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선천성 코눈물관 막힘 환아에서 탐침술의 임상적 결과

        임성웅(Sung Woong Lim),박종서(Jong Seo Park),유혜린(He len Lew)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7

        목적: 선천성 코눈물관 막힘 환아에서 탐침술의 적절한 치료시기 및 결과, 그리고 치료 성공에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05년 1월부터 2015년 1월까지 눈물흘림 및 안분비물을 주소로 내원하여 선천성 코눈물관 막힘으로 진단 받고 탐침술을 시행 받았던 174명 200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시술 시행 시의 연령, 시술 전 치료, 편측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시술 후 3개월이상 눈물흘림의 증상이 없는 경우를 시술 성공으로 보고 환아군을 성별, 연령별, 편측성 여부, 이전 탐침술 여부에 따라 나누어 각 군의 성공 여부를 비교하였다. 결과: 환아 174명(200안)중 남아 94명(109안), 여아 80명(91안)의 시술 시 나이는 7.51 ± 3.39개월이고, 첫 번째 탐침술의 성공률은 163안/200안(81.5%)이었다. 남아의 성공률은 88안/109안(80.7%), 여아는 75안/91안(82.4%)에서 성공하였고 성별에 따른 성공률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탐침술을 시행한 연령에 따른 성공률은 A군(6개월 이하)에서 76안/91안(83.5%), B군(6개월 초과 12개월 이하) 72안/90안(80.0%), C군(12개월 초과) 15안/19안(78.9%)이었다. 탐침술의 시행시기에 따른 성공률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단측으로 증상을 가지는 환자의 성공률은 128안/148안(86.4%)이었으며, 양측의 경우는 35안/52안(67.3%)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우안의 성공률은 88안/105안(83.8%), 좌안의 성공률은 75안/95안(78.9%)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첫 번째 탐침술이 실패한 37안 중 24안은 탐침술을 다시 시행하였고, 17안/24안(70.8%)의 성공률을 보였으며, 반복적인 탐침술에도 증상 호전이 없는 4안은 실리콘관 삽입술을 시행하였다. 전체 탐침술의 성공률은 180안/200안(90%)이었다. 결론: 탐침술을 시행하는 연령에 따른 성공률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양안 코눈물관 막힘으로 치료적 탐침술을 시행하는 경우 단안에서보다 성공률이 낮았다. 선천성코눈물관 막힘에서 탐침술은 효과적인 1차 치료방법이며, 양안의 눈물흘림 증상을 가지는 환아에서 보다 주의 깊은 경과 관찰 및 추가치료 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대한안과학회지 2016;57(7):1031-1036> Purpose: To determine the success rate of probing for the treatment of congenital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and to identify the clinical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 rates. Methods: The records of probing procedures from January 2005 to January 2015 were reviewed. The present study included 200 eyes of 174 patients with congenital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Successful probing was defined as complete resolution of epiphora 3 months after treatment. Success rates were compared between the 2 groups in terms of sex, age, laterality, and previous probing. Results: A total of 200 eyes of 174 children (109 eyes of 94 males and 91 eyes of 80 females; mean age, 7.51 ± 3.39 months) had undergone the probing procedure. The overall success rates of primary probing were 81.5%, with an 80.7% success rate in males (88 eyes of 109 eyes) and 82.5% in females (75 eyes of 91 eyes). Success rates were 83.5% for the 91 eyes in children aged 0 to 6 months, 80.0% for the 90 eyes in children 6 to 12 months, and 78.9% for the 19 eyes in children over 12 months. No statistical significances were found among age groups. The probability of treatment success was lower in bilateral disease (p < 0.05; 86.4-67.3%). Twenty-four of 37 eyes with unsuccessful primary probing underwent secondary probing, resulting in a 70.8% success rate. Silicone tube insertion was performed in 4 eyes repeatedly, however, the procedures were unsuccessful. The overall success rate was 90%. Conclusions: The success rates among various age group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probability of treatment success was lower in bilateral cases. Probing is an effective first-line treatment in children diagnosed with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Close observation and appropriate treatment should be considered in patients with bilateral disease. J Korean Ophthalmol Soc 2016;57(7):1031-1036

