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철학과 정신분석-둘이라는 관건(l'enjeu du Deux)

        서용순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2007 현대정신분석 Vol.9 No.1

        이 연구는 오늘날 철학과 정신분석 사이에 놓인 긴장을 통하여 철학과 그 조건의 관계를 조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라캉이 행한 정신분석의 혁신은 전통 형이상학이 추구하던 일자의 지배를 파괴하는 효과를 가진다. 라깡은 성별화 정식을 통하여 보편성을 갖는 남성의 입장과 그 보편성을 벗어나는 비-전체로서의 여성의 입장을 분리하여 성적 입장의 분리를 드러낸다. 이는 하나의 길을 파면하고 둘의 길로 나아가는 계기를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정신분석의 문제제기는 철학에 반향을 일으키는데 그것은 다름 아닌 바디우의 진리철학이다. 탈근대의 비판 이후에 새로운 합리주의를 구축해내는 바디우는 라캉의 문제제기에 근거하여 둘의 길을 수립해낸다. 그는 남성의 입장과 여성의 입장이 완전히 분리되어 있음을 논리적으로 설명해내는 한편 이 분리된 두 개의 입장 위에 인류함수 H(x)를 개입시킴으로써 다른 입장을 인류로 돌려세운다. ‘둘의 만남’을 통하여 성차의 진리가 드러나는 것이다. 분리된 둘은 만남을 통하여 비로소 둘로 알려지는데, 이는 만남을 통한 사랑의 사건에 다름 아니다. 분리로 인해 알려질 수 없는 둘은 사랑을 통하여 비로소 드러나는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여성의 입장이다. 오로지 여성만이 사랑을 통하여 인류의 성립을 보증한다. 바디우는 남성이 아닌 여성에게 보편성을 부여하고 거세함수 Фx를 인류함수 H(x)로 대치하게 된다. 이는 정신분석의 문제제기에 대한 철학의 응답이라고 볼 수 있다. (바디우의) 철학과 (라캉의) 정신분석이 보여주는 긴장은 이렇게 이어짐/계속됨(continuation)으로 드러난다. Cette recherche consiste à montrer le rapport de la philosophie à ses conditions en se concentrant sur la tension entre la philosophie et la psychanalyse. La psychanalyse lacanienne a pour effet de détruire le règne de l'Un qui est l'enjeu de la métaphysique traditionnelle. Lacan montre la séparation de position sexuelle par sa formule de sexuation. Ceci veut dire la destitution de l'Un et la promotion du Deux. Ce problème concerne certes la philsophie; Badiou, philosophe du rationalisme rénové, y répondra. Il établit le chemin du Deux. D'une part, il explique la séparation complète des positions de deux sexes de manière logique et d'autre part, il fait intervenir la fonction de l'Humanité, H(x), à deux positions séparées; afin de affirmer l'humanité capable de saisir la vérité. Par le rencontre du Deux, surgit la vérité sur la différence de sexes : l'événement de l'amour par la rencontre. L'amour fait surgir le Deux, imppossible d'ê̂tre connu à cause de la séparation complète. Ici, l'important est la position féminine. Seul la femme permet d'établir l'humanité par lamour. Badiou assigne l'universalité à la position féminine en substituant la fonction de l'humanité à la fonction fallique. On peut considérer l'argumentation de Badiou la réponse de la philosophie à la anti-philosophie lacanienne. Ainsi, la tension de la philosophie et de la psychanalyse se montre en 'continuation'.

      • KCI등재

        19-20세기 해방정치 이념에 대한 비판적 검토

        서용순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인문학연구 Vol.30 No.-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basis of a new idea of emancipatory politics by examining the idea of revolutionary politics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Marx's "communism" is not limited to a material level but requires the creation of sense of "subjectivity" that it implies. It is an indiscernible subjective figure transcending identity. The 'vanguard party' proposed by Lenin for the Russian revolution presupposes a bond with the masses as a representation system of the proletarian class representing the revolutionary interests of the masses of workers, but, also, solidifies a State-party system by combining itself with the domination mechanism of the State. In the end, the politics of the proletariat as a form of emancipation politics is losing its vitality. Mao Zedong strived to establish a mass initiative by raising the Cultural Revolution, led by the popular masses and struggling with party bureaucracy, in order to escape this "State-party" politics. The Revolution of 1968 in France, which was influenced by the Cultural Revolution, was a strong uprising of the masses. Among the many trends in this revolution, notable was the practice of building an alternative party to overcome the Communist Party. Through this practice, Badiou draws the possibility of 'politics without party'. He asserts that it will be possible to develop new emancipation politics that allows for collective action to work through ‘politics without party’ and to reflect on its actions. The construction of new emancipatory subjectivity and the creation of new politics outside of State-party politics will enable an unprecedented idea towards emancipatory politics.

