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60년대 모더니즘 시에 나타난 '방'의 의미 연구

        서진영(Seo Jin-Young) 국어국문학회 2005 국어국문학 Vol.- No.139

        Though space or time entertains historic nature at the point that is not itself absolute thing but the product of social, historic condition, it simultaneously readies common footing in all human acting and thinking of the society as having consistency inside a social constituents. In the 1960s when the modernization of the capitalism became serious, 'The room' as the compartmentalized subspace was gotten born and it meant entrance on the stage of 'The room' and space which is exclusive and isolated with outside in modernistic meaning-the machine. In such a social, historical condition, image of 'The room' has appeared in the 1960s' modern poetry, thereby has been materialized the isolated and secret space which is located at the antipodes to the meaning of 'The room' in our poetic history ; community spirit that awaken the family or native place. This 'The room' is such thing that is not unrelated with the gaze from outside materialized through space that is pierced like the street or plaza, and is reflecting inside of poetic subject that wishes to escape from the compulsion of the gaze. But, the work that has escaped into the closed and isolated 'The room' has been faced to the irony being entered into modernistic space-machine ; modernistic watching system in another meaning cutting human's action specifically and picking. At this time, the aspect of individual breakaway of the 1960s' poets has been detected. This aspect is written as sexual space that breaks realistic taboo in Kim young-tae's poet, and is Written as transcendental space manifesting light of the relief in Lee su-ik's or Jeong jin-gyu's poet, and is written as existential space recovering originality of the existence in Jeong hyu-njong's poet. In this way, through image of 'The room', the aspect of escape has been detected as various aspect according to individual writers, and therefore has ultimately shown confrontation aspect of Modernism through critical cognition about present age. At this time, 1960s' Modernism poetry has acquired historic significances of literature that has not limited simply to material, technical dimension, but begun to show methodologic sense connected with cognition of present age.

      • KCI등재

        태안 허베이스피리트호 원유 유출사고가 대형저서동물군집에 미치는 초기영향

        서진영,박소현,신현출,임현식,최진우,Seo, Jin-Young,Park, So-Hyun,Shin, Hyun-Chul,Lim, Hyun-Sig,Choi, Jin-Woo 한국해양학회 2011 바다 Vol.16 No.3

        본 연구는 충남 태안에서 발생한 허베이 스피리트 유류유출 사고 직후 유류오염이 대형저서동물 군집에 미치는 초기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사고, 10일 후인 2007년 12윌 18일부터 22일까지 72개 정점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사고 주변 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은 총 228종, 서식밀도는 561 개체 $m^{-2}$였으며, 생물량은 39.7 gww $m^{-2}$였다. 본 연구에서 가장 많은 개체수를 보인 대형저서동물은 단각류의 Ampelisca sp.였다. 그러나 이 종은 유류 오염에 민감한 종으로 유류오염의 직접적 영향을 받았던 만리포 주변 해역에서는 전혀 출현하지 않았다. 반면 기회주의적 다모류에 속하는 얼굴갯지렁이류의 Prionospio bocki, Prionospio cirrifera가 만리포 주변 해역에서 우점하게 나타나는 등 유류오염에 의한 징후가 나타났다. 또한 유류사고 직전에 수행된 연구 결과들에 비해 서식밀도 및 생물량 조성이 크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일부 해사채취해역에 위치한 정점들에서는 유류사고 전후의 군집조성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In order to detect the early impacts of the Hebei Spirit oil spill on the subtidal macrozoobenthos, we conducted a benthic survey at 72 stations in the subtidal area of Tae-an, the eastern Yellow Sea from Dec. 18th 2007 to Dec. 22th after 10 days from the Hebei Spirit oil spill. A total of228 species from 72 stations was sampled with mean density of 561 ind $m^{-2}$ and mean biomass of 39.7 gww $m^{-2}$. In this study, Ampelisca occurred as a major dominant fauna in this survey, but did not appear around oil spill areas. Meanwhile some opportunistic polychaete worms like Prionospio bocki, Prionospio cirrifera appeared in the oil spill area, especially near coastal beaches. The overall abundance and biomass of macrozoobenthos decreased after oil spill. However some stations previously disturbed with sand extraction showed a similar macrozoobenthic community structure.

