이다. 추천제가 ‘세계주의’를 근거로 하여 외국문학의 세례를 받은 신세대 문학청년들을 흡수하였다면, 월평 제도는 신진비평가들이 서구이론을 단순히 소개, 번역하는 차원에서 벗어나, 이를 주체적으로 수용하고 발전시키는 계기로서 의의를 지니고 있다. 이어령, 유종호 등의 논의가 그 대표적인 경우이다.이처럼 ‘세계주의’를 지향하였던 ??문학예술??에서 특기할만한 점은 문학담론의 영역에서 ‘민족’, ‘전통’의 문제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논의가 전개되지 못했다는 사실이다. 이와 관련하여, ??문학예술??로 등단하여 주요 필진으로 활약하였던 신진 비평가 이어령, 유종호 등이 이후 대표적인 전통 부정론자로서 비평적 행보를 이어갔다는 사실은 ‘현대’에 대한 자의식을 내포한 ‘세계주의’가 전통부정론과 공명하는 것이었음을 짐작케 한다. 그러나 ??문학예술??이 내세운 ‘세계주의’를 분석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측면은 이 ‘세계주의’의 근원에 ‘타자’로서 존재하였던 월남문인의 로컬리티가 놓여 있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해석은 ‘전통’, ‘민족’, ‘아시아’를 삭제하고 ‘세계’라는 보편으로 나아가고자 하였던 ??문학예술??의 ‘세계주의’가 기실 ‘아시아적 전통’을 주조하고자 하였던 문협의 이른바 ‘서울 중심주의’에 대응된 것이었으며, 로컬리즘을 벗어나기 위한 로컬리즘이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관해서는 추후 더욱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문학예술??의 ‘세계주의’가 지니는 특징을 분석하는 데 있어 본고에서 특히 주목한 것은 전후 ‘세계주의’가 ‘미국’을 중심으로 담론화되고 있었다는 점이다. ??문학예술??에서 번역, 소개한 평론에서 ‘미국’은 ‘구라파’와는 차별화된 신진 문화권인 동시에, ‘문명’과 ‘풍요’, ‘자유민주주의’의 상징으로서 표상되고 있다. 이러한 미국/문화의 표상은 ‘미국 중심적 근대화’, 다시 말해 ‘문명’을 통한 현대화를 보여준다는 점에서『문학예술??의 현대화 담론과 긴밀하게 접합하고 있었다. ??문학예술??의 현대화 논의들은 기술 습득이나 ‘실용성’의 선취 등, 의식적 측면과 대비되는 형식적 차원의 전유를 통한 현대화를 주장하였는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이러한 논의들의 기저에 ‘아시아’와 서구를 서로 대립되는 대쌍 세력으로 설정하지 않고, 양식, 형식의 전유를 통해 교환이 가능한 관계로 바라보는 시각이 존재하고 있었다는 점이다.이러한 인식에 기반한 ??문학예술??의 현대화 기획은 필연적으로 ‘아시아’의 삭제로 이어졌다. 이 때 ‘아시아’의 삭제를 통하여 ‘아시아적 정체성’을 은폐하고 서구적 가치를 내면화하는 것은 ‘아시아’적 자기정체성(identity)의 균열을 수반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과정은 ‘일본’, ‘중국’ 등 ‘아시아’ 국가들의 표상과 ‘비서구적’ 가치들이 결합하여 ‘아시아’에 새로운 의미부여가 이루어지는 양상으로 현시되고 있다. 여기서 ‘중국’과 ‘일본’이 삭제되는 과정에는 ‘미국’이 매개되어 있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이것은 곧, ‘세계사적 동시성’을 통하여 세계화로 나아가는 데 ‘미국’이 매개되어 있음을 뜻하는 것이다.이처럼 ??문학예술??의 ‘세계주의’는 현대화에 대한 욕망과 연계되어 있었으며, 이는 미국을 중심으로 구조화되고 있었다. 이것은 곧 전후 ‘세계주의’가 ‘구라파’가 아닌 ‘미국’을 중개하고 있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다. 같은 시기 ??사상계??의 미국담론에서도 엿볼 수 있듯이, 해방과 전쟁을 거치며 ‘미국’의 존재는 50년대 사회의 근대화 문맥에 있어서 하나의 구심점으로 작동하고 있었다. ??문학예술??의 미국담론 역시 그 연장선상에 놓여있었던 것이다. ??문학예술??의 미국담론은 문학담론의 헤게모니가 유럽에서 미국으로 이동하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Simvastatin protects ischemic spinal cord injury from cell death and cytotoxicity through decreasing oxidative stress : in vitro primary cultured rat spinal cord model under oxygen and glucose deprivation-reoxygenation conditions

