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자료 사용 능력 향상을 위한 인용 교육 방법 연구 : 학문 목적 글쓰기 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손달임 이화어문학회 2021 이화어문논집 Vol.53 No.-

        본고는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문 목적 글쓰기 교육 과정 내에서 ‘자료 사용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용 교육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연구이다. 현재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인용 교육은 서지 정보 제공을 비롯한 인용의 형식적 측면을 강조하는 차원에서 시행되어 왔다. 서지 정보를 올바르게 제시하고 인용의 형식에 맞게 자료를 정리하는 것이 연구 윤리 강화와 표절 방지를 위한 중요한 요인임은 분명하지만 이러한 소극적인 인용 교육은 학습자들의 ‘자료 사용 능력’을 키우고 더 나아가 ‘자료 기반 글쓰기 전략’으로서의 인용 방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지 못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학문 목적 글쓰기 교재를 분석함으로써 학문목적 글쓰기 교육 과정에서 인용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검토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인용의 목적과 필요성을 이해할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 내용이 포함되었는지, 인용 방식에 대한 교육 내용을 어떻게 제시하였는지, 인용문 쓰기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글쓰기 전략이나 문형, 표현 등을 설명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교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의 인용 교육의 한계를 찾고 앞으로의 교육 방향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is a basic study to find citation education methods that can improve the -ability to source use- in the academic writing curriculum for foreign students. Currently, citation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has been conducted to emphasize the formal aspects of citation, including the provision of bibliographic information. While presenting bibliographic information correctly and organizing data according to the format of citation is clearly an important factor, this passive citation education does not help foreign students develop their -ability to source use and further understand how to quote. Thus, this study examins how cited education was performed in the course of academic writing education by analyzing academic writing textbooks for foreign students.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d 1) whether practical educational contents were included to understand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citation, 2) how the educational contents for citation methods were presented, 3) whether specific writing strategies, sentence patterns, and expressions that can be used in citation writing were explained, and 4) whether writing methods such as summarizing and interchanging are addressed together in the citation education process. Based on these textbook analysis results, this study found the limitations of current citation education and suggested the future direction of education.