      • KCI등재

        낙동강 하구 조하대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

        서진영,김정현,최진우,SEO, JIN-YOUNG,KIM, JEONG-HYUN,CHOI, JIN-WOO 한국해양학회 2016 바다 Vol.21 No.3

        낙동강 하구역 조하대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계절별 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2013년 2월부터 2015년 11월까지 8개 정점을 선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울타리섬 남쪽의 정점들과 낙동강 수로역의 정점들에서 모래함량이 높게 나타났고, 수심이 20 m 이상 되는 곳의 정점들에서는 니질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낙동강 조하대 해역은 저층 염분이 조사기간 동안 30 psu 수준을 보여 담수에 의한 혼합은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기간 동안 낙동강 조하대 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은 총 266종, 서식밀도는 859개체 $m^{-2}$였으며, 다모류의 비중이 출현 분류군 중 가장 높았다. 본 연구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우점종은 Goniada maculata, Sternaspis chinensis, Magelona japonica, Heteromastus filiformis 등이었고, 2013년 8월에 Pseudopolydora kempi가 일시적으로 대량 출현하였다. 집괴분석 결과, 낙동강 하구역 조하대 대형저서동물의 분포는 퇴적상에 따라 구분이 되었는데, 울타리섬 인접 천해 사질해역에서는 G. maculata, 바깥쪽의 니질해역에서는 S. chinensis와 M. japonica가 우점하는 군집이 분포하고 있었다. In order to see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patterns of macrobenthic fauna in subtidal areas of Nakdong River estuary, benthic fauna samples were collected seasonally at 8 sites in subtidal areas of Nakdong River estuary from February, 2013 to November, 2015. Sandy sediment facies was foun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barrier islands in Nakdong River estuary while muddy sediment facies occupied at sites in offshore areas. The bottom salinity of the study area was measured greater than 30 psu during the study period. The mean species richness and density were estimated as 266 species and $859ind\;m^{-2}$, respectively. Polychaete worms were the most abundant fauna group, and four polychaete species such as Goniada maculata, Sternaspis chinensis, Magelona japonica, and Heteromastus filiformis occurred as dominant species in this study area. Pseudopolydora kempi known as an opportunistic species occurred dominantly only in August, 2013. From the multivariate analyses, the macrobenthic fauna in the subtidal area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could be divided into 2 assemblages that each occupied sites near barrier islands and offshore areas by sediment facies.

      • KCI등재

        한국 남해 대륙붕 내 해사채취 예정지의 대형저서동물군집

        서진영,최진우,Seo, Jin-Young,Choi, Jin-Woo 한국해양학회 2010 바다 Vol.15 No.2

        남해 대륙붕의 배타적경제수역(EEZ) 내 해사채취 예정해역에서 해사채취가 시작되기 이전의 대형저서동물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서 2000년 11월과 2001년 2월에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2000년 11월 조사에서는 157종이 출현하였고, 평균서식밀도는 2,529 개체/$m^2$, 생물량은 231.8 $g/m^2$였고, 2001년 2월 조사에서는 179종이 출현하였고, 평균서식밀도는 3,773 개체/$m^2$, 생물량은 391.2 $g/m^2$였다. 2000년 11월과 2001년 2월 조사에서 가장 우점 한 종은 단각류의 Ampelisca sp.였고, 그 외에도 단각류의 Photis sp., 극피동물의 Ophiactis branchygenys, 다모류 의 Nothria sp.와 Eunice sp. 등이 우점하였다. 대형저서동물의 섭식유형별 조성에서는 표층퇴적물을 먹이로 취하는 표층퇴적물식자(Surface deposit feeder; SDF)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육식자(Carnivores; C), 표층하퇴적 물식자(Subsurface deposit feeder; SSDF), 여과식자(Filter feeder; FF)의 순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정점에서 종다 양성지수는 2.5-3.5의 값을 보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obtain basic data of macrobenthic community in continental shelf exclusive economic zone (EEZ), before sand excavation. The species number of macrozoobenthos was 157, mean density was 2,529 ind./$m^2$ and mean biomass was 231.8 $g/m^2$ in November, 2000. The species number of macrozoobenthos was 179, mean density was 3,773 ind./$m^2$ and mean biomass was 391.2$g/m^2$ in February, 2001. Dominant species were Ampelisca sp. and Photis sp. in amphipods, Ophiactis branchygenys in ophiuroids and Nothria sp. and Eunice sp. in polychaetes. In the proportion of feeding types of macrobenthos, surface deposit feeders were most dominant feeding group, and followed by carnivores, subsurface deposit feeders, and filter feeders. Species diversity index (H') was high ranging from 2.5 to 3.5 at most sites.

