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상 임신 기간 중 혈중 혈관내피 성장인자의 변화 및 혈소판 수와의 상관관계

        설현주 ( Hyun Joo Seol ),이경욱 ( Kyong Wook Yi ),민주영 ( Joo Young Min ),오민정 ( Min Jeong Oh ),김해중 ( Hai Joong Kim ),이재관 ( Jae Kwan Lee ),허준용 ( Jun Yong Hur ),서호석 ( Ho Suk Saw ),박용균 ( Yong Kyun Park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9

        목적 : 전자간증의 병리기전에 관영하는 것으로 알려진 혈관내피 성장인자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이하 VEGF로 약함)의 정상 임신기간동안의 혈중 변화양상을 규명하고 혈중 VEGF농도와 혈소판 수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2002년 4월부터 2002년 7월까지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산부인과에 내원한 33명의 정상 임산부를 대상으로 임신 초기 검사 시기 (7-8주), 모체혈청삼중표지물질 검사 Objective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changes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levels in maternal circulating blood during normal pregnancies and examine their relationship with maternal platelet counts. Methods : The 33 subjects w

      • KCI등재

        임상 ; 한국에서 모성사망 통계의 변화 추이(1995-2010)

        이영재 ( Young Jae Lee ),김신희 ( Shin Hee Kim ),설현주 ( Hyun Joo Seol ),정성훈 ( Sung Hoon Chung ),최용성 ( Yong Sung Choi ),이경석 ( Kyung Suk Lee ),장지영 ( Ji Young Chang ),최정수 ( Jeong Soo Choi ),배종우 ( Chong Woo Bae 대한주산의학회 2012 Perinatology Vol.23 No.3

        목적: 한국에서 최근 15년간의 보고에서 신생아사망률, 영아사망률, 주산기 사망률이 현저히 감소하는 괄목할만한 개선이 있었다. 이에 따라 한국에서 임산부 측면에서의 사망률인 모성사망 비는 얼마나 개선되는 추세일까 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법: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모성사망 비에 관한 조사 (1995-2008년)와 통계청의 사망원인 통계 결과 (2007-2010년)를 원 자료로 하여, 한국에서 1995-2010년간의 모성사망 수, 모성사망 비, 모성사망의 직접 혹은 간접사인 등의 변화추세를 분석하였다. 결과: 한국에서 1995년부터 2010년까지의 모성사망 수 및 모성사망 비는 꾸준히 감소 추세이나, 최근 2008년 이후 다소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모성사망비중 직접: 간접의 비가 1995년 16:4, 2010년 9.1:5.5로 직접 모성사망 비의 감소를 보이는 추세였다. 모성사망 비는 전 기간에서 35-39세, 40세 이상의 고령 산모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지역별 모성사망 비는 강원이 제일 높았다. 2009년 OECD 국가의 평균 모성사망 비는 10.1이었고, 한국은 10.8로 조금 높은 편이었다. 결론: 한국에서 1995-2010년까지 모성사망 비의 현저한 감소에 의한 개선을 점을 보이는 점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그 수준은 아직 OECD국가의 평균 정도의 수준으로서, 신생아, 영아사망률의 개선에 비해서는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부분으로 판단된다. Purpose: In the past 15 years in Korea, there have been findings reporting a remarkable improvement in reduction of neonatal, infant, and perinatal mortality rates. Consequent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trends of maternal mortality ratio and observe if it has also improved over time. Methods: The trends of maternal deaths from 1995 to 2010 in Korea were analyzed based on the following materials: 1) surveys of maternal death rate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995-2008), 2) statistical report of causes of death in Korea by Statistics Korea (2007-2010). Results: The number of maternal deaths and the maternal mortality ratio declined steadily from 1995 to 2010 in Korea; however, they have increased slightly since 2008. The direct maternal mortality ratio was reduced when comparing the direct proposition maternal death ratio of 16:4 in 1995 and of 9.1:5 in 2010. The maternal mortality ratio tended to be higher in women from 35-39 years old age group, 40 years or older. Gangwon province had the highest maternal mortality ratio of all provinces in Korea. In 2009, the average maternal mortality ratio for the OECD nations was 10.1 while it was 10.8 for Korea, a little higher than the OECD average. Conclusion: Although the maternal mortality ratio improved by a significant reduction between 1995 and 2010 in Korea, the level is still about average for the OECD countries. It appears that even m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maternal mortality ratio compared to the progression in the areas of neonatal and infant mortality rates.