        손혜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39

        Background: Ischemia and the following reperfusion damage are critical mechanisms of spinal cord injury. Statins have been reported to decrease ischemia-reperfusion injury in many organs including spinal cord. Anti-oxidative effect is one of the main protective mechanisms of statin against neuronal death and cytotoxicity. We hypothesized that statins’ anti-oxidative property would yield neuroprotective effects on spinal cord ischemia-reperfusion injury Methods: Primary cultured spinal cord motor neurons were isolated from Sprague-Dawley rat fetuses. Ischemia–reperfusion injury model was induced by 60 min of oxygen and glucose deprivation (OGD) and 24 h of reoxygenation. Healthy and OGD cells were treated with simvastatin at concentrations of 0.1, 1, and 10 μM for 24 h. Cell viability was assessed using WST-8, cytotoxicity with LDH, and production of free radicals with DCFDA. Results: OGD reduced neuronal viability compared to normoxic control by 35.3%; however 0.1-10 μM of simvastatin treatment following OGD improved cell survival. OGD increased LDH release up to 214%; however, simvastatin treatment attenuated its cytotoxicity at concentrations of 0.1-10 μM (p < 0.001 and p = 0.001). Simvastatin also reduced deteriorated morphological changes of motor neurons following OGD. Oxidative stress was reduced by simvastatin (0.1-10 μM) compared to untreated cells exposed to OGD (p < 0.001). Conclusions: Simvastatin effectively reduced spinal cord neuronal death and cytotoxicity against ischemia-reperfusion injury, probably via modification of oxidative stress.

      • 유방암 수술 후 발생한 림프부종에 대한 성상 신경절 블록의 효과

        손혜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서론: 유방암 림프부종(Breast cancer related lymphedema, BCRL)은 유방암 치료 후에 팔에 나타나는 부종으로써, 전체 수술 환자들 중 19-41%로 보고될 정도로 높은 빈도를 나타내며, 통증과 팔의 기능 저하를 야기한다. 성상 신경절 블록과 같은 교감 신경 블록은 해당 부위의 혈관의 이완을 유도하여 혈류의 증가 및 체액의 배출을 증가시킨다. 본 연구는 성상 신경절 블록을 시행하여 시술 전후의 상지의 팔 둘레 감소 효과, 통증 감소 효과, 환자의 만족도 향상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BCRL의 기준은 부종이 있는 팔과 없는 팔의 동일한 5부위를 줄자를 이용하여 측정한 값이, 1부위 이상에서 2cm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로 하였다. 편측 유방절제술을 받은 총 2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3일 간격으로 5회씩, 초음파 유도 하에 성상 신경적 블록을 시행 하였다. 시술 전후에 각각 부종감소의 지표로써 팔 둘레 길이, 임상지표로써 통증의 정도를 숫자통증등급(NRS)을 이용해 조사하였고, 주관적 만족도 평가를 위해 유방암 후 발생한 림프부종 설문조사(LBCQ)를 실시하였다. 한 개체에서 시술 전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통계학적 분석으로는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성상 신경절 블록 전후 5부위의 팔 둘레 길이는 겨드랑이(p =0.002), 위팔(p =0.000), 팔꿈치(p =0.001), 아래팔(p =0.001), 손목(p =0.025) 모두 줄어들었으며, 통증도 감소하였고(p =0.001), 유방암 후 발생한 림프부종 설문조사의 수치도 감소하여(p =0.000)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BCRL 환자에서 성상 신경절 블록을 시행하여 팔 둘레 감소, 통증 감소, 만족도 향상의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으므로, 추후 장기적인 효과 판정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겠다. Background: Breast cancer-related lymphedema (BCRL) affects approximately 19-41% of the patients who undergo breast cancer surgery and this condition generally worsen over time despite the conventional therapy. Stellate ganglion block (SGB) produces a sympathetic denervation to the head, neck and upper extremity, and thus can improve the blood flow and enhance the poor lymphatic drainage in those structures. We hypothesized that SGB would decrease the lymphedema and pain of the upper extremity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patient. Methods: The patients who had ipsilateral upper extremity lymphedema with a difference of 2 cm or more at any one measurement sites compared with the contralateral upper extremity were diagnosed as BCRL. The circumference was measured at five sites: the axilla, the upper arm, the elbow, the forearm, and the wrist. 27 patients were included. SGB was performed five times as three days intervals. Arm circumferences, pain intensity as assessed by the numerical rating scale (NRS) and lymphedema and breast cancer questionnaire (LBCQ) were recorded before and after SGB.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e Wilcoxon signed rank test. Results: The arm circumferences after stellate ganglion block decreased in all sites (five measured sites, p <0.05). The NRS (p =0.001) and LBCQ (p =0.000) also decreased significantly. Conclusion: SGB was effective for decreasing the pain and lymphedema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in BCRL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