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제23회 대학교육 정책포럼-대학경쟁력 강화와 대학의 인적 자원 개발

        서정화,Seo, Jeong-Hwa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07 大學敎育 Vol.150 No.-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11월 8일(목) 홍익대학교에서 대교협, 전국대학기획실(처)장협의회,한국고등교육정책학회의 공동주최로 제23회 대학교육 정책포럼을 개최하였다. 이 포럼은 차기정부의 고등교육경쟁력 제고방안이라는 주제로 서정화 홍익대 교수의 기조발표, 강병운 대교협 고등교육연구소장의 주제발표 및 신승호 강원대 기획처장, 김민구 아주대 기획처장, 신정철 서울대 교수, 서수용 한국대학신문 뉴스본부장, 정일환 대구가톨릭대 교수의 토론으로 진행되었으며 "대학교육"에서는 이 중 기조발표 내용을 게재한다.

      • KCI등재

        통합 캐시 및 차별화된 핸드오프를 이용한 셀룰러 IP의 성능개선에 관한 연구

        서정화,김남,Seo Jeong Hwa,Kim Nam 한국통신학회 2004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29 No.12B

        셀룰러 IP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기존에 제안된 페이징 및 루트 정보관리 캐시와 준-소프트 핸드오프 방식은 실시간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문제점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이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통합 캐시 (Combined Cache :CC)와 데이터에 따라 차별화된 핸드오프 방식의 운용을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통합 캐시는 MH에서 핸드 오프상태모드를 운용하지 않고, 아이들/ 액티브 상태만 운용하며, 핸드오프 방식은 데이터에 따라 차별화된 핸드오프 방식을 사용한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어패킷의 부하, 초기 수신시 데이터 패킷에 대한 트래픽 부하, 핸드오프시 패킷의 도착시간을 CIP, PRC와 비교하여 제안한 방식이 실시간 데이터 전송에 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There are some problems with the methods of paging and routing cache(PRC) and quasi soft handoff that are propos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for the transmission of real time data. This paper proposed a reasonable solution of these problems by proposing a new method using a combined cache(CC) and applying a different handoff procedure according to each type of data. The combined cache dose not maintain the handoff state but the idlle/active state. The simulation results in a better performance than the above methods in terms of the control packet traffic load, initial recevied data packet traffic load and arrival tune of real time packet at the epoch of handoff.

      • KCI등재

        실시간 데이터를 지원하는 통합 캐시 및 차별화된 핸드오프를 이용한 셀룰러 IP의 성능분석

        서정화,한태영,김남,Seo, Jeong-Hwa,Han, Tae-Young,Kim, Nam 한국콘텐츠학회 200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3 No.2

        본 논문은, 효율적인 실시간 데이터 전송을 위해 통합캐시(CC)와 차별화된 핸드오프를 결합한 방식을 제안한다. 기존에 제안된 페이징 및 루트 정보관리 캐시(PRC) 및 준-소프트 핸드오프방식은 경로 중복을 줄 일 수는 있으나, 이동호스트(mobile host : MH)의 핸드오프 상태 패킷의 운용으로 인하여 네트워크 내 트래픽 부하를 증가시키고, 데이터 구분 없이 동일한 핸드오프 방식을 운용한다.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MH에서 액티브/핸드오프 상태를 분리하지 않고, 페이징 캐시와 라우팅 캐시를 결합한 통합 캐시를 실시간 데이터일 경우 세미-소프트 핸드오프와, 비 실시간 데이터일 경우 하드-핸드오프와 운용한다. 시뮬레이션 결과, 셀의 수가 20개 이하인 경우 기존의 방식보다 제어 패킷량이 감소하며, 실시간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패킷 손실과 패킷 도착시간이 감소하므로 성능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the new scheme using a Combined Cache(CC) that combing the Paging and Routing Cache(PRC) and an alternative handoff method according to the type of data transmission for achieving the efficient realtime communication. The PRC and quasi-soft handoff method reduce the path duplication. But they increase the network traffic load because of the handoff state packet of Mobile Host(MH). Moreover the use the same handoff method without differentiating the type of transmission data. Those problems are solved by operating U with a semi-soft handoff method for realtime data transmission and with a hard handoff method for non-realtime data transmission. As a result or simulation a better performance is obtained because of the reduction of the number of control packet in case that the number of cells are below 20. And the packet arrival time and loss of packet decreased significantly for realtime data transmission.

