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 연구중심대학의 이념 형성과정

        손승남(Son, Seung-Nam)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1 敎育思想硏究 Vol.25 No.3

        이 글은 오늘날 고등교육의 세계적 흐름을 주도하고 있는 미국 연구중심대학의 배후에 스며들어 있는 이념을 탐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미국대학이 독일의 고전적 대학이념을 근간으로 삼고 있다는 전제하에 근대 연구중심대학의 기틀을 마련한 훔볼트의 대학이념을 살펴보았다. 연구와 교수의 통일, 대학원 중심교육의 훔볼트의 이념은 독일에서 유학을 한 미국의 학자들에 의해서 충실하게 구현되었다. 독일의 대학이념을 수용하였지만 미국대학은 시대적 변천에 따라 자체의 고유한 이념을 형성해 왔다. 발전된 과학과 기술을 대학교육에 적극적으로 접목시키려는 과학주의, 모릴법(Morrill Act)과 같이 지식의 실제적 응용과 교육의 기회균등을 촉진하려는 고등교육의 공교육화, 연방정부의 적극적 지원과 협력으로 연구와 개발을 최상으로 발전시키려는 연방주의, 학문적 자유를 기반으로 무한경쟁을 강조하는 상호경쟁의 원리 등이 그것이다. 다양한 이념들이 대학정책으로 이어지면서 미국의 연구중심대학은 부단한 연구개발 및 지식의 확산, 우수한 학생과 교수진의 확보, 연구 인프라의 조성, 광범위한 대학기금의 확충, 대학지도자의 리더십에서 드러나 듯 오늘날 유례없는 권위와 명성을 쌓을 수 있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investigate the idea of American Research Universities currently leading the mainstream of world higher education. Supposing that modern American Research Universities are based upon the classical German concept of the university I examined Humboldt’s idea of the university that paved the way for the modern research universities. The German academic ideals of ‘Lehrfreiheit’, Wissenschaft in a sense of pure research and ‘Lernfreiheit’ were transformed into American universities by American who studied at German universities in the 19th Century. However, I argued that the American ideal is to regard as unique the history of the American university. Some features of American universities such as scientism based on applied research, ideals of public higher education featured by the Morrill Act, ‘Federalism’ intended to cooperate with universities for national safety and economic prosperity and mutual competition between rival universities were scrutinized. Great American universities created their own university system by putting such ideals into policy and practice. The prestige and reputation of American research universities, in my estimation, emerge from capable faculty members and (graduate) students, an extensive research infrastructure, and plenty of federal and private grants. Consequently, the American model provides suggestions for all universities that hope to be a World-Class University in a fiercely competitive 21th century.

      • KCI등재

        남명 조식의 ‘敬義’ 교육사상과 클라프키(Klafki)의 ‘陶冶’사상 비교연구

        손승남(Seung Nam Son)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4 敎育思想硏究 Vol.15 No.-

        본 연구는 남명의 ‘경의’ 교육사상과 클라프키(Klafki)의 ‘도야론’을 비교적으로 고찰해 보고, 동서양의 각기 다른 교육사상이 교육이론과 실천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도야개념은 독일어권 특유의 교육개념이다. 도야는 자기도야, 즉 자기형성과 주체적 활동성은 물론 사회적 유용성에 공헌한다. 남명의 “경” 개념은 도야론에서 말하는 감성도야, 정신도야의 요소를 담고 있어 인간교육의 개인적 측면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도야의 사회적 관점 면에서도 남명의 “의” 개념은 인간의 사회적, 윤리적, 정치적 능력 도야의 문제를 담고 있어 클라프키가 강조하는 배려 및 연대의식의 고양과도 맥락이 닿고 있다. 남명이 단순한 이론공부 보다도 실천과 사회 참여를 힘주어 강조한 대목은 서구의 도야론이 실천성 측면에서 수많은 비판을 받아 온 점을 감안해 볼 때 도야론 자체의 미래 방향설정에도 시사를 줄 것이다. Das Ziel der Untersuchung besteht darin, Gedanken von Nammyong und die Bildungstheorie von W. Klafki miteinander zu vergleichen und dann Konseqenzen für die heutige Erziehung zu ziehen. Der Bildungsbegriff umfasst mehrfache Bedeutungen, die Ich- und Weltbezüge einschliessen: Erstens, Bildung beinhaltet sowohl Selbstbildung als auch einen Prozeß der Bildung und Wissensvermittlung durch Andere. Zweitens, Bildung dient sowohl zur eigenen Individualität als auch zur gesellschaftlichen Nützlichkeit. Drittens, Bildung bedeutet sowohl einen Prozeß des kognitiven, moralischen, sozialen und emotionalen Lernens als auch das Resultat eigener Studien. Hinsichtlich der Ich-Bezüge spielt der Begriff Kyong (Achtung vor sich und anderen) eine wichtige Rolle, der im engen Zusammenhang mit der Herzen- und Geistesbildung steht. Bei der Welt-Bezüge kommt es auf den Begriff Uei (Recht und Gerechtigkeit) an, der Bildung sozialer, ethischer und politischer Fähigkeiten des Menschen beinhaltet. Es ist wichtig zu betonen, dass Nammyong die Praxis vor der Theorie sowohl in seiner Lebensführung als auch im sozialen Umfeld ins Zentrum rückt. Diese vergleichende Untersuchung dient somit als ein Dialog zwischen Ost und West dazu, heutige Bildungsprobleme besser zu verstehen, und Form und Inhalte der künftigen Allgemeinbildung neu zu gestalten.

