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의 북극정책 역사 고찰과 한국의 북극정책 방향

        서현교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16 한국시베리아연구 Vol.20 No.1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history of the Arctic Policy of US which is a current Arctic Council's chair-country and a leading country of global Arctic issues and to provide the its implications to Korea's future Arctic Policy. US became the Arctic country through purchase of Alaska from Russia in 1867, which had governed it for almost military and secure purpose until designated as the US 49th state in 1959. After that, US Presidents has announced the Arctic Strategies considering secure, environmental, economic and international aspects of Alaska: Richard Nixon's NSDM-144 in 1971, Ronald Reagon's NSDD-90 in 1983, Bill Clinton's PDD/NSC-26 in 1994, but these were rather declaratory type's presidential Directives (total 2-5 pages) than practical policies which includes concrete plans: (Wake-up phase of US Arctic Policies). Then, George W. Bush opened NSPD-66/HSPD-25 in 2009 that NSPD-66/HSPD-25 included implementation plans which composed of detailed projects by superceding six principal objectives of Bill Clinton's PDD/NSC-26 (Build-up phase of US Arctic policies). Current president Barack Obama revealed 'National Strategy for the Arctic Region' in 2013 including three strategic directions & four guiding principles and released consecutively 'Implementation Plan for the National Strategy for the Arctic Region' in 2014, 'National Strategy for the Arctic Region Implementation Report' on 2015, as an outcome report for the plans (Completion Phase of US Arctic policies). Though the historical analysis of US' Arctic policies, these paper extracted three common key-words derived from each Presidential Arctic policy: △National Security, △International cooperation, △Sustainable Environmental Stewardship. Obama's Adminstration, as the Arctic Council's new chair-country in April 2015, announced 'Chairmanship Program 2015~2017' that would be carried out during the incumbency. This Program consisted of 15 detailed projects by 4 themes. Cross-checking analysis between these 15 projects and detailed plans in Obama's implementation plans(2014) showed that what requires international cooperations, for example Arctic environmental protections, scientific monitoring, Search & Rescue etc, were mainly included detailed projects of US chairmanship program. This means that US hope to address various issue regarding Arctic environment and sustainablities with global societies (Arctic Countries and observer countries, etc) through Arctic Council. Korea as an observer country of Arctic Council, should fortify the bilateral collaboration between Korea and US for Korea's economic development by contributing current US's Arctic Policies and Chairmanship Program. 본 연구는 북극이사회의 현 의장국이자 국제사회에서 북극정책의 구심점 역할을 하고 있는 미국의 북극정책 역사와 현 정책의 고찰을 통해 우리나라 북극정책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1867년 러시아로부터 알래스카를 매입해 본격적인 북극권 국가가 된 미국은 1959년 미국의 49번째 주로 지정할 때까지 이 지역을 군사 및 안보구역으로 지정 및 관할하였다. 정식 주(州)로 지정받은 후 미국 대통령은 알래스카의 안보, 환경보호, 경제개발, 국제협력 등을 포괄하는 북극전략을 대통령 강령으로 발표하였다. 리차드 닉슨(Richard Nixon) 대통령은 1971년 NSDM-144 강령,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Ronald Reagon)은 1983년 NSDD-90 강령, 빌 클린턴 대통령(Bill Clinton) 은 1994년 PDD/NSC-26 강령을 각각 발표하였다. 10여 년 주기로 발표된 강령들은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담은 정책적 강령이라기보다는 2-5페이지 분량의 선언적 강령이라 할 수 있으며, 이 시기를 미국의 북극정책 태동기로 분류한다. 조지 부시(George W. Bush) 미국 대통령은 빌 클린턴 대통령이 발표한 PDD/NSC-26의 6개 주요 목표를 기반으로 세부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담은 NSPD-66/HSPD-25 강령을 2009년 발표하였다. 이 강령은 구체적인 실행 프로젝트를 담고 있으며 기존 강령을 발전시키는 내용을 담아냈다는 점에서 북극정책 체계의 구축기로 분류할 수 있다. 현 미국 대통령인 버락 오바마(Barack Obama) 대통령은 2013년 ‘북극지역에 대한 국가 전략(National Strategy for the Arctic Region)’이라는 북극정책을 발표하였는데 이 전략에는 3개의 기본전략 및 4대 실행계획이 담겨 있다. 그리고 3대 기본전략을 달성하기 위한 세부 실행계획(Implementation Plan for the National Strategy for the Arctic Region)을 2014년 1월 발표하였고, 실행보고서(National Strategy for the Arctic Region-Implementation Report)를 2015년에 발표하였다. 기본정책에 따른 세부정책 및 실행계획 및 점검(피드백)까지 하나의 완성 체계를 이뤄내며 북극정책의 완성기를 이뤄냈다. 미국의 북극정책을 태동기부터 완성기까지 역사적으로 분석한 결과, 북극정책은 시대에 상관없이 ‘국가안보’, ‘국제협력’, ‘지속가능한 환경관리’라는 3개 키워드를 공통으로 범위가 점차 광범위해지고, 3개 주제를 기반으로 세부정책이나 실행계획을 추진해 왔다고 분석할 수 있다. 미국은 2015년 북극이사회 새 의장국이 되면서 의장국 기간(2015-2017) 동안 주도할 의장국 프로그램(Chairmanship program 2015-2017)을 발표하였는데 4개 분야의 15개 세부 과제가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15개 세부과제와 오바마의 북극정책 세부 실행계획(2014)을 비교 분석한 결과 세부 실행계획(2014) 중에서 국제사회와 공조가 요구되는 북극의 지속가능한 환경관리와 북극 과학연구, SAR(수색 및 구조)와 같은 국제협력 과제들을 의장국 프로그램의 세부과제에 포함시켰다. 미국이 북극에서 국익과 연계된 안보 부문을 제외하고, 미국의 독자적 대응이 불가능하고, 국제협력이 요구되는 북극 관련 이슈들을 북극이사회라는 창구를 통해 북극권 국가 및 비북극권 국가(한국 등 옵서버국가) 등 국제사회와 공동협력으로 대응하고 해결하려는 의지로 해석할 수 있다. 북극이사회 옵서버 국가인 한국은 미국의 북극정책과 의장국 프로그램에 기여함으로써 국익 확보를 위한 미국과의 북극 양자협력을 더욱 강화하는 계기를 마련해야 하겠다.