      • KCI등재

        『논어』에서 말하는 공자 효 사상의 본질적 의미 - ‘공자에게 있어서 삼년상과 제사는 효일까?’를 절문(切問)하는 과정에서 -

        서정화 ( Seo Jeong-hwa ) 한국유교학회 2021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85

        ‘효(孝)’의 정의는 ‘부모에 대한 엄숙하고 집중된 마음을 바탕으로, 부모가 일삼아 왔던 훌륭한 일을 잘 계승함 또는 잘 계승한 자’이다. 부모봉양, 3년의 상례, 종신의 제사는 효를 잘 이행하는 방법 및 그 과정적 행위 중 하나일 뿐이다. 『논어』 속에서 공자의 입을 통해 거론된 효에 대해 살펴보았다. 하나, 효는 ‘아버지 사후 적어도 3년간, 아버지가 대의적인 뜻을 품고 해오신 아버지의 도(道)를 바꾸지 않는 것’이다. 둘, 효는 ‘어김이 없게 함으로, 섬김·장사·제사를 예(禮)로써 하는 것’이다. 이것은 공자가 노나라의 차순위 권력 가문 맹손씨의 종주인 맹의자에게 말해주고자 했던 것으로, 모든 일에 사심을 두지 않고 원칙과 제도에 따라 임해야 진정한 계승자라 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셋, 효는 ‘위험을 무릅쓰듯 하는 지나치게 과감한 행동을 절제하는 것’이다. 이 말은 맹의자의 후계자인 맹무백이 효를 질문한 것에 대한 대답이었다. 공자가 그의 지위에 걸맞지 않은 이와 같은 말을 해 준 배경에는, 자신이 보필해야 했을 주군을 오히려 핍박했던 아버지의 행적을, 맹무백에게 그대로 잘 따르라고 말해줄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넷, 효는 ‘아버지의 신하와 아버지가 바로잡아 놓은 업적을 바꾸지 않는 것’이다. 이 경우는 맹장자가 실제로 그 선친인 맹헌자를 대상으로 실천했던 효행이었다. 역사서에서 맹헌자는 자신의 주군인 노나라 제후에게 충심을 다하고 나라에 훌륭한 업적을 이룬 현인으로 기록되어 있다. 다섯, 진정한 효는 ‘부모를 잘 공양함이 아니라, 부모를 섬김[事親]에 엄숙히 집중하는 것’이다. ‘HYO(孝: filial piety, filial son)’ is defined as ‘a person who properly has succeeded or will succeed the good deeds that one's parents used to perform based on solemn and focused attitude’. Support for parents, funeral rites lasting for three years, and ancestral rites as long as one lives are just some of the methods to appropriately practice filial piety and perceptive behaviors. The filial piety discussed in The Analects of Confucius(論語) through Confucius' mouth was examined. First, filial piety is ‘not changing one's father's dào(道: footsteps of life, ways of practice) and what one's father did with great cause in mind for at least three years since one's father's death’. Second, filial piety is ‘not going against parents’. That is, ‘following father's legacy, holding a funeral, and performing ancestral rituals through lǐ(禮: Confucian rites)’. It was what Confucius intended to tell Mèngyìzi(孟懿子), the feudal lord of ‘Mèngsūnshì(孟孫氏), the second-top family with power and a feudal state of Lǔ(魯)’, which means that one can be a true successor only when one does everything selflessly following principles and institution. Third, filial piety is ‘restraining oneself from doing too bold actions at risk’. It was the answer for the question about filial piety by Mèngwŭbó(孟武伯), a successor of Mèngyìzi(孟懿子). Confucius gave this answer, which was inappropriate for his pisition, because he couldn't tell Mèngwŭbó(孟武伯) to follow his father's past actions, who rather persecuted his lord whom he had to assist. Fourth, filial piety is ‘not changing the achievements one's father's vassals or that one's father had rectified’. In this case, it was the filial behaviors that Mèngzhuāngzǐ(孟莊子) actually practiced for his late father, Mèngxiànzǐ(孟獻子). In historical books, Mèngxiànzǐ(孟獻子) is recorded as a sage who was faithful to his lord, the lord of Lǔ(魯) of feudal states, and made great accomplishments for his nation. Fifth, true filial piety is ‘concentrating on carrying on one's parents' work(事親) seriously, rather than supporting one's parents with good foods and clothes’.

