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어 학습자 표현 오류분석의 몇 가지 문제 : 정의, 확인, 기술을 중심으로

        석주연,안경화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3 한국어 교육 Vol.14 No.3

        There are generally two objectives for performing error analysis in teaching Korean for foreigners: in order to help theoretical research and educational research. This paper aims to achieve the second, and studies error identification and error description based on the corpus of errors made by foreign learners of Korean. We investigate some problems which are introduced and explained in Lennon (1991). We expect to get useful theoretical as well as educational implications from this in-depth analysis.

      • KCI등재

        19세기 서양인 선교사와 한국어 교수법 – 韓國學彙報 Korean Repository의 구앵(Gouin) 직접교수법을 중심으로 –

        석주연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7 No.4

        In this paper, I investigate how Gouin Direct Method was introduced as Korean Teaching Method by Swallen, one of the western missionaries in the 19th century in Korea and why he adopted it as a alternative teaching method for Korean language teaching at the time. Audio Lingual Method has been implicitly accepted as a secondly employed teaching method following Grammar Translation method which was firstly employed for Korean language teaching in Korea. But I found Gouin Direct Method was applied before Audio Lingual Method in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method history through examining Swallen’s papers published in the 韓國學彙報 Korean Repository (1892~1898). Swallen thought Gouin Direct Method enable to supplement old Grammar Translation method for Korean language teaching in that new method reflect the natural procedure by which thought was transformed into language and the naturalness of language acquisition process need to be taken into account in the Korean language classroom. Gouin Direct Method was noted not only for its verb-oriented skill but also its focus on pronunciation, accent, etc. It was Gouin Direct Method that enable Korean language teaching firstly to consider Korean pronunciation in its application to Korean teaching. Due to Swallen’s contribution to 韓國學彙報 Korean Repository (1892~1898), which was issued at the end of 19th century in Korea, we can figure out what kind of teaching method was employed in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at the time and how significant it was in the history of Korean teaching. 석주연, 2019, 19세기 서양인 선교사와 한국어 교수법, 183 : 433~455 19세기 말 한반도에서 활동했던 미국인 선교사 스왈른(Swallen)은 <한국학휘보 Korean Repository>(1892~1898)이라는 구한말 서구 외국인 선교사들을 중심으로 기고와 발행이 이루어졌던 영문 잡지에 한국어 교수법과 관련한 기고문들을 남겼다. 이 기고문들은 한국어를 학습할 때 효과적인 언어 교수법인 구앵 직접교수법(Gouin Direct Teaching Method)을 제안하고 그 적용의 절차와 유용성을 기술하고 있다. 그의 한국어 교수법에 대한 제안은 동사 연쇄 중심의 교수법을 소개했다는 점, 한국어 발음 및 억양 등에 대한 관심을 환기했다는 점, 기존의 문법번역식 교수법을 보완하는 면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 목표어인 한국어로 사고하는 방법을 강조하였다는 점, 한국어교육사에 있어 청각구두식 교수법 적용 이전의 한국어 교수법의 적용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 등의 의의를 가진다. 그가 이러한 교수법을 제안한 동기와 배경에는 무엇보다도 19세기 말 서구의 언어 교수법 추세의 변화와, 당시 전제되었던 한국어 교수법에 대한 대안 제시라는 측면이 있었다. 구한말 외국인 선교사가 한국어 학습을 위해 당시 서구에서 유행하던 최신의 특정 교수법을 제안하고 적용 사례를 제시한 보기 드문 경우라 할 수 있다.

      • ‘둘우다’의 형태와 의미

        석주연 한국어의미학회 2002 한국어 의미학 Vol.11 No.-

        Suk Joo Yeon. 2002. The Morphology and the Semantics of ‘둘우다’. Korean Semantics, 11. We examine ‘둘우다’ in a number of different Korean-translations of Nogeoldae and of Baktongsa, and investigate its meaning and morphological structure.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we need to consider the context of a word, the original Chinese text and the translational pattern of different translations of the text in order to determine the meaning and the form of the word which is not intuitively clear to us, modern reader. We can arrive at the correct conclusion about ‘둘우다’, only by taking into account of these factors. ‘둘우다’ is identified as causative verb, which has a structure of ‘둘’+‘-우-’. Based on this conclusion, we can distinguish clearly ‘Du-uer두워’(translation of ‘罷罷’) from ‘둘워’(translation of ‘將就’) in their meanings and morphological structures.

