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생에너지 기업의 수출에 대한 지식스필오버의 영향

        성봉석,송우용 한국무역연구원 2020 무역연구 Vol.16 No.6

        We explore the effects of public subsidies on exports while taking into account inter-firm spillover effect, focusing on the Korean renewable technology firms. Design/Methodology/Approach We use panel data for 99 firms over the 30-year period from 1980-2019. Considering the results of various diagnostic tests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ta, we establish a dynamic panel vector autoregressive model in the fist differences that consider the results of the diagnostic tests, which is followed by estimation of the one-step system generalized method of moments. Findings We find convincing evidence of the presence of the direct and indirect (spillover) effects of firms’ knowledge on export. We also find that non-R&D subsidy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firms’ exports, and that R&D subsidy has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the exports. Firms’ productivity contributes to export enhancement. Learning-by-export is demonstrated, by showing that there is a dynamic path in export, meaning the export in the previous period is a source of the export in the present period. Research Implications We contribute to an understanding of government subsidies on firms’ exports whiling considering firms’ knowledge spillover effect, which is not tackled in the literature. We propose some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long with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 KCI등재

        재생에너지 산업의 수출특화 구조변화 분석

        성봉석,송우용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0 국제지역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40개 국가를 대상으로 1995년에서 2007년까지의 기간 동안 재생에너지 산업의 무역특화문제와 관련하여 국별 수출특화패턴의 안정성 여부와 세분 산업별 수출특화패턴의 국가 간 수렴 또는 발산 여부를 Galtonian regression model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별 수출특화패턴의 안정성 견지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국별 수출특화패턴에는 변화가 없지만, 평균적으로 초기에 비교우위가 낮았던 부문의 우위가 증가하는 반면 초기에 비교우위가 높았던 부문의 위위가 감소함으로써 비교우위 부문과 비교열위 부문 사이에 차이가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지수에 기초한 수출경쟁력 지위의 변화를 볼 때도 한국, 중국, 그리스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가 1995년-2007년 사이에 대체적으로 비교우위(16개 국가) 또는 비교열위(17개 국가)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였으며, 호주, 네덜란드, 러시아를 제외한 거의 모든 국가의 평균회귀효과와 이동성효과가 작아 전반적으로 각국의 수출특화패턴이 강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재생에너지 산업에서의 국별 수출특화패턴이 경로의존성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둘째, 수출특화가 발생한 제품 수의 증가 여부와 경쟁력 지위변화 정도는 국가 간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23개 국가가 수출특화 제품범위가 증가()되었으며, 14개 국가가 수출특화 제품범위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폴란드, 체코, 헝가리, 아이슬란드, 포르투갈, 인도네시아, 스페인, 그리스, 에스토니아, 덴마크, 인도, 아일랜드, 중국, 한국은 안정적인 상태로 수출특화패턴을 유지하면서 수출특화제품의 확대(9개 국가) 또는 집중(5개 국가)을 통해 경쟁력 지위를 개선시키고 있는 것을 나타났다. 셋째, 산업별 국가 간 수출특화패턴의 수렴여부의 견지에서 수력에너지 산업과 태양에너지 산업을 제외한 4개 산업에서 평균적으로 비교우위정도가 낮았던 국가들의 우위가 증가하고 반면 비교우위정도가 높았던 국가의 우위는 감소()함으로써 이들 산업에서 국별 수출특화패턴이 약간 수렴하는 현상이 나타나 바이오매스에너지 산업, 풍력에너지 산업, 지열에너지 산업, 해양에너지 산업 부문에서 관련 기술의 국제적 확산으로 국가 간 기술수준의 차이가 감소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is paper has analyzed world export competition in renewable energy industry. Especially this paper examines whether the 40 countries are characterized by a high degree of stability of their export specialization patterns of renewable energy industry at the country level or not. The paper applies a period of 13 years from 1995 to 2007. The intra-country results show that the national specialization pattern is rather sticky, although there is a tendency for countries to . The changes in RSCA index also support the results. It hints that in general, the national export specialization patterns are rather stable, which means the pattern has a path dependency. However, the degree of export specialization, in terms of the range of products in which specialization occurs, has increased in 23 countries() and decreased in 14 countries() over the past 13 years. It seems likely that the degree of the change in relative competitive position is not closely related to the range of products in which specialization occurs, the striking finding in which is that Korea, including China, Greece, Brazil, Iceland, India, Indonesia, Ireland, Netherlands, Norway, Portugal, Spain as countries that comparative disadvantage and advantage have been improved and have been newly obtained, respectively, has a higher export competitive position than before. The sector-wise results display convergence in biomass energy, wind energy, geothermal energy, ocean energy industry in terms of both the and , which means the technology related to renewable energy has been spread among countries around the world and the technological gap among countries has been narrowed over the past.