      • KCI등재

        일본의 북극정책: ‘연구개발’ 부문의 인문·사회 분야 중요성 평가

        서현교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20 아태연구 Vol.27 No.4

        Japan commenced the Arctic activities by joining IASC which was the first Arctic activity of Asian Countries, and has expanded the interest areas by conducing international project for NSR in 1990s and 2000s. And, ‘Headquarter for Ocean Policy at the Prime Minister’s Office’ for managing the Japan’s Ocean and Polar Policy was founded in 2007 and Japan got the ad-hoc observer state in 2009 and finally joined the observer group of Arctic Council in 2013. as an after-action of joining, the headquarter formally released the Japan’s Arctic Policy in 2015 that was the first Arctic policy of the Japanese government. Japan’s Government consisted of 3-axis of policy, that is △Research and Development (R&D), △International Collaboration. △Sustainable Development. Regarding the R&D of Arctic Policy, MEXT organized the Arctic Climate Change Research Project (2011-2016) under GRENE programme. and as a second stage, MEXT initiated the interdisciplinary programme named “Arctic Challenge for Sustainability (ArCS I 2015-2019 leading by NIPR, JAMSTEC, Hokkaido Univ.)’ in 2015 which was finished successively in 2019. MEXT had hosted the breakout session at Arctic Circle Assembly for sharing the accomplishments of the ArCS I. with international communities from 2016 to 2019. In 2020 MEXT, on the third stage, launched ArCS II programme which takes more multidisciplinary approach than ArCS I and more domestic research institutions (i.e. Univ., Institute) apart from 3 main institutions joined as the managing institutes of each sub-project. This study conducted the comparative study on GRENE (Arctic Climate Change Research Project), ArCS I, and ArCS II in terms of research themes and the contents of sub projects, portion of Arctic Social science and its role and relations on A rctic natural science, etc. And the study reviewed the implications based on the outcomes of analysis and research and suggested the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s Arctic interdisciplinary programme collaborating Arctic Social Science,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for addressing Arctic Issue and contributing to Policy-Decision. 일본은 1990년 아시아 최초로 북극연구 활동을 시작하면서 비로소 북극활동의 포문을 열었으며, 1990년대부터 2000년대 이르기까지 북극항로에 중점을 둔 국제공동연구 프로그램(INSROP, JANSROP) 등을 기반으로 점차 북극활동 영역을 넓혀 나갔다. 그리고 2000년대 일본 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종합해양정책본부가 설치되고 이후 북극이사회 잠정옵서버, 정식옵서버 등의 지위 확보와 이후 국가 차원의 북극정책 수립을 통해 분야별 체계적인 정책을 추진해 나갔다. 이러한 일본의 북극정책은 ‘연구개발’, ‘국제협력’, ‘지속가능한 활용’이라는 3대 키워드를 정책 축으로 세부과제를 수행하였는데, 연구개발 부문에서는 문부과학성(MEXT)이 주도하는 ArCS I(2015-2019)이 일본의 대표적인 북극 국가브랜드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하며 성과를 주도해 나갔다. 그리고, 후속 프로그램인 ArCS II가 2020년 새롭게 출범되면서 그 연구범위나 전략목표, 책임기관 확대 등 기존보다 프로그램을 더욱 체계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북극활동 및 정책 연혁을 조망하고, 그 안에서 일본의 북극정책 중의 한 축인 연구개발 부문을 담당하는 MEXT 주도 북극연구 프로그램의 발전과정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그 프로그램 안에서 점차 비중과 범위를 확대하고 있는 인문·사회 분야의 비중과 주제 범위를 분석하고 전반적인 특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의 북극 융복합 연구프로그램의 발전방향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한국의 북극정책 과제 우선순위에 대한 평가와 분석