      • KCI등재

        ‘-도록’의 의미와 문법에 대한 통시적 고찰

        석주연 한국어의미학회 2006 한국어 의미학 Vol.19 No.-

        ‘-도록’에 선행하는 문장으로는 후행절의 결과를 지시하는 문장이 오게 되고 ‘-도록’에 후행하는 문장으로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상황을 지시하는 문장이 출현하게 되는 한편 이러한 류의 문장 연쇄가 보다 빈번히 출현하게 됨으로써 ‘-도록’은 [결과]라는 새로운 의미를 획득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한편, 다음의 (27)은 (26)보다 한 걸음 더 나아가 중의성이 배제된 용례이다. 즉, ‘-도록’이 시간의 극점보다는 [결과]로만 배타적으로 해석되는 용례들이라 할 수 있다. Suk Joo Yeon. 2006. The Histoty of ‘-dorok’. Korean Semantics, 19. The grammatical form ‘-dorok’ had two basic meanings, [till], [deepening] in the early medieval Korean. The use of ‘-dorok’ of [deepening] decreased gradually. Consequently we cannot find its usage any more from the nineteenth century. It is because a single grammatical form ‘-dorok’ had heavy functional load, and because ‘-dorok’ of [deepening] was all the way in a intensive competition with another grammatical form ‘-rsurok’ in productivity. ‘-dorok’ of [till] has been highly productive up to now from medieval Korean. Throughout the period of modern Korean, the meaning of ‘-dorok’ of [till] has been changed to have three distinct meanings, [till], [degree], [consequence]. By examining its historical development, we can find out how the context had influenced a meaning development and how this development led to the appearance of the new syntactic structure ‘-dorok h∧-’.

      • KCI등재

        한국학휘보 『Korean Repository』의 한국어와 한국어 학습 관련 기사 연구

        석주연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2019 언어학 Vol.0 No.83

        Korean Repository is an English magazine that had been published for six years at the end of 19th century in Korea. Although it was issued for a short period of time, it contained a vivid record and research on Korea's politics, economy, language and culture foreigners witnessed at the time. Most authors of the magazine were western protestant missionaries, including some western diplomats. Throughout the magazine, we can find research outcomes on the issues of Korean language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such as the origin of Korean language and Korean Alphabet, translation style in Korean, Korean proverbs, the grammar structures of Korean, how to use of Korean words sentences and etc. Foreign contributors put huge efforts to develop the romanization system of Korean sounds and proper transcription method from English to Korean. Some of western protestant missionaries suggested that Koreans should introduce space and comma in their Korean texts. Although their initial motivation for these used was religious, they seemed to recognize its beneficial effects to Koreans. Some authors wrote the articles on how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learning Korean, setting up their own Korean grammar rules through their exhaustive examination and comparison. There were a few hundreds of copies for each issue in Korean Repository at the time. Its readers included western people and a few Koreans based in Korea as well as people in China and Japan. Considering this, the magazines seemed to play a role as a medium to discuss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mong East Asian countries at the end of 19th century.

      • KCI등재

        중세 국어 관형사형의 ‘-오-’와 古代 漢語 ‘所’와의 상관성 연구 -유형론적 상관성을 중심으로-

        석주연 국어사학회 2015 국어사연구 Vol.0 No.20

        본고에서는 中世 國語 諺解文의 ‘-오-’와, 諺解文에 대응되는 古代 漢語 原文의 虛辭 所의 相關的 關係를 고찰하였다. 古代 漢語에서 虛辭 所는 기원적으로 場所의 어휘적 의미를 가지는 實辭 所로부터 文法化 과정을 거쳐 동사의 목적어, 부사어 등에 관련된 虛辭로 발전한 바 있다. 中世 國語 諺解文에서는 의미상 冠形詞節의 피수식명사가 목적어나 부사어 등일 때 冠形詞節에 ‘-오-’가 분포하는데 이에 대응하는 漢語 原文에는 所가 분포하여 ‘-오-’와 所 間에 밀접한 相關性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오-’와 所는 그 출현에 있어서도 相關性을 보이지만 출현하지 않는 환경에 있어서도 相關性을 보인다. 諺解文에서는 피수식명사가 冠形詞節과 의미상 부사어 관계에 있더라도 그 피수식명사가 [+時間] 명사일 때 冠形詞節에 ‘-오-’가 통합되지 않는데 바로 이에 대응하는 漢語 原文에도 所가 분포하지 않는 양상을 살필 수 있다. 漢語 原文의 이러한 환경에서 所가 출현하지 않는 것은 漢語에서 所가 場所 의미의 實辭에서 기원했다는 점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본고에서는 ‘-오-’와 所의 相關性에 대해 예외로 보이는 용례들을 검토 대상에 포함시켜 그것이 표면적 예외일 뿐 양자 간의 相關性에 적극적으로 반하지 않는 용례들임을 살펴보았다. 中世 國語 冠形詞形의 ‘-오-’와 古代 漢語 所와의 相關性은 관계화 표지의 類型論的 相關性의 한 증거로 간주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focuses on illuminating the correlation between ‘-o-’ in medieval Korean language and suo(所) in ancient Chinese. ‘-o-’ in medieval Korean language appears in relative clause and NP Complement. Whether prefinal ending ‘-o-’ appears in the utterance depends on its surrounding syntactic environments. When the semantic role of head noun is related to VP in a relative clause, prefinal ending ‘-o-’ appears in the relative clause. Similarly suo(所) can extract the object, location, the instrument, the reason or the way of related VP in suo(所) VP structures. Most scholars agreed historically suo(所) underwent grammaticalization in which noun suo(所) was changed into relative pronoun suo(所). The distribution of ‘-o-’ shows us its strong correlation to that of suo(所)’s. The function of prefinal ending ‘-o-’ in medieval Korean language can be examined on the grounds of typological evidence related to suo(所).

