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육화대(六花隊)의 문화변용

        성은미 무용역사기록학회 2021 무용역사기록학 Vol.61 No.-

        This study examines the court and private versions of Yukhwadae (六花隊, Formation of six flowers) of the Joseon Dynasty in order to identify the pattern of coexistent and exchange of different cultures such as the royal court and the private sector. The development and changes of Yukhwadae illustrate a way of cultural transformation of dance. To clarify the cultural transformation of Yukhwadae, this study analyzes the court's documentary records centering on Akhak Gyebum (Canon of Traditional Music) and the civilian literature records centering on the records of Gyobang Gayo (Song of Gyobang). In Yukhwadae, which was transferred to the public from the courts revealed through literature, all ritual articles of Dangakjeongjae, such as jukganja (pole bearer), uimul (instrument), and changsa (song or chant), were eliminated, and the overall format was simplified. In addition, the content of dance was selectively accepted and reinterpreted, and costumes and music were transformed to be suitable for the private sector.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strict form of the royal court Yukhwadae was exchanged with the private sector and transformed into a popular and diverse form suitable for civilian performances. As such, it was foun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at different cultures were exchanged between the royal court and the private sector during the Joseon Dynasty. I suggest to consider dance from a perspective of cultural exchange, researching various dance cultural exchanges, and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dance. 본 연구는 조선시대에 궁중과 민간이라는 서로 다른 문화가 공존하고 있었지만, 궁중무용인 육화대(六花隊)가 교방에 교류되어 민간무용 육화대로 문화변용 한 것을 밝히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무용을 통해 궁중과 민간의 문화교류를 드러내고자 했다는 데에 의미를 두며, 궁중무용과 민간무용의 교류를 육화대의 문화변용으로 밝힘으로써, 무용이 서로 다른 문화 교류에 의해 변화하고 발전하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당악정재 육화대는 무원 여섯 사람이 각각 꽃을 들고 춤을 추는 화무(花舞)로 조선시대 궁중에서연향되었다. 그러나 궁중무용 육화대가 교방에 교류되어 민간무용으로 연희되었던 문헌기록을 찾아 볼수 있었다. 민간의 문헌인 교방가요의 기록을 분석하여 궁중무용 육화대가 민간으로 전해지며 어떻게 문화변용 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궁중의 문헌 기록은 악학궤범을 중심으로, 민간의문헌 기록은 교방가요의 기록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육화대의 문화변용을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 궁중에서 민간에 전파된 육화대는 당악정재의 형식인 죽간자(竹竿子), 의물(儀物), 창사(唱詞)가 모두 변화되었으며, 형식이 간소화되었다. 또한 춤의 내용은 선택적으로 수용되어 재해석되었고, 복식과 음악은 민간에 적합하도록 변용되었다. 따라서 궁중의 엄격한 형식의 정재인육화대가 교방에 교류되어 민간 연희에 적합하도록 대중적이고 다양한 형식으로 변용되어 민간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조선시대 궁중과 민간이라는 서로 다른 문화가 교류하였음을 알 수 있었으며, 궁중무용과 민간무용이 교류하여 무용이 변화하고 발전하였다는 것을 밝혔다. 무용을 문화교류의시각으로 확장하여 바라보며 다양한 무용문화교류를 연구하여 무용 발전에 보탬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경기도 기초생활보장수급자 탈수급사유별 특징분석

        성은미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20 사회복지정책 Vol.47 No.3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the decisive factors of welfare exit among public assistance recipients, by focusing on the reasons of welfare exit. In this paper, the types of welfare exit are two : the exit based on escapes from poverty, the exit based on administrative dispositio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ate of the exit based on escapes from poverty was higher the younger, urban residents, conditional recipients and women than man. Second, The form of household is an important variable in the exit based on escapes from poverty in the case of Housing Aid.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policy was reviewed by the type of benefits. And the form of household and the gender should be considered in the policy of welfare exit. 본 연구는 기초생활보장제도 탈수급을 두 가지 유형 즉 탈빈곤을 전제로한 탈수급, 행정적 조치에 따른 탈수급으로 구분하고 탈수급사유별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특히, 맞춤형 개별급여제도도입에 맞춰 각 급여별로 탈빈곤-탈수급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2019년 경기도 기초생활보장탈수급자와 관련된 사회보장정보시스템 비정형 자료를 활용했다. 분석결과 남성보다 여성, 저연령, 도시지역 거주자, 조건부수급자의 탈빈곤-탈수급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급여별로 보면, 생계급여는 일반가구보다는 한부모가구, 도시지역, 조건부수급자의 탈빈곤-탈수급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의료급여는 일반가구보다 노인가구의 탈빈곤-탈수급 확률이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주거급여는 일반가구에 비해 한부모, 노인, 장애인가구 모두 탈빈곤-탈수급 확률이 낮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급여별로 탈수급요인이 다르다는 점, 여성, 저연령, 한부모가구의 공공부조의존성과 관련된 선행연구와는 다른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에 향후 자활사업, 취업성공패키지등의 사업에 젠더적 접근이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가구형태에 따라 주거급여 탈수급 이후 주거안정성 확보를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