        서현교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19 한국시베리아연구 Vol.23 No.1

        After gaining the Arctic Council Observer status in 2013, the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the 1st Masterplan for the Arctic policy (2013-2017) as a follow-up action in the same year. The 2nd Masterplan for the second term (2018-2022) was adopted in July, 2018. Then, the Ministry of Ocean and Fishery (MOF) declared a statement during the Arctic Partnership Week in December, 2018 on the “2050 Polar Vision” to provide a long-term Arctic policy vision. This study reviews Korea’s Arctic Policies in terms of historical perspectives,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1st Masterplan (2013) and the 2nd Masterplan (2018) from the vision to action-plans. Korea’s Arctic Policy Model is developed as a part of the study, based on the categories of the policy contents of the “2050 polar vision”. As the next step, after identifying the changes in the direction of governmental-level policy between 2013 and 2018 masterplan, the study deducted perspectives, and implications based on those changes. Through expert-questionnaire analysis, the study sets the priority on the polar 20 challenges including Climate Change, Ecosystem Change, and Arctic Shipping, and suggests Korea’s future Arctic policy directions. Furthermore, considering the governmental policy change, the study suggests how the policy can provide responses for the domestic stakeholders, including R&D, Industries, and Academia. 우리나라는 지난 2013년 북극이사회 옵서버 지위 획득의 후속 조치로 같은 해 12월 ‘북극정책기본계획’을 수립했다. 이는 우리나라 정부의 첫 공식 북극정책이다. 이 기본계획에 이은 2차 계획 성격인 ‘북극활동진흥기본계획’(2018-2022)이 2018년 발표되면서 우리나라 북극정책이 체계화되었다. 해양수산부는 또한 2018년 12월 ‘2050 극지비전’을 선포하여 우리나라 극지정책의 장기 비전도 마련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북극정책 관련 국내외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북극정책기본계획, 북극활동진흥기본계획를 상호비교하여 정책 아젠다의 우선순위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 두 기본계획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북극정책 유형을 살펴보고 그 유형을 토대로 한 우리나라 북극정책 모형과 2050 극지비전 간 연계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2050 극지비전이 두 기본계획과 같은 논리 구조로 하여 장기적인 정책적 기반을 제공하였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국내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2050년 예상되는 극지분야 20개 도전과제를 제시하고 중요도에 따라 5개를 순서대로 선별토록 하여, 정책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북극활동진흥기본계획의 정책아젠다 순위를 재구성하였다. 결론 부문에서 2013년의 북극정책기본계획과 2018년의 북극활동진흥기본계획 간 차이점을 통한 북극활동진흥기본계획의 특징을 검토한 후, 전문가 설문 분석결과를 토대로 한 우리나라 정책 우선순위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정책의 이해관계자인 극지과학계, 업계 등의 입장에서 고려할 시사점과 대응방안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북극정책 모형 기반 한국의 최근 북극정책 특성 분석: 유럽과 협력 확대를 중심으로