      • KCI등재

        합병증 없는 산모에서 태반의 3D 파워도플러초음파를 이용한 종단연구

        정난희 ( Nan Hee Jeong ),양기열 ( Ki Yeol Yang ),설현주 ( Hyun Joo Seol ),정의 ( Eui Ju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5 No.7

        목적: 임신 1, 2삼분기에 시행한 태반의 3D 파워도플러초음파와 출생체중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54명의 합병증 없는 비흡연 산모를 대상으로 임신 10-13주, 19-22주에 3D 파워도플러초음파를 시행한 종단연구이다. 태반의 부피 (placental volume, PV)와 혈관지수를 임상 및 초음파 양상과 상관 및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모든 혈관지수는 임신 2삼분기가 1삼분기보다 의미 있게 컸다. 출생체중이 증가할수록 태반의 혈관지수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이중임신 1삼분기의 flow index (FI)만이 통계적 의미가 있었다(P = 0.02). 임신 1, 2삼분기의 PV은 임신 2삼분기의 FI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임신 1삼분기 태반의 FI가 태반의 혈관화 정도를 반영함으로써 태아와 태반의 성장에 의미 있게 영향을 미침을 시사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irth weight and 3-dimensional (3D) power Doppler histogram of the placenta in the first- and second-trimester of uncomplicated pregnancies. Methods: In this longitudinal study, 3D power Doppler ultrasound was performed in 54 non-smoking women with uncomplicated pregnancies at 10 to 13 weeks of gestation and subsequently at 19 to 22 weeks. A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for placental volume (PV) and vascular indices versus clinical and sonographic variables. Results: All vascular indices of the second-trimester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values of the first-trimester. Placental vascular indices showed an incremental tendency with birth weight, which was only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the flow index (FI) of the firsttrimester was considered (P=0.02). The PV of both the first- and second-trimester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FI of the secondtrimester.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FI of the placenta in the first-trimester significantly affects growth of the fetus and placenta, likely reflecting the degree of placental vascularization during the first-trimester.

      • KCI등재

        임신 말기 뇌실확장증 및 미성숙폐가 합병된 과도신전 경부의 태아

        정재원 ( Jae Won Chung ),이은성 ( Eun Sung Lee ),백유진 ( Yu Chin Paek ),이경희 ( Kyung Hee Lee ),설현주 ( Hyun Joo Seol ),오민정 ( Min Jeong Oh ),김해중 ( Hai Joong Kim ) 대한주산의학회 2006 Perinatology Vol.17 No.3

        과도신전된 태아두(hyperextended neck)는 산전초음파로 발견되어질 수 있는 다양한 태위들 중 하나로 과도신전된 태아두를 진단하는 것은 중요한 일인데 특히 질식분만을 시도하게 되는 경우 경추손상의 위험도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또한 지속적인 과도신전된 경부를 보이는 태아에서는 구조적 이상의 동반 및 다양한 증후군과 연관될 가능성이 높고 구조적 이상이 동반된 경우 자궁내 또는 출생 후 사망이나 질병이환률이 현저히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과도신전된 경부를 보이는 태아에서 다른 구조적 이상여부 확인을 위해 좀 더 자세한 평가를 하고 그에 따르는 적절한 조치가 필요하다. 본 저자들은 산전임신중반기에 발견된 과도신전된 경부를 가진 태아가 임신후반기에 뇌실확장 및 폐미성숙 소견을 보였던 1예를 경험하였기에 증례 보고하는 바이다. Hyperextended neck of the fetal head is among the various fetal attitudes detected by prenatal sonography. Various etiologies may lead to hyperextension of the fetal head, including fetal anomalies such as structural abnormalities, conjoined twins and fetal neck masses, nuchal cord and uterine factors such as leiomyoma and uterine malformations. The importance of the precise prenatal diagnosis of this condition relates not only to the delivery mode, but also to the detection of associated conditions, as noted above. We report a case of a fetus whose persistent hyperextended neck was detected by midtrimester sonography, and who later demonstrated ventriculomegaly and lung immaturity in the 3rd trimester.

