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5-2017년 국내 스마트 공중 포집기에 포획된 벼 주요 멸구류의 밀도 변동 및 보독충률 조사

        최지은,곽해련,김미경,정태우,서장균,김정수,최홍수,Choi, Ji-Eun,Kwak, Hae-Ryun,Kim, Mi-Kyeong,Jeong, Tae-Woo,Seo, Jang-Kyun,Kim, Jeong-Soo,Choi, Hong-Soo 한국식물병리학회 2018 식물병연구 Vol.24 No.3

        본 연구에서는 2015년-2017년 사이에 실시간 예찰 장비인 스마트 공중 포집기(SSNT)에 의해 포획된 멸구류 3종, 애멸구, 흰등멸구, 벼멸구의 비래 밀도를 분석하였으며, 각 멸구류가 전염하는 바이러스에 대하여 보독충률을 조사하였다. 중국과 가까운 충남, 전남, 전북과 경기도의 서해안 지역의 경우, 비래 밀도는 각각 27.5%, 17.2%, 15.3% 및 10.9%로 충남의 비래 밀도가 가장 높았고, 남해안 지역인 경남 지역의 비래 밀도는 15.9%였다. 그러나 경북과 강원도 지역의 동남부 지역에서 비래 밀도는 6.9%, 4.7%로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충북의 내륙지역에서 비래 밀도는 1.6%로 가장 낮았다. 2015년부터 3년간 멸구류의 월별 대량 비래 시기는 애멸구는 7월, 흰등멸구와 벼멸구는 7-8월이었다. 2016년 이동성 멸구류 3종의 일별 대량 비래는 7월 중 하순에 7월 15일, 21일, 27일로 3회였으며, 2017년은 5월 28일, 6월 7일 및 7월 8일로 3회였다. 이 시기의 기후도는 중국과 필리핀 부근에서 형성된 고기압 사이로 우리나라를 향해 이동하는 저기압 골이 형성되었다. 2015-2017년 SSNT에 포획된 비래 멸구류의 바이러스 보독충률 조사는 RSV 등 5종의 벼 바이러스에 대하여 RT-PCR 유전자 진단을 하였다. 애멸구 1,185마리를 대상으로 RSV와 RBSCV를 검정한 결과 RSV는 검출되지 않았고, RBSDV는 0.4%의 보독충률을 보였다. 흰등멸구 898마리를 검정한 결과 SRBSDV를 보독 한 개체는 없었으며, 벼멸구 33마리를 대상으로 검정한 결과 RRSV와 RGSV를 보독한 개체는 없었다. Major viruses infecting rice are transmitted by planthoppers such as small brown planthopper (SBPH), brown planthopper (BPH) and white-backed planthopper (WBPH).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planthoppers captured during 2015 to 2017 by a smart sky net trap (SSNT) system installed in 40 areas in Korea, which is an automatic, rapid and real-time insect surveillance system. The average rates of captured migration plnathoppers was 27.5%, 17.2%, 15.3% and 10.9% in Chungcheongnamdo, Jeollanamdo, Jeollabukdo and Gyeonggido, orderly. The highly migrated month was July for SBPH, July to August for WBPH and August for BPH. To investigate the viruliferous rates of planthoppers of rice during 2015 to 2017, we performed RT-PCR using specific primers for each rice virus. RBSDV was detected from 0.4% in SBPH, while no viruses were detected in BPH and SBPH. Rice planthoppers exist all around in Asia. They can move long distance by wind from southern countries to Korea. Monitoring the migration of rice planthoppers and their viruliferous rates is important to prevent the outbreaks of rice virus diseases.