      • KCI등재

        재외국민 학습자의 글쓰기에 나타난 문장 오류 분석 - 이화여대 국제학부 분반 수강생의 경우를 중심으로

        손달임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교양교육연구 Vol.10 No.4

        This paper is aimed to examine the conditions of sentence errors that appeared in overseas South Korean learners’ writing centering on the case of students of the Division of International Studies, Ewha Womans University and seek for effective sentence education methods based on the results. Separated class students of the Division of International Studies, Ewha Womans University entered the university through integrated examinations(regular·non-scheduled) but they have characteristics as overseas South Korean learner. They are differentiated from both local learners and foreign learners and they show differences in Korean language ability, in particular, in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by individual within the same separated class. However, Ewha Womans University operates this separated class with the same teaching materials and curricula as those of other separated classes (local learner) and applies the same evaluation system. However, given the learner characteristics of separated class students of the Division of International Studies, different writing education methods by college and by level are necessary for them. Therefore, in the present study, interviews in writing with major professors of the Division of International Studies as well as interviews with student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interviewees strongly revealed demands for practical expression ability rather than logical reasoning ability in writing classes for new students. In particular, they emphasized the necessity of basic knowledge to write and read scientific writings while requesting to prepare education methods and evaluation criteria considering level differences among learner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of the Division of International Studies as overseas South Korean learners and identify differences by level, in the present study, errors in sentence layers were analyzed. The types and frequencies of errors that appeared in the writings of students in the separated class of the Division of International Studies and those of students in other separated classes were compared an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students in the separated class of the Division of International Studies particularly showed many errors related to the sentence structures of Korean language (errors in compliance of sentence components and errors in the use of postpositions or endings) as well as errors in writing styles(translation style, colloquial style expression). In addition, the numbers of times errors were compared among students within the separated class of the Division of International Studies and according to the results, differences in sentence constructing ability were large among the students. Therefore, the current class operation method and education method that do not consider the learner characteristics of students of the Division of International Studies and differences in learning ability among the students should be improved. In particular, the contents of education on the aspect of expression skills such as sentence constructing ability and sentence arranging ability should be reinforced. As for the operation of classes, separated classes should be organiz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s and differences by level and independent evaluation systems are necessary. 본고는 이화여대 국제학부 수강생의 경우를 중심으로 재외국민 학습자의 글쓰기에 나타난 문장 오류의 양상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문장 교육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화여대 국제학부 분반의 수강생들은 일반 전형(정시·수시)으로 대학에 입학하였으나 재외국민 학습자로서의 특성을 갖고 있다. 이들은 내국인 학습자와 외국인 학습자 모두와 차별성을 띄며, 분반 내에서도 학습자별로 한국어 능력, 특히 읽기와 쓰기 능력의 차이를 보인다. 그런데 이화여대에서는 국제학부 분반(재외국민 학습자)과 타 분반(내국인 학습자)을 동일한 교재와 커리큘럼으로 운영하고 있고 평가 방식도 동일하게 적용한다. 그러나 국제학부 분반 수강생들의 학습자 특성을 고려할 때 이들을 위한 단대별·수준별 글쓰기 교육 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국제학부 전공 교수와의 서면 인터뷰를 진행하고 수강생 대상의 설문 조사도 함께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이들은 신입생을 위한 글쓰기 수업에서 논리적 사고력보다는 실제적인 표현 능력에 대한 요구를 강하게 드러내었다. 특히 학술적인 글을 읽고 쓰기 위한 기초 지식의 필요성을 강조했으며, 동시에 학습자 간의 수준 차이를 고려한 교육 방법과 평가 기준을 마련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국제학부 수강생들의 재외국민 학습자로서의 특성을 이해하고 학습자 수준별 편차를 확인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학생들의 과제를 기초 자료로 하여 문장 층위의 오류를 분석하였다. 국제학부 분반과 타 분반의 글쓰기에 나타난 오류의 유형과 빈도를 비교한 결과 국제학부 학생들은 국어의 문장 구조와 관련된 오류(문장 성분의 호응 오류, 조사나 어미 사용의 오류 등)뿐만 아니라 문체상의 오류(번역투, 구어체 표현)를 특히 많이 보였다. 또한 국제학부 분반 내에서는 오류의 횟수를 학습자별로 비교한 결과 수강생별로 문장 구성 능력의 차이가 큼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국제학부 수강생의 학습자 특성과 수강생별 학습 능력 차이를 고려하지 않은 현재의 수업 운영 방식과 교육 방법은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글쓰기의 기초 영역에 해당하는 문장 구성 능력과 문장 배열 능력 등 표현 기술적 측면에 대한 교육 내용이 강화되어야 하며, 수업 운영에 있어서도 단대의 특성과 수준별 차이를 고려한 분반 편성과 독립적 평가 방식이 필요하다.

      • KCI등재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 ChatGPT의 활용 가능성과 한계

        손달임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23 사고와표현 Vol.16 No.2

        This study delves into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employing ChatGPT within the context of general writing education and explores methods for actively integrating ChatGPT into classroom environments. As media coverage highlights the astonishing capabilities of ChatGPT, students’ curiosity about this novel technology intensifies. However, concerns regarding its potential misuse and ethical implications in writing education also escalate. While some skeptics reject the notion of ChatGPT replicating a human-like “thinking process” in writing, it has proven to exceed expectations with its advanced generation abilities in both form and content, seamlessly covering the entire writing process, from ideation to problem-solving, outlining, and editing. As a result, maintaining a rigid adherence to traditional writing education methods and outright prohibition of ChatGPT’s usage appear unrealistic. Instead, there arises a necessity to carefully contemplate how learners and instructors can actively harness the potential of ChatGPT in the classroom setting. This paper thoroughly examines the diverse roles ChatGPT can assume at each stage of the writing process while also identifying its inherent limitations. Moreover, we present a gradual approach to effectively integrating ChatGPT into cultural criticism writing classes. 이 연구는 교양 글쓰기 교육에서의 ChatGPT 활용 가능성과 한계를 짚어 보고 수업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최근 언론과 미디어에서 ChatGPT의 능력을 앞다퉈 보도하면서 새로운 기술에 대한 학생들의관심이 커지는 한편, 글쓰기 수업에서 이를 악용하는 것이나 글쓰기 윤리에 어긋나는 상황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ChatGPT가 ‘사고 과정으로서의 글쓰기’를 인간처럼 해낼 수는 없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으나, ChatGPT의 초고 작성 능력은 형식과 내용 면에서 예상 밖으로 뛰어나고, 아이디어 구상부터 문제제기, 목차 작성, 고쳐 쓰기 등 글쓰기의 전 과정을 완벽하게 수행해 낸다. 그러므로 전통적인 글쓰기 교육 방법만을 고수하며 ChatGPT의 활용을 금지하는방식은 비현실적이다. 이제는 수업 현장에서 학습자나 교수자가 능동적으로ChatGPT를 활용할 방법을 고민해야 할 것이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ChatGPT가 글쓰기의 전 과정에서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 그리고 그 한계는 무엇인지 살펴보고, 문화비평문 쓰기 수업에서 ChatGPT를 단계적으로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학술 보고서 서론 구조 분석- 한국인 대학생의 학술 보고서 서론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손달임 한말연구학회 2018 한말연구 Vol.- No.50