      • KCI등재

        임상 ; Ureaplasma urealyticum 질 내 집락을 가진 산모에서 출생한 신생아의 임상관찰

        장지영 ( Ji Young Chang ),박영실 ( Young Shil Park ),심계식 ( Gae Shik Shim ),배종우 ( Chong Woo Bae ),설현주 ( Hyun Joo Seol ) 대한주산의학회 2010 Perinatology Vol.21 No.3

        목적: 임산부의 질 내 Ureaplasma urealyticum (Uu) 집락은 조기 양막파수 유무에 상관없이 자궁 내 수직감염을 일으켜 신생아의 15-89%에서 균이 동정되며, 염증반응과 연관하여 여러 기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저자들은 임산부의 질 내 Uu 집락이 신생아에게 미치는 임상적 영향을 재태기간 별로 나누어 비교분석 하였다. 방법: 2006년 6월부터 2009년 6월까지 경희대 동서신의학병원에서 입원 또는 외래방문 하였던 임산부의 질분비물 Uu 배양 470건의 시행 결과에 따라 결과 추적이 가능하였던 신생아 2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35+0주미만의 미숙아군과 35+0주 이상의 준만삭아-만삭아군으로 나누어 임산부의 질 내 Uu 집락 유무[양성군, 음성군]에 따라 빈호흡의 발생, 산소치료 유무,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및 기관지 폐 형성이상, 패혈증, 황달, 수유장애 등의 빈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양성군이 미숙아군 111명중 55명(49.5%), 준만삭-만삭아군 108명 중 50명(46.2%)으로 두 군간 양성률의 차이는 없었다. 미숙아군에서 양성군은 출생 6시간 이내 분당 최대 심박수가 음성군보다 증가되어 있었으며 항생제 사용기간이 짧았고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과 저칼슘혈증의 발생빈도가 낮았다. 산소 필요 기간, 양압환기 요법의 사용 유무, 방법과 기간, 기관지 폐 이상형성 등의 발생률에는 양성군, 음성군 사이에 차이는 없었다. 준만삭-만삭아군에서 양성군은 신생아 황달의 발생이 증가하는 소견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론: 임산부의 질 내 Uu 집락은 준만삭아와 만삭아에게 황달의 발생률 증가 이외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었으나 재태기간 35+0주 미만 미숙아에서 생후 6시간 이내 심박수 증가, 입원기간 동안 빈호흡의 기간 연장, 항생제 사용 기간 감소가 관찰되었으며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저칼슘혈증의 발생빈도가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 Purpose: Regardless of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the genital colonization of Ureaplasma urealyticum (Uu) in pregnant women could transmit vertical infections of their babies and cause neonatal infections, which ultimately result in infections in many other orga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clinical influences on the infants born from mothers suffering genital Uu colonization.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data for analysis of the 219 infants born from mothers who had been tested for genital Uu culture (about 470 cases) for past 3 years from Mar. 2006 to Jun. 2009, in East-West Neo Medical Center, Kyunghee University. The neonatal clinical manifestations such as duration of tachypnea, incidence of oxygen therapy,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 bronchopulmonary dysplasia (BPD), sepsis, jaundice, feeding intolerance, etc. were investigated during gestational period. Results: In case of positive genital Uu culture of mothers, the preterm infants (gestational period <35 weeks) had symptoms of increased heart rate within 6 hours after birth, prolonged tachypnea, short period of antibiotics use, and lower incidence of RDS and hypocalcemia. Durations of oxygen therapy, the methods and durations of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and incidences of BPD of preterm infants were not affected by maternal Uu results. The near and full term infants (gestational period ≥35 weeks) from Uu positive mothers showed the increased incidence of jaundice. Conclusion: It is hard to say that genital Uu colonization in pregnant women influence the near and full term infants except jaundice. However, the data analysis of the preterm infants from Uu mothers demonstrated increased heart rate within 6 hours after birth, prolonged tachypnea, short period of antibiotics use, lower incidence of RDS and hypocalcem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