      • KCI등재

        독일 일반교수학 모형과 최근 동향

        손승남(Son Seung-Nam) 한국비교교육학회 2008 比較敎育硏究 Vol.18 No.1

        교육학이 가르치고 배우는 활동을 주요 탐구대상으로 한다고 볼 때 ‘교수와 학습의 이론과 실천에 관한 학문’으로서 일반교수학의 위상은 제고될 필요가 있다. 코메니우스 이래 독일에서 오랜 지적 전통을 지니고 있는 교수학(Didaktik)은 보는 관점에 따라 교육의 이론 및 실천학, 교육 내용학, 교육 방법학으로서 다양한 역할과 기능을 수행해 왔다. 이 글에서는 교육학의 본질적 영역임에도 불구하고 이제껏 우리 교육학에서 충분히 논의되지 못했던 교수학의 다양한 모형들과 최근 동향을 검토함으로써 우리 교육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독일의 다양한 교수모형을 검토하면서 확인할 수 있었던 사실은 자라나는 성장세대에게 부단히 사회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과 비판적 능력을 길러 주어야 한다는 점이다. 클라프키가 제안한 비판-구성적 교수학은 이런 관점을 잘 보여 주고 있으며, 우리 교육적 현실에도 접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독일 일반교수학의 최근 동향에서 시사받을 수 있는 점은 첫째, 진정한 의미에서 학습자 중심교육의 의미와 방법을 찾아야 하며 둘째, PISA 결과와 관련하여 수업 자체에 대한 경험연구를 강화해 나가야 하며 셋째, 우리의 입장에서는 교수학을 둘러싼 독일어권과 영미권의 대화와 협력을 주체적으로 수용하여 ‘좋은 수업’을 실현할 수 있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다. On the assumption that the pedagogy does mainly researches on teaching and learning the position of general didactics should be enhanced in educational theory and practice. After Comenius and Herbart the ‘Didaktik’ has long tradition in german-spoken countries. This branch of the pedagogy has performed a variety of roles and functions from different points of view such as ‘theory and practice of teaching", ‘educational contents and curriculum’, ‘teaching method and instruction". Although the thema belongs to the essential part of pedagogy it was not enough discussed in educational science community. This article tries to examine on diverse models of german didactic and recent streams of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Through the examination of manyfold models of german didactic could be corroborated that we should cultivate next generation of the ability in coping with rapid social change and critical competence. The model of Wolfgang Klafki"s critical-constructive didactic shows this point of view well and could be universally applied to our pedagogical situation. The closer inquire into recent tendencies of didactical research and practice indicates us several perspectives on our teaching and instruction: First, we should seek the essence and methods of ‘learner-centered instruction’ in a authentic sense. Second, empirical researches on the classroom instruction itself should be emphasized in relation to the results of OECD-PISA tests. Third, it is useful for our realization of ‘good instruction’ in the schooling to accept the dialogues und cooperation moods between german-spoken scholars and anglo-american researchers.