      • KCI등재

        Export Competitiveness and Technological Capability in Bioenergy Sector

        성봉석,조원권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2 아태연구 Vol.19 No.2

        This paper tests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each country's export comparative advantage and technological capability in bioenergy technology sector using panel data from 20 OECD countries over the period from 1993 to 2008. The study implements heterogeneous panel unit root tests and cointegration tests, taking the normality and cross-section dependence test into account. The study finds evidence that there is co-movement among the series. Thus, the empirical model to test the casual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in question is based on the panel VECM model and implements panel GMM estimation to determine the dynamic relationships between the series to deal with a simultaneity problem introduced by difference and existence of heteroscedasticity in the genuine errors across industries. The long-run relationship emerging from the DOLS results indicates that 1 unit increase in technological capability increases trade comparative advantage by some 2.3 unit. The RSCA and CO2PC variables respond to a deviation from the long-run equilibrium in the previous period. In the causality results, this study finds evidence of a positive short-run and strong linear causal relation running from RSCA to TSCA, and a positive strong linear causal relation running for TSCA to RSCA.

      • KCI등재

        재생에너지 기술의 수출에 대한 정치․경제요인의 영향 분석

        성봉석,유념 대한경영정보학회 2018 경영과 정보연구 Vol.37 No.2

        본 연구는 정치․경제 요인이 재생에너지 기술의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은 1992년부터 2012년까지의 OECD 19개 회원국의 패널 자료를 이용하였다. 실증모델을 설정하기 전 데이터의 특성 파악을 위한 다양한 패널 프레임워크 분석(정규성, 구조변화, 1차 자기상관, 패널 이분산성, 패널 개체 간 상호의존성, 패널 단위근 검정)을 수행하였다. 패널 프레임워크 분석결과를 고려하여 데이터 특성에 부합하는 실증모형을 설정하고, 동태 패널 모델의 편의를 최소화하기 위해 Bias-corrected Least Square Dummy Variable Estimator(LSDVC)를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공식적인 강제압력으로 표출되는 정부의 수요견인정책과 경쟁압력을 표출되는 시장매력도는 재생에너지 기술의 수출신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그렇지만, 정치요인 중 규범적 압력으로 표출되는 전통에너지산업의 주도와 비공식적인 강제압력으로 표출되는 공공압력은 재생에너지 기술의 수출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재생에너지 산업의 성장과 수출 촉진과 관련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question of how political and economic factors may affect the export of renewable energy technologies. The relationships are tested using panel data for 19 OECD member countries over the period 1992-2012. Before establishing the empirical model, the current study check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nel data, which includes various panel framework analyses, such as tests for the presence of normality, structural breaks, first-order autocorrelation, heteroscedasticity, cross-sectional dependence, panel unit-root. From the panel framework analyses, a dynamic panel model is established to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examined in this study. In order to reduce the bias of the estimation of the dynamic panel model and obtain efficient parameters, this study uses the bias-corrected least square dummy variable(LSDVC) estimator to estimate the empirical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governmental policies expressed as coercive pressure and market size positively affect the export growth of renewable energy technologies. However, public pressure and traditional energy industry have no significant effects on export performance. Policy implications are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 KCI등재

