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갑상샘눈병증 윗눈꺼풀후퇴에서 보툴리눔독소, 트리암시놀론, 5-플루오로우라실 혼합주사의 효과

        성영제(Young Je Sung),박종서(Jong Seo Park),유혜린(He len Lew)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5

        목적: 윗눈꺼풀 후퇴를 보이는 갑상샘 눈병증 환자에서 보툴리눔독소, 트리암시놀론, 5-플루오로우라실을 혼합한 국소 주사치료를 시행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갑상샘 눈병증으로 진단 받은 환자 중, 윗눈꺼풀 후퇴로 윗눈꺼풀에 보툴리눔신경독소 A 4 IU/0.1 mL, 트리암시놀론 4 mg/0.1 mL, 5-플루오로우라실 5 mg/0.1 mL 혼합주사치료를 받은 환자 17명의 24안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43.9 ± 10.4세였고, 갑상샘눈병증의 유병기간은 17.4 ± 28.3개월이었으며 추적관찰기간은 9.0 ± 6.0개월이었다. 주사 치료 1개월 후 margin reflex distance 1 (MRD1)은 5.6 ± 1.2 mm에서 4.7 ± 1.1 mm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 tarsal platform show는 1.4 ± 1.3 mm에서 1.8 ± 1.3 mm, 눈물막파괴시간은 5.2 ± 3.1초에서 10.3 ± 7.8초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주사 후 MRD1이 1 mm 이상 교정된 치료 성공률은 66.7%였다. MRD1이 1 mm 이상 교정 유지된 것을 생존으로 보았을 때, 갑상샘눈병증 유병기간에 따른 생존분석에서는 유병기간 6개월 이하인 군에서 평균 유지기간 5.7개월, 6개월 초과인 군에서는 7.5개월로 유병기간이 6개월 초과인 군에서 유지기간과 50% 생존기간이 길었다. 주사 후 복시, 눈꺼풀처짐, 안압 상승 등의 심각한 부작용은 없었다. 결론: 윗눈꺼풀후퇴 환자에서 보툴리눔신경독소 A, 트리암시놀론, 그리고 5-플루오로우라실 혼합주사법은 단독 주사의 단점을 보완하고 장기적 섬유화의 억제를 도모하여, 지속기간이 길고 심각한 부작용이 없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이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and complications of mixed injections of botulinum neurotoxin A (BoNT-A), triamcinolone acetonide, 5-fluorouracil (5-FU) in patients with Graves upper eyelid retraction. Methods: Twenty-four eyes of 17 patients with a mean age of 43.9 years showed symptoms of Grave’s upper eyelid retraction (GUER). They received mixed injections of BoNT-A 4 IU/0.1 mL, triamcinolone acetonide 4 mg/0.1 mL and 5-FU 5 mg/0.1 mL via subconjunctival injection. The response to treatment and the presence of adverse effects were followed up for 9.0 ± 6.0 months and evaluated retrospectively. Results: Margin reflex distance 1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5.6 ± 1.2 mm to 4.7 ± 1.1 mm at 1 month after injection. Tarsal platform show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1.4 ± 1.3 mm to 1.8 ± 1.3 mm, and tear break up time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5.2 ± 3.1 seconds to 10.3 ± 7.8 seconds. When success was defined as the correction amount of GUER being larger than 1 mm, the success rate was 66.7%.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 showed that GUER correction effects last longer in patients with a duration of disease longer than 6 months. There were no severe adverse effects such as diplopia, blepharoptosis and intraocular pressure elevation. Conclusions: Mixed injections of BoNT-A, triamcinolone acetonide and 5-FU, which compensate the side effects of solitary injection and enhances the anti-fibrotic effect, improves the eyelid position and tear film stability in the patients with GUER. It is an effective and safe method for treating GUER with long maintenance with less adverse effects.