      • KCI등재

        식물 RNA 바이러스의 진화와 병저항성 극복 기작

        김명휘(Myung-Hwi Kim),권선정(Sun-Jung Kwon),서장균(Jang-Kyun Seo) 한국식물병리학회 2021 식물병연구 Vol.27 No.4

        Plant RNA viruses are one of the most destructive pathogens that cause a significant loss in crop production worldwide. They have evolved with high genetic diversity and adaptability due to the short replication cycle and high mutation rate during genome replication,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RNA viruses. Plant RNA viruses exist as quasispecies with high genetic diversity; thereby, a rapid population transition with new fitness can occur due to selective pressure resulting from environmental changes. Plant resistance can act as selective pressure and affect the fitness of the virus, which may lead to the emergence of resistance-breaking variants. In this paper, we introduced the evolutionary perspectives of plant RNA viruses and the driving forces in their evolution. Based on this, we discussed the mechanism of the emergence of variant viruses that overcome plant resistance. In addition, strategies for deploying plant resistance to viral diseases and improving resis- tance durability were discussed.

      • 동종 말초혈액 조혈모세포를 이용한 다양한 임상적용에 관한 단일병원 경험보고

        채의수,손상,성우진,서광운,박성원,김종광,정진태,이난영,서장,이규보 경북대학교 병원 2002 경북대학교병원의학연구소논문집 Vol.6 No.1

        배경:동종 말초혈액 조혈모세포 이식은 골수이식에 비해 많은 양의 조혈모세포 및 T―림프구 이식으로 인해 빠른 회복이 가능하며 강력한 이식편대종양반응이 유도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이를 잘 응용한다면 악성 혈액질환에서 치료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본 연구에서는 동종 말초혈액 조혈모세포 이식의 장점을 이용한 다양한 임상적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방법:경북대학교병원 조혈모세포 이식센터에서 동종 말초혈액 조혈모세포 이식을 시행한 증례 중에서 동종 골수이식수술에 비해 말초혈액 조혈모세포 이식이 유리할 것으로 생각디는 재발의 가능서이 높은 악성질환에서의 더욱 강력한 이식편대종양반응 유도를 위한 동종 말초혈액 조혈모세포를 이용한 예방적 공여자 림프구주입 등의 임상적용을 시도한 증례 및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17례의 재발의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군의 악성 혈액질환을 대상으로 한 동종 말초혈액 조혈모세포 이식에서 90일 이내의 치료와 관련된 사망률은 23.5%이었고 중앙 추적기간 563일(범위 120∼926일)간의 무병생존율은 35.3%이었다.CSF로 가동화한 말초혈액 조혈모세포를 추가적으로 수혈받은 환자 7명 중 4명(57.1%)이 중앙 추적기간 538일(범위120∼926일)째에 완전관해 상태로 생존 중에 있다.그 외 말초혈액 조혈모세포를 아용한 미니 이식,동종 말초혈액 조혈모세포를 이용한 예방적 stepwise dose-increment 공여자 림프구주입술 등을 시행한 증례에서 장기 생존의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결론:동종 말초혈액 조혈모세포 이식은 많은 양의 조혈모세포 및 T-림프구의함유로 인해 높은 생착률과 빠른 회복,강력한 이식편대종양반응 등이 유도되는 장점이 있으므로 기존의 골수이식술에 비해 보다 광범위한 임상적용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Background: It is apparent that more stem cells can be harvested by mobilization treatment with recombinant human G-CSF and/or GM-CSF from normal healthy donors in allogeneic peripheral biood stem celltransplantation(allo-PBSCT) compared to allogene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allo-BMT).It is also known to be more effective in inducing the graft-vs-tumor affects than allogeneic BMT because of higher T cell content. Methods: A variety of clinical applications with allo-PBSCT was done for patients with hematoligical malignancies with a high risk of relapse in sigle transplantation center. We reported the preliminary results on trial of allo-PBSCT followed by planned prophyactic G-and/or GM-CSF primed donor lymphyocyte infusion additionally reserved at harvest in hematological malignancies with a high risk of relapse and also presented the successful trial of non-myeloablative transplantation for old aged AML paient in 4th complete remission and cases with 2nd transplantation with allo-PBSCs. Results: Seventeen patients with hematological malignancies with a high risk of relapse were enrolled in trial of allo-PBSCT followed by prophylactic donor lymphocyte infysion.All patients received allogeneic PBSCT from HLA- matched sibling donor.Aeven out of 17 patients recived additional PBSCs with a median number of CD3+ CELLS OF 5.0×10^7/kg(range,3.0 to 9.9×10^7/kg), between day 41 and day 120.Four surving patients(4/7) were free of disease when last assessed(median follow-up duration, 538 days), but were suffering from chronic GVHD(1 limited and 3 extensive). A 56 year old acute myeloid leukemia patient in the 4th complete remission was successfully treated with allo-PBSCT with non-myeloablative conditioning regimen.One of 2 patients who received second transplantation with allo-PBSCT has shown a long term disease free survival. Conclusion: A merit of allo-PBSCT would allow us to design a variety of clinical applications. Allo-PBSCT might be preferable in special clinical setting such as non-myeloablative transplantation, second transplantation,or the situation in need of the strong GVL effect. And also CSF-primed PBSCs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donor lymphocyte infusion.(korean J Hematol 2001;36:214~222)

