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학 교양교육 역량 진단의 대안

        손종현 단국대학교 교양기초교육연구소 2022 교양기초교육연구 Vol.3 No.2

        이 연구는 대학 교양교육과 관련한 역량 진단의 대안적 방식을 탐색하는 것이었 다. 역량기반 교육과정에 토대를 둔 현 대학기본역량진단 방식을 비판하고 그 대안 을 제시하고자 했다. 지금까지의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은 훈련기관이 아니라 교육기관으로서 다양한 교육제도를 가지고 있 는바, 그것은 정치ㆍ경제를 위한 것이 아니라 교육을 위한 것이며, 따라서 대학교 육제도는 핵심역량과 같은 수단적 가치에 매몰될 수 없고 교육제도의 목적을 구현 해야 한다. 교양교육제도의 목적은 핵심역량 키우기가 아니라 교양능력 키우기이 다. 교양능력 키우기는 교육목적으로서 ‘책임감을 가진 자유시민’을 양성하는 것임 을 선언한다. 둘째, 대학은 핵심역량 키우기에 매몰될 것이 아니라, ‘학교의 교육력’ 키우기에 집중하는 정책적 지원을 기획해야 한다.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문제 삼을 것이 아니 라, 어떻게 교육력을 키워 그것이 학생의 능력을 키우는 토대가 될 수 있을까를 숙 고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 ‘교육력’ 개념을 굳건히 가져야 하고 그 ‘교육력 구조’를 학교내에 체제화해야 한다. 교육력의 구성요소는 교양교육 관련 교수의 코스웍 기 획, 코스웍 기획에 대한 학교의 지원행정력, 공개와 개방의 제도화를 이끄는 평가ㆍ 피드백 기제의 작동에 대한 것이다. 이 교육력 구조가 제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학교는 인적ㆍ물적ㆍ문화적 자원의 확보와 운영에 충실해야 한다. 셋째, 종래의 기본역량진단은 그 자체 평가주의의 오만성을 지니고 있으며, 관료 주의적 형식주의적 대응 등의 병리적 현상을 낳고 있다. 이를 극복하는 진단 방향 의 대강으로서 진단 거버넌스의 교체, 교양능력 키우기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교육 력 구조의 형성에 대해 제안하였고, 그 진단방식의 대안으로서 원리적 수준에서 진 단의 전체적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alternative methods to assess competencies in relation to liberal education in university. A summary of discussion thus far is as follows. Firstly, universities have various educational systems on account of educational rather than training institutions. These are for education rather than politics/economy, and therefore university educational systems must realize their purposes without being buried in instrumental values such as core competences. Within that context, the purpose of systems on liberal arts education is to develop liberal arts competence rather than core competencies. Improving the competence is to declare fostering “responsible, free citizens” for educational purposes. Secondly, universities must build enterprise in policy to support by focusing on developing educational ability rather than being absorbed in developing core competencies. University should consider how it can be a basis for developing students’ competence by developing educational ability instead of taking issue with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To achieve that, concept of “educational capabilities” is firmed and the structure of educational ability is systematized within university. Components of educational ability are professors’ enterprise of coursework related to liberal arts education, administrative support power for coursework enterprise, and operation of an evaluation/feedback mechanism that leads to institutionalization of release and openness. Universities must be devoted to procuring and working with human/physical/cultural resources so this structure of educational ability can perform its own functions. Thirdly, conventional ‘Basic Competency Assessment for Universities’ has the arrogance of evaluationism itself and causes pathological phenomena such as formalistic bureaucratic responses. This study proposes the replacement of assessment governance, organization/operation of the curriculum on liberal arts to develop liberal arts competence as the general direction of overcoming the arrogance and phenomena, and a comprehensive assessment framework at the fundamental level as an alternative means of assessment for universities.

      • KCI등재

        창의성 계발의 교육논리: 지식·문화 생산의 ‘이야기꾼’ 키우기

        손종현,Son. Jong-hyun 한국교육철학회 2014 교육철학 Vol.54 No.-

        This research maintains that there is an ‘educational logic’ which should govern all the procedures and methods of the creativity development. This educational logic for creativity developments has several features and each of them gives us significant insights. The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creativities need to be established along with two particular approaches. One is educational approach, and the other is historical approach.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approach, we should focus on public education as the primary source in which creativities are to be taught, admitting there exist various types of learning ability. Creativity is simply one of the effects that any genuine schooling naturally brings about. According to historical approach, we should make a systemic change from 'ego to be fostered by outside' to 'ego to pursue from inside', and from 'model character' to 'storyteller to create one’s own knowledge and culture'. Second, creativity is in its nature a universal condition of human beings. As we pursue our interests so as to extend the boundary of human knowledge, creativity keeps growing. Creativity is cultivated by total experiences throughout our mind-body as a whole, pride of oneself, love of immersion and communication capabilities. The communication capabilities involve intellectual achievements of mankind and products in the world of vocation. All children are potentially born with creativity and the creativity is nurtured by educational guides. Creativity is fostered through hidden curriculum of school, works better in the process of reflective thinking, and is finally realized in the historicity of experience, maturing as an achievement of excellent educational activities.