      • KCI등재

        안와하벽골절정복술 후 얼굴피부감각 변화에 관한 연구

        성영제(Young je Sung),이병준(Byeong Jun Lee),유혜린(He len Lew) 대한안과학회 2017 대한안과학회지 Vol.58 No.4

        목적: 단순 안와하벽골절 환자의 안와골절정복술 전후 얼굴의 안와아래신경 지배영역 감각 변화가 발생하는 데 영향을 주는 요인과 임상양상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1년 3월부터 2016년 3월까지 본원에서 안와하벽골절정복술을 시행 받은 171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수상기전, 골절양상, 수상 후 수술까지의 기간, 골절크기, 삽입물 종류, 삽입물 두께를 분석하였다. 수술 전과 수술 후 6주에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였고, 비수상안에서 안와아래신경관 길이와 각도를 측정하고 수술 후 1일, 1주, 6주, 6개월에 경과관찰 중 안와아래신경 지배 피부의 감각변화 유무와 관련된 임상적 특징을 조사하였다. 결과: 연령은 평균 30.4세, 남자 130명, 여자 41명이었고 수상 후 평균 9.5일에 정복술을 시행하였다. 감각이상은 술 전 9.9%, 술 후 1일에 38%였고, 6주에 13.5%로 회복되었으며, 6개월 이상 감각이상이 지속된 경우는 5.8%였다. 감각이상의 지속기간은 평균 20.5주였으며 안와아래 신경관의 길이가 짧을수록 6개월 이상 지속되는 감각저하가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안와하벽골절에서 발생하는 피부감각이상은 대부분 술 후 1주까지 나타나지만, 이후 지속되는 경우는 대략 20.5주가량 나타나다가 대부분의 경우 6개월 이내에 완전히 회복된다. 본 연구는 환자의 경과를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며, 따라서 수술 전 얼굴피부감각변화에 대하여 환자에게 충분히 설명이 필요하다. Purpose: To report the incidence of infraorbital nerve hypesthesia after inferior orbital wall fracture and reconstruction surgery and analyze the duration and factors to influence the occurence of the infraorbital nerve hypesthesia. Methods: From March, 2001 to March, 2016, the medical records of 171 patients with isolated orbital floor fracture reconstructed with porous polyethylene or titanium mesh was analyzed retrospectively. Injury mechanism, fracture type, time interval to surgery, fracture size, type and thickness of implant were analyzed. Orbit computed tomography scan was performed at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6 weeks. Results: Mean age was 30.4 years (male:female = 130:41). The mean time interval to surgery was 9.5 days. Incidence of infraorbital hypesthesia was 9.9% preoperatively, 38% in a week of surgery, 13.5% in 6 weeks and 5.8% in 6 months. Infraorbital hypesthesia lasts 20.5 weeks and the length of infraorbital canal was the only risk factor of persistent infraorbital hypesthesia. Conclusions: Postoperative infraorbital nerve hypesthesia presents in a week in most patients. It last about 20.5 weeks, then mostly recovers in 6 months. This study will be useful to predict the clinical course of the patients with infraorbital nerve hypesthesia. Therefore, full explanation about the facial sense change is necessary for the patients with inferior orbital wall fracture.

      • KCI등재

        외사시와 정상 소아 환자에서 펜타캠을 이용한 람다각의 측정

        성영제(Young Je Sung),남상민(Sang Min Nam),유혜린(He len Lew) 대한안과학회 2015 대한안과학회지 Vol.56 No.8