        As an introductory research in search of education methods for foreign students on how to write an introduction section, this study compares academic reports written by foreign students with those written by Korean students. First, introduction section structure model presented in Korean academic or thesis papers were examined from the established research. In addition, the text structure of introduction section of foreign and Korea students were compared to the already organized introduction model of the established research. Also, characteristics of discourse were examined by structural elements of an introduction section. As a result, often times, both foreign and Korean students deduced their research topic through presenting research background in the introduction. However, while Korean students concreted their research topic through narrowing down the scope of their research after presenting a broader background, most foreign students outlined their background referring to general facts related to their research topics. Moreover, while Korean students presented their thesis by drawing out problems of the research background and linking with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most foreign students presented their thesis directly form the analysis of status quo without mentioning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From now on, an organized introduction writing course of the curriculum in academic Korean writing will be provided through the text structure of the introduction written by foreign students and the result on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감정 형용사의 교육 연구 - ‘즐겁다’ 유의어의 의미와 사용 맥락 비교를 중심으로

        손달임 이화어문학회 2019 이화어문논집 Vol.49 No.-

        As introductory research in search of education methods for foreigners on how to distinguish Korean emotional adjectiv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ifferent meaning of the synonyms: ‘즐겁다’, ‘기쁘다’, ‘재미있다’, and ‘행복하다’. These words are beginner-level vocabulary, and are very frequently used. But Korean language learners are often confused when they learn these words, and they choose the wrong word when making sentences. This may be because they do not exactly understand the difference in meaning between a word they have already learned and a new word they are introduced to. Or else because they understand the basic meaning of each word but do not understand the figurative meaning or hidden meaning, and because they know the typical context in which each word can be used but do not know the various other situations. In order to effectively educate language learners on the meaning and context of synonyms, it is important to find the discriminatory meaning and context of each word.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sentences which use the words ‘즐겁다’, ‘기쁘다’, ‘재미있다’, and ‘행복하다’; and defin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ese words in meaning and context. In section 2, I explain the criteria for selecting the main words analyzed, and search for the difference in their meanings by examining their meaning and using the dictionary. In section 3, I explore what distinctive semantic components should be provided to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what is the typical context in which each word is used. Finally, I suggest an effective method for teaching Korean emotional adjectives. 본고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유의어의 의미를 변별하고 맥락에 맞는 적절한 어휘를 선택하여 문법적으로 정확한 표현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연구이다. 한국어 학습자들은 기존에 학습한 단어와 유사한 의미와 용법을 갖는 새로운 단어가 주어졌을 때 두 단어의 의미와 쓰임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여 단어 선택을 잘못 하는 오류를 종종 보이게 된다. 유의어의 학습 과정에서 학습자들이 보여주는 오류는 각각의 어휘들이 갖는 미묘한 의미 차이를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였기 때문일 수도 있고, 단어들의 기본 의미 혹은 주요한 사용 맥락은 알고 있으나 그 외의 주변 의미나 다양한 사용 맥락을 알지 못했기 때문일 수도 있다. 혹은 해당 어휘와 유의 관계에 있는 어휘들과의 차이, 특히 다른 단어들과의 공기 관계 등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일 수도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유의어 교수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각 어휘들의 변별적 의미뿐만 아니라 이들 어휘가 문장 내에서 사용되는 맥락 정보, 해당 어휘와 다른 어휘들과의 공기 관계나 통합 관계에 대한 정보들을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국어의 감정표현 어휘 중 한국어 교육 과정의 초급 단계에서 교육되며 사용 빈도도 높고 유의어의 종류가 많아 학습자들이 쉽게 변별하지 못하는 ‘즐겁다’ 관련 형용사를 대상으로 각 어휘의 변별적 의미를 살피고 그 사용 패턴을 비교,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 KCI등재