      • KCI등재

        통계적 사고 능력 향상을 위한 인포그래픽 활용

        서정화(Jeong-Hwa Seo),이광호(Kwang-Ho Lee) 한국교원대학교 뇌기반교육연구소 2020 Brain, Digital, & Learning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ways to improve student’s statistical thinking ability using infographics. And to do so, the textbooks were analyzed and reconstructed into infographics. The experiment group was taught statistics using infographics, and the comparison group was taught statistics according to the existing textbooks. Then, the statistical thinking ability test was used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statistical thinking ability. Statistical thinking ability was examined by classifying thinking ability tests. In addition, the eye-tracking test was conducted to see if the infographic factors affect the difference in statistical thinking ability. As a result of statistical thinking ability test and eye tracking data, statistical learning using infographic was effective in improving statistical thinking ability. Through this, the implications for introducing infographics into mathematics textbooks were suggested

      • KCI등재

        『춘추』 경문에서의 묘(廟)·궁(宮) 언급을 통한 주대(周代)의 그 쓰임 사례 일고찰 - 주대의 묘수제(廟數制) 실재 여부에 대한 궁구 과정에서【1/2】-

        서정화 ( Seo Jeong-hwa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8 한국 철학논집 Vol.0 No.57

        본 논의에서는 주대(周代) 묘수제(廟數制)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방편으로 『춘추』의 기록 속에 나타나는 ‘묘’와 ‘궁’에 대한 집중적인 고찰을 시도하였다. 경문 내용이 구체적이지 않은 부분들은 『좌전』의 글과 기타 자료들을 통해 사건의 맥락을 확인하였다. 『춘추』 경문에서의 ‘묘(廟)’자의 쓰임 사례에서 주목할 만한 사항으로는 다음과 같다. 노나라의 태묘에서는 범국가적인 행사[事]와 제왕의 정치적인 제사 의례인 체(禘) 의례를 이행하였고, 또 그와 같은 의례에 쓰이는 화려한 예기(禮器)를 구비하였다. 당대 군주의 종묘에서는 조정 의례인 조(朝)의례를 이행하였다. ‘궁(宮)’자의 쓰임 사례는 다음과 같다. 군주 개인의 가족이 기거했던 궁에서 그를 위한 가족 제사를 이행하였다. 노나라 삼환씨(三桓氏)의 정치적 거점이라 할 수 있는 환궁(桓宮)을 화려하게 장식한 기록이 눈에 띈다. 희공(僖公) 재위 시에 있었던 서궁(西宮)과 성공(成公) 3년에 화재로 소실된 신궁(新宮) 등은, 그것이 예궁(禰宮)일 것이라는 한대 이후에 형성된 관점과는 달리, 양공(襄公)이 좋아했던 초궁(楚宮)과도 같은 군주의 또 다른 집이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무궁을 세우고’[立武宮] ‘양궁을 세웠다’[立煬宮]고 하는 기록은, 어떠한 건축물에 ‘무(武)’와 ‘양(煬)’이라고 하는 상징성을 부여해 설립하여 제후가 그곳의 위(位)에 서는 행사가 이어진 것임을 논하였다. 따라서 이것은 무공(武公)이나 양공(煬公) 등의 선군을 위한 당대 군주의 효성스러운 제사 이행이 주된 목적이 아니라, 그 의례를 통해 얻는 특정의 정치적 상징성을 드러내고자 한 것이었다. 이러한 상징성은 환궁(桓宮)과 희궁(僖宮)에서 가장 극명하게 나타난다. 