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서천읍성 축조 이전의 서천군 치소

        서정석(Jeong Seog Seo)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22 충청학과 충청문화 Vol.33 No.1

        여말 선초에 평지의 읍성이 출현한 것은 다 아는 사실이다. 다만 그러한 평지의 읍성이 출현하기 이전에 각 군현(郡縣)의 치소성이 어떠한형태로 있었는지가 관건이다. 여기에 대해서는 크게 두 견해가 있다. 하나는 나지막한 구릉이나 산봉 위에 산성의 형태로 있었다는 견해고, 다른 하나는 성벽만 축조하지 않았을 뿐 여말 선초의 읍성과 같이 평지에자리하고 있었다는 견해다. 서천읍성이 현재의 자리에 축조된 것은 조선 세종 때다. 그렇다면 세종 때 서천읍성이 축조되기 이전의 서천군 치소는 어디에 있었을까. 이에 대해서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영취산(靈鷲山) 정상부에 고읍성(古邑城)이 있다고 되어 있다. 실제로 영취산 정상부에는 현재 남산성(南山城)이 자리하고 있다. 따라서 이 남산성이 서천읍성이 축조되기이전의 서천군 치소성(治所城)으로 비정된다. 다만, 산성이 자리한 산봉(山峰)은 해발 140m에 이르는 만큼 치소를 구성하던 관아시설은 남산기슭에 자리하고, 남산성 안에는 창고시설만이 자리하고 있었던 것이아닌가 한다. Eupseong(邑城) was appeared to be Late Goryo and Early Chosun. Butwe don’t know Gunhyeon(郡縣)’s Chisoseong(治所城) that appeared previuos flatland Eupseong(邑城). We have tow opinion about it. One is sanseong that is a hill or a peak. The other is flatland that is Eupseong late Goryo and Early Chosun. Seocheoneupseong was constructed in Sejong. Where is located in Seo-cheongun Chiso previous Seocheoneupseong. Seocheongun Goeupseong was located in peak of Yungchuisan in Seocheon. The present there is Nam-sanseong(南山城) locate in Yungchuisan. So we are guessing Seocheongun Goeupseong is Namsanseong. But we are guessing government office is not in it. Only Seocheongun warehouse was located in there.

      • KCI등재

        백제 白江의 위치

        서정석(Seo, Jeong-Seog) 백산학회 2004 白山學報 Vol.- No.69

        Where was Baek-river located? Its geographical designation is one of the important names for determining Baekje history. According to documentary records, Jooryu-fortress was adjacent to Baek-river during the reconstruction period of Baekje. Until now, many researchers have been studying to discover the location of Baek-river. Opinion is divided as to the river’s location, some say Kum-river and others say Dongjin-river. On the one hand, the name of Baek-river has been found in documents after transferring the capital to Woongjin. Until the fall of the Baekje after moving the capital, much evidence supports that Baek-river is Kum-river in Kongju. One of the obvious historical facts is that the Tang, an ancient Chinese empire, invaded through the Baek-river to conquer Sadobi-castle. On the other hand, Baek-river was not Kum-river when Jooryu-fortress had fallen by the Tang forces. Kum-river was called Woongjin-river according to the Chinese documents. Also, there is a record that Tang troops left Woongjin-river in order to go to Baek-river. Therefore, it is obvious that Baek-river is not Kum-river but Dongjin-river.

      • KCI등재

        웅진 왕도와 공주지역의 산성

        서정석(Seo, Jeong-Seog)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20 한국고대사탐구 Vol.34 No.-

