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PTV 수용자의 이용행태와 서비스 만족도에 대한 연구

        설진아(Jin-Ah Seol),봉미선(Mi-Sun Bong) 한국언론정보학회 2009 한국언론정보학보 Vol.46 No.2

        이 연구는 신규매체로서 IPTV의 서비스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IPTV의 선택요인과 수용행태를 조사하고 다양한 부가서비스 이용에 대한 만족도를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연구결과, 요금과 콘텐츠 유형이 IPTV 사업자 선택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체 간 기능적 유사성은 IPTV와 인터넷의 유사성이 다른 매체들에 비해 조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IPTV가 제공하는 서비스 유형 중에는 생활서비스와 부가서비스, 쌍방향서비스와 교육서비스의 이용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밝혀졌으며, IPTV 서비스의 전반적인 만족도는 항목별 실제 이용정도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IPTV 콘텐츠 가운데 수용자들은 국내드라마를 가장 많이 시청했으며, 해외영화와 연예오락 프로그램이 그 다음 순위를 차지했다. IPTV 수용자들이 느끼는 가장 큰 문제점은 ‘비용부담’과 ‘콘텐츠의 다양성 부족’이었으며, 가격요인이 IPTV 선정기준에 가장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료 콘텐츠 이용 및 부가 서비스에 따른 추가비용 상승 부담을 향후 IPTV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기존의 연구들이 IPTV 상용화 이전에 수용자 예측조사를 실시했다면, 이 연구는 IPTV 상용화 이후 주요 IPTV 서비스(메가TV, SK브로드밴드, LGTV)를 이용하는 실수용자들을 대상으로 IPTV의 가입특성과 다양한 서비스 이용행태 및 만족도를 밝히고 수용자들의 가격민감성을 연구결과로 제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Since the inception of Internet Protocol TV’s real-time service on January, 2009, technological challenges and lack of content diversity of IPTV have been cited as problem areas. While past researches focused on IPTV’s technological, industrial and policy facets, this research surveyed the viewers’ viewing and usage patterns, and the level of service satisfaction among actual audiences of MegaTV, SKBroadband, and LGTV since January. The results show that subscription fee and content types were the two dominant determinants in audience’s choice of a particular IPTV company. The high users of IPTV were on average aged between 30-39, and women tended to be heavier users than men. The surveyed audience also regarded IPTV to be more similar to the Internet than any other medium such as Cable TV and Satellite TV. IPTV audience cited ‘lifestyle service’ and ‘additional service’ offerings to be highly relevant to their usage and satisfaction; interactive service and educational service also showed high correlation to usage and satisfaction. The most watched contents on IPTV were domestic TV series, followed by foreign movies and variety shows. ‘Fees for additional features,’ ‘lack of real-time terrestrial TV service’, and ‘lack of content variety’ were the major areas of concern for IPTV viewers. They answered that the monthly fe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selection of IPTV. Use of pay-per-view contents and add-on interactive service fees were also seen as problematic. With regards to future usage, the IPTV audience revealed that they were very sensitive and reluctant to pay for additional services. While existing researches concentrated on IPTV’s technological problems and lack of content diversity, this study illuminated the more pragmatical side of the viewers, namely, the importance of price in audience’s selection of an IPTV service provider. From these results, it is recommended that, before doing anything else, the service providers try to meet the audience’s expected price points in order to garner the full potential of IPTV and the attendant mass audience.