      • Studies on the Organization and Expression of tRNA Gene (VII) : The Structure of the Initiator Methionyl-tRNA Gene of Aspergillus nidulans

        서진영,오상진,강현삼,Seo, Jin-Young,Oh, Sang-Jin,Kang, Hyen-Sam 생화학분자생물학회 1987 한국생화학회지 Vol.20 No.3

        Aspergillus nidulans로부터 추출한 특정 tRNA를 참침으로 삼아, tRNA 유전자 은행으로부터 이 tRNA의 유전자를 갖고 있는 클론인 pANt86을 찾았다. Maxam과 Gilbert의 방법으로 이 유전자를 포함한 485개 염기의 서열을 결정하였다. 이 자료를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분석한 결과, anticodon이 CAU인 methionyl-tRNA의 유전자가 존재하였다. 유전자 염기 서열의 상동성 비교와 two-positionaldiscriminator의 공통성을 조사하여 이 tRNA 유전자가 initiator methionyl-tRNA 유전자임을 밝혔다. 이 tRNA 유전자도 Box A와 Box B의 conserved sequence로 구성된 intragenic control region (ICR)을 갖고 있었으며, 5'-flanking 부분에는 전사율을 조철하는 것으로 보이는 conserved sequence들이 존재하였다. 또 3'-flanking 부분에는 T cluster가 여럿 존재하는데, RNA polymerase III의 전사 종결에 관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 밖에도 tRNA 유전자의 염기 서열을 진화적 고찰에 이용하였다. 그 결과 크게 3가지 계 즉, archaebacteria, eubacteria, 진핵생물로 분류되었다. A specific tRNA gene clone (named pANt86) was isolated by colony hybridization to the total tRNA gene bank with a certain tRNA probe extracted from Aspergillus nidulans. The 485 nucleotide long sequence containing this gene was determined by the Maxam and Gilbert sequencing method. The sequence analysis reveals that this tRNA is methionyl-tRNA(CAU). Compared with other initiator $tRNA^{Met}$ gene for the sequence homology and two-positional discriminators, this tRNA gene is initiator $tRNA^{Met}$ The nucleotide sequences of this tRNA gene was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organisms. From this, the intragenic control regions constituted by two separate transcriptional signals(Box A and Box B) are located in the regions of highly conserved sequences. And this gene reveals several conserved upstream sequences, the ACT-TA box, TA(C)TAT, AATTTT, and TTC. The T clusters are also found in the 3'-flanking region. And an evolutionary distance matrix was obtained and a phylogenetic tree based on this matrix was constructed. This phylogenetic tree reveals that extant organisms are found to fall into three phylogenetically coherent groups, the eukaryotes, the eubacteria, and the archaebacteria.

      • 치료 원칙 변화에 따른 신생아 Bochdalek 탈장의 예후

        서진영,남소현,김대연,김성철,김애란,김기수,피수영,김인구,Seo, Jin-Young,Nam, So-Hyun,Kim, Dae-Yeon,Kim, Seong-Chul,Kim, Ai-Rhan E.,Kim, Ki-Soo,Pi, Soo-Young,Kim, In-Koo 대한소아외과학회 2006 소아외과 Vol.12 No.2

