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에 대한 종단연구 :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의 적용

        서원석 ( Suh Won-suk ),장재혁 ( Jang Jae-hyuck ),김석우 ( Kim Suk-woo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가 학년 증가에 따라 어떠한 패턴으로 변화하는지 살펴보고 변인들간의 종단적 관계를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부산교육종단연구(BELS)의 중학생 패널 1차년도(2016년)부터 ~ 3차년도(2019년) 자료를 활용하였다. 중학생 2,565명을 대상으로 Excel 2016, SPSS 23.0, Amos 23.0을 통해 다변량 잠재성장모형(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을 적용하였다. 도출한 연구결과 첫째는 1차~3차 자아존중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존중감 초기치는 학업성취도 초기치에 부적인 영향을 주며 그 사이 학업적 자기효능감 초기치는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중감 변화율은 학업성취도 변화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으나 학업적 자기효능감 변화율을 통해 학업성취도에 간접영향을 주어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한 정책에 대해 제언하고 적실성 있는 지원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여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patterns of self-esteem, curriculum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first to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using the results of the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BELS) with Excel 2016, SPSS 23.0, Amos 23.0,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Y1-Y3's self-esteem, Y1-Y3's curriculum self-efficacy, and Y1-Y3's academic achievement showed a statistically correlated relationship. Second, self-esteem, curriculum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change linearly with time. Third, the initial value of self-esteem affects negatively on the initial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while the initial level of curriculum self-efficacy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addition, the rate of change of self-esteem did not directly affect the rate of change of academic achievement, but showed indirect effect through the rate of change of curriculum self-effic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the establishment of policy for self-esteem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future.

      • KCI등재

        다층모형을 활용한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효과 분석

        서원석(SUH, Won-Suk),김석우(KIM, Suk-W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효과에 초점을 두고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따라 중학생의 개인수준 학업성취도와 학교수준 학교효과를 위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중학교가 가지는 학교 효과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위해 2009년 ~ 2016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패널 데이터(INAEA)의 2016년 중학생 3학년 492,094명과 학교장 3,19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Excel 2016, SPSS 23.0, Mplus 7.02를 활용하여 다층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그에 따라 도출된 연구결과 첫째, 학생개인수준 변인인 독서시간, 운동량, 도서보유량, 부모관계, 학습태도, 학교만족도, 진로성숙도, 방과후 학습활동, 여가생활, 학업이해도, 교과태도는 학업성취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을 나타났다. 둘째, 학교수준변인인 학교장의 성별, WEECLASS 운영, 교사교수풍토, 학생학업풍토, 학부모풍토는 학업성취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학업성취를 증진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effect that affects the academic achievement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92,094 middle school seniors and 3,192 school principals from NAEA, 2016. The data analyzed with Hierachical Linear Model using Excel 2016, SPSS 23.0, Mplus 7.02.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s individual variables such as reading time, exercise volume, book retention, parental relationship, learning attitude, school satisfaction, career maturity, after-school learning activities, leisure life, academic difficulties, and academic attitude influenced academic achievement. Second, the gender, WEECLASS management, teacher teaching climate, student academic climate, and parent climate of school level variabl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

        유아교육재정에 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서원석(Suh, Won-Suk),이강훈(Lee, Kang-Hoon),김석우(Kim, Suk-W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2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를 통해 유아교육재정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위해 Textom에서 제공하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유아 + 교육재정’을 키워드로 rawDATA를 마련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1차·2차 정제과정을 마친 데이터들 중 빈도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핵심 키워드 200개를 선정하였으며, 이를 1-mode matrix dataset을 작성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 교육재정에 대한 사회적 인식에서 ‘교육’, ‘유아’, ‘교육재정’이 핵심 키워드로 나타났 다. 또한 이해관계 집단 요인(유치원, 지방, 정부, 사립, 어린이집, 교육부, 대학), 이해 관계자 요인(유아, 교사, 교수), 정책 및 행정 요인(교육, 교육재정, 지원, 보육, 정책, 예산, 복지, 교부금, 무상, 공교육), 유관법령 요인(교육법, 법), 사회적 반응 요인(부 담, 문제, 필요)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실제적 데이터 네트워크 에서 드러난 유아교육재정에 관한 개념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의의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육재정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social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inance based on big data.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by the keyword ‘young children + education finance’ with big data Textom. Based on the frequency of the words, 200 words were selected after the first and second filtering processes, which were converted to 1-mode matrix data.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Concep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inance have a common relation to ‘education’, ‘young children’ and ‘education finance’. It also showed that early childhood education finance have closely related to ‘stakeholder group’, ‘stakeholder’, ‘policy & administration’, ‘laws’ and ‘social response’. This study is meaningful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s relat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finance exposed in actual data networks. Based on these analytical results, the researcher suggested ways to support early childhood education finance policy.