      • KCI등재

        대학생 집단의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 대한 수용자 평가 연구: 네이버와 구글을 중심으로

        설진아 ( Jin Ah Seol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1 언론과학연구 Vol.11 No.1

        이 연구는 인터넷 검색 포털 사이트로서 세계 1위를 차지하고 있는 구글과 한국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는 네이버의 검색기능에 대한 대학생집단의 평가연구이다. 대학생들이 포털 사이트로서 네이버와 구글을 어떻게 이용, 평가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조사 분석한 결과, 서비스 이용유형과 검색내용 상에서 네이버와 구글은 크게 차이가 나타났다. 대학생들은 구글보다 네이버를 훨씬 더 많이 이용하고 계정을 소유하고 있었으며 네이버의 뉴스서비스와 지식iN서비스 유형에서 뉴스, 스포츠, 학술, 상식 내용을 많이 검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학생들은 구글의 이미지서비스와 메일, 기타 서비스 유형에서 교육 및 참고자료를 많이 검색한 것으로 나타났다. 포털의 주요 검색기능인 정보제공 차원에서 네이버는 최신 정보 제공 항목에서 구글보다 높게 평가되었으나 구글은 전문적이고 가치 있는 정보제공, 풍부한 검색결과 및 정확한 정보제공 항목에서 네이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러한 결과는 비록 대학생 집단에 한정된 조사결과이지만, 네이버가 오락 및 부가서비스, 편리성 차원에서 검색사이트로 선호되는 반면에 구글은 전문적인 정보검색을 위해 이용됨으로써 향후 국내 인터넷 포털이 양질의 정보 검색기능 측면에서 보완해야 할 점들을 시사하고 있다. This research analysed Korean college students` usage of two major Internet search portals, namely, the world`s number one, Google, and Korea`s number one, Naver. The college students were chosen as subjects because they were more likely to use both Naver and Google. They were asked to evaluate different aspects of the respective search engines such as search capability and site uniqueness. The results show that Korean college students overwhelmingly chose Naver over Google in terms of usage hours and number of portal sponsored personal accounts such as email and blogs. There were marked differences in usage and search; while Naver was most popular for such things as news and knowledge-community service, searches being primarily for current news, sports, academic items and general information, Google was used primarily for image searches, email usage and for searching academic references items. The two search engines were evaluated for information offering, customer service, search speed and relevancy. Naver was rated higher on all the categories but one, information offering. Still, in this all important, critical aspect of a search engines as information provider, Naver scored lower than Google in in-depth information, relevant information, breadth of information, and accuracy of information but higher on latest news and trends. The results point to the fact that although Naver is used extensively by students for games and entertainment and other related services, it and other local portal sites have a long way to go in establishing themselves as providers of relevant, trustworthy, in-depth information to Internet users.

      • KCI등재

        북한의 정치사회적 이슈에 대한 지상파 방송보도 프레임 분석 : 2013년 장성택 처형 사건을 중심으로

        설진아 ( Seol Jin-ah ),조아라 ( Cho Ah-ra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7 언론과학연구 Vol.17 No.2

        이 연구는 2013년 북한의 정치적 실세였던 장성택 처형이라는 북한 내 큰 정치사회적 사건과 그 이후 동향에 대해 지상파 프라임 타임 뉴스 프로그램들이 어떠한 구성 방식을 사용하여 국민들에게 전달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분단국가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언론에 의해 재생산되는 북한에 대한 시각과 남북 관계를 바라보는 태도를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분석 기간 동안 지상파 방송3사(KBS, MBC, SBS)의 저녁 뉴스에서 보도된 북한 관련 뉴스들을 내용 분석한 결과, 장성택 처형 사건 및 그 이후 북한 동향에 대한 보도들은 대부분 심층적인 취재와 분석보다는 단편적이고 일화중심적이며, 인간적 흥미에 중점을 둔 프레임으로 전달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방송사들은 안보 위협 프레임과 갈등 프레임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여 북한의 정치 현실을 구성함으로써, 김정은의 공포 정치, 폭력적 리더십, 남북 간 대치, 한반도 긴장, 불안정한 북한 사회 등 통제불가능한 북한의 이미지와 함께 불확실성과 불안감을 야기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공통점 외에 방송사별 프레임 사용의 차이도 나타났는데, KBS는 안보위협 프레임을, MBC 갈등 프레임을, SBS는 인간적 흥미 프레임을 가장 많이 사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attempted to gauge the reality-shaping effects of South Korean broadcasters by analyzing the news framing with regards to its divided neighbor, North Korea, in the aftermath of Jang Song-thaek`s execution. During the study period, “KBS 9 o`clock News”, “MBC News Desk”, and “SBS 8 o`clock News” aired an aggregate 483 North Korea-related news. Majority of the re-ported news were based on anecdotal sources and framed toward the human interest angle. A big chunk of North Korea`s reality was also framed from the perspective of security/threat posed by Kim Jong-un`s regime and general political hostility deemed from the North, such framing serving to explain the military standoff between the countries. It is true that the three terrestrial net-works reported more minutely on the mood and happening of North Korea following Jang`s death, but overall frame they used were toward vilification of Kim Jong-un and his rule of terror and the threat to South`s security that he and the instability in the North caused. Individually, KBS news most often utilized the se-curity/threat framing, MBC resorted most often to conflict fram-ing, and the only truly commercial network SBS concentrated on human-drama angle framing.