        1989년 3월부터 2005년 5월까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소아외과에서 치료받은 신생아 Bochdalek 탈장 6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1989년 3월부터 1999년 말까지 조기수술, 과호흡, 수술시 흉관의 삽입을 시행한 I기(33예)와, 2000년 1월부터 2005년 5월까지 지연 수술, 최소한의 호흡 요법과 고빈도 환기 요법, 일산화질소 흡입 요법을 병행하고, 수술시 흉관의 삽입을 제한한 II기(34예)로 나누어 생존율을 비교하였다. I기의 경우 33예 중 20예가 생존하여 60.6 %, II기의 경우 34예 중 25예가 생존하여 73.5 %의 신생아기 생존율을 보였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하지만 II기에서 생존율이 향상된 경향을 보임으로, II기에 불필요한 수술은 피할 수 있었던 것으로 생각되며, 나쁜 예후 인자를 갖는 예에서 치료 원칙의 변화가 의미 있는 역할을 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지연수술, 호흡요법, 일산화질소 흡입요법 각각의 영향에 대한 조사를 할 수 없었던 것은 이번 연구의 한계이다. 그러나 수술 전에 충분하게 제반 상태가 안정된 후에 시행하는 지연 수술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되며, 수술시 흉관 삽입은 피하는 것이 좋겠다. 수술 전후의 고빈도 환기 요법과 에 대해서는 좀 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re are considerable controversies in the management of congenital diaphragmatic hernia. By 1997, early operation, routine chest tube on the ipsilateral side and maintainingrespiratory alkalosis by hyperventilation were our principles (period I). With a transition period from 1998 to 1999, delayed operation with sufficient resuscitation, without routine chest tube, and permissive hypercapnia were adopted as our practice. High frequency oscillatory ventilation (HFOV) and nitric oxide (NO) were applied, if necessary, since year 2000(period II). Sixty-seven cases of neonatal Bochdalek hernia from 1989 to 2005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re were 33 and 34 cases in period I and II, respectively. The neonatal survival rates were 60.6 % and 73.5 %, respectively,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In period I, prematurity, low birth weight, prenatal diagnosis, inborn, and associated anomalies were considered as the significant poor prognostic factors, all of which were converted to nonsignificant in period II. In summary, improved survival was not observed in later period. The factors considered to be significant for poor prognosis were converted to be nonsignificant after change of the management principle. Therefore, we recommend delayed operation after sufficient period of stabilization and the avoidance of the routine insertion of chest tube. The validity of NO and HFOV needs further investigation.

      • SCIESCOPUSKCI등재

        Aspergillus nidulans 의 tRNA 유전자의 구조와 발현에 관한 연구 ( Ⅶ ) Aspergillus nidulans의 initiator methionyl - tRNA 유전자의 분자구조

        서진영,오상진,강현삼 ( Jin Young Seo,Sang Jin Oh,Hyen Sam Kang ) 생화학분자생물학회 1987 BMB Reports Vol.20 No.3

        A specific tRNA gene clone (named pANt86) was isolated by colony hybridization to the total tRNA gene bank with a certain tRNA probe extracted from Aspergillus nidulans. The 485 nucleotide long sequence containing this gene was determined by the Maxam and Gilbert sequencing method. The sequence analysis reveals that this tRNA is methionyl-tRNA(CAU). Compared with other initiator tRNA^(Met) gene for the sequence homology and two-positional discriminators, this tRNA gene is initiator tRNA^(Met). The nucleotide sequences of this tRNA gene was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organisms. From this, the intragenic control regions constituted by two separate transcriptional signals(Box A and Box B) are located in the regions of highly conserved sequences. And this gene reveals several conserved upstream sequences, the ACT-TA box, TA(C)TAT, AATTTT, and TTC. The T clusters are also found in the 3`-flanking region. And an evolutionary distance matrix was obtained and a phylogenetic tree based on this matrix was constructed. This phylogenetic tree reveals that extant organisms are found to fall into three phylogenetically coherent groups, the eukaryotes, the eubacteria, and the archaebacteria.

      • KCI등재

        하구역 모래갯벌인 봉암갯벌(경남 마산)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봄철 공간분포