      • 고위험군의 악성 혈액질환에서 자가말초혈액 조혈모세포이식 후 2차 동종말초혈액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한 보고

        박성원,성우진,채의수,서광운,김종광,정진태,손상,서장,이규보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2001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6 No.2

        자가말초혈액 조혈모세포이식술 후 재발한 악성 혈액 질환에서는 예후는 극히 불량하여 재발한 악성 혈액 질환에서는 예후는 극히 불량하여 재발한 경우나 재발할 가능성이 있는 환자에서는 HLA-적합성 공여자가 있는 경우에 동종말초혈액 조혈모세포이식술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저자는 자가말초혈액 조혈모세포 이식술 후 재발한 mantle cell lymphoma 1례와 자가말초혈액 조혈모세포이식술 후 혈소판 생착에서 실패한 골수이형성증후군 (RAEB-T) 1례, 자가말초혈액 조혈모세포이식술 후 재발할 가능성이 있는 고위험군의 비호지킨 림프종 1례에서 자가이식에 연이은 동종말초혈액 조혈모세포이식술 시행 후의 최근 추적 검사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Autologous stem cell transplantation is known to show a limited efficacy in hematologic malignancies with high risk of relapse. We report three cases of hematologic malignancies treated with allogeneic peripheral blood stem cell transplantation for the purpose of inducing graft-versus-malignancy effects or as a therapeutic option for the relapse after autologous stem cell transplantation. If HLA-mathched donor is available, secondary allogeneic transplantation might be a therapeutic option as consolidation in patients with hematologic malignancies with high risk of relapse or who relapsed after autologous stem cell transplantation.

      • 고위험군 혈액종양에서 동종 말초 조혈모세포이식 및 G/GM-CSF 가동화 예방적 공여자림프구주입술의 역할

        박성원,이영택,서광운,채의수,백진호,정진태,박소향,손상,서장,이규보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2000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5 No.2