      • KCI등재

        이집트 민주화 혁명에서 SNS와 소셜 저널리즘

        설진아(Jin-Ah Seol) 한국언론정보학회 2012 한국언론정보학보 Vol.58 No.2

        소셜 미디어가 뉴스정보를 생성, 유포시키면서 부상한 소셜 저널리즘은 시민 저널리즘의 일환으로서 시민들이 SNS를 통해 뉴스정보를 생성하는 새로운 유형의 정보수집과 보도 방식을 의미한다. 이 연구는 〈우리는 모두 할레드 사이드이다〉라는 특정한 페이스북 페이지가 이집트 민주화 혁명과정에서 특정 시위기간 중에 구체적으로 어떤 뉴스정보를 얼마나 생산하고, 공중과 상호작용을 했으며, 소셜 저널리즘 양식을 통해 뉴스를 전달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는 모두 할레드사이드이다〉페이지는 일주일 동안 총 331건의 포스트를 통해 시위관련 스트레이트 뉴스를 가장 많이 생산했으며, 동영상과 사진, 만평보도가 텍스트 기사 만큼 비중있게 다뤄졌다. 특히 동영상의 경우는 대부분 연결링크를 소개하고 있어 소셜 저널리즘의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었다. 네트워크 저널리즘을 반영하는 외신보도인용은 대부분 스트레이트뉴스에 해당되었는데 알자지라와 영국의 가디언 신문이 주로 인용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정치적 격동기에 처한 사회에서 제도권 언론이 통제 받을 때 SNS는 현실을 반영하는 뉴스나 정보를 생성, 확산시키는 저널리즘 미디어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을 추론할 수 있었다. The advent of Social Journalism coincided with the rise of social media to create and deliver news information; as a type of civic journalism, social journalism may be characterized as a new form of information gathering and news reporting which is fed by citizens creating news information through their use social networking services (SNSs). The current study analyzed a Facebook page called, 〈We are all Khaled Said; WAKS〉 to determine how this page was utilized during the onset of the citizen movement for the Egyptian democratic revolution to produce news, to facilitate interaction among the public and to deliver the news under the form of networked journalism. Each post uploaded onto the Facebook page from January 27 till February 2, 2011 was coded in its category, content and the contextual frame of the new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during the first week, straight news rather than those with opinions was produced most frequently. The research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suggest that in a society of political turmoil, such as in Egypt and other Arabic countries, when the institutionalized media are controlled severely by the government or other forces, SNSs can perform journalistic media roles which create and distribute news information representing facts and reality, and simultaneously facilitate the public’s interactions on social and political issues.

