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생물 담체를 이용한 납 제거기작 모의를 위한 수학적 모델의 개발

        서한나,이민희,왕수균,Seo, Hanna,Lee, Minhee,Wang, Sookyun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13 지하수토양환경 Vol.18 No.4

        Biocarrier beads with dead biomass, Bacillus drentensis, immobilized in polymer polysulfone were synthesized to remove heavy metals from wastewater. To identify the sorption mechanisms and theoretical nature of underlying processes, a series of batch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and a mathematical model was developed to quantify the biosorption of Pb(II) by the biocarrier beads. A series of mass balance equations for representing mass transfer of metal sorbents in biocarrier beads and surrounding solution were established. Major model parameters such as external mass transfer coefficient and maximum sorption capacity, etc. were determined from pseudo-first-order kinetic models and Langmuir isotherm model based on kinetic and equilibrium experimental measurements. The model simulation displays reasonable representations of experimental data and implied that the proposed model can be applied to quantitative analysis on biosorption mechanisms by porous granular beads. The simulation results also confirms that the biosorption of heavy metal by the biocarrier beads largely depended on surface adsorption.

      • KCI등재

        유산소운동이 대사증후군 유무에 따른 비만 중년 여성의 ACE 및 심혈관계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서한나(Seo Han-na),김영준(Kim Young-Jun),문성진(Moon Sung-Jin),정재근(Jeong Jae-Geun) 한국체육과학회 2010 한국체육과학회지 Vol.19 No.2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s on ACE and the risk factor of cardiovascular genealogy which middle-aged women who are overweighted and obese suffered from depending on the existence of metabolic syndrome regarding the aerobic exercise for verifying the exercise effect able to reduce the morbidity rate of metabolic syndrome that can b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tudy method is conducted as collecting 30 people of middle aged women with obesity divided into two groups which are MS group with 23 people and NMS group with 7 people. The exercise program is performed walk and running using a treadmill as putting on the strength of 40~60%HRR during 12weeks, 3times per week and 90minutes. The examination items are analyzed body composition, Cardiopulmonary fitness, risk factor of metabolic factor, ACE, risk factor of cardiovascular genealogy and cytokine before 12weeks exercise and after the on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tudy, there is significance in time to time with regards to BMI, %fat, VO₂max/㎏, HRmax, Glucose and WC and there is significance in group to group with regards to TG, HDL-C and SBP. As the results above the aerobic exercise is positively influenced on the body composition, Cardiopulmonary fitness, Glucose and WC without the existence of metabolic syndrome. After improving the main factors in this study, there is no significance in ACE and the risk factors of cardiovascular genealogy. Thus, the metabolic syndrome of ATP Ⅲ is not influence on the risk factors of cardiovascular genealogy.