        서진영,안순모,최진우,Seo, Jin-Young,An, Soon-Mo,Choi, Jin-Woo 한국해양학회 2007 바다 Vol.12 No.3

        본 연구는 하구역 모래갯벌인 봉암갯벌(경남 마산)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공간적 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2004년 3월에 12개 조사정점을 선정하여 수행되었다. 총 출현 종수는 13종이었고, 서식밀도는 $20,267\;ind./m^2$, 생물량은 $228.1g/m^2$였다. 봉암갯벌에서 가장 우점한 종은 다모류인 Prionospio japonicus로 $11,716\;ind./m^2$의 서식 밀도를 보였고 전체 출현개체수의 57.8%를 차지하였다. 다모류인 Polydora ligni($3,929\;ind./m^2$, 19.4%), Neanthes succinea($3,425\;ind./m^2$, 16.9%)도 우점하였다. P. japonicus는 모든 정점에서 높은 서식밀도를 보였고, 특히 해안에 인접한 정점들에서 대량으로 출현하였다. N. succinea는 갯벌중앙의 상부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서식밀도를 보였다. 종다양성지수(H')는 $0.6{\sim}1.2$의 범위로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다. 봉암갯벌의 낮은 H'값은 정점당 출현 종수가 6종 내외로 적었고, 다모류인 P. japonicus를 포함한 2-3종의 우점종이 대량 출현한 현상에 기인하였다. 집괴분석 및 MDS배열법 결과 봉암갯벌은 크게 2개의 정점군으로 구분이 되었으며, 봉암갯벌의 대형저서동물은 조위에 따른 노출시간의 차이에 의해 군집조성과 우점종 분포에 차이를 보였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macrozoobenthos in the estuarine sandy flat, the Bongam tidal flat located in Masan Bay during March, 2004. A total 13 species were identified at 12 stations within the tidal flat. The mean density was $20,267\;ind./m^2$, and mean biomass was $228.1g/m^2$. Dominant species in the Bongam tidal flat were all polychaetes: Prionospio japonicus ($11,716\;ind./m^2$, 57.8%) and Polydora ligni ($3,929\;ind./m^2$, 19.4%) of spionoid polychaete, and Neanthes succinea ($3,425\;ind./m^2$, 16.9%) of nereid polychaete. The most dominant species, P. japonicus distributed evenly all stations in the tidal flat. But N. succinea showed high density at the upper area of the tidal flat. Species diversity index (H') was in the range of 0.6 to 1.2 which is relatively low due to the prominent of P. japonicus and few species richness at each station. The study area was divided into two station groups (group A and B) based on the cluster analysis and MDS ordination, an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macrozoobenthos on the Bongam tidal flat seemed to be in the influence of exposure duration from tidal levels and specific geological topography.

      • KCI등재후보

        액션리서치를 활용한 부모협동 어린이집의 부모참여 프로그램 연구

        서진영 ( Jin Young Seo ),윤정민 ( Jeong Min Yun ),장희수 ( Hee Soo Jang ),박예랑 ( Ye Rang Park ),이주연 ( Joo Yeon Lee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5 열린부모교육연구 Vol.7 No.4

        본 연구는 액션리서치(action research) 방법을 통해 현장중심의 문제해결형 연구로 진행되었다. 부모협동 어린이집으로 인가받아 운영되고 있는 A어린이집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해당 어린이집의 원장 면접을 통해 효과적인 부모참여 프로그램 개발을연구의 주제로 선정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A어린이집의 원장 1명과 교사 7명 및 기관을 이용하는 학부모 44명을 대상으로 부모참여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통해 A어린이집 부모참여 프로그램을 위한 맞춤형 제안을 제공하였다. 다음은 A어린이집 원장 및 교사, 부모들을 대상으로 부모참여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이다. 첫째, 기존 부모참여 프로그램 중 만족도가 높은 항목은 발표회, 부모교육, 전화상담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존프로그램 중 좀 더 강화하기를 원하는 부모참여 프로그램 조사 결과 학부모들은 키즈노트/원아수첩, CCTV공개, 전화상담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존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만족도와 강화의견 및 신규 부모참여 프로그램에 대한 필요도 조사 결과 ‘발표회’,‘엄마참여수업’, ‘아빠참여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기존의 부모참여 프로그램 중 강화하길 원하는 프로그램으로는 아빠참여수업을 선택하는 교사가 가장 많았다. 신규 부모참여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필요도를 조사한 결과 교사는 부모 일일교사가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부모참여 프로그램에 대한 원장 인터뷰 결과 아빠참여수업과 부모참여수업에 대한 학부모와 교사의 참여의 활성화 등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어린이집 모든 구성원의 부모참여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A어린이집의 부모참여 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의 실제적인 개발방향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maine an efficient field-specific parent participation program for the ``A`` parent cooperative daycare center. Using an action research design, one head director of the ``A`` childcare center was interviewed and 7 teachers from the ``A`` childcare center and 44 parents whose child are enrolled in the ``A`` childcare center were surveyed about their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n the specific parent participation program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parents satisfied with chlid’s work presentation, parent education, telephone counseling, and Kid``s notes/Kindergarten Handbook in its order. Also, they wanted to strengthen Kid``s notes/Kindergarten Handbook, CCTV public, and telephone counseling. Second, the teachers recognized several new programs such as Parent teacher for one day, Parent’s talent donation, Camping with dad are needed. Third, the head director was interested in the activation of Parent teacher for one day and Dad participating class. Based on these results, the present study suggested several field-specific parent participation programs for the ``A`` childcare center.