        갈등적 대화의 원리와 구조 연구 : TV 드라마에 등장하는 남녀의 대화를 중심으로

        손달임 이화어문학회 2008 이화어문논집 Vol.26 No.-

        본고는 TV드라마에 등장하는 갈등적 의사소통 상황에서 수행되는 대화의 특징과 구조를 분석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대화는 화행 목적과 관계 목적을 동시에 추구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목적을 모두 만족시키면서 대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화자와 청자는 일반적인 대화의 원리나 격식을 준수하게 된다. 그리고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대화는 대부분 일정한 구조를 보여주게 된다. 그러나 때로는 화자와 청자의 이해관계가 상충되는 경우가 있고, 이와 같은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대화는 일반적인 대화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대화와 그 특징 및 구조에서 차이를 보일 것이라는 점을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갈등적 대화 상황에서 나타나는 대화의 특징 및 구조가 무엇인지에 초점을 두고 논의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본고에서는 갈등적 대화 상황에서는 화자와 청자 간의 의견이나 이해관계가 상충되고 이러한 의견 대립이 언어 표현으로 나타나며, 대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협동의 원리’, ‘공손성의 원리’ 등의 일반적인 대화의 원리나 ‘순서 교대의 원칙’, ‘선호적 대응쌍의 구도’ 등의 대화 구조가 잘 지켜지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갈등적 대화 상황에서 시작 단계와 종료 단계가 자주 생략되며 특히 종료 단계에서 대화 참여자들의 합의 없이 대화가 일방적으로 중단되거나 대화 참여자가 대화장을 벗어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함을 지적하였다. 또한 갈등적 대화 상황에서는 ‘요구, 명령’과 ‘비난’ 화행이 자주 발견됨을 지적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s and structures of the conflict conversation by analyzing the TV dramas. The participants have 'speech act' and 'relationship' as an object in conversation situation, and they keep to the regular forms and principles in order to attain thess two objects of conversation. Conversation we used our daily life appears regular structures. But sometimes speaker and listener have opposite views, conversation appears the significantly different characters and structures in this case.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significant characters and structures of the conflict conversation. As a result, I examined that the interests of the conversers conflict and the difference of opinion is expressed during conversation. And I discussed that the participants violate the 'co-operative principle' and the 'politeness principle' in discord situation, and they disobey the 'rule of turn-taking', 'principle of preferred adjacency pairs'. In addition to, I argued that 'starting step' and 'ending step' is omitted, and conversation is interrupted without mutual agreement or one of the conversers get out of the place especially in the 'ending step'. Lastly, I discussed that 'demand', 'order, and 'blame' are used very well in conflict conversation.

