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각급학교 내 장애인 일자리사업」운영실태 분석

        서화자 ( Seo Hwa Ja ),김운지 ( Kim Woon Ji ),이은진 ( Lee Eun Jin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3 No.4

        이 연구는「각급학교 내 장애인 일자리 사업」을 운영과정에서 특수학교 담당교사들이 당면하기 쉬운 문제들의 개념을 범주화 및 유형화하고 탐색해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각급학교 내 장애인 일자리 사업」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전라북도 내 특수학교 교사들로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면담자료를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각급학교 내 장애인 일자리 사업」운영 과정에서 나타난 개념은 총 136개이며, 이를 통합한 하위범주는 45개이고, 이는 다시 11개의 상위범주로 통합되었다. 둘째,「각급학교 내 장애인 일자리 사업」운영 과정에서 나타난 중심현상은 ‘업무부담’과 ‘업무에 대한고민’이었다. 이에 작용하는 인과적 조건은 ‘일자리사업의 필요성’과 ‘업무 운영’ 이며, 맥락적 조건은 ‘환경적 어려움’과 ‘부족한 인적지원’ 이었고, 작용/상호작용 전략에 대한 중재적 조건의 결과는 ‘제도개선 요구’와 ‘정책 확립의 필요성’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패러다임 모형에 따라 연구 대상별「각급학교 내 장애인 일자리 사업」운영의 유형은 맥락적 조건과 중재적 조건에 따라 ‘극복형’, ‘순응형’, ‘혼란형’ 세 가지 유형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각급학교 내 장애인 일자리 사업」운영과정에서 담당교사들이 당면하는 문제들을 이해하고, 업무운영과 연관된 직무진행 및 일자리 사업운영의 질적향상을 위한 면밀한 계획을 세우고 실천해 나가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foundly examine the problems facing the special teachers charged with the du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Job Creation Project for the Disabled in Schoo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as the special teachers responsible for the operation for the ``Job Creation Project for the Disabled in School`` in North Jeolla Province, an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 The foundation theory approach method, presented by Strauss and Corbin(1998), was u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total of 136concepts, 45sub-categories, and 11 categories were derived in relation to the special teachers`` operation of ``Job Creation Project for the Disabled in School``. The special teachers`` operation of tasks related to the ``Job Creation Project for the Disabled in School`` was found to focus on the ``workload`` and ``concern about the works`` which were the main phenomenon of the operation. The causal conditions that led to the main phenomenon were found to be the ``necessity of the job creation project`` and ``operation of tasks``. Meanwhile, the ``environmental difficulties`` and ``inadequate manpower support`` were the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main phenomenon. The mediation situation factors affecting the resolution of main phenomenon in relation to the ``Job Creation Project for the Disabled in School`` were found to be the ``positive factors`` and ``negative factors``. The ``effort for the cooperative system`` was found to be the strategy to resolve the main phenomenon of the operation of ``Job Creation Project for the Disabled in School``, and the resultant outcomes were found to be the ``necessity for establishment of policies`` and ``demand for improvement of system``.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operation processes of ``Job Creation Project for the Disabled in School`` were summarized to be the phase of implementation, phase of conflict, phase of adjustment, and phase of demand. 3types, i.e., overcome type, adaptation type, and confusion type, were presented for the foundation theory for the operation of ``Job Creation Project for the Disabled in School``. Based on the results of research, this study presented the recommendation for the succeeding studies, along with the discussion related to the special teachers`` operation of ``Job Creation Project for the Disabled in School``.

      • KCI등재
      • KCI등재

        또래상담 프로그램이 학습장애 학생의 또래관계증진과 행동변화에 미치는 효과

        서화자 ( Hwa Ja Seo ),이재선 ( Jae Sun Lee ),이은진 ( Eun Jin Lee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4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0 No.1

        이 연구는 학습장애 학생과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또래집단을 조직하여 보육시간을 활용한 또래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또래관계증진과 학급내 행동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5학년 P학급의 학습장애 학생 1명과 프로그램에 참여할 지원자 중에서 부모의 동의서를 받은 학생 11명을 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설계에서 학습장애 A학생은 ABA를 이용하였다. 실험처지 단계에서 기초선(A1)기간에는 ‘또래관계 질문지’를 3회에 걸쳐 수집하고, 행동변화 체크리스트를 3회 기록하였다. 중재(B)기간에는 초등학생용 또래상담 프로그램을 주 2회씩 보육시간에 한 회기 당 40분으로 10회기에 걸쳐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상담 프로그램이 또래관계를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둘째, 또래상담프로그램이 학습장애 학생의 행동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통합교육상황에서 교사들이 장애에 대한 편견 없이 학습자의 변화에 대한 기대와 믿음을 갖고 임한다면 학생들에게 보다 자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기회는 물론 또래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change in the behavior and attitude of a student with learning disabilities was explored in this research through an assigned peer-led interventional program that consist of students with and without learning isabilities. The research group consisted of one 5th grade students with P-level learning disabilities and eleven informed students who have their parental consents to participate. ABA experimental design was employed in this research. In the first part of the research(A1), three surveys on separate occasions were completed by participating students in regards of their attitudes towards a student with learning disabilities. After every survey, in total of three separate occasions, the dynamics of students were observed. The research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had ameliorated through the peer-led interventional program. Second, a positive impact was observed from a student with learning disabilities through the peer-led program. Based on the positive research result, an effort should be made to ameliorate the attitude of school personnels and students towards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by allowing them to participate in the same class room setting. A further work should be done to improve, implement, and initiate more programs that gear towards such interventional programs as described in this research.