      • KCI등재

        고등학생의 자아효능감, 학습태도의 관계에서 진로성숙도, 교사관계만족도의 매개효과

        서원석(SUH, Won-Suk),김경수(KIM, Kyung-Soo),김석우(KIM,SUK-W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자아효능감, 진로성숙도, 교사관계만족도, 학습태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자아효능감과 학습태도 간의 관계에서 진로성숙도와 교사관계만족도의 다중매개효과를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2(KEEPⅡ)의 1차년도 자료 중 일반계 및 자율계 고등학생 2학년인 5,929명을 최종연구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태도는 자아효능감, 진로성숙도, 교사관계만족도와 정적인 상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구조방정식을 통해 자아효능감은 진로성숙도를 통해 학습태도에 간접 효과를 주어 완전매개효과가 있음을 도출하였다. 셋째, 자아효능감은 교사관계만족도를 통해 학습태도에 간접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완전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같은 결과는 고등학생의 자아효능감이 진로성숙도와 교사관계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학습태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시사하는 바이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를 통해 실제 고등학교 교육 현장에 실질적 시사점과 정책적 의사결정의 기초자료가 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career maturity, teacher satisfaction, and academic attitude in high school students. To accomplish this study, the first year data of the Korea Employment Panel 2 (KEEPⅡ) 5,929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academic attitud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career maturity, and teacher satisfaction.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elf-efficacy has an indirect effect on academic attitude through career maturity, and thus has a complete mediating effect. Third, self-efficacy was found to have an indirect effect on academic attitude through teacher satisfaction, and thus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complete mediating effect. This means that high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not only directly affects career maturity and teacher satisfaction, but also indirectly affects their academic attitude. Through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the actual high school education can have practical implications and basic data for policy decision making.

      • KCI등재

        중학교 교사가 지각하는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IPA 분석

        김석우(Kim, Suk-Woo),장카이(Zhang, Kai),서원석(Suh, Won-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7

        목적 본 연구는 중학교 교사가 과정중심평가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중요도와 이를 실행하는 정도인 수행도 간 차이를 평가 이해, 평가 계획, 평가 실행, 협력적 의사소통, 평가 결과활용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중학교 현장에서 우선적으로 지원해야 할 항목과 장기적 개선이 요구되는 항목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방법 연구목적을 규명하기 위해 부산광역시 교육청 소속 중학교 교사 47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평균, 표준편차, 대응표본 t-검정,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중학교 교사의 과정중심평가 이해, 과정중심평가 계획, 과정중심평가 실행, 협력적 의사소통, 평가결과활용 모든 영역에서 수행도보다 중요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과정중심평가에서 우선적으로 지원해야 할 부분은 학생의 ‘다면적 특성을 평가’, ‘결과를 도출해가는 과정 평가’, ‘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위한 피드백 제공’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기적으로 개선이 요구되는 부분은 ‘학생의 성찰을 위한 평가’, ‘지필·수행 평가 모두 활용’, ‘핵심역량을 근거한 평가계획 수립’, ‘과정이 중심이 되는 수업 구성’, ‘인지적 정의적 영역 피드백을 학생에게 제공’, ‘성취기준 미흡 학생 추후 지도’로 도출되었다. 결론 과정중심평가의 활성화는 현장에서 직접적인 교육을 통하여 학생과 상호작용하는 교사로부터 시작되어야 하며, 자유학기제로 인하여 과정중심평가를 수행해야하는 중학교 교사에게 더욱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과정중심평가의 중요성을 중학교 교사는 인지함에도 불구하고 수행이 낮은 부분에 대하여 교육부, 교육청, 단위학교 차원에서의 적극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바이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중학교 교사의 과정중심평가의 업무 중 우선순위 직무를 파악하여 중학교 평가 운영방안에 대한 의미 있는 기초자료가 되길 기대한다.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performance perceived by middle school teachers for the process-based assessment.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471 middle school teachers belonging to the Busa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Methods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research problem using mean, standard deviation, correspondence sample t-test, and 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importance of middle school teach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performance in all areas of understanding process-based assessment, process-based assessment plan, process-based assessment execution, cooperative communication, and assessment result utilization. Second, in the process-based assessment, the priority areas to be supported were the ‘evaluation of multi-faceted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 ‘evaluation of the process for deriving the result’, and ‘providing feedback for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student’. Third, the areas that need improvement in the long term are ‘evaluation for student reflection’, ‘use of both paper-based and performance evaluation’, ‘establishment of an evaluation plan based on core competencies’, ‘class composition centered on the process’, and ‘cognition’. It was derived as ‘providing feedback to students in positive and affective areas’ and ‘follow-up guidance for students with insufficient achievement standards’. Conclusion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 meaningful basic data for the middle school evaluation management plan by identifying the priority tasks among the tasks of middle school teachers process-based assessment.