      • KCI등재

        교육해석학의 새 지평으로서 도상(圖像)해석학의가능성 탐색

        손승남(Son, Seung-Nam)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8 敎育思想硏究 Vol.22 No.2

        본 연구는 교육해석학의 새로운 지평으로서 도상해석학의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논의의 근간이 되는 교육해석학에 대한 기본 개념과 이해를 토대로 해석의 대상을 문자(Schrift)에서 그림(Bild)으로 확대하여 새로운 해석 규칙과 방법을 찾아보고 이를 실제로 교육관련 작품들을 해석하는데 적용해 보았다. ‘그림으로의 전환(pictural turn)’ 이후 미술사 영역에서 도상해석학이 굳건하게 뿌리를 내리게 되면서 교육해석학의 지평영역 확대가능성은 더욱 커졌다고 볼 수 있다. 특히 파노프스키를 중심으로 전개된 도상학(Ikonography)과 도상해석학(Ikonology)의 원리와 방법은 이론적 치밀성과 방법적 명료성으로 인해 교육학적 그림해석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고는 실제로 예술작품을 도상학적 해석방법과 한걸음 더 나아가 도야론(Bildungstheoire)적 관점으로까지 해석을 확대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도상학적 교육해석학’의 가능성을 시론(試論)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Die Arbeit zielt darauf, die Ikonographie und Ikonologie von Erwin Panofsky als neue Dimensionen pädagogischer Bildhermeneutik darzustellen und darauf basierend pädagogisch relevante Kunstwerke praktisch zu interpretieren. Zur pädagogischen Hermeneutik wurde zuerst Begriffe und Ansätze der traditionellen Texthermeneutik vorgestellt, um dann sich auf die Bildhermeneutik zu beziehen. Bei der Ikonologie von Panofsky ging es um drei Schritte oder Ebenen der Interpretation von Kunstwerken: Die vorikonographische Beschreibung erfasst das natürliche Sujet und dann die ikonographische Analyse hat das konventionale Sujet zum Gegenstand. Die ikonographische Interpretation, die Panofsky auch als Ikonologie versteht, befasst sich mit der eigentlichen Bedeutung oder dem Gehalt. Nach diesem ikonologischen Modell versuchte ich, Selbstbilder von Albrecht Dürer in bildungstheoretischer Absicht auszulegen und den eigentlichen, pädagogischen Sinngehalt herauszustellen. Dürers Selbstporträts als künstlerisches Programm zeigen Beziehungen des Malers zur Kunst der Zeit oder zur Rolle des Künstlers in seiner Zeit, aber pädagogisch noch wichtiger anzusehen stellen sie sein eigenes Selbstverständnis und -erfassung dar, dessen Punkt als Bildungsprozesse des Individuums im Hinblick auf Selbst- und Weltverhältnisse zu verstehen gilt. Eine solche experimentell ikonologische Bildinterpretation kann neue Perspektiven zur Deutung des wesentlichen Sinn der Menschenbildung eröffnen.

      • KCI등재

        PISA 2000 이후 독일의 학교교육 개혁동향

        손승남(Son Seung-Nam) 한국비교교육학회 2005 比較敎育硏究 Vol.15 No.4

        PISA는 학업성취도 국제 비교연구로 학생들이 미래 사회의 시민으로 살아가는 데 필요한 읽기, 수학, 과학적 소양을 측정하며 교육시스템의 효과를 평가하고, 학교교육의 국가경쟁력을 가늠할 수 있는 좋은 준거를 제공해 준다. 과거 교육선진국이었던 독일은 PISA 2000 결과 중하위권으로 추락한 후 교육위기감이 전사회적으로 확산되면서 역사적으로 유례없는 교육개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교육제도 및 문화에서 기인된 여러 문제를 진단한 후 독일에서는 새로운 학습문화의 정착, 유치원의 교육력 강화, 종일반 운영, 교육격차 해소, 학습 부진아에 대한 보상교육, 외국인 학생들을 위한 통합정책, 젊고 유능한 교사양성 및 재교육, 교수능력과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한 개혁아이디어들을 적극 추진해 나가고 있다. 교육문제를 국가적 위기로 인식하면서 정책입안자, 교육학자, 학교교사, 학부모, 기업인들이 온 힘을 모아 미래의 비약을 준비하는 독일의 개혁사례는 PISA 결과에 상대적으로 무관심한 우리의 경우와 대조를 보이고 있다. 우리도 PISA에서의 외형상 좋은 결과에 안주할 것이 아니라 PISA를 교육시스템과 교육문화 혁신을 통해 실질적으로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는 전환점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PISA(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is an internationally standardised assessment that was jointly developed by participating countries and administered to 15-year-olds in schools. PISA assesses how far students near the end of compulsory education have acquired some of the knowledge and skills that are essential for full participation in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reformation streams and tasks of german schooling after the PISA. A country with the economic and political significance of Germany belongs at the top of the league, but it can only achieve unsatisfying results of the tests performing below the OECD average level. Many of the shortcomings PISA brought to light promoted Germany to set a new educational reform in motion. In order to analyse reformation streams some recommendations of the german state were taken into account. These include concentration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offering the individual support on low-levels of children in readings and mathematical literacy, the establishment of full-day schooling, harmonizing equality of opportunity with fostering excellence and strengthening qualifications of teachers through methodology and didactics, a stronger practical orientation and in-service trai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for a better education german state officials and social partners, church representatives, parents, pupils and educationalists participate in an education forum to discuss the future of the state. After the PISA many specialists focused on scientific und empirical researches for improving school achievements. It can be suggested that we should not be satisfied with relative better results of the PISA, but concentrate on reforming the weakness of our educational system for enhancing educational qualities.