        공주는 백제 웅진기의 王都였던 곳이다. 그래서 그런지 공주시 관내에 약 20개소의 산성이 자리하고 있다. 종래에 이러한 산성은 별다른 검토 없이 모두가 백제 웅진기에 축조한 것으로 보고, 이것을 통해 왕도 웅진의 방비체계를 설명해 왔다. 그런데 최근 들어 郡縣名에 山城이 덧붙여진 형태의 산성이 그 지역의 治所城임이 밝혀졌다. 아울러 이러한 치소성은 고려시대에 나타나지만, 그 이전의 통일신라 때 치소성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는 것도 밝혀졌다. 공주지역에도 地名+山城의 형태로 되어 있는 산성이 있다. 新豐山城, 利仁山城, 良化山城이 대표적인 예가 될 것이다. 실제로 관련 기록이나 고고학적인 특징으로 볼 때 신풍산성은 新豐縣의 치소성일 가능성이 높고, 이인산성은 利仁部曲, 양화산성은 良化部曲의 치소성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된다. 그런 점에서 이러한 산성들은 백제의 웅진 방비체계와는 무관한 산성으로 보아야 하지 않을까 한다. 한편, 『삼국사기』의 熊州에 대한 기록을 보면, 통일신라 때 공주에 설치되어 있었던 웅주는 淸音縣과 尼山縣을 領縣으로 거느리고 있었다. 청음현은 백제 때의 伐音支縣, 고려 때의 新豐縣지역인데, 신풍산성을 중심으로 지금의 維鳩面・新豐面・寺谷面 지역이 그 관할이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산현은 백제 때 熱也山縣지역으로, 현재의 論山市 魯城面 일대에 해당되어 공주시와는 행정구역상 무관한 곳이다. 이러한 熊州의 행정구역은 백제 泗沘期에 공주에 설치되어 있었던 北方城의 행정구역을 그대로 답습한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熊津期에는 왕도 熊津이 자리하던 곳일 터인데, 王都도 그 자체 領縣이 있었는지 알 수 없지만 일단은 공주지역 전체가 웅진 왕도가 아니었을까 한다. 물론 이것은 넓은 의미의 웅진 왕도를 뜻하는 것이고, 좁은 의미의 웅진 왕도는 그 중에서도 금강 남쪽의 공주시 원도심이었을 것이다. Gongju served as the capital of the Baekje Dynasty during the Ungjin period. At this time, 20 fortresses were under the jurisdiction of Gongju. It has been proposed that these fortresses were constructed during the Ungjin period and that consequently, they formed the basis of a defensive system at that time; however, this hypothesis has not been scrutinized. It has been demonstrated recently that fortresses served as ruling places for the corresponding counties and townships. The Sinpung, Iin, and Yanghwa fortresses are representative cases. The Sinpung Fortress was the ruling place of Sinpung township; Iin Fortress was the ruling place of Iin village; and Yanghwa Fortress was the ruling place of Yanghwa village. It would appear that these fortresses were actually unrelated to the defensive system employed by the Baekje Dynasty. Records pertaining to Ungju (now Gongju) contained in the Samguk sagi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show that Unified Silla later had jurisdiction over Cheongeum and Isan townships. The former is now in the Sinpung region, while the latter is now the Noseong township region of Nonsan City. Isan township is not connected with Gongju. Therefore, it seems that, among the jurisdictions of Ungju, Sinpung township corresponds to the Ungjin area during the rule of the Baekje Dynasty.

      • KCI등재

        公州 茂城山城의 구조와 축조시기

        서정석(Seo Jeong-seog) 湖西史學會 2012 역사와 담론 Vol.0 No.62

        Twenty mountain fortresses are located in Gongju area where is the capital of the Baekje Dynasty, and Museongsanseong is one of them. Museongsanseong has an old message that Hong Gil-dong built the fortress. So, the fortress is widely known as 'Honggildongseong'. But there is another view that the fortress is built for defense of the Baekje capital, regardless of the old message. Therefore,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construction time of Museongsanseong. Location, construction techniques and facilities related the fortress were intensively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construction time of Museongsanseong. As a result, the fortress located mountain peak far higher than the general Baekje fortresses. Also, fortress stone which is thin and long like bricks was used to build the fortress in construction techniques. In addition, supplementary defensive fortress was discovered outside the fortress walls. In summary of the results, Museongsanseong is not a Baekje fortress at least. In particular, it is obvious that the fortress was built before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because a record that the fortress was already ruined in the Joseon Dynasty is exist. Then, the fortress was built in the Unified Silla periods or the Goryo Dynasty periods. Therefore, we would like to judge that the fortress was built in the early period of the Goryeo Dynasty according to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construction techniques.