        목적: 소아 외사시환아와 정상환아에서 펜타캠(Pentacam HR, Oculus, Wetzler, Germany)을 이용하여 람다각을 측정하고 굴절이상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2013년 12월 9일부터 2014년 8월 5일까지 본원 안과에 내원한 16세 미만의 환자 135명의 135안(정상안 70안, 외사시안 65안)을 대상으로 펜타캠을 이용하여 동공중심과 각막반사점 간의 거리를 측정, 코사인 제2 법칙을 이용하여 람다각으로 환산한 결과와 구면대응치, 연령, 안축장 등의 변수를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 집단은 남자 70명, 여자 65명이고 평균 연령은 7.6 ± 3.7세였다. 평균 람다각은 4.66 ± 2.41o, 구면대응치는 -0.39 ± 2.39였다. 정상안과 외사시안으로 분류하였을 때, 람다각은 4.41 ± 2.23o, 4.92 ± 2.58o, 구면대응치는 -0.64 ± 2.69D, -0.11 ± 2.00D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근시, 정시, 원시안으로 분류하였을 때, 람다각은 3.95 ± 2.16o, 4.84 ± 2.62o, 5.30 ± 2.35o였다. 람다각은 구면대응치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상관계수=0.341, p<0.001). 연령과 람다각 간에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상관계수=-0.181, p=0.036), 안축장과 람다각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상관계수=-0.469, p=0.003). 결론: 펜타캠을 이용한 람다각 측정 결과는 기존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펜타캠을 통한 람다각 측정은 소아에서 신속하고 재현 가능하며 정량적, 객관적인 방법으로 추천될 수 있겠다. Purpose: We measured angle lambda in normal and exotropic patients using Pentacam HR (Oculus, Wetzler, Germany). The relationship between angle lambda and refractive error was analyzed in the present study. Methods: From December, 2013 to August, 2014, 135 eyes of 135 individuals under 16 years of age were enrolled in this study. Pentacam measures a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pupil and the corneal reflex point. The distance was converted to the angle lambda using the second law of cosines. All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 for Windows, version 21.0 (SPSS Inc, Chicago, IL, USA). The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when measuring angle lambda were calculated using in-dependent t-test, Mann-Whitney test and analysis of variance (ANOVA). Pearson's correlation test was us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among the variables. Results: The mean age was 7.60 ± 3.68 years. Mean angle lambda values of the normal and exotropia groups were 4.41 ± 2.23°and 4.92 ± 2.58°, respectively. To evaluate the association of angle lambda and refraction measures, individuals were further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myopia and hyperopia. The angle lambda values in the 3 groups according to refraction sta-tus (myopic, emmetropic and hyperopic) were 3.95 ± 2.16°, 4.84 ± 2.62° and 5.30 ± 2.35°, respectively. A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angle lambda and spherical equivalent (correlation coefficient = 0.341, p < 0.001).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angle lambda and age (correlation coefficient = -0.181, p = 0.036).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xial length and angle lambda (correlation coefficient = -0.469, p = 0.003). Conclusions: The results in this study were in agreement with the results from previous studies.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the pupil and the point of corneal reflection using Pentacam is recommended as a quick, objective, quantitative and reproducible method to measure the angle lambda in children.

      • KCI등재

        환자별 계획된 아래눈꺼풀성형술 후 아래눈꺼풀의 위치 변화에 관한 연구

        성영제(Young Je Sung),박종서(Jong Seo Park),유혜린(Helen Lew) 대한안과학회 2015 대한안과학회지 Vol.56 No.12