      • KCI등재

        지역별 복지시설 설치의 불평등 현황분석 연구 - 경기도 아동이용시설, 노인이용시설, 장애인시설을 중심으로 -

        성은미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9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71

        This study analyzed that welfare facilities were unequally established by region after decentralization in Gyeonggi-do, focusing on children's use for children, facilities for the elderly, and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order to analyze the inequality status of welfare facilities in detail, the Standardized Score Dissimilarity(SSD) and the Focal Location Quotients(FLQ) were used. Both variables are develop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Location Quotients(LQ), which is mainly used to measure local specialized projec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s in the previous studies, welfare facilities were distributed unevenly.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children's use facilities and facilities for the disabled, which were found to be installed equally in the LQ, the SSD and FLQ were found to be unequally installed in each region.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FLQ, the limitations of over-installation of welfare facilities in the large rural areas were overcom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s in detail that the welfare facilities are unevenly distributed by region using SSD and FLQ.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를 대상으로 지역주민의 복지욕구와 관련되어 있는 복지시설이 지역별로 불평등하게 설치되어 있다는 점을 분석하였다. 경기도내 31개 시군을 대상으로 아동인구대비 아동이용시설, 노인인구대비 노인이용시설, 등록장애인인구 대비 장애인시설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복지시설의 불평등한 분포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표준화상이점수와 포칼입지계수를 활용했다. 두 지표 모두 복지시설 분포불평등 측정에 활용되어온 입지계수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에 개발된 지수들이다. 분석결과 복지시설 분포의 불평등을 분석한 선행연구들과 마찬가지로 복지시설은 불평등하게 분포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입지계수에서 평등하게 설치된 것으로 나타난 아동이용시설이나 장애인 시설의 경우에도 표준화상이점수나 포칼입지계수를 살펴보면, 지역별로 불평등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선행연구에서 주로 면적이 넓은 농촌지역에서 복지시설이 과잉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던 한계 역시 표준화상이점수를 활용하면서 개선되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이 표준화상이점수와 포칼입지계수를 활용해 지역별로 복지시설이 불평등하게 분포되어 있다는 점을 구체적으로 분석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문화교류 관점에서 본 조선시대 무용의 전파구조

        성은미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23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9 No.1

        This study seeks to clarify the transmission structure in which court dance and civil dance exchanged in the Joseon Dynasty within the broad category of cultural exchange.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cultural diffusion theory that culture evolves through exchange with other cultures, this study analyzes the structure of diffusion between court dance and folk dance in the Joseon Dynasty. For the analysis, I drew from Clark Wissler’s intentional and natural diffusion as well as Jeong Su-il’s direct and indirect diffusion. I collected data from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khak Gwebeom (樂學軌範), Jeongjae Mudoholgi (呈才舞蹈笏記), Uigwe (儀軌), Eupji (邑誌) and personal anthologie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a focus on human exchange in terms of the practical factors of diffusio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dance cultural exchange in the court was classified as intentional diffusion, including the two-way direct propagation among gisaengs and the one-way indirect propagation between gisaengs and audiences. Next, dance cultural exchange in the private sector was classified as natural diffusion, including the two-way direct propagation between gisaengs and entertainers and the one-way indirect propagation between gisaengs and audiences. Applying the cultural exchange theory of cultural anthropologists, this study is expected to expand the field of dance studies by providing a starting point for studying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dance from the viewpoint of cultural studies. 본 연구는 문화교류라는 큰 범주에서 조선시대 궁중무용과 민간무용이 교류한 전파구조를 밝혀 무용의 이론적 한계성을 넘어서 새로운 시각으로 의미화 하고자 한다. 문화는 다른 문화와 교류를 통해서 진화한다는 문화전파론을 이론적 배경에 두고, 조선시대에 문화가 다른 궁중무용과 민간무용의 전파구조를 분석하였다. 무용문화교류의 전파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문화전파론에서 클라크 위슬러(Clark Wissler)의 의도적 전파와 자연적 전파, 그리고 정수일의 직접전파와 간접전파를 적용하였으며, 전파의 실천적 요인을 기녀와 관객 등으로 인적교류에 무게를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무용문화교류의 전파구조를 도출하기 위하여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 악학궤범(樂學軌範) , 정재무도홀기(呈才舞蹈笏記) , 의궤(儀軌), 읍지(邑誌), 개인의 문집 등을 살펴보았으며,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먼저 궁중에서의 무용문화교류는 의도적 전파로 구분하였고, 여기에서 세분화하여 도출된 결론은 첫째, 기녀와 기녀 간의 쌍방향적 직접전파 둘째, 기녀와 관객 간의 일방향적 간접전파이다. 다음으로 민간에서의 무용문화교류는 자연적 전파로 구분하였고, 여기에서 세분화하여 도출된 결론은 첫째, 기녀와 예인 간의 쌍방향적 직접전파, 둘째, 기녀와 관객 간의 일방향적 간접전파이다. 본 연구는 문화교류 관점에서 조선시대 궁중무용과 민간무용의 전파구조를 분석한 연구로, 문화학 관점에서 무용학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연구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향후 무용문화교류 연구를 발전시켜 무용의 변화와 발전을 연구하는데 단초가 되었으면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