        배경:동종 조혈모세포이식술 후 재발은 고위험군의 혈액암에 있어서 치료 실패의 주 원인으로, 여러 가지 치료 방법들이 사용되나 대개 나쁜 결과들이 알려져 있다.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술 후 재발의 위험이 높은 혈액종양 환자들의 생존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재발을 줄이기 위한 시도들이 필요한데 그 한 방법으로 최근 예방적 공여자림프구주입술의 시도가 보고되고 있다. 방법:동종 조혈모세포이식술 후 재발의 위험성이 높은 고위험군 환자 13례를 대상으로 조혈모세포 공여자를 G/GM-CSF로 가동화하여 말초 조혈모세포를 채집하여 말초 조혈모세포 이식을 시행하고, 채집된 말초 조혈모세포의 일부를 이후의 예방적 공여자림프구주입술을 위해 냉동 보관하였다. 말초 조혈모세포 이식 후 60일에서 120일 사이에 중독한 급성 이식편대숙주반응이 없는 경우, 재발이 증명되기 전에 냉동 보관하였던 G/GM-CSF 가동화 조혈모세포로 예방적 공여자림프구주입술을 시행하였다. 결과:대상 환자 13례 중 남자가 7례, 여자가 6례이었고, 급성 골수성백혈병 5례(불응성 2례, 조기 재발 2례, 4번째 완전관해 1례), 급성 림프구성백혈병 3례(불응성 2례, 4번째 완전관해 1례), 만성 골수성백혈병 2례(아세포 발증기 1례, 녹색종을 가진 만성기 1례), 불응성 다발성골수종 2례, 자가 조혈모세포이식술 후 재발한 악성 림프종 1례이었다. 13례 중 12례에서 말초 조혈모세포 채집에 성공하였고, 1례에서는 혈관미주신경성실신이 발생하여 골수 채집으로 전환하여 시행하였다. 말초 조혈모세포이식술을 시행한 12례 중 10례에서 백혈구 및 혈소판의 생착이 확인되었고, 1례에서는 혈소판의 생착에 실패하였으며, 1례는 간의 정맥폐쇄성질환으로 조기에 사망하였다. 백혈구 생착에 성공했던 11례 중 5례에서 7회의 예방적 공여자림프구주입술을 시행하였으며, 예방적 공여자림프구주입술을 시행한 5례 중 3례에서 이식 후 140일, 147일, 92일에 재발하였고, 2례는 이식 후 각각 623일과 414일인 현재까지 완전관해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결론:동종 조혈모세포이식술 후 재발의 위험이 높은 고위험군 혈액종양 환자들에게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술을 고려할 때 재발을 줄이려는 노력들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 잔종종양세포가 적은 조기에 예방적 공여자림프구주입술을 시행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위해 G/GM-CSF로 가동화한 말초 조혈모세포의 채집 및 냉동보관을 사용한다면 비용 측면 및 공여자의 수고라는 측면에서 효과적일 것이고, G/GM-CSF로 가동화된 공여자림프구를 사용함으로써 좀 더 효과적인 이식편대종양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골수 억제의 부작용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 단계적 공여자림프구주입술을 사용함으로써 이식편대숙주반응의 부작용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G/GM-CSF 가동화 예방적 공여자림프구주입술의 재발 방지 효과 및 임상 활용 등에 대한 더 많은 임상 연구들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Relapse is a most important cause of failure of allogeneic stem cell transplantation (SCT) for the high risk patients with hematologic malignancies. The outcome of patients relapsing after allogeneic SCT is generally poor. Prophylactic donor lymphocyte infusion (DLI) as one of the post allograft approaches may decrease relapse in patients with high risk. Methods:Thirteen patients with hematologic malignancies of high risk of relapse, median age of 40.0 years (range 19~53), underwent an allogeneic peripheral blood stem cell transplantation (PBSCT). Peripheral blood stem cells were mobilized with G-CSF and/or GM-CSF from sibling donors and harvested for 2~3 successive days. Greater than 8×10^(8)/kg mononuclear cells (MNCs) or 8×10^(6)/kg CD34+ were planned to be harvested allowing us to freeze reserve cells for the purpose of scheduled future DLIs. Results:The mean harvested cell content was 9.64×10^(8) MNCs/kg, 12.70×10^(6) CD34+/kg, and 6.18×10^(8) CD3+/kg. The mean time to achieve a WBC count>500/uL was 16.1 days, and 20.5 days to a platelet count>20,000/μl. Out of 13 patients, 5 patients had scheduled prophy- lactic DLIs, 1 patient proved graft failure of platelet, and 1 patient had to have BMT instead of PBSCT because of mobilization failure. Among five patients who had prophylactic DLIs from D+38 to D+120, 2 patients are alive and remain in CR at present D+623 and D+414 with controllable chronic GVHD. Conclusion:Our approach in this report described above offered several advantages. Collecting sufficient numbers of cells at harvest for further use as DLIs is easy, convenient to donor and cost-effective. Also the PBSCT with prophylactic stepwise DLIs appears to enhance the GVL effect. Further investigations are needed to determine the optimum cell dose and schedule of prophylactic DL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