      • KCI등재

        온라인 플립러닝에서 실재감 증진전략 개발 및 적용

        서한나 ( Hannah Seo ),김민정 ( Minjeong Kim ) 한국교육공학회 2022 교육공학연구 Vol.38 No.2

        본 연구는 대학수업에서 온라인 플립러닝에서 실재감 증진전략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설계 및 개발연구 방법론을 적용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먼저 문헌검토와 현장전문가 심층 면담을 통해 온라인 플립러닝 모형, 실재감 증진원리 및 세부지침 초안을 도출하였으며 이에 대한 내적 타당화를 위해 전문가 검토를 세 차례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4차 온라인 플립러닝 실재감 증진전략 초안을 수업 현장에 적용하고 교수자와 학습자의 반응을 살피는 현장평가를 진행하였다. 현장평가 분석 결과는 4차 실재감 증진전략 결과물을 개선하는 데 반영하여 최종 온라인 플립러닝 실재감 증진전략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온라인 플립러닝에서 실재감 증진전략은 33개의 원리와 74개의 세부지침으로 개발되었다. 구체적으로 온라인 플립러닝 자기 주도 사전학습 단계에서는 ‘학습주제와 목표 명시화, 내용의 체계적인 구성, 자기주도적 개별학습 촉진, 비실시간 적시 피드백, 새로운 학습 내용 이해와 조직, 자기 주도학습, 교수자와 감성적 소통, 구성원 공존감 인식, 감정 상태 인식·표현·감정관리’의 원리로 9개가 도출되었다. 실시간 본 수업에서는 ‘교수자 온화함, 사전학습 여부 확인, 사전학습 이해점검 및 교정 지원, 학습공동체 의식 강화, 사전학습 오류점검, 사전학습 정교화의 원리, 지식 확장을 위한 협력적 학습자 중심 활동 설계, 협력적 학습활동 명시적 안내, 협력적 학습활동 지원 스캐폴딩 및 피드백, 학습자 중심 활동에 대한 명시적 이해, 내용이해를 위한 정보 탐색, 정보 통합, 공유된 조절, 구성원 친밀감, 구성원 간의 협력적 과제 수행, 비판적 담화 촉진, 흥미 요소에 기반한 수업 구성, 실시간 감정표현, 협력 내용에 대한 성찰 안내, 학습내용의 일반화와 전이, 내용 공유를 통한 상호작용, 수업 활동에 대한 감정표현’의 원리 22개가 도출되었다. 수업 후 사후성찰 단계에서는 ‘학습 과정 성찰, 지식 재구조화와 정교화’의 원리 2개가 도출되었다. 연구의 말미에는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온라인 플립러닝 실재감과 기존 실재감의 차별점, 대학 온라인 수업에서 실재감 증진전략의 활용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developed a presence strategy for online flipped learning to increase online class effectiveness, for which a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methodology was applied. First, a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s with field experts were conducted, the results from which allowed for the development of a draft online flipped learning presence. The internal validity of this draft was then verified through expert review and a field evaluation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developed product, which resulted in the identification of 33 principles and 74 detailed guidelines for the online flipped learning presence, such as clarifying learning topics and goals, constructing systematical learning content, promoting self-directed individual learning, giving asynchronous feedback, understanding and organizing new learning content, self-directed learning, instructor communication with feeling, recognizing participant pre-class co-presence, feeling ·expressing·managing emotion, instructor gentleness, checking pre-class activity, checking pre-class comprehension and providing supportive correction, reinforcing learning community awareness, checking error on pre-class activity, elaborating pre-class activity, designing collaborative learner-centered activity for knowledge expansion, explicit guidance on cooperative learning activities, scaffolding and giving feedback on collaborative learning activity support, explicit understanding of learner-centered activities, searching for content comprehension, integrating information, socially shared learning regulation, participant intimacy, facilitating critical discourse, constructing interest-based classes, expressing synchronous emotion, guiding reflections on cooperative content, generalizing and transferring learning content, interacting through in-class content sharing, expressing feelings about in-class activities, reflecting on the learning process, and restructuring and elaborating on after class knowledge. The study also examined the online flipped learning presence characteristics and the implications for online presence strategy applications in university classes.

      • KCI등재

        예비교사를 위한 AI 활용 수업 사례 및 효과성 분석

        서한나(Hannah Seo),권혜진(Hyejin Kwon),조연직(Yeonjik Joe)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2

        본 연구는 예비교사의 AI 기술수용의도 증진을 위한 수업을 설계·적용하고 효과성을 살펴봄으로써 예비교사를 위한 AI 교육 수업설계의 시사점을 얻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의 4년제 대학에서 초중등 예비교사 50명을 대상으로 교직 수업에서 AI활용교육에 대한 요구조사를 시행한 결과, 인지된 유용성이 AI 기술수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t=7.26, p<.001)을 보였다. 이를 토대로 교수-학습에서 AI활용의 유용성을 고려한 수업을 설계하였다. 학습자의 요구분석을 반영하여 설계된 AI활용 수업은교육학 전문가 3인의 타당화를 거쳐 최종안이 도출되었으며, 이를 현장에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예비교사 38명의 수업 적용 전과 후의 AI 기술수용의도에 대해 t-test를 실시한 결과, AI 기술수용의도가 t=-5.109 (p<.001)로 나타나 AI수업의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생들의 AI수업에 대한 만족도 분석 결과도 매우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예비교사를 위한 AI 활용교육은 일차적으로 교수-학습에서의 유용성에 초점을 맞추어 수업을 설계하여 제공하되, 기술수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변인을 고려하여 수업을 설계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instructional case and effectiveness in order to derive implications for designing AI education courses for pre-service teachers. To this end, we conducted a preliminary survey of 50 elementary and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at a four-year university in the Seoul, and found that perceived usefuln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adopt AI technology, and based on this, we designed a class that considered the usefulness of AI. The designed AI utilization class was validated by two pedagogical experts, and the final design was derived and applied to the clas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e conducted a paired t-test and found that AI class was effective. The post-test showed that perceived usefulness and social influence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 intention to use of AI. Therefore, AI utilization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should focus primarily on the usefulness of AI in teaching and learning, but should also consider various independent variables that affect technology acceptance.