      • KCI등재

        교육자치의 본질과 학교운영위원회의 활성화 방안

        손승남(Seung Nam Son) 한독교육학회 2001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6 No.2

        Bei der vorliegenden Untersuchung handelt es sich um paedagogische Selbstverwaltung, Schulautonemie und Schulkonferenz. Das Hauptziel dieser Arbeit istes, die jetzige Organisation der Schulselbstverwaltung im Blick auf paedagogische Selbstverwaltung herauszuarbeiten, die durch Selbstregulation, Professionalitaet, politische Unabhaengigkeit und Kontrolle der Bevoelkerung gekennzeichnet wird. Paedagogische Selbstverwaltung im Sinne der Verfassung bedeutet Mitverantwortung ueber Schulangelegenheiten durch Schulmitglieder(Eltem, Lehrer, Schueler) im Rahmen des Gesetzes. In diesem Sinne heisst paedagogische Selbstverwaltung nicht anderesals Schulselbstverwaltung. Da England, Deutschland und die Vereinigten Staaten eine gute Tradition in diesem Bereich haben, gilt es, deren Vorteile der Schulautonomie konkret durchzuarbeiten. Die Vorteile sind hohe Mitbeteiligung der Eltem und Schueler in Schulselbstverwaltung, demokratische Schulverwaltung der Schulleiter, schulspezifische Curriculumentwicklung, unabhaengige Selektion der erziehenden Personen, unabhaengige Selbstverwaltung des Erziehungsgeldes. Auf der Basis theretischer und vergleichender Arbeit sind Probleme und Alternative unserer jetzigen Schulselbstverwaltungsorganisation zu konkretisieren um unser jetziges System zu verbessem, handelt es sich um praktische Mitbeteiligung der Schulmitglieder(vor allem, der Eltem und Schueler), offene und demokratische Schulverwaltung des Schuldirektors, Vergesetzlichung des Lehrkonferenzes und der Eltemvertretung, funktionale Verstaekung der Schulautonomie in Privatschule.

      • KCI등재
      • KCI등재

        ‘학습자 발달’의 관점에서 본 도야과정 교수법

        손승남(Seung Nam Son)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5 敎育思想硏究 Vol.17 No.-

        본고에서는 독일의 전통적 교수법 이론에 터해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도야과정 교수법(Bildungsgangdidaktik)을 ‘교육적 경험과 학습자 발달’이라는 관점에서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도야과정은 객관적 측면과 주관적 측면에서 파악될 수 있다. 전통적 교수법이 주로 커리큘럼과 같은 객관적 교육과정에 초점을 둔 반면 도야과정 교수법에서는 학습자의 학습경험과 발달을 강조하면서 이 둘을 학습자의 삶의 과정에서 조화를 이루고자 시도한다. 도야과정의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발달과업에 대한 구체적인 의미부여, 작업, 해결과정을 연구의 중심주제로 삼음으로써 결코 바꿀 수 없는 개인의 역사로서의 학습사에 담겨있는 놀랍고도, 유일한 요소들을 탐구해 내고자 한다. 개인의 삶을 학습의 과정으로 간주하고, 학습자의 자율성을 토대로 자아정체성과 능력개발을 꾀하는 도야과정 교수법은 교수론적 방법주의에 빠져 있는 교육현실에 대한 비판과 새로운 대안을 마련하는 계기를 줄 수 있을 것이다. Bei der Untersuchung geht es darum, eine neuartige deutsche Didaktik 'Bildungsgangdidaktik' im Sinne von 'educational experience and learner development' auszulegen. Der Begriff des Bildungsgangs enthaelt zwei Perspektiven, einen objektiven und einen subjektiven Bildungsgang. Eine Didaktik des Bildungsgangs versucht, die beiden Saeulen bei der Forschung und Praxis gleichberechtigt einzubeziehen. Diese Didaktik bezieht sich bei der Theoriebildung auf den Begriff der Entwicklungsaufgabe von Havighurst, da dieser Begriff einen paedagogischen Sinn von 'educational experience and learner development' verdeutlichen kann. Durch die Bearbeitung der Entwicklungsaufgaben des Subjektes im Bildungsgang stellen sich nicht nur Aspekte der Identitaetsentwicklung, sondern auch Aspekte der Kompetenzentwicklung der Lernenden heraus. Die Aufgabe der Bildungsgangforschung besteht dann darin, sowohl Wissen und Koennen als auch die Faehingkeit zur Selbstbestimmung und zu verantwortlichem Handeln in einer Welt zu entwickelen, die zunehmend komplexer und schwieriger wird. Somit kann diese Didaktik dazu beitragen, Tendenzen 'didaktischen Methodismus' zu kritisieren und neue Alternativen zu eroeffnen.