        목적: 눈꺼풀노화에 따라 아래눈꺼풀의 형태는 환자별로 다양하다. 그러므로 아래눈꺼풀성형술을 할 때 눈꺼풀 상태에 맞춘 개별화된 수술 방법으로 합병증을 최소화하고 만족도 높은 눈꺼풀성형술을 시행할 수 있다. 저자들은 아래눈꺼풀성형술을 시행 받은 환자에서 수술 후의 미용적 개선을 아래눈꺼풀의 형태학적 계측을 통해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9년 8월부터 2014년 8월까지 본원 안과를 내원하여 아래눈꺼풀성형술을 받은 환자 168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나이는 62.1 ± 13세, 평균 관찰 기간은 6.0 ± 10.2개월이며, 수술 전과 술 후 1개월, 최종 관찰 시 사진을 Image J Program을 이용하여 Marginal reflex distance 1 (MRD1), Marginal reflex distance 2 (MRD2), marginal nose distance (MND) 값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아래눈꺼풀성형술을 받은 환자 168안에서 MRD2는 수술 전 5.4 ± 1.1 mm에서 수술 후 4.9 ± 0.8 mm로 감소되고(p=0.005),MND도 수술 전 59.2 ± 18.3 mm에서 수술 후 61.9 ± 17.6 mm로(p<0.001) 증가되어 전반적으로 아래눈꺼풀 후퇴가 호전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결론: 안와지방탈출 및 환자의 눈꺼풀 위치와 이완을 고려한 환자별 개별화된 아래눈꺼풀성형술을 통해 아래 눈꺼풀의 위치 호전을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Purpose: Various forms and degrees of morphological changes in the lower eyelid are presented in this study. A comprehensive, individualized clinical approach based on sound anatomical principles and lower lid stability is needed. We evaluated morphological outcomes of lower blepharoplasty by measuring lower eyelid position. Methods: One hundred sixty-eight eyes underwent lower blepharoplasty between August 2009 and August 2014. The mean patient age was 62.1 ± 13 years and mean follow-up period was 6.0 ± 10.2 months. Lower eyelid position of 84 consecutive primary lower blepharoplasty patients (52 females and 32 males) was analyzed using digital images and measured with standardized data points using the Image J Program. Results: Of the 168 individualized lower eyelid blepharoplasties analyzed, margin reflex distance 2 (MRD2) decreased from 5.4 ± 1.1 mm to 4.9 ± 0.8 mm (p = 0.005) and marginal nose distance (MND) increased from 59.2 ± 18.3 mm to 61.9 ± 17.6 mm (p< 0.001). Complications after lower blepharoplasty were not observed. Conclusions: The position of the lower eyelid improved after individualized lower blepharoplasty that addressed all the anatomical lower eyelid findings was performed.

      • KCI등재

        Spur-line과 PM Diode를 이용한 편파변환 특성을 갖는 정사각형 패치 안테나

        장태언,성영제,김영식,Jang Tai-Un,Sung Young-Je,Kim Young-Sik 한국전자파학회 2004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15 No.12

        본 논문에서는 정사각형 패치 안테나에 핀 다이오드(PIN diode)를 사용하여 편파변환 특성을 갖는 새로운 형태의 안테나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안테나는 정사각형 패치면 위에 한 쌍의 스퍼라인(spur-line)과 스퍼라인 위에 핀 다이오드를 삽입한 구조이다. 스퍼라인은 핀 다이오드의 on/off특성에 의해 I형 슬롯라인(slot-line)과 L형 스퍼라인의 형태로 변환되어 편파 변환 특성을 나타내었다. 안테나의 측정 결과 선형편파로 동작할 때에는 -15 dB 이상의 낮은 교차 편파 특성을 나타내었고, 원형편파로 동작할 때에는 0.83 dB의 좋은 축비 특성을 나타내었다. 안테나의 -10 dB대역폭은 on/off상태에 따라 각각 $2.1\%$와 $4.1\%$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원형편파로 동작하는 안테나의 축비 대역폭은 $3.5\%$의 비교적 넓은 대역폭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제안된 안테나는 동일한 대역폭 안에서 편파 변환 특성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단일 안테나를 이용하여 주파수를 재사용하는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다. In this paper, a novel microstrip patch antenna with switchable polarization is proposed. The proposed antenna has a simple structure, consisting of a square radiating patch, a pair of L-type spur-lines, and a microstrip line feed. It can produce either linear polarization or circular polarization by setting the diode on or off From the measured results, low cross polarization levels when operated in the linear polarization, and good axial ratios in the circular state have been observed.