결과적으로, 경문에서의 모든 묘와 궁들은 일정 부분 사당(祠堂)의 기능이 있긴 하지만, ‘천자7묘’나 ‘제후5묘’라는 묘수제의 규정에 맞추기 위해 사당으로서 조성한 건축물이 결코 아니었음을 확인하였다. In this discussion, as a way to verify the existence of the system to regulate Zhou dynasty's zong-miao(宗廟) numbers, the discussion was focused on ‘miao (廟)’ and ‘gong(宮)’ in the records of 『Chun-qiu(春秋)』. As for the parts where the contents of scripture sentences were not specific, the context of the case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writings in 『Zuo-zhuan(左傳)』 and other materials. In the cases of the usage of the letter, ‘miao(廟: a ruler's house, a nation's royal court)’, in the scripture sentences in 『Chun-qiu(春秋)』, the followings need to be noticed. In tai-miao(太廟) of State Lu(魯), nationwide events and a ruler's political ancestral rite, di(禘) ritual, were performed, and fancy tools for ancestral rites used in those rituals were equipped. As for the zong-miao(宗廟) of a ruler of those times, a ritual of royal court, chao(朝) rite, was performed. The usage case of the letter, ‘gong(宮: house)’, is as the following. In gong(宮) where a ruler's personal family lived was a family ancestral rite for them carried out. The record about the ornate decorating for the huan-gong house(桓宮), which can be said to have been the political base of san-huan-shi(三桓氏), three politically noble families of State Lu(魯), is outstanding. The xi-gong house(西宮) during Xi-gong(魯僖公)'s reign and a xin-gong house(新宮: a newly built house) destroyed by fire at the third year of Cheng-gong(魯成公), are assumed to have been a ruler's another house, such as the chu-gong house(楚宮) in which Xiang-gong(魯襄公) used to enjoy staying, which is different from the viewpoint that it might be a mi-gong shrine(禰宮: a house constructed as a shrine for the deceased father or the deceased grand father) that had been formed since Han dynasty. It has been discussed that, regarding the records that the ‘wu-gong house(武宮) was built’ and that the ‘yang-gong house(煬宮) was built’, certain buildings were established with the symbols of ‘wu(武: martial arts and force of arms)’ and ‘yang(煬: to burn and get rid of everything)’, and the events that a lord stood as its lord continued. Therefore, its main goal was not the performance of a dutiful ancestral rite by a ruler of those times for deceased rulers, for instance, Wu-gong(魯武公) or Yang-gong(魯煬公), but display of certain political symbolism through the ritual. This symbolism is most obvious with the huan-gong house(桓宮) and the xi-gong house(僖宮). As a consequence, all miaos(廟) and gongs(宮) in scripture sentences had the functions of a shrine in some part, but it has been verified that they were not the buildings set up as a shrine to follow ‘zong-miao(宗廟)'s number regulation system’ of ‘tianzi-7-miao(天子七廟: an emperor owns seven miaos(廟))’ or ‘zhuhou-5-miao(諸侯五廟: a lord owns five miaos(廟))’.