        재생에너지기업의 수출시장 선택 영향요인 분석

        성봉석 한국무역통상학회 2021 무역통상학회지 Vol.21 No.5

        The study investigates the question of how firms’ external factors affect their selection of export market using survey-based data for 252 renewable energy technology firms in Korea. Considering the situation and reality where each country, including Korea, employs policy mix to promote renewable energy technology industry, firms are actual beneficiaries and core economic entities of export, and renewable energy technology market is growing, we established a binary logistic regression model to test the effects of public policies(renewable energy industrial policy, environmental policy, and export promotion policy), social acceptance, trade association support, market attractiveness, and inter-firm competition on firm-level export. After confirm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tems to measure each construct, we test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to be examined. This study shows the Korean renewable energy technology firms’ export is affected mainly by two public policies and industry factor, environmental policy, export promotion policy, and supports of trade association. However, renewable energy industrial policy, social and market factors(social acceptance, market attractiveness, inter-firm competition) do not significantly affect firm-level export. We propose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nd list the limitations that should be addressed in future research.

      • KCI등재후보

        재생에너지 산업에 대한 무역기반 경쟁지위 변화와 수출신장요인 분석

        성봉석,유진만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0 社會科學硏究 Vol.36 No.2

        This paper has analyzed the world trade competition in renewable energy industry, on the 40 countries, from 1995 to 2007. The results of this article and the implications for trade are the following. First, there are 16 countries and 17 countries that have sustained their comparative advantage and their comparative disadvantage over the period, respectively. It hints that in general, the national export specialization pattern is rather stable. And then, the results of constant market share analysis show that most countries’ expansion rate of export sale, except that of Australia, Greece, Japan, New Zealand, UK, was higher than global export expansion rate of total products and most countries’ export, except South Africa, Russia and Luxembourg, has been led by the global demand growth of renewable energy. Finally, overall, there is a tendency for countries to converge in their export specialization, which means the technology related to renewable energy has been spread among countries around the world and the technological gap among countries has been narrowed over the period. 본 연구는 지난 1995년-2007년 사이 40개 국가를 대상으로 무역기반 경쟁력 및 경쟁지위의 변화와 수출신장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그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쟁지위 변화분석결과, 대부분의 국가가 분석대상 기간 동안 비교우위(16개 국가) 또는 비교열위(17개 국가)를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대체적으로 국별 수출특화패턴이 경로의존성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둘째, 한국을 포함하여 중국, 그리스, 브라질, 아이슬란드, 인도, 인도네시아, 아일랜드, 네덜란드, 노르웨이, 포르투갈, 스페인은 비교열위가 개선되거나 비교우위지위를 새로이 확보함으로써 수출경쟁지위가 높아졌을 뿐만 아니라 그 상승률 역시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출신장에 경쟁력 요인이 기여한 바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불변시장점유율 분석결과, 대부분 국가(호주, 그리스, 일본, 뉴질랜드, 영국 제외)의 재생에너지 수출신장률이 세계 무역총액신장률을 상회하고 있으며, 재생에너지에 대한 세계 수요신장은 대부분 국가(남아공, 러시아, 룩셈부르크 제외)의 수출을 신장시킨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경쟁지위 변화분석과 불변시장점유율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국가 간 경쟁력 차이가 감소됨으로써 국가 간 수출특화패턴이 수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재생에너지 관련 기술 확산으로 인해 기술수준 차이가 감소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이해관계자압력, 환경관리활동, 환경대응능력 및 성과 간 관계분석

        성봉석,황경연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0 산업혁신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환경적 압력이 제도적 환경과 과업 환경에서 표출된다는 기존연구의 내용을 토대로 환경맥락에서 부과되는 이해관계자 압력 성향을 파악하고, 각각의 압력이 기업의 환경관리활동, 즉 규범준수활동과 혁신지향활동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활동이 능력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제조 기업을 대상으로 PLS를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와 그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도적 환경 맥락에서 산업협회와 소비자가 기업의 규범준수활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업 환경맥락에서 경쟁기업과 소비자가 기업의 혁신지향활동에 유의한 정(+)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환경관련 혁신지향활동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친환경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높은 수익을 보장하는 시장 환경의 조성을 통한 기업 간 경쟁을 촉진하는 정책의 수행과 소비자의 환경의식 제고 및 고취 등을 통한 친환경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요구를 증대시키는 방향으로의 정책 수행이 요구되며, 규범준수활동 역시 산업협회와 소비자를 대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정책방안의 모색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혁신활동만이 환경대응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창출된 환경대응능력은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5%의 수준에서 혁신활동과 규범준수활동은 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환경관리활동을 통한 성과의 제고에 있어 기업의 자발적인 조직적 학습에 기초한 시장지향활동을 수행함으로써 완전한 후속혁신을 보장하는 방향으로 정부정책을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나아가야 할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게다가 기업 역시 환경문제에 대한 적극적이고 전향적으로 대처하여 환경문제와 관련된 소비자 및 시장정부의 수집 및 평가, 조직 내 유포 등을 포함하는 조직적 학습과 이를 통한 혁신활동의 수행을 위해 부단히 노력하여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GMOs에 대한 SPS 협정의 적용성에 관한 소고: EC-Biotech 사건을 중심으로