      • KCI등재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유아교사의 행복 유형 결정요인과 행복 유형에 따른 행복플로리시 차이 검증

        황해익(Hwang, Hae-Ik),서원석(Suh, Won-Suk),이강훈(Lee, Kang-Hoo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하여 유아교사의 행복 유형을 분류해 보고 행복유형의 결정요인을 탐색함과 동시에 행복 유형에 따라 행복플로리시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B광역시와 U광역시 및 G도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유아교사 452명을 대상으로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잠재프로파일분석(LPA), 다항로지스틱분석(MLMA), One-way ANOVA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위해 SPSS 23.0 & M-plus 7.31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유아교사의 행복 유형은 ‘상위 행복교사군’, ‘중위 행복교사군’, ‘하위 행복교사군’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행복 유형의 결정요인은 서번트 리더십, 자아탄력성, 조직몰입, 교수몰입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행복유형에 따라 행복플로리시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의 행복한 교직생활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 마련 및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유아교사의 행복 유형에 따른 차별화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categorize happiness groups by LPA, investigate the determinant of happiness groups, and at the same time, examine the difference of classified early childhood teacher` flourishing. For this purpose, 452 teachers were analyzed from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B & U Metropolitan City and G Province in South Korea were analyzed. In this study, latent profile analysis, multinominal logistic model analysis,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using SPSS 23.0 & M-plus 7.31.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First, the happiness group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classified as ‘high happiness teacher’, ‘middle happiness teacher’, and ‘low happiness teacher’. Second, the determinants of happiness typ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servant leadership, ego-resilie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eaching flow.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flourishing according to the types of happiness group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creative strategy for each happiness groups is needed to provide a way to support happy teaching life and to develop a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 KCI등재

        빅데이터를 활용한 지방교육재정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

        주철안(JOO, Chul-An),서원석(SUH, Won-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지방교육재정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목적을 규명하기 위해 Textom, Ucinet6, Netdraw를 활용하여 지방교육재정을 키워드로 빅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1ㆍ2차 데이터 정제를 실시하였고, 이후 공출현 빈도를 중심으로 핵심 키워드를 50개 선정하였으며, 이에 대해 공출현 빈도분석, 거시적 네트워크 유의성, 중심성 분석, 에고 네트워크 분석, k-core 분석을 실시하였다.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교육재정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키워드 네트워크는 응집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통적으로 지원, 정부, 학교, 학생, 교육부, 문제, 예산의 키워드들이 연결중심성, 인접중심성, 매개중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원과 정부 키워드는 여타 키워드와 높은 밀도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k-core 분석결과 핵심키워드 50개는 이해관계 키워드집단, 현집중정책 키워드집단, 개혁과제 키워드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도출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지방교육재정의 사회적 인식과 그 각각의 키워드가 함양하는 의미를 도출하여 지방교육재정에 대한 방향성에 기초자료가 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ocial perception of local education finance through big data. For this research purpose, Textom, Ucinet6, and Netdraw were used to collect data using local education finance as keywords and conduct network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as subjected to data purification. After that, 50 key keywords were selected based on the frequency of co-occurence, and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First, The social network of local education finance is highly concentrated. Second, the keywords of support, government, school, student, education, problem, and budget were found to be high in degree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Third, the keyword of support and government was found to be connected with other keywords in high density. Fourth, 50 key keywords were classified into interest keyword groups, current concentration keyword groups, and reform task keyword groups. From this research results, the social recognition of the local education finance will be the basic data for the direction of the local education finance polic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