      • KCI등재후보

        서술의 시점과 국어 문법 현상의 이해 : '-ㅅㆍㅂ-'과 '-오-'를 중심으로

        석주연 국어학회 2004 국어학 Vol.0 No.43

        이 글에서는 주로 문학 분야에서 서술자가 서사구조를 언표화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데 사용하였던 시점의 전이라는 개념을 언어학적 관점에서 고찰하고 이 개념을 적용하여 국어의 문법 현상을 기술, 설명하고자 하였다. 시점의 전이란, 화자가 발화의 목적에 따라, 화자가 기술하고 있는 사태에 참여하는 인물들에 대해 정도차를 가지고 자신과 동일시하는 현상을 말한다. 중세국어의 문법형태소'-ㅅㆍㅂ-'과 '-오-'의 분포 조건을 시점의 전이라는 관점에서 검토한 결과 경어법 요소 '-ㅅㆍㅂ-'은 시점 전이의 제약 조건을 전제로 일련의 통사론적, 담화·화용론적 조건의 구체적 내용으로는 담화 전개의 정점조건, 담화 주도의 인물 조건 등을 들 수 있다. 아울러 시점의 전이가 본질적으로 정도성을 가진 개념이라는 점은, 1인칭 화자 주어와 관련된 '-오-'가 인용문 구조에서 가지는 특별한 의의와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시점의 전이라는 개념의 적용으로 선어말어미 '-오-'분포에 있어 예외로 간주되었던 용례들을 새로운 시각으로 다룰 수 있었다.

      • 어휘 " 겯 " 을 찾아서

        석주연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001 先淸語文 Vol.29 No.1

        A word, 'K^y∂l(pattern)' appears only once in the Korean translations of Noguldae. Commentaries on Noguladae have regarded this word as misprint of `kot(flower)'. We need to notice however that the Chinese original word corresponding to 'K^y∂l', `花, has the meaning of `pattern' as well and that there is not a single correction to `kot' in any version of Korean translations of Noguldae. Thus I suggest that we should translate 'K^y∂l' to mean `pattern'. I also point out that since 'K^y∂l' has the same tone and meaning as 'K^y∂l(pattern)', we may take 'K^y∂l' to be related to 'K^y∂l' by alternation of a consonant at the end of the syllable(lexical split). A trace of 'K^y∂l' can be found in `k' at da' in modern Korean.

      • KCI등재

        韓國語 言語文化 敎育의 자리매김을 위한 一考察 -韓國語 言語文化 敎育의 內容 體系化와 學習者 中心性의 認識을 中心으로-

        석주연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6 No.4

        The importance of Korean linguaculture education is now well recognized by Korean language educators and scholar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more systematically how various aspects of Korean lingua- culture can be understood, and then be applied to the practic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 examine the contents of Korean lingua- culture in terms of visibility and non-linguistic communicative behaviors, and clarify the interconnections between them. Also I argue that ‘learner-centeredness' should be taken seriously in order to obtain the objectivity of Korean linguaculture and to cultivate participatory attitudes among Korean linguaculture accommodators, when we develop and systematize Korean linguaculture education. 文化의 힘과 價値에 대한 認識이 새로워지고 社會 構造가 多文化的으로 變貌해 가고 있는 지금 韓國語 文化 敎育의 重要性이 나날이 고조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韓國語의 言語文化’의 내용을 可視性, 言語的․非言語的 意思疏通 行爲 등의 觀點을 중심으로 構造化, 體系化하고 統合的으로 이를 이해하는 方案을 摸索하는 한편 이들 相互間의 關聯性을 理解하고 韓國語 言語文化를 좀더 總體的으로 인식함으로써 韓國語 言語文化 敎育의 性格과 位相을 정립해 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韓國語 言語文化 敎育의 내용을 발굴하고 체계화할 때 ‘學習者 中心性’을 바탕으로 해야 한다는 점은 韓國語 言語文化의 客觀性을 확보하는 데에도 큰 의미가 있지만 言語文化 受容者의 能動性을 高揚하고 그것이 결국 韓國語가 介在된 文化 現象에 대한 洞察과 理解로 나아갈 수 있는 礎石이 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음을 확인해 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