        성봉석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09 국제지역연구 Vol.18 No.3

        This paper analyzes WTO Panel's decision on the application of the SPS Agreement to biotech products. The Panel's decision has three implications for trade policies on GMOs in the future. First, the Panel, based on the definition of dictionary, FAO, Codex, IPPC, ISPM, concluded that GMOs could be considered as risk factors within the meaning of SPS Agreement. Based on the Panel's approach and conclusion, other GMOs as well as fusion products derived from NT, BT or IT can be considered as risk factors within the meaning of SPS Agreement. The Panel's approach showed that the WTO would lack much consideration of enactment or amendment of rules harmonized with innovative products development in the future. Second, the Panel admitted that other damage could include any damage in terms of economic value, property or biodiversity. It is likely that the WTO would admit the members' right to adopt the SPS measures by taking into account various socio-economic factors related to GMOs in the future. That, however, is different from whether each WTO member's SPS measures on GMOs can be in accordance with the rules of SPS Agreement. Finally, the Panel recognized regulations of GMOs could be considered as measure included in the SPS Agreement. The Panel's decision will act as the limitation in justification of the members' trade policies on GMOs taking into account its socio-economic factors in the future. EC-Biotech 사건의 패널은 GMOs를 SPS 협정에 부합하는 위험요인으로 간주하고, 이로 인한 위험으로부터의 보호범위, 즉 피해를 광의적으로 인정하고 있다. 이러한 WTO 패널의 판결내용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주고 있다. 첫째, WTO가 작물 이외의 여타 GMOs와 새로운 기술 및 제품도 SPS 협정에 부합하는 요인으로 확대하여 적용할 가능성이 크며, 향후 기술의 혁신과 그로 인한 제품개발의 속도에 부합하는 규정의 개정 또는 제정노력이 WTO 내에서 이루어질 가능성이 희박하다. 게다가 다자간환경협약에서 다루고 있는 대상까지 SPS 협정의 대상으로 포괄하는 경우 사전예방원칙에 근거하여 국제무역에서 적절한 보호수준을 보장하려는 사회적 합리성 기반의 국제환경법 체제와 질서를 무력화시킬 수 있는 소지가 있다. 둘째, WTO가 환경과 관련한 매우 다양한 사회․경제적 요인을 고려하여 GMOs에 대한 무역관련 SPS 조치를 취할 수 있는 WTO 회원국의 권리를 인정하고 있어 MEAs와의 상호지지성을 추구하고 있다는 것을 표출하고 있는 것 같이 보이지만, 이는 WTO 규정의 특성상 GMOs 무역관련 SPS 조치에 대해 과학적 원리를 재차 강조하기 위한 WTO의 의도일 수 있다. 셋째, GMOs의 무역과 관련될 수 있는 협정 가운데 SPS 협정이 다른 어느 협정보다 우선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동 사건 패널의 결정은 WTO가 사회․경제적 요인을 고려한 각국, 특히 수입국의 GMOs 관련 무역규제조치에 정당성을 부여하는데 한계로 작용할 것이다.