      • KCI등재

        눈물흘림 환자에서 누도미세내시경의 임상적 유용성

        임성웅(Sung Woong Lim),성영제(Young Je Sung),유혜린(Helen Lew) 대한안과학회 2017 대한안과학회지 Vol.58 No.5

        목적: 눈물흘림 환자에서 시행한 누도미세내시경술과 눈물주머니조영술 소견을 비교하고 임상적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4년 12월부터 2016년 2월까지 본원 안과에 눈물흘림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 중 눈물소관관류술과 눈물주머니조영술 그리고 누도미세내시경술을 시행한 23명 31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 환자의 임상적 특징과 눈물주머니조영술과 누도미세내시경의 소견을 비교하고 검사 간의 일치 여부를 분석하였다. 결과: 관류검사상 13안(41.9%)은 완전폐쇄, 7안(22.6%)은 부분폐쇄, 11안(35.5%)은 개통의 소견을 보였다. 관류검사에서 완전폐쇄를 보였던 13안 중 11안(84.6%)에서 눈물주머니조영술과 누도미세내시경에서 완전폐쇄 소견을 보였고 폐쇄 위치와 정도의 일치함을 확인 하였다. 관류검사에서 완전폐쇄의 소견을 보인 13안 중 11안(84.6%)은 눈물주머니조영술에서 완전폐쇄를 보였고, 2안(15.4%)은 확장 소견을 보였다. 눈물주머니조영술과 누도미세내시경에서 막힘의 위치는 차이가 없었으나 눈물주머니조영술에서 완전폐쇄 소견을 보였던 12안은 누도미세내시경에서 협착(4안, 33%), 육아조직(3안, 25%), 점액질(2안, 17%), 누석(1안, 8%), 그 외 소견(2안, 17%)을 보였 고, 조영술에서 부분폐쇄를 보였던 19안은 내시경에서 협착(6안, 31.6%), 점액질(5안, 26.3%), 육아종(4안, 21%), 누석(4안, 21%) 소견을 보였다. 결론: 누도미세내시경은 눈물주머니조영술에서 알 수 없는 눈물길 내부의 소견을 실시간으로 관찰 가능하게 하여 눈물흘림 환자의 눈물배출계를 조사하는 데 있어서 유용한 검사이다. <대한안과학회지 2017;58(5):495-502>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efficacy of lacrimal endoscopy in patients with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NLDO) and to compare the dacryocystography (DCG) and lacrimal endoscopic findings between patients with epiphora.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31 eyes of 23 patients who underwent an irrigation test, DCG, and lacrimal endoscopy from December 2014 to February 2016. We compar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dacryocystographic findings, and lacrimal endoscopic findings of the patients, and analyzed whether or not these findings agree. Results: Thirty-one eyes showed complete obstruction (13 eyes, 41.9%), partial obstruction (7 eyes, 22.6%), or patency (11 eyes, 35.5%) on irrigation test. Thirteen eyes with complete obstruction on irrigation test presented with complete obstruction (11 eyes, 84.6%) or secondary dilation (2 eyes, 15.4%) of the lacrimal sac at DCG. In terms of the level of obstruction,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examinations. However, twelve eyes with complete obstruction at DCG; showed narrowing (4 eyes, 33%), granulation tissue (3 eye, 25%), mucus occlusion (2 eyes, 17%), stones (1 eye, 8%), or mucosal edema (2 eyes, 17%) on lacrimal endoscopy. Nineteen eyes with partial obstruction at DCG showed narrowing (6 eyes, 32%), mucus (5 eye, 26%), granulation tissue (4 eyes, 21%), or stones (4 eyes, 21%) on lacrimal endoscopy. Conclusions: Lacrimal endoscopy allowed real-time observation inside the lacrimal passage that cannot be detected using DCG. Both methods provide comprehensive investigations of the nasolacrimal passage system, and these methods are complementary to understand the pathophysiology of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as well as planning treatment. Lacrimal endoscopy is very useful in investigating the lacrimal drainage passage in patients with NLDO, and this method is comparable to DCG. J Korean Ophthalmol Soc 2017;58(5):495-50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