      • KCI등재
      • KCI등재

        백제 사비도성의 왕궁과 5부・5항

        서정석(Seo, Jeong-seog)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21 한국고대사탐구 Vol.37 No.-

        백제 사비도성은 외곽성, 즉 羅城을 갖춘 가장 완비된 형태의 도성으로 알려져 있다. 도성내의 구조도 5部와 5巷으로 나누어진 정연한 구조를 이루고 있었다고 한다. 그런데 아직까지도 왕궁의 위치가 어디인지를 알지 못하고 있다. 부, 항 역시 5부와 5항으로 나누어져 있었다는 견해가 있는가 하면, 5부 25항으로 나누어져 있었다는 견해도 있다. 지금까지 사비도성의 왕궁은 관북리 일대에 자리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왔지만, 조사 결과 이곳에서는 왕궁과 관련된 시설물의 흔적을 찾지 못하였다. 그런 점에서 앞으로는 부소산성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부소산성은 왕성으로 기록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유인원 紀功碑도 성내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또 부, 항의 구조에 있어서 부는 귀족의 거주 공간, 항은 일반 서민의 거주 공간이 아닌가 한다. 그렇다면 부와 항은 각각 영역을 달리하여 편제되어 있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한다. 마침 도성내 한 가운데에 자리하고 있는 금성산을 중심으로 그 서쪽은 남북방향의 도로와 동서 방향의 도로가 직교하는 형태로 되어 있는데 비해 금성산 동쪽은 굽은 길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런 점에서 금성산 서쪽은 5부 구역, 그 동쪽은 5항 구역이 아닌가 생각된다. 부가 설치된 곳은 직선도로가 개설되고, 항이 설치된 곳은 곡선도로가 개설되어 있었던 셈이다. During the Baekje Dynasty, Sabi Capital City was an outer fortress that contained Naseong Fortress. The city had a well-organized structure divided into five bu and five hang. However, the location of the royal palace is unknown. According to some views, the city structure was divided into five bu and five hang or, specifically, five bu and 25 hang. Until recently, it was believed that the royal palace of Sabi Capital City was located around Gwanbuk-ri. However, recent investigation results showed that no traces of facilities related to the royal palace there. It is worth noting that Busosanseong Fortress was recorded as being the royal palace, and the Monument for Liu Renyuan of Tang China was discovered in it. Furthermore, the words bu and hang mean living space of peerage and commoner, respectively. It seems that bu and hang were organized in different areas. For instance, it is believed that five bu and five hang were located on the west and east of Mt. Geumseongsan, respectively. A curved road dating back to the Baekje Dynasty was discovered inside the east gate site of Sabi Capital City. It is contrasted with a straight road discovered on the west of Mt. Geumseong. Thus, it seems the bu constructed the straight road, and the hang made the curved road.

      • KCI등재

        서일본 ‘조선식산성(朝鮮式山城)’의 축성 기록과 백제산성

        서정석 ( Seo Jeong-seog ) 백제학회 2020 백제학보 Vol.0 No.31

        서일본에는 백제 멸망 후 일본으로 건너간 백제 遺民들에 의해 축조된 산성이 있다. 그것을 ‘朝鮮式山城’이라 부른다. 이러한 조선식산성은 백제 유민들에 의해 축조된 만큼 백제산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아직까지 백제산성과의 관련성은 명쾌하게 밝혀진 것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그래서 여기에서는 ‘조선식산성’의 축조 기록을 중심으로 백제산성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조선식산성’의 축조 기록을 보면 맨 먼저 水城을 축조하고, 이어서 長門國城, 大野城, 基肄城을 차례로 축조하였다.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 볼 때 처음에는 수성을 축조하여 博多灣에서 大宰府로 들어오는 길목을 차단하고자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이 1차 방어망이다. 뒤이어 長門國城을 축조하여 關門海峽을 통제하고자 하였다. 이것이 2차 방어망이다. 그 다음에는 對馬島에서 시코쿠(四國)를 거쳐 가와치(河內)에 이르는 곳곳에 산성을 배치하였다. 이것이 3차 방어망이다. 이렇게 당시 서일본에는 물샐 틈 없는 방어망이 구축되어 있었는데, 이는 백제가 구축한 방어체계와 매우 유사하여 백제 유민들의 지휘하에 산성이 축조되었다는 역사적 사실을 뒷받침해 주고 있다. There is a mountain fortress in the Western Japan which is constructed by drifting people who go over to Japan after the fall of Baekje Dynasty. It is called the Joseon-style mountain fortress. It is similar to the mountain fortress of Baekje Dynasty because it is constructed by the Baekje drifting people. However, there is hardly clear facts related to the mountain fortress of Baekje Dynasty. Accordingly, this study focuses relations of the Baekje Dynasty based on construction records of the Joseon-style mountain fortress. In terms of construction records of the Joseon-style mountain fortress, Mizuki is first built, and subsequently Nagatozo, Onozo, and Kiizo are constructed in sequence. Thus, street corner that comes from Hakatawan to Dazaifu through constructing Muzuki. This is the first defense. Then, Nagatozo is constructed and it try to control Kanmon straits. This is the second defense. In addition, the mountain fortress is placed around the Tsushima Island to Kawachi. This is the third defense. Thus, airtight defenses was built in the western Japan. This is very similar to the defense system by constructing Baekje Dynasty.