      • KCI등재

        묘수(廟數) 규정 제도의 시원(始原)에 대한 일고(一考) ― 한대(漢代)와 전국기(戰國期)의 묘수제(廟數制) 관련 논의를 중심으로

        서정화 ( Seo Jeong-hwa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8 大東文化硏究 Vol.102 No.-

        分封制를 토대로 한 정치·경제·사회·문화의 이질적인 환경 속에서 형성된 주나라 본연의 의례와 종묘 제도를, 계승의 단절과 경서들의 滅失 상태에서 漢人들이 명확히 고증해 내기는 쉽지 않은 일이었다. 그러나 周代의 禮制 문화 속에서 꽃피운 孔子의 사상을 조금 더 섬세하게 이해하고자 한다면, 당시의 예제 문화를 면밀히 분석하고 이념적인 선입견을 배제하여 보다 사실에 가깝게 논증하고자 하는 시도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前漢代에 成書된 『禮記』와 『穀梁傳』 및 石渠閣 회의에서 도출된 종묘제도에 대한 논의와 後漢代 鄭玄의 관점 등을 통해, 漢代에 진행되었던 주나라의 廟數制 논의를 살펴보았다. 보편적인 종묘제도로 인식되어 왔던 ‘천자7묘·제후5묘’ 등과 같은 일정하게 규정된 묘수제는, 사실상 한대 이후에 다져진 것이다. 전한 초에 실시하기 시작했던 ‘지방의 郡國廟 제도’는 오히려 주나라 고유의 묘제 형식에 가까운 것이었다. 그것은 당시 예학전문가였던 叔孫通의 건의에 의해 도성 외의 지역에 세웠던 漢高祖의 原廟에서부터 시작된 것이었다. 처음부터 의도되었던 것인지는 몰라도 결과적으로 그것은, 부분적인 分封制에서 완전한 郡縣制로의 체제 정착 기간 동안 일시적 방편으로 수용되었을 뿐이었다. 전한 후기에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했던 ‘도성 내에 건설하는 左昭·右穆의 천자7묘’ 제도는, 아이러니하게도 주나라 때 실재했던 가장 이상적인 종묘제도로 추앙되었다. 戰國時代에 성서된 『荀子』의 「禮論」편에서 “천하를 소유한 자는 7대의 일을 직무로 삼으며[有天下者, 事七世.]”라고 말한 것은, 주나라의 묘수제를 묘사한 것이 아니라, 천자가 본연의 업무로서 챙겨야 하는 同姓의 친족 범위를 설명한 것이다. 한대 이후의 그것은, 이전의 전통 예제 문화에 공자 이후의 유교 이념을 적극 수용한 결과물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한대에 논의된 예제 관련 기록들 자체를 주나라 고유의 예제였다고 확정하는 일은, 객관적인 시각에 의한 보다 면밀한 재고찰 이후에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It was not easy for those in Han dynasty to clearly ascertain Zhou dynasty's own ritual systems and zong-miao(宗廟) system, which had been formed in different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s based on the fen-feng-zhi system(分封制), through historical research when their succession had been severed and Confucian classics had been destroyed. Yet, for more subtle understanding of Confucius(孔子)' thoughts that prospered in the culture of Zhou dynasty's ritual systems, efforts need to be made to prove it closer to the fact by throughly analyzing the ritual systems and culture of those times and excluding ideological prejudice. Through 『Liji(禮記)』 and 『Guliangchuan(穀梁傳)』 published as books only in the era of the Early Han dynasty, the discussion on the zong-miao(宗廟) system that was deduced in ‘the meeting held in Shi-qu-ge(石渠閣 : the imperial library of the Early Han dynasty in which important documents and books were kept)’, and the perspective of Zhengxuan (鄭玄) in the era of Later Han dynasty, the discussion in Han dynasty on 'the system regulating the number of zong-miaos(宗廟) each class could own' which has been said to have existed in Zhou dynasty was studied. The foundation of the system that regulated each class's number of zong-miaos(宗廟) to own, such as ‘tianzi-7-miao(天子七廟 : an emperor owns seven miaos(廟)) and zhuhou-5-miao(諸侯五廟 : a lord owns five miaos(廟))’ which were recognized as a general zong-miao(宗廟) system, had been actually laid since Han dynasty. ‘The local zong-miao(郡國廟) system to install an emperor's miao(廟) in many local areas far from the capital city’ that began to be enacted at the beginning stage of the Early Han dynasty was rather similar to Zhou dynasty's own zong-miao(宗廟) system. It began from yuan-miao(原廟) of Han Gcccozu(漢高祖) which was established in the areas except for the capital city by the suggestion of Shusun Tong(叔孫通), an expert of rituals of those times. It may have been intended from the beginning, but consequently, it was just accepted as a temporary measure while the system was being settled down from a partial fen-feng-zhi system(分封制) to a complete jun-xian-zhi system(郡縣制). 'The emperor's zong-miao(宗廟) system to build it in the capital city and line up one miao(廟) in the middle and in the left and in the right separately to make seven in total’, which began to be discussed in earnest in the latter part of the Early Han dynasty, was ironically revered as 'the most ideal zong-miao(宗廟) system that existed in Zhou dynasty'. In the Warring State period, in 「Lilun(禮論)」 section of the book 『Xunzi(荀子)』 which the book was published, it said "the one who owns the world takes the tasks of seven generations as his duty"(有天下者, 事七世.) not in order to describe the zong-miao(宗廟) number system of Zhou dynasty but in order to explain the range of 'relatives with the same family name' that a tianzi(天子: an emperor) had to take after as his own duty. Since Han dynasty, it had been the outcome of active acceptance of Confucian ideology after Confucius(孔子) in addition to the previous traditional ritual culture. Therefore, confirmation of the records themselves related to the ritual systems discussed in Han dynasty as Zhou dynasty's own ritual system should be made after a more thorough re-investigation from an objective viewpoi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