      • KCI등재

        바디우 철학에서의 존재, 진리, 주체

        서용순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1 철학논집 Vol.27 No.-

        이 연구는 지난 세기의 근대 철학 비판을 계기로 성립한 바디우의 진리철 학의 윤곽을 제시하고, 그 철학적 함의를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바디우의 진리철학은 존재론에서 시작한다. 그는 존재를 일자가 아닌 다수로 파악하면서 존 재를 비일관적 다수로 정의하고, 일자를 단지 비일관적 다수에 일관성을 부여하기 위한 작용으로 파악한다. 그는 집합론을 통해 존재론을 재구축하고, 존재의 질서에 공백이 편재한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사건의 가능성을 존재의 질서 자체에 내재하 는 것으로 간주한다. 사건은 이러한 공백의 분출로 결정 불가능한 것이 출현하는 과정이다. 사건이 결정불가능하다면 이러한 결정 불가능한 것을 결정하는 개입의 과정이 필요하고, 이러한 결정을 통해 사건은 상황 속에 실존하는 것이 된다. 이는 상황에 개입하는 선언으로서 이후에 사건에 충실한 실천들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충실성이 행하는 실천은 탐색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어떤 다수가 사건과 접속되어 있는지, 그렇지 않은지를 탐색하는 실천이다. 이러한 하나하나의 탐색이 무한히 펼 쳐지는 것이 바로 사건에 대한 충실성이고, 그 충실성의 작인이 바로 바디우가 주 체라고 부르는 것이다. 바디우는 그 실천을 주체가 상황의 언어를 통해 상황에 준 거물을 갖지 않는 유적인 부분집합을 명명하기를 지속하는 언어적 실천으로 규정한 다. 사건으로부터 구성되는 이 유적인 부분집합이 바로 진리가 갖는 새로움의 형상 이고, 이러한 새로움이 상황의 항목으로 인정받을 때 비로소 진리는 상황을 유적으 로 확장된 상황으로 바꾸어 놓음으로써 상황을 변화시킨다. 결국 바디우의 진리철 학은 사건을 통해 성립한 주체적 충실성이 진리를 상황에 강제함으로써 상황을 변 화시키는 혁명적 변화의 과정을 합리적인 방식으로 정당화한다는 점에서 상황 변화 의 동력으로서의 진리와 주체를 다시 사유하는 근대적 철학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바디우 철학에서의 공백(vide)의 문제

        서용순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2006 현대정신분석 Vol.8 No.2

        이 연구는 라깡의 정신분석학과 바디우의 진리 철학의 차이와 유사성을 밝히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바디우 철학에서의 주요한 관건인 공백은 사건이 도래하는 자리로서 수학적 존재론의 핵심을 구성한다. 이 특이한 개념은 라깡의 정신분석학에서의 중요한 이론적 기제인 '실재'와 상당한 유사성을 가진다. 실재는 결핍의 형상을 띠며 그것과의 만남(tuch )은 새로운 상징적 질서를 가져온다. 바디우의 사건 역시 공백의 출현으로써 상황의 변화를 이루는 근거이다. 이러한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양자 사이에는 차이 역시 존재한다. 분석가의 담론이 과거와의 단절과 청산의 순간에 무게를 두는 반면 철학자의 담론은 후-사건적 실천을 강조하는 것이다. 지젝이 믿는 것과는 달리 바디우의 공백은 라깡의 실재의 단순한 모사가 아니라 그것의 외연을 공유하면서 전환된 개념이다. 지젝이 주장하는 라깡적 주체 개념의 우위는 라깡과 바디우에 대한 자신의 고유한 입장에서 나오는 것이라고 말해야 할 것이다. 이 서로 다른 두 사유에 대한 단순한 비교는 불가능하다. 지젝이 주장하는 정신분석의 정치화 가능성은 정치의 또 다른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정치 그 자체에 대한 사유로 전환되어야 할 것이다. Notre recherche consiste à clarifier le rapport de la philosophie de Badiou et la psychanalyse de Lacan dans leurs ressemblances et différences. L'enjeu principal de philosophie de Badiou est le vide qui constitue le noyau de l'ontologie mathématique et à partir de quoi l'événement advient. Ce concept a son support dans la psychanalyse de Lacan sous le terme du réel. Celui-ci a une figure du manque et la rencontre avec lui constitue une expérience de la renaissance symbolique. Comme le surgissement du vide entraîne l'événement, la rencontre avec le réel nous conduit à une réorganisation de l'ordre symbolique. Nous voyons une resemblance indéniable entre deux termes. La différence est pourtant manifeste. Le discours du psychanalyste a pour cetre de gravité dans le moment difficile de rupture avec l'ancien ordre, tandis que le discours du philosophe accentue sur l'importance de la pratique post-événementielle. Le vide de Badiou est, contrairement à ce à quoi Ziẑek croit, une coextension-transformation du réel de Lacan. Ce que Ziẑek soutient, le primat de concept du sujet chez Lacan, n'est que sa propre position vis-à-vis de Lacan et Badiou. A notre sens, il est impossible de comparer de façon si simple deux discours singuliers. La possibilité de politisation de la psychanalyse devrait se transformer en pensée de la politique elle-même, afin de rechercher une autre possibilité de la politique.