      • KCI등재

        신인추천제에 나타난 『文章』의 시적 지향 : 시 부문을 중심으로

        서진영(Seo Jin-young) 한국현대문학회 2010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0

        『문장』(1939.2-1941.4)은 1930년대 말 조선의 언론?문화계에 일어난 ‘조선어’와 ‘전통’논의의 중심에 자리한 우리말 문학 활동의 구심점이었다. 『문장』의 편집을 맡았던 이병기, 정지용, 이태준은 조선적인 것과 전통에 대한 관심을 공유하면서 『문장』의 방향성을 적극적으로 모색해 나갔다. 『문장』의 신인추천제는 『문장』의 방향성이 하나의 창작방법론으로 구체화된 것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시문학 장의 새로운 국면을 일구어낸 이 신인발굴의 장치는 그 방법적인 측면도 획기적인 것이었지만, 추천제도로 발굴한 신인들을 통해 당대문단에 창작의 어떤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문장』의 텍스트를 선정, 배치할 뿐만 아니라 추천 제도를 통해 당대의 문단을 통어하였던 편집진들의 정신적 지향점과 시적 사유는 『문장』의 신인추천제를 통해 분명하게 그 모습을 드러낸다. 시 부문의 심사를 맡은 정지용에 의해서 추천이 완료된 시인들은 김종한, 이한직, 박두진, 박남수, 조지훈, 박목월 등으로, 정지용이 추천작을 뽑고 나서 그에 대한 평을 적었던 〈시선후〉에는 시를 선별하는 지용의 기준과 시에 대한 입장이 잘 드러나 있다. 당선작들에 대한 심사평 속에서 지용의 시적 기준은 단지 시 그 자체에만 있는 것이 아니었다. 궁극적으로 글에서 그 사람의 ‘향기’와 ‘풍모’, 즉 ‘士氣’를 보고자 했던 지용의 심사평에서 명백하게 드러나는 것은 지용의 ‘문인화적 사유’이다. 시를 전 인격의 투영물로 보는 시적 사유 속에서 선자 지용은 신인들의 투고작에서 서권기의 교양과 기품, 뜻을 찾고자 했다. 이러한 시적 지향은 『문장』의 방향성을 형성하는 것은 물론, 당대 문학 지망생들에게 창작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지도하는 역할을 하였다. 『문장』을 통해 등단한 신인들이 『문장』의 시적 사유와 경향을 계승하는 ‘에피고넨’을 자임했다는 사실은 해방 이후에 이르기까지 전통주의 계보의 중요한 한 흐름을 형성해내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Munjang(1939.2-1941.4) was located in the heart of the discussion about 'Korean' and 'tradition' in the late 1930s. Lee Byeong-gi, Jeong Ji-yong, Lee Tae-joon who were editors of Munjang, shared interest in the traditional context actively and sought out the direction of Munjang. Recommendation system of Munjang is embodied as a methodology of creation. This new device to excavate new writers was important in the point of showing the way of creation to the contemporary literary group. The poetic thought of Munjang's editors who selected and placed the text as well as ruled the contemporary literary group is presented through the recommendation system. Jeong Ji-yong was the judge of the poetry part in recommendation system. He celected Kim Jong-han, Lee han-jik, Park Doo-jin, Park Nam-soo, Cho Ji-hoon, Park mok-wol etc. as poets. He wrote the comment about prizewinning work in the section of 〈After selecting〉. It shows Ji-yong's thought on poetry. In the 〈After selecting〉, Ji-yong exposed his standard which was not only in the skill of poet itself. Ultimately, He wanted to discover writer's smell and 'sa-gi', the spirit of intellectuals. It is obviously a thought of 'muninhw', the traditional painting. He wanted to find a 'seogwongi', the civility and grace in poetic work. It contributed contemporary literature to aspire and lead the creative direction of the work. New writers by recommendation system of Munjang tend to succeed his thought and be called as 'epigonen'. It was meaningful because it made the major lineages of traditionalism after independ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