      • KCI등재후보

        ‌대학 글쓰기 수업에서의 표기와 표현 교육 내용 구성에 관한 연구

        손달임 한국교양교육학회 2014 교양교육연구 Vol.8 No.4

        본고에서는 대학 글쓰기 수업에서 사용되는 교재를 검토하여 표기와 표현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현황을 살펴보고, 글쓰기 교육과정 내에서 표기와 표현에 대한 교육을 어떠한 방식으로 진행해야 하는지를 모색해 보았다. 어문 규정 및 어휘 선택, 문장 구성 등 표기와 표현에 관련된 교육 내용이 교재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교재에서 해당 내용을 자주 틀리거나 혼동하기 쉬운 유형별로 사례나 연습문제를 제시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었고, 잘못된 표기나 표현을 정확하게 고치는 연습을 통해 내용을 이해하도록 유도하고 있었다. 이러한 오류 수정 중심의 교육은 학생들의 실질적인 글쓰기 과정에서 적용하기 어려움이 많고 단발성 교육으로 끝날 우려가 있다. 또한 표현과 표기 교육을 글쓰기의 절차나 과정에 대한 교육과 분리된 경우가 많아 교육 내용 간의 연계가 부족하고 교육 효과를 지속하기 어렵다. 글쓰기 수업에서 표기와 표현에 대한 교육 시간이 2주에서 3주로 제한된다는 점은 이러한 문제를 더욱 심화시킨다. 그러므로 한정된 시간 내에 글쓰기 수업에서 표기와 표현에 대한 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 내용의 선정, 교육 내용의 구성 및 체계, 교육 자료의 제시 방법, 교수자의 교육 자료 활용 방법 등의 개선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contents construction of the notation and the expression in textbooks used in university writing courses, and to suggest methods to perform effective education. The part of the notation and expression mainly consists of examples that many student make habitually mistakes and exercises to correct error. But a detailed explanation about the fundamental principles is insufficient. It is because that a part of the notation and expressions is limited one or two weeks in the course of writing education. But Accuracy is of paramount importance in writing, and teaching about notation and expression is efficient to improve writing ability. S to raise effect of education within limited hours, and last longer, it is necessary to improve on the contents construction and teaching methods for the notation and the expression.

      • KCI등재

        감염병 보도문에 나타난 타자화와 경계짓기 -질병관리본부 보도자료와의 상호텍스트적 분석을 바탕으로-

        손달임 국제어문학회 2020 국제어문 Vol.0 No.86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intertextuality of COVID-19 news reports with the original press release. Looking at a series of news reports covering the COVID-19 outbreak, it is clear that some kind of text transformation occurs in the process of rewriting and the subjectivity of the text producer (news reporter) is involved in this process. Therefore, in this paper, ideological implications were analyzed by comparing news texts with press releases. Specifically, the two types of texts were compared based on (1) the selection and focusing of data, (2) the arrangement and contextual adjustment of data, (3) the reference and description of the data, and (4) the interpretation and evaluation of the data. In addition, we examined the distortion of information via text transformation and discussed the writer’s intentions, focusing on “othering” and “bordering.” 본 논문은 코로나19와 관련된 뉴스 보도문을 질병관리본부의 보도자료 원문과의상호텍스트적 분석을 통해 원발화로서의 선행텍스트가 뉴스 보도에 어떻게 인용되는지를 살피기 위한 것이다. 코로나19 발생 현황을 다루는 일련의 뉴스 보도를 보면 텍스트 재작성 과정에서 일종의 텍스트 변형이 일어나고 이 과정에서 텍스트 생산자(혹은 언론사)의 주관이 개입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코로나19 관련 뉴스 텍스트를 보도자료와 비교하여 그 이데올로기적 함의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1) 자료의 선택과 초점화 (2) 자료의 배열과 맥락화 (3) 자료의 지시와 서술 (4) 자료에 대한 해석과 평가의 기준에 근거하여 두 텍스트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선행 텍스트에 근거하여 후행 텍스트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형식과 내용상의 변형이 텍스트의 의미 해석에 어떤 차이를 가져오는지 살피고, 텍스트의 변형에 담긴 필자의 의도를 ‘타자화’와 ‘경계짓기’의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 KCI등재

        신문 사설에 나타난 여성 정치인에 대한 은유 표현 연구

        손달임,조남민 한말연구학회 2024 한말연구 Vol.65 No.9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cover metaphorical expressions related to female politicians by scrutinizing texts centered around 'female politicians' within the editorial discourses of prominent daily newspapers. The objective is to explore the social conceptualization of women in politics. The analysis involved editorials and columns discussing 17 female politicians, published between 2016 and 2023 in four major domestic daily newspapers: Chosun Ilbo, JoongAng Ilbo, Hankyoreh, and Kyunghyang Shinmun. Metaphors, symbols, and descriptive expressions concerning female politicians were extracted, duplicates were excluded, resulting in a final analysis of 230 expressions, including those conveying conceptual metaphors about women explicitly or implicitly. Employing Lakoff and Johnson's Conceptual Metaphor Theory, vocabulary and phrases related to female politicians were scrutinized, yielding conceptual metaphors such as 'child/tyrant/princess/villain/petty person/natural person/woman.' Within the scope of female politicians as the target domain, metaphorical expressions manifested across 7 source areas, yielding about 30 sub-concepts for each source area. The core semantic qualities of these sub-concepts were extracted, providing insight into the distinctiveness of each conceptual metaph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