      • KCI등재

        1930년대 농민교육정책에 대한 교육사회학적 분석

        손종현,김부태 한국교육철학회 1995 교육철학 Vol.1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positively the preposition that 'The Rural Developing Movement' and its educational policy in 1930s Chosun practiced by Imperial Japan is the mechanism of economical exploitation and ideological repression of domestic-imperial power Korean tenant farmers. The finding are as follow : First, the policy of farmer education was disigned to reflect the intention of colonizers and landownners who were willing to overcome economical-political crisis. Second, the goal of farmer education was to reinforce the colonial ruling system by promoting nation dependency and class division. So it was pursuited by cooperation between coloizer and Korean landowner who shared the same interests. Third, its financial resources were founded on national budgeting, Hyang Gyo's(鄕敎) fund, earing by laboring of member, and landowners' contributions. Fourth, administrators who train and indoctrinate farmers were colonial rulers and landowners, and objects of rual education were tenant farmers, local youth, married women and the unschooled. And its agencies were youth services, disciplinary center for 'leading figures', women's organizations and non-governmental Hyang Yak(鄕約). Fifth, lecturing meeting, literacy education meeting, and disciplinary meeting for married women were functioned as the main apparatus for indoctrination. And rural education policy was feedbacked by the supervision of colonizer and reinforced by the method of prizing leading figures.

      • KCI등재

        대안교육과 학교기획: 그 실험정신의 구현

        손종현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newly conceptualize alternative education and school planning, and devise the principles of school system operation, which realizes their experimental mind. First, it discussed about the basic premise and educational principles of alternative education, and the experimental mind of alternative education. Here, the alternative school and its faculty argued that the ‘guarantee of educational validity’ in educational ideology and methodology must be questioned over and over. Next, it attempted to newly conceptualize the idea of alternative education, characteristic, school planning, faculty, and educational power of alternative school. With the intention to discuss about the operation of alternative school system based on the conceptual awareness of alternative education and school planning, it established the basic principles of school operation, as well as the practice regulation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educational power structure of alternative school. Discuss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lternative schools can reflect its nature and plan schooling creatively. Through this, it can devise a framework that converts abnormality in the existence of previous school education to normal. School planning in alternative school focuses on autonomous operation based on the philosophy of alternative education, within the range that doesn’t violate student selection – curriculum operation – graduation condition, and the Education Act. Autonomy in curriculum is its core value. Alternative schools are evaluated for their faithfulness, ‘process of education’ and relevance of result as schooling system by a public evaluation organization, as long as they are public schools. In this case, the evaluation is on whether they demonstrate the autonomy of educational planning and yield educational power. ‘School’s educational power structure’ consists of faculty’s educational enterprising ability, school’s administrative support ability, and internal evaluation mechanism that leads public and open institutionaliz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대안교육과 학교기획에 대해 새롭게 개념화 하고, 그것의 실험정신을 구현하는 학교체제 운영의원리를 구안하려는 것이다. 먼저, 대안교육의 기본 전제와 교육원리가 무엇인지에 대해, 그리고 대안교육의 실험정신에대해 논의하고자 했다. 여기서 대안학교와 그 교사는 교육이념과 방법론이 ‘교육적 타당성을 보증하고 있는가’를거듭 질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음에 대안교육의 이념, 대안학교의 성격, 학교기획, 교원, 교육력에 대해 새롭게개념화하고자 했다. 대안교육과 학교기획에 대한 개념적 인식에 바탕하여 대안학교 체제를 어떻게 운영할 것인가에대해 논의하는 바, 그 학교 운영의 기본 원리를 설정하였고, 대안학교 교육력 구조의 작동과 연관된 실행 준칙을설정하였다. 논의의 내용을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안학교는 자신의 성격을 반영하여 독창적으로 학교기획에나설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존 학교교육의 존재방식의 비정상을 정상으로 전환하는 틀을 구안할 수 있다. 대안학교의학교기획은 학생 선발 – 교육과정 운영 – 졸업의 요건을, 교육법을 어기지 않는 범위 내에서, 대안교육의 철학하기에기초하여 자율적으로 운영하는 데에 집중한다. 자신의 설립이념과 그에 따른 교육과정 자율이 핵심 가치임은 물론이다. 대안학교도 공적 학교인 한 공적 평가기구에 의해 학교교육체제로서의 충실성, ‘교육의 과정’과 결과의 적절성에대해 평가를 받는다. 이 경우 평가는 교육기획의 자율성을 발휘하여 교육력을 산출하고 있는가에 대한 것이다. ‘학교의교육력 구조’는 교사의 교육기획력, 학교의 지원행정력, 공개와 개방의 제도화를 이끄는 내부 평가기제로 구성된다.

      • KCI등재후보

        현단계 공교육체제 개혁 정책기획

        손종현 교육비평 2021 교육비평 Vol.- No.47

        연구자는 현행 교육체제와 선발체제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통해 공교육에 대한 개념적 인식과 지향가치를 명료하게 하면서 공교육 정책기획의 새로운 프레임을 제안하고자 한다. 지금까지의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문제에 접근하는 방법론을 대체해야 한다. 연구자는 `교육적 타당성 물음'을 가지고 교육문제에 접근하는 관점을 채택한다. 이 관점에 따르면, 교육체제 전환의 메타포는 `교사 책임교육'이다. 둘째, 교육체제 개혁의 방향은 교사 책임교육체제를 형성하는 것이다. 근본적 교육정책 구안의 인식론적 단초는 교육의 질서, 교육의 과정, 교육과정 자율, 선발시험제도의 합리에 대한 문제제기였다. 교육체제 개혁의 정책 프레임은 관치교육체제에서 교사 책임교육체제로 전환한다는 것이다. 셋째, 국가기준 시험으로서 대학수학능력시험제도의 모순을 해소하기 위한 방편으로 그 시험의 성격을 바꾸어야 하고 그 규준을 바꾸어야 한다. 그 대학수학능력시험은 국가 교육과정의 정신을 살리는 시험으로 대체되어야 한다. 이 맥락에서 연구자는 (가칭)`교육과정완성도검사'의 제도화를 주창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