        서현교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23 EU연구 Vol.- No.67

        After becoming an observer of the Arctic Council in 2013, the Korean government set the 1st Masterplan for the Korea’s Arctic Policy (2013-2017) as a follow-up action in the same year. The 2nd Masterplan for Korea’s Arctic Policy (2018-2022) was announced as a follow-up the 1st Masterplan, and Korea’s Arctic policy system was established step by step. Afterwards,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MOF) declared the ‘2050 Polar Vision’ in December 2018 to prepare a long-term vision for Korea’s polar policy. The Polar Activities Promotion Act, led by MOF, in April 2021, was enacted and Korea laid the legal foundation for systematic fostering and support of integrated ‘Arctic and Antarctic activities’ in Korea. In November of the same year, ‘Arctic Activities Strategy for 2050’ was announced to establish a long-term direction for Arctic policies. And finally, in November 2022, MOF established and announced the 1st Basic Plan for the Polar Activity Promotion (2023-2027) based on the Polar Activities Promotion Act. The Polar Activities Promotion Act, led by MOF, in April 2021, was enacted and Korea laid the legal foundation for systematic fostering and support of integrated ‘Arctic and Antarctic activities’ in Korea. In November of the same year, ‘Arctic Activities Strategy for 2050’ was announced to establish a long-term direction for Arctic policies. And finally, in November 2022, MOF established and announced the 1st Basic Plan for the Polar Activity Promotion (2023-2027) based on the Polar Activities Promotion Act. In this study, precedent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Arctic policies in Korea were analyzed, and the policy framework and contents from the 1st Masterplan for the Arctic Policy (2013-2017) to the 1st Polar Activities Promotion Basic Plan (2023-2027) were reviewed. In particular, based on the ‘Korea Arctic Policy Model’ developed through the research of Hyunkyo SEO (2019), ‘Arctic Activities Strategy for 2050’ and the 1st Basic Plan for the Polar Activity Promotion were analyzed, and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In conclus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policy directions of the 2nd Basic Plan for the Polar Activity Promotion (2028-2032), which correspond to the 2nd term polar policy of Korea, were proposed. Finally, recent governmental policies & projects based measures to strengthen cooperation with Europe were presented.