      • KCI등재

        한국노인의저작능력이인지기능에미치는영향:신체기능과우울의매개효과

        서한나(Seo,HanNa),김정선(Kim,JeongSun) 한국노년학회 2017 한국노년학 Vol.37 No.4

        본연구는65세이상노인을대상으로실시한2014년노인실태조사의전국조사자료를활용하여한국노인의저작능력이인지기능에미치는영향을파악하고신체기능과우울의매개효과를확인하기위한이차자료분석연구이다.본연구는2014년노인실태조사자료의응답자총10,451명을대상으로하였으며자료수집기간은2014년6월11일~2014년9월4일까지였다.본연구에서저작능력은일상생활불편감중씹기(고기나딱딱한것)능력에관한도구를이용하였으며,인지기능은MMSE-DS,신체기능은K-IADL,우울은SGDS-K도구를이용하여측정하였다.본연구에서수집된자료는SPSS24.0프로그램과ProcessMacro를이용하여분석하였고,저작능력이인지기능에미치는영향에대하여신체기능과우울의매개효과와이중매개효과검정은Hayes(2013)의Bootstrapping방법에기반한ProcessMacro를이용하여분석하였다.본연구결과,첫째,대상자의저작능력이인지기능에미치는총효과(p〉.05)와직접효과(p〉.05)는유의하지않은것으로나타났다.둘째,대상자의저작능력은신체기능을단일매개하여인지기능에미치는완전매개효과(p〈.05)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셋째,대상자의저작능력은우울을단일매개하여인지기능에미치는완전매개효과(p〈.05)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넷째,대상자의저작능력이신체기능과우울을이중매개하여인지기능에미치는완전매개효과(p〈.05)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이롤통해본연구는한국노인의인지기능저하를예방하기위해서는저작능력을강화하고,신체기능을독립적으로유지하고우울을예방하기위한프로그램개발이필요하고,포괄적노인건강사정시노인의인지기능저하에영향을주는직,간접적요인을주기적으로모니터링하는체계적전략이필요함을시사해주었다. ThepurposeofthisstudywastoidentifytheimpactofchewingabilityoncognitivefunctionofolderpeopleinKoreaandthemediationeffectofphysicalfunctionanddepressionusingthenationwidedatafrom“SurveyoftheLivingConditionsandWelfareNeedsofKoreanOlderPersonsin2014”,inKorea.Thisstudywasconductedonatotalof10,451respondentsinthe“SurveyoftheLivingConditionsandWelfareNeedsofKoreanOlderPersonsin2014”andthedatacollectionwasfromJune11,toSeptember4,2014.Chewingabilitywasusedinthescaleonlevelofdailylifeinconvenienceinchewingability(meatorhardness).CognitivefunctionwasmeasuredusingMMSE-DS,physicalfunctionusingK-IADL,anddepressionusingSGDS-K.ThedatawereanalyzedusingtheSPSS24.0programandProcessMacro.Totaleffectsofchewingabilityoncognitivefunctionwerenotsignificant(p〉.05).Directeffectsofchewingabilityoncognitivefunctionwerenotsignificant(p〉.05).Therewerethedualmediationeffect(p〈.05)ofphysicalfunctionanddepression,acompletemediatingeffectbyphysicalfunction(p〈.05)ordepression(p〈.05)intheimpactofchewingabilityoncognitivefunctionofolderpeopleinKorea.Theseresultsindicatethatphysicalfunctionanddepressioneffectdirectlyandindirectlyintheimpactofchewingabilityoncognitivefunctionofolderpeople.Inconclusion,itissuggestedthattopreventthedeclineofcognitivefunctioninolderpeople,itisnecessarytoconsidernotonlynursingstrategiesforstrengtheningchewingabilityandphysicalfunction,butalsonursinginterventionsforrelievingorpreventingdepressioninolderpeople.