      • KCI등재

        재생에너지 산업에서의 환경규제와 수출특화패턴 간 관계분석

        성봉석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0 아태연구 Vol.17 No.2

        In this paper, I examine whether stringent environmental standards increase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renewable energy industries named porter hypothesis using dataset of trade flows of renewable energy goods disaggregated at the six-digit of Harmonized Commodity Description and Coding System, by performing export specialization patterns analysis and constant market share analysis. The data relate 1995-2007 and cover 40 countries, accounting for nearly 94.1% of world exports of the world exports of renewable energy goods in 2007. The results indicates that porter hypothesis, in general, is supported by the data in most countries in 1995 and 2007, showing that the number of and the export share of products transferred from comparative advantage position to comparative disadvantage position are more than those of the opposite, despite the increase of environmental standards in most countries in the period time. It suggests that the introduction of stringent environmental standards increase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renewable energy goods in the light of the available data. However, further study on establishment of the model to support the results and further empirical analysis based on the model are needed to be performed. 본 연구는 포터가설에 착안하여 40개 국가(1995년-2007년 사이)를 대상으로 재생에너지 산업에서 환경규제와 국제경쟁력 간 관계를 고찰하였다. 분석결과, 대부분의 국가(오스트리아, 브라질, 인도네시아, 일본, 스위스 제외)에서 환경규제가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특화패턴의 변화분석과 불변시장점유율분석 결과를 국별 GNI당 damage 비율이 감소한 35개 국가를 중심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RSCA에 기초할 때, 대부분의 국가가 분석대상 기간 동안 비교우위(16개 국가) 또는 비교열위(17개 국가)를 그대로 유지함으로서 대체적으로 국별 수출특화패턴이 안정적임을 보여 주고 있다. 둘째, 17개 국가는 경쟁력 지위가 상승하였고 17개 국가는 경쟁력 지위가 하락하였으며 1개 국가는 경쟁력 지위에 있어 변화가 없었다. 셋째, 26개 국가가 비교우위를 지니는 제품의 수가 증가하였다. 25개 국가가 비교우위지위에서 비교열위지위로 하락한 제품보다는 새로이 비교우위지위를 확보한 품목의 수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13개 국가는 총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상대적으로 더 많았다. 넷째, 칠레, 중국, 한국 등을 포함한 21개 국가는 경쟁력 요인에 의해 수출이 신장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환경규제가 강화되는 상황에서 재생에너지 산업에 있어 국별 수출특화패턴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대체적으로 포터가설, 즉, 환경규제의 강화가 수출특화패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그렇지만, 본 연구의 결과를 뒷받침할 수 있는 보다 정교한 모델의 정립과 이를 기반으로 한 더 면밀한 검토와 분석이 요구된다.

      • KCI등재

        지식재산에 대한 정책지원의 영향분석: 태양에너지 기업을 중심으로

        성봉석,송우용 한국유통경영학회 2020 유통경영학회지 Vol.23 No.1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question of how government supports affect firms’ knowledge assets in the Korean solar energy technology sector.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ta, various panel framework tests has been performed. Taking into account the panel framework test results, the presence of first-order autocorrelation, panel unit-roots, and cross-sectional dependence, a dynamic panel vector autoregressive model in the first difference has been established to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in question. Biased-corrected least squares dummy variable estimator that offers more efficient parameters in a small sample size has been used to estimator the nexus between the variables to be examined in the study. Results: Technology-push support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enhancement of firms’ knowledge assets. However, demand-pull support does not. The study indicates that firms’ slack, industrial competition, and interaction between firms’ slack and technology-push support positively affect firms’ knowledge asset. Firm size and age do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knowledge assets creation. Plus, this study shows that there is a path dependence in firms’ knowledge assets, meaning that the value of knowledge assets in the present period is positively affected by the value in the previous period. Conclusions: The positive and reliable role of technology-push policy, organizational slack,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echnology-push policy and the slack in knowledge assets creation should be continuously and strategically addressed at the firm- and government-level. This study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of the effects of government supports on knowledge assets at the firm level, in which the empirical results are needed to be interpreted under the consideration of some limitations. To more correctly grasp the effects of government supports on innovation, both qualitative (knowledge assets) and quantitative (patent) aspect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addition, the reasons for inertia of firm experience to and insignificant effects of demand-pull policy on knowledge asset creation should be explored more systematically and deep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