      • KCI등재

        중국과 일본의 북극정책 비교 연구

        서현교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18 한국시베리아연구 Vol.22 No.1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by comparing China’s Arctic Policy (2018) with that of Japan (2015) being in position of collaboration and competition in Arctic issues with South Korea. Aa a main theme and composition of contents, Since the Arctic expedition in 1999 China, has expanded the field of activity (NSR, resource, international cooperation etc) in the Arctic. China announced the ‘China’s Arctic Policy White Paper’ for the first time in its history in January 2018, after it had announced ‘one belt one road policy’ named ‘New Silk Road’ policy newly including Arctic Shipping route in 2017 (updated one of the original policy in 2013). Japan has taken actions for the Arctic like establishment of scientific infrastructure and research activities, and survey & research on feasibility of Arctic shipping route led by the government since 1990’s and opened ‘Japan’s Arctic Policy’ in 2015. This study analyzed each arctic event of China and Japan by time-line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the background on drawing two Country’s Arctic policy and contents of the policy on detail. And to order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between China’s Arctic policy and Japan’s, detailed policy items and contents of two countries’ detailed plans of the policy were reshuffled and compared by 7 key-words (Climate Change / Environment Ecosystem, science & technology, resources, Arctic sea route, international cooperation, Arctic Indigenous People, security). Finally, the study reviewed the implications based on the outcomes of analysis and suggested directions for the improvements of Korea’s Arctic policies.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북극 활동에서 협력 및 경쟁을 하고 있는 중 국과 일본의 북극정책을 분석하여 중·일과의 북극협력 방안 및 시사점 을 제시하고 대응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내용과 구성은 다음 과 같다. 중국은 일본보다 늦었지만 1999년 중국의 북극해 탐사를 시작으로 하여 최근의 일대일로 구상(2013년 발표 및 2017년 개정 발표)에 이어 2018년 북극정책 백서(White Paper)를 발표하였는데, 이 연구에서 는 기존 연구를 검토하고, 중국의 북극정책이 도출되기까지 북극활동 및 정책내용 등을 분석하였다. 일본은 아시아에서 1990년대 초부터 정 부 주도의 북극연구 활동 및 인프라 구축과 함께 북극항로 항행 가능 성 타진 프로그램 수행 등 다양한 활동을 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 북극정책에 대한 기존 연구를 검토하고, 1990년대 북극활동부터 일본 북극정책(2015) 발표까지 과정 및 북극정책 내용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중국과 일본의 북극정책 상호 비교를 위해 중국보다 더 세부적인 분류 체계를 제시한 일본의 정책과제를 기준으로 하여 주제 키워드(기후/환 경/생태계, 과학기술, 자원개발, 북극항로, 국제협력, 원주민, 안보) 별로 양국의 정책과제 내용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결론에서 그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우리나라가 북극정책 추진에서 중국, 일본과의 협력 및 대응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보도방향지수와 환경보도

        서현교(Hyun-Kyo Seo) 한국환경사회학회 2007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1 No.1

        우리 사회에서 21세기 중심 패러다임인 ‘지속가능한 발전’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정부, 시민·환경단체, 전문가, 지역 주민 등 모든 사회 구성원의 참여와 협력이 중요하다. 언론도 주민에게 정보제공을 통한 의식 전환, 지속가능발전에 역행하는 사업이나 정책에 대한 감시기능 등 언론 본연의 역할을 통해 지속가능발전 실현에 기여해야 한다. 그래서 본 연구는 언론이 객관성과 공정성이라는 저널리즘 원칙을 준수함으로써 지속가능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고 지속가능발전 이슈로 가장 긴 시간을 끌어온 새만금 사업에 대한 보도를 사례로 저널리즘원칙을 준수하려고 노력했는지 알아보았다. 이론적 배경에서 지속가능발전 개념과 언론의 핵심가치이자 저널리즘 원칙인 객관성 및 공정성 개념 연계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래서 언론이 객관성과 공정성 원칙을 제대로 지켜나갈 경우 사회가 지속가능발전 원칙을 실현해 나가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새만금사업에 쟁점 및 사건들에 대한 언론보도를 평가하기 위해 기존 언론학에서 사용되는 분석기법들을 검토한 후, 빈도분석을 실시하고 객관성·공정성 요소 중 하나인 편향성을 살펴보기 위해 보도방향지수(Coverage Direction Index)를 개발하여 지난 10년간 주요 방송·일간지가 보도한 2,474건의 기사에 적용했다. 분석결과 기사보도 건수가 특정사건 시기에 급증했고, 언론이 2003년 이후부터 물막이사업이 완료된 올해 2분기까지 새만금 사업에 지지 편향적 논조를 보여 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For realizing sustainable development(SD), it is essential to have the cooperation and participation of stakeholders including NGO, the government, academics (experts), and local residents. Also, the press should play a role in monitoring the problem related SD issues and supplying the related informations in order to enlighten the residents. At theoretical background, this study connected SD with main journalism principle(objectivity/fairness). After developing a Coverage Direction Index(CDI), this research applied it to 2,474 reports covered by 5 major daily newspapers and KBS, MBC, SBS. Firstly, the result of frequency analysis on reports by the month showed that, the frequency of relevant reports during specific 4 periods increased rapidly up to 10 times higher than usual months. As a result of CDI analysis, since the second quarter of 2003 the press has a positive attitude on the project. As the construction of the dam has been gradually completed, the media support for the project has been stronger.