      • KCI등재

        10대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동기와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활동의 상관성 연구

        설진아(Jin-Ah Seol)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0 미디어, 젠더 & 문화 Vol.14 No.-

        이 연구는 가상공간 및 인터넷에 대한 청소년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인터넷 이용행태와 이용동기,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10대 청소년들은 ‘프라이버시 침해’, ‘저작권 침해’, ‘사이버 범죄’ 등과 같은 인터넷의 부정적 기능을 더 많이 인식하고 있었으며, ‘정보획득’과 ‘여가/오락추구’의 목적으로 인터넷을 사용하는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여학생들은 ‘정보획득’의 이용동기가, 남학생들은 ‘오락추구’의 이용동기가 두드러졌으며,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에서 여학생들은 남학생보다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었다. 인터넷 이용동기와 이용시간 및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활동에 있어 남녀 청소년 간의 차이는 기존의 외국 연구결과와는 다르게 나타났다.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동기는 온라인 채팅과 커뮤니티/카페 등의 다양한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활동과 상관성이 있었으나 주중 ‘정보획득’ 동기와 인터넷 이용시간은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주말의 인터넷 이용시간과 오락동기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인터넷 이용시간과 정보획득의 동기가 크게 상관이 없으며, 청소년들은 여가 시간에 ‘기분전환’과 ‘재미’를 갖고자 할수록 인터넷을 더 오래 사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남학생에게 인터넷은 정보매체나 커뮤니케이션 매체라기보다는 오락매체로서 이용되는 경향이 높았다. The research attempts to examine how Korean teenagers perceive the social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cyberspace and the Internet in the context of their daily Internet usage and what their main motivations for using Internet are and the correlation that stems from the Internet communication activities. The results show that the adolescents tended to be more cognizant of negative characteristics of cyberspace and Internet dysfunction more than positive ones. ‘Information acquisition’ and ‘Leisure/entertainment’ were the two attributes that most motivated the respondents to use the Internet.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by gender, manifested in the level of Internet usage and online communication activities and also, by gender, in the motivation for using the Internet.

      • KCI등재
      • KCI등재

        유튜브 채널에서 코로나19 중국관련 허위정보 확산에 관한 연구: 확산 주체와 정보유형 분석을 중심으로

        홍주현(Ju-Hyun Hong),설진아(Jin-ah Seol),이종임(Jong-Im Lee)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2

        유튜브 채널에서 중국 관련 코로나19 정보의 확산과정을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알아봤다. 중국 관련 코로나19 정보를 사실 정보와 허위정보로 구분했고, 사실 정보는 긍정적, 부정적으로 분류했다. 네트워크 분석결과 부정적 정보와 허위정보가 많았고, 긍정적 정보는 가장 적었다. 허위정보 중에서 우한연구소 유출설 관련 동영상이 많았고, 유전자 조작설 관련 동영상의 조회 수와 매개 중심성 평균이 가장 컸다. 언론사 채널은 허위정보에 대한 팩트 체크보다 있는 그대로 전달하는데 그쳤다. 중국 관련 코로나19 동영상 중 부정적 정보와 허위정보가 많았다는 것은 중국 관련 비판적이거나 자극적인 내용이 유튜버의 관심을 끌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유튜브 채널의 허위정보는 이용자들이 유사한 주제의 동영상을 시청하게 하는 확산 효과를 가져왔다. This study explores diffusion of information on Covid-19 relating to China on You Tube. For this, information on Covid-19 relating to China was divided into factual information and disinformation, with factual information being categorized into positive and negative information. According to network analysis, there are lots of negative information and disinformation. On the contrary positive information is rare. There are lots of videos about rumor on the leak of Wuhan institute among disinformation. Rumor on the manipulation of genes has the highest average value of view count and betweenness centrality. Main stream youtube channel has only role of messenger which delivers messages as it is instead of fact-checking on disinformation. The fact which there are much more negative information or disinformation among videos about Covid-19 relating with China shows that Youtube users skewed toward negative information and disinformation than positive ones. In summary, disinformation on youtube brings spreadable effect by making user watch similar cont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