      • KCI등재

        눈물흘림 환자에서 누도미세내시경의 임상적 유용성

        임성웅(Sung Woong Lim),성영제(Young Je Sung),유혜린(Helen Lew) 대한안과학회 2017 대한안과학회지 Vol.58 No.5

        목적: 눈물흘림 환자에서 시행한 누도미세내시경술과 눈물주머니조영술 소견을 비교하고 임상적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4년 12월부터 2016년 2월까지 본원 안과에 눈물흘림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 중 눈물소관관류술과 눈물주머니조영술 그리고 누도미세내시경술을 시행한 23명 31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 환자의 임상적 특징과 눈물주머니조영술과 누도미세내시경의 소견을 비교하고 검사 간의 일치 여부를 분석하였다. 결과: 관류검사상 13안(41.9%)은 완전폐쇄, 7안(22.6%)은 부분폐쇄, 11안(35.5%)은 개통의 소견을 보였다. 관류검사에서 완전폐쇄를 보였던 13안 중 11안(84.6%)에서 눈물주머니조영술과 누도미세내시경에서 완전폐쇄 소견을 보였고 폐쇄 위치와 정도의 일치함을 확인 하였다. 관류검사에서 완전폐쇄의 소견을 보인 13안 중 11안(84.6%)은 눈물주머니조영술에서 완전폐쇄를 보였고, 2안(15.4%)은 확장 소견을 보였다. 눈물주머니조영술과 누도미세내시경에서 막힘의 위치는 차이가 없었으나 눈물주머니조영술에서 완전폐쇄 소견을 보였던 12안은 누도미세내시경에서 협착(4안, 33%), 육아조직(3안, 25%), 점액질(2안, 17%), 누석(1안, 8%), 그 외 소견(2안, 17%)을 보였 고, 조영술에서 부분폐쇄를 보였던 19안은 내시경에서 협착(6안, 31.6%), 점액질(5안, 26.3%), 육아종(4안, 21%), 누석(4안, 21%) 소견을 보였다. 결론: 누도미세내시경은 눈물주머니조영술에서 알 수 없는 눈물길 내부의 소견을 실시간으로 관찰 가능하게 하여 눈물흘림 환자의 눈물배출계를 조사하는 데 있어서 유용한 검사이다. <대한안과학회지 2017;58(5):495-502>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efficacy of lacrimal endoscopy in patients with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NLDO) and to compare the dacryocystography (DCG) and lacrimal endoscopic findings between patients with epiphora.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31 eyes of 23 patients who underwent an irrigation test, DCG, and lacrimal endoscopy from December 2014 to February 2016. We compar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dacryocystographic findings, and lacrimal endoscopic findings of the patients, and analyzed whether or not these findings agree. Results: Thirty-one eyes showed complete obstruction (13 eyes, 41.9%), partial obstruction (7 eyes, 22.6%), or patency (11 eyes, 35.5%) on irrigation test. Thirteen eyes with complete obstruction on irrigation test presented with complete obstruction (11 eyes, 84.6%) or secondary dilation (2 eyes, 15.4%) of the lacrimal sac at DCG. In terms of the level of obstruction,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examinations. However, twelve eyes with complete obstruction at DCG; showed narrowing (4 eyes, 33%), granulation tissue (3 eye, 25%), mucus occlusion (2 eyes, 17%), stones (1 eye, 8%), or mucosal edema (2 eyes, 17%) on lacrimal endoscopy. Nineteen eyes with partial obstruction at DCG showed narrowing (6 eyes, 32%), mucus (5 eye, 26%), granulation tissue (4 eyes, 21%), or stones (4 eyes, 21%) on lacrimal endoscopy. Conclusions: Lacrimal endoscopy allowed real-time observation inside the lacrimal passage that cannot be detected using DCG. Both methods provide comprehensive investigations of the nasolacrimal passage system, and these methods are complementary to understand the pathophysiology of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as well as planning treatment. Lacrimal endoscopy is very useful in investigating the lacrimal drainage passage in patients with NLDO, and this method is comparable to DCG. J Korean Ophthalmol Soc 2017;58(5):495-50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