      • KCI등재

        좋은 수업의 조건

        손승남(Son, Seung-Nam)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6 敎育思想硏究 Vol.20 No.-

        본 연구에서는 코메니우스와 헤르바르트를 통하여 역사적 관점에서 좋은 수업의 조건을 탐색해 본 후 일반교수법에서 말하는 교육의 삼각도를 중심으로 교사와 수업전문성, 학생과 학습자의 고려 그리고 교육내용으로서 시대적 핵심문제를 다루어 보았다. 이론적 접근을 보완하고자 경험적 수업연구에서 밝혀진 다양한 사실들과 결과들을 논의과정에서 대폭 수용하였다. 다양한 이론적, 경험적 연구들을 종합해 볼 때 좋은 수업은 1) 민주적 수업구조 2) ‘교육적’ 수업(Herbart) 3) 교사-학생간 상호작용 4) 경험의 의미와 인식의 폭 확대 5) 실질적 능력개발 6) 교사지향성의 관점에서 정의내릴 수 있고, 그러한 수업이 갖추어야 할 실질적 조건으로는 수업구조의 명료화, 몰두시간의 극대화, 학습촉진적 분위기, 교육내용의 명료성, 의미지향적 의사소통, 방법적 다양성, 개별적 촉진활동, 지능적 학습학습(학습전략 활용),성취기대와 수행평가,준비된 공간(Montessori)등을 들 수 있다. Die Arbeit zielt darauf, Wesen und Merkmale guten Unterrichts herauszuarbeiten. Zuerst handelt es um historische Perspektiven, indem man Bedingungen guten Unterrichts durch "Grosse Didaktik" von Comenius und "Erziehender Unterricht" von Herbart in den Blick stellt. Im Hintergund allgemeiner Didaktik ist das Konzept paedagogischen Dreiecks fuer die Diskussion hilfreich. Als drei Diskussionsaspekte standen Lehrer und unterrichtliche Professionalitaet, Schueler und ihre Mitgestaltung und-beteiligung am Unterricht und epochentypische Schluesselprobleme mit Bezuf auf Bildungsinhalte im Vordergrund. Aus theoretischen und empirischen Untersuchungsergebnissen ist ein guter Unterricht so zu definieren: 1) Demokratische Unterrichtskultur, 2) Erziehungsauftrag, 3) Arbeitsbuendnis, 4) Sinnstiftende Orientierung, 5) Nachhaltige Kompetenzentwicklung und 6) Lehrerorientierung. Wenn ein guter Unterricht so zu definieren, stellen sich Merkmale guten Unterrichts folgendermassen: Klare Strukturierung des Unterrichts, hohe Anteil echter Lernzeit, Lernfoerderliches Klima, inhaltliche Klarheit, sinnstiftendes Kommunizieren, Metheodenvielfalt, individuelles Foerdern, intelligentes Ueben, transparente Leistungserwartungen, vorbereitete Umgebung. Was guter Unterricht ist und sein soll, kann grundsaetzlich nicht aus den Ergebnissen der empirischen Unterrichtsforschung abgeleitet werden, sondern normativ gesetzt. Wichtiger ist noch, dass er Ziele, Inhalte, Methode und Evaluation auf der Mikroebene und Finanz- und Verwaltungshilfe auf der Makroebene miteinschliesst. Paedagogische Atmosphaere sind dazu hinzufueg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