      • KCI등재

        한국판 학업능력에 기반한 작업활동검사 (K-Academic Work Activities) 표준화연구

        서한나(Seo, Han Na),이상진(Lee, Sang Jin),이기학(Lee, Ki Hak) 한국직업재활학회 2022 職業再活硏究 Vol.3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산재근로자를 대상으로 강점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실시하여 회복탄력성 향상 및 구직효능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지역 강서구에 위치한 A병원에 요양기간중인 산재근로자들을 대상으로 ‘강점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내용과 목적을 공고하여 참가를 희망한 실험집단 11명, 통제집단 11명 총 22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프로그램은 기존의 근로복지공단에서 운영하고 있는 희망찾기 프로그램을 토대로 구성 되었으며, 상담심리 전문가 3인의 지도를 통하여 수정⋅ 보완 되었다. 프로그램은 총 8회기, 회기당 120분으로 구성되었고, 본 연구자가 직접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회복탄력성 및 구직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로 강점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회복탄력성 및 구직효능감이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긍정심리학의 강점을 기반으로 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검증한 점과 산업재해를 당한 산재근로자들에게 실시하여 긍정심리를 적용시켰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산재근로자의 심리⋅정서⋅직업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프로그램 내용을 구성하였으므로 실용성이 높으며, 실제적인 접근이 이루어졌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selects 5 sub-tests among the Academic Work Activities that are known to be practical in domestic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aims to propose the standardization process and its result. Main contents of this study includes validity suggestion of criterion establishment based on difference verification among individual subjects of K-Academic Work Activities(K-AWA), and further suggests measurable suitability via reliability and validity verification. Subject of the study has been collected via purposive sampling method from capital area which includes Seoul and Gyeonggi region - 206 abled people at the age of 20s~30s, and 203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101 from supported employment, 102 from sheltered employment). Criterion has been established for both groups of abled people and disabled(supported employment, sheltered employment). Mean value and standard deviation between the two groups have shown distinct difference. A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has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3 criteria have been suggested for each group - abled people, supported employment, sheltered employment.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abled was .60~.79, and reliability for the disabled has shown above .75~.91. Reliability between the test subject was above .90~.95. Convergent validity against Minnesota Manual Dexterity Test was .64~.85, and against Basic Academic Skills Assessment was .51~.69, which has shown valid values. This study provides significance in terms of securing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tandardized K-AWA. We further expect establishment of suitable criterion establishment, which can be practical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the disabled.

      • KCI등재

        플립러닝 사전 동영상 예습에서 학습전략과 예습수행 정도에 관한 질적 연구

        서한나(Seo Hannah),김민정(Kim Min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2

        본 연구는 플립러닝 동영상 예습 활동에서 학습자들이 사용하는 학습전략과 예습수행 정도의 차이를 만드는 원인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플립러닝 학습자인 8명의 연구참여자를 선정하여 반구조화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학습전략 분석을 위해 인터뷰 전사자료에 대한 내용분석이 이뤄졌으며, 예습 수행 정도의 차이에 대한 원인을 살펴보고자 원인연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플립러닝 사전 동영상 예습 활동에서 학습자들은 ‘자기평가’, ‘학습자료의 조직화와 변형’, ‘목표설정과 계획’, ‘정보탐색’, ‘계속적인 기록과 점검’, ‘환경의 구조화’, ‘시연과 기억’, ‘사회적 도움’, ‘자료검토’ 등의 학습전략을 사용하였으며, 예습 수행 정도의 차이를 초래하는 근본적인 원인은 ‘내재적 동기’, ‘내재적 흥미가치’, ‘성취가치’, ‘유용성 가치’, ‘확인된 동기’ 와 같은 동기적 요인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플립러닝 사전 동영상 예습의 충실성을 높이기 위한 논의가 이뤄졌으며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 말미에 교수-학습 지원 전략이 제안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arning strategies and the causes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gree of preliminary practice in the flipped learning video prep activities. To do this,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8 flipped learning learners. A Content Analysis of the interview transcription data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learning strategy, and Causal Chain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auses of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preparation. As a result, flipped learning learners used learning strategies such as self-evaluation, organization and transformation, goal setting and planning, information seeking, record keeping and self-monitoring, environmental structuring, rehearsing and memorizing, seeking social assistance and reviewing in the pre-video preliminary activities. The study found that the fundamental cause of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pre-study performance was due to learning motivation factors as ‘intrinsic motivation’, specifically ‘intrinsic regulations’, ‘interest value’ and ‘instrumental motivation’ including ‘identified regulation’, ‘utility value’ and ‘achievement value’. At the end of this study, teaching-learning support strategies to increase the faithfulness of the pre-video activity in flipped learning were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 자녀의 비자살적 자해에 대한 어머니의 경험: 단일 사례연구