      • KCI등재

        러시아 북극정책의 시대적 특징과 함의

        서현교 ( Seo Hyun Kyo )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21 한국시베리아연구 Vol.25 No.3

        북극권 국가 중 북극에 가장 넓은 영토를 가진 나라인 러시아는 제정 러시아 이전인 봉건시대부터 시베리아 동진을 시작하면서 북극정책의 기반을 다져나갔다. 이후 제정 러시아 시대, 그리고 소비에트 정권 시대(구소련), 그리고 1991년 구소련 붕괴 후 독립한 러시아 연방정부에 이르기까지 시베리아를 정책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은 매우 달랐다. 즉, 식민지 후 영토화 그리고 산업화를 거쳐 현 연방정부에서는 자국의 북극지역을 정의하고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북극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더욱이, 러시아는 올해 북극이사회 의장국(2021-2023)이 되면서 북극에서 리더십을 발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러시아와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관점에서 러시아 북극정책 연혁을 시대별로 나눠 중요 정책분야를 검토하였다. 특히, 현재 연방정부의 대표적 북극정책인 ‘2020 북극정책 기본원칙’(2008년 발표)과 2020년 발표된 ‘2035 러시아 북극정책 기본원칙’에서 제시된 북극에서 러시아의 국익을 분석하였다. 그래서 역사적인 면에서 러시아가 북극에서 국익으로 제시하는 최우선 주제와 최신 주제들을 파악하였고, 이에 기반하여 우리나라와 러시아 간 북극권 협력강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Russia, the country with the largest territories in the Arctic among Arctic countries, has laid the foundation for its Arctic policy by starting its advance into Siberia from the feudal era before the imperial Russia. From then on, during the Imperial Russia era, the era of the Soviet regime (the former Soviet Union), and the current Russian federal government that became independent after the collapse of the former Soviet Union in 1991, policy views on Siberia were very different. In other words, after step by step colonization, territorial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the current federal government defined its own Arctic region and promoted a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Arctic policy. Moreover, Russia is carrying out the various programmes to fortify its leadership in the Arctic, becoming the chair of the Arctic Council this year (2021-2023). In this paper, from the perspective of strengthening cooperation with Russia, the history of Russia’s Arctic policy is divided by period and important policy areas are reviewed. In particular, Russia’s national interest in the Arctic presented in the ‘2020 Basic Principle for Arctic Policy’ in 2008, and ‘2035 Basic Principles for the Russian Arctic Policy’ in 2020 which is the current federal government’s representative Arctic policy was analyzed. So, from the historical point of view, the top priority and the latest themes that Russia presents as national interests in the Arctic were identified, and based on this, a plan to strengthen cooperation in the Arctic between Korea and Russia was sou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