      • KCI등재

        산성에서 발견된 석벽건물(石壁建物)의 성격에 대한 시고(試考)

        서정석 ( Jeong Seog Seo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0 백제문화 Vol.42 No.-

        최근들어 산성에서는 석벽건물(石壁建物)이 발견되는 사례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석벽건물이 란 말 그대로 벽면을 흙이 아닌 석재로 축조한 건물을 뜻한다. 이러한 건물이 발견된 산성으로는 양주 대모산성, 연기 운주산성, 아산 학성산성, 홍성 석성산성, 공주 공산성, 부여 부소산성, 광양 마로산성, 전주 동고산성, 광주 무진고성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석벽건물은 벽면을 석재로 축조했다는 사실 이외에 기둥이 밖에서 보이지 않도록 만들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더구나 건물 안에는 난방시설이 갖추어져 있지 않아서 일반 거주공간은 아니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부여 부소산성이나 광양 마로산성에서 곡식이 다량으로 출토된 것으로 볼 때 곡식을 저장하였던 창고로 추정된다. 아울러 그 축조시기는 주변에서 출토되는 유물로 볼 때 통일신라시대로 판단된다. 그런데 이러한 석벽건물은 모두가 그 지역의 군현성(郡縣城)으로 비정되는 산성에서만 발견되고 있다. 그런 점에서 각 군현(郡縣)에서 거두었던 조세미(租稅米)를 보관하였던 창고로 추정된다. 그런 점에서 석벽건물은 통일신라시대 군현성이 갖고 있었던 행정적 기능의 일단을 보여주는 고고 학적 자료라고 생각된다. 한편, 지금까지 석벽건물은 백제 고지(故地)에서만 발견되고 있다. 영남지역에서 발견되지 않는 것은 성벽과 성문에 대한 조사에 치중하고 성내의 건물지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소홀하였기 때문이 아닌가 한다. Recently, there has risen discovery of Stone Wall Building(石壁建物) in mountain fortress sites. The Stone Wall Building is literally a building walled with stone blocks, not with clay. This type of buildings have been found at the Daemosanseong (大母山城) Fortress in Yangju, Unjusanseong(雲住山城) Fortress in Yeonki, Hakseongsanseong(鶴城 山城) Fortress in Asan, Seokseongsanseong(石城山城) Fortress in Hongseong, Gongsanseong(公山城) Fotress in Gongju, Busosanseong(扶蘇山城) Fortress in Buyeo, Marosanseong(馬老山城) Fortress in Gwangyang, Donggosanseong(東固山城) Fortress in Jeonju andMujingoseong(武珍古城) Fortress in Gwangju. The Stone Wall Building is characterized as hidden pillars, and it had no heating equipments inside. Besides, there have been found a lot of crops inside the building in the Busosanseong and Marosanseong Fortress. These evidences indicate the building was not used for residential purpose but a crop storage. The construction time of these buildings is estimated in Unified Silla period from accompanied artifacts. The fortresses which have the Stone Wall Building are typically Gunhyeonseong(郡縣城) Fortress. Therefore, this building is considered as a warehouse where taxational crops collected in each Gunhyeon(郡縣) were stored. This shows other administrative function of the Gunhyeonseong in the era of Unified Silla. Meanwhile, the buildings have been found only in the previous Baekje territory. The reason why we could not find them in the Silla territory is that archaeological excavation has been focused on walls and gates of fortresses, but investigation into inner building sites has been neglig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