      • KCI등재

        탈경계의 주체성과 이방인의 문제 - 레비나스, 데리다, 바디우를 중심으로 -

        서용순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人文硏究 Vol.- No.57

        Cette recherche consiste à considérer le thème de la déconstruction et la reconstruction des limites au sein de la philosophie. Ce thème y apparaît dans la considération de l'étranger. Lévinas parle de la résponsabilité vis-à-vis de l'Autre dans sa philosophie ethique. Le visage de l'Autre, en s'approchant de moi, exige la responsabilité. L'Autre est ainsi le moment de l'hospitalité pour l'autrui, en abandonnant l'ipséité de 《moi》. Une pensée qui souligne l'hospitalité absolue et inconditionnelle pour l'étranger. Par contre, la philosophie de Derrida montre bien l'aporie de l'hospitalité inconditionnelle. En posant la question, l'étranger relativise tout ce qui concerne l'hospitalité; il supprime toute distinction entre l'intérieur et l'extérieur, en même temps qu'il distingue l'intérieur de l'extérieur. Derrida nous révèle pertinnement que la loi de l'hospitalité inconditionelle pour l'étranger est menacée par les lois conditionnelles constituées seulement à travers de ladite loi. Le dilemme de l'étrager se dévoile davantage dans la philosophie de Badiou. L'étranger en tant que vide est, dans sa philosophie, l'être non-comptable au niveau de l'Etat. Pourtant, ce vide y apparaît comme 《site événementiel》. L'événement entraînera le changement de la structure et de la loi de la situation, en produisant des vérités et des sujets. Il ne faut pas néamoins ne comprendre l'étranger qu'un moment de l'événement. Vérités et sujets ont le statut de l'étranger par rapport aux lois qui dominent une situation donnée. L'événement produisant des vérités et des sujets, serait l'arrivée de l'étranger qui vient à détruire des limites de la situation. 이 연구는 오늘날 문제시되고 있는 경계의 해체와 재구축이라는 테마를 철학적으로 고찰하려는 시도이다. 철학 속에서 탈경계의 사유는 ‘이방인’에 대한 성찰을 통해 드러난다. 레비나스는 그의 윤리학적 철학에서 타자(이방인)에 대한 책임에 대해 말한다. 타자의 얼굴은 벌거벗은 채로 다가와 ‘나’에게 책임을 묻는다. 타자는 ‘나’의 자기성을 버리고 타인에 대한 환대로 나아가게 하는 계기인 것이다. 그렇게 그의 사유는 이방인에 대한 절대적이고 무조건적인 환대를 강조한다. 반면, 데리다의 철학은 이러한 무조건적 환대가 갖는 아포리아를 보여준다. 이방인은 질문을 던짐으로써 환대와 관련된 모든 것을 상대적으로 만든다. 이방인은 내부와 외부를 갈라놓는 동시에 내부와 외부의 경계를 무너뜨린다. 데리다는 또한 이방인에 대한 무조건적 환대의 법은 그 법을 통해서만 성립하는 조건적인 법들을 통해 위협당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잘 보여준다. 이러한 이방인에 대한 딜레마는 바디우의 철학에서 더 잘 드러난다. 그의 철학에서 공백으로서의 이방인은 국가의 차원에서는 셈해질 수 없는 존재들이다. 그러나 그 공백은 사건의 계기로 나타난다. 그 사건은 진리와 주체를 생산함으로써 상황의 구조와 법을 바꾸어 놓을 것이다. 그러나 이방인은 단지 사건의 계기로만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바디우 철학에서 진리와 주체는 기존의 상황을 지배하는 법칙에 대해 이방인의 지위를 갖는다. 진리와 주체를 생산하는 사건은 상황이 만들어 놓은 경계를 허물러 오는 이방인의 도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