      • KCI등재

        동화 속 장면을 이용한 상황이야기 중재가 정신지체중학생의 자기 결정 능력에 미치는 효과

        박혜영 ( Hwa Ja Seo ),서화자 ( Hye Young Park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4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정신지체중학생들에게 동화 속 장면을 활용한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기결정능력(자기관리기술, 사회성기술, 스트레스해소기술)의 수행율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있었다. 또한 이러한 효과는 정신지체중학생들의 자기결정능력(자기관리기술, 사회성기술, 스트레스해소기술)의 일반화와 유지에도 효과가 있는지를 검토했다. 실험설계는 대상자간 중다 간헐기초선 설계(multipleprobe design across subjects)를 사용하였으며, 자기결정기술이 부족한 정신지체중학생 3명을 연구대상으로 했다. 본 연구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동화 속 장면을 이용한 상황이야기 중재는 정신지체아동의 자기결정능력의 수행율을 증가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둘째, 동화 속 장면을 이용한 상황이야기 중재로 습득된 자기 결정 능력의 수행율은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유지되었고 자기결정 능력이 요구되는 상황에서도 일반화되었다. 정신지체학생들에게 자기결정능력이 향상된다면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하는데 어려움이 경감될 것이며 사회 속에서 자신감 있는 성인으로 성장해 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using a scene from a fairy tale on self-determination skills (self-management skills, social skills, and catharsis) amongst middle school-aged students. Furthermore, the generalization and maintenance of these effects on these students are also reviewed. The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 method was employed for study design, and three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s well as the lack of self-determination skills, have participated in the study. From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a) a story-telling therapy using a fairy tale has effectively increased the student’s ability to perform self-determination skills. (b) The self-determination skills were maintained ever after the termination of the experiment and were successfully generalized in a situation that required students to perform such skills.

      • KCI등재
      • KCI등재

        통합 상황에서의 ADHD 아동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스트레스와 개선방안

        마소현 ( So Hyeon Ma ),서화자 ( Hwa Ja Seo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4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0 No.4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ADHD 아동 교육에 대한 스트레스 수준과 개선방안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초등학교 교사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직접 또는 메일, 메신저로 실시, 회수된 설문지 200부 중 분석에 적합하지 않은 38부를 제외한 162부를 통계처리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DHD 아동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스트레스는 부모관련 스트레스, 아동-수업관련 스트레스, 행정적 지원관련 스트레스 세 영역 모두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를 받고 있었다. 둘째, 개인변인(성별)에 따라 여교사가 남교사에 비해 ADHD 아동교육에 대한 높은 스트레스 수준을 보였다. 셋째, ADHD 아동교육에 대한 개선방안은 ADHD 아동을 위한 교육환경에서 교사주도의 구조화된 환경, 열린 환경, 상황에 따라 변화가 가능한 환경 모두 적합하다고 응답 하였으며. ADHD 아동 자기통제 교육방법에는 인지적 문제행동수정, 부모교육, 통합교육에서 또래와의 사회성 기술 훈련법 등이 모두 적합하며, ADHD 아동 교육을 위해 행.재정적 지원, 사회와 학교 그리고 부모모두의 관심과 협력이 필요하다는 데 있었다. This research explores the stress level express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interact with ADHD children, as well as, a strategy to improve teaching experience by mitigating teachers` stress level. 250 elementary teachers were asked to complete a survey directly in person, via mails, or via electronic messengers. Out of 200 returned surveys, 38 surveys were excluded due to inadequacy in criteria, and the total of 162 surveys were analyze. Results are as the following. First, the stress level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regards to ADHD children`s education scored highest in three of the following areas: parental pressure, children`s disruption in classes, and lack of managerial support. Second, female teachers demonstrated higher stress level compared to male teachers. Third, a teacher-oriented, open environment that allows situational accommodation was most appropriate for improving educational values for ADHD children. Self-control can be enforced on ADHD children through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parental education, and social skills training in an inclusive environments with the peers. Financial and logistical support from the society and schools, as well as, the parental involvement and their interests will be essential for education of ADHD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