        서한나(Hanna Seo),김수진(Soojin Kim) 한국질적탐구학회 2021 질적탐구 Vol.7 No.3

        본 연구는 청소년 자녀의 비자살적 자해에 대한 어머니의 경험과 대처과정을 이해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통해 비자살적 자해 청소년의 부모 상담 및 부모 교육과 상담 현장에서의 개입에도움을 줄 수 있는 중요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비자살적 자해 청소년의 부모 경험이라는 독특하고, 중요하며, 모르는 것을 알게 하는 사례를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단일 사례연구 방법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 자녀의 비자살적 자해를 경험한 모의 경험은 ‘양육 과정’, ‘갈등의 시작’, ‘처음 보게 된 자해’, ‘자해에 대한 엄마의 경험’, ‘자해에대한 엄마의 대처’, ‘자녀와의 관계 변화’로 범주화되었다. 본 연구는 자녀의 비자살적 자해를 경험한 부모 대상의 심층적인 연구를 확장시키는 자료로써 연구 참여자인 어머니의 효율적인 대처로 인해 자녀의 비자살적 자해 행동이 성공적으로 소거됨과 동시에 모녀의 관계 변화까지 경험된 사례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mother’s experience and coping process with the non-suicidal self-injury of adolescent childre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important data that can help parents’ counseling, parents education, and intervention in field counseling for non-suicidal self-injury adolescents. To this end,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a single case study method to understand more in-depth the unique, important, and unknown cases of non-suicidal self-injury adolescents’ parental experienc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imulated experiences of adolescent children’s non-suicidal self-injury were categorized as ‘parenting process’, ‘beginning of conflict’, ‘first time witnessing self-injury’, ‘a mother’s experience with self-injury,’ ‘a mother’s response to self-injury’, ‘changes in relationship with childre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a case study that extends the in-depth study on parents who have experienced non-suicidal self-injury in adolescent children that led to successful elimination of their child’s non-suicidal self-injury behavior and changes in mother-daughter relationship.

      • KCI등재

        온라인 협력학습에서 성찰 유형에 따른 성찰 수준 및 팀 효과성 차이 분석

        서한나(Hannah Seo),김민정(Minjeong Kim),권혜진(Hyejin K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0

        목적 본 연구는 온라인 협력학습에서 성찰 유형(개별성찰, 협력성찰, 동료모델 협력성찰)에 따라 성찰 수준과 팀 효과성에 차이가 있는지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방법 이를 위하여 2020년 한 학기 동안 실시간 화상 강의를 통해 협력학습을 경험한 총 69명의 학습자를 세 집단으로 무선 할당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은 온라인 협력활동 진행 후 각각 다른 유형의 성찰일지를 작성하였으며 그것의 효과를 성찰 수준과 팀 효과성(팀 활동성과, 팀 활동 만족도, 개별 학습성과)으로 살펴보았다.결과 첫째, 성찰 유형에 따라 성찰 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발견했다. 둘째, 성찰 유형에 따라 팀 효과성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 특히 동료모델 협력성찰 집단은 팀 효과성 하위요인 중 팀 활동성과, 개별 학습성과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결론 이를 통해 온라인 협력학습에서 학습자의 성찰 촉진전략 및 팀 효과성을 높이는 방편으로 동료모델 협력성찰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 of reflection types (individual reflection, collaborative reflection, peer model collaborative reflection) on reflection levels and team effectiveness in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Methods To this end, a total of 69 learners who experienced collaborative learning through real-time video lessons in 2020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groups. The subjects of the study wrote different types of reflection journals after the online collaborative activities and their reflection levels and team effectiveness (individual learning performance, team activity satisfaction, team activity performance) were checked.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reflection and team effectiveness depending on the type of reflection. In particular, the peer model collaborative reflection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m activity performance and individual learning outcome among the sub factors of team effectiveness. Conclusions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peer model collaborative reflection as a way to promote learner reflection and increase team effectiveness in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At the end of the study, a follow-up study was proposed along with a discussion of the find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