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거골 체부에 발생한 양성 종양

        서성욱,이상훈,김한수,Suh, Sung-Wook,Lee, Sang-Hoon,Kim, Han-So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2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8 No.3

        목적: 거골 체부에 발생하는 양성 종양은 매우 드물어 치료 방법에 따른 결과를 비교하기 어렵다. 이 연구에서는 거골 체부에 발생한 양성 종양 8예를 후방 도달법과 후 돌기를 통한 소파술로 치료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86년 2월부터 2001년 8월 사이에 저자들이 경험한 거골 체부에 발생한 양성 골종양 환자 8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종양의 발견 당시 평균 연령은 22.1세(10세~41세)이었고, 남자 4명, 여자 4명이었다. 종양의 종류는 거대세포종 2례, 유골 골종 2례, 연골모세포종 1례, 골내 모세혈관종 1례, 단순 골 낭종 1례, 골연골종 1례이었다. 모두 후방도달 법으로 접근하였고, 2례의 유골 골종과 1례의 골연골종 환자는 절제술을, 나머지 5례는 후 돌기를 통한 소파술을 시행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7.5년(1년~16년)이었다. 결과: 추시 기간 중에 재발한 환자는 없었고, 1례에서 감염증이 발생했다. 이 경우를 제외한 모든 경우에서 체중 부하시 통증은 없었고, 관절 운동 범위의 제한이 발생한 경우도 없었다. 결론: 거골 체부에 발생한 양성 종양은 후방 도달법으로 주위 조직의 손상 없이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으며, 거골의 후 돌기를 통한 피질골 창으로 만족할 만한 소파술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Benign bone tumor of the talar body have rarely been evaluated according to the therapeutic methods because of the scarcity of their incidence. Here, we report our experience of 8 cases who were treated by using of posterior approach and curettage through the posterior process of the talu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February 1986 and October 2001, we experienced 8 cases of benign bone tumor occurring in the talar body. They included two osteoid osteomas, two giant cell tumors, one capillary hemangioma, one chondroblastoma, one simple bone cyst, and one osteochondroma. Their mean age was 22.1 years (ranging from 10 to 41 years). Mean follow-up period was 7.7 years (ranging from 1 to 16 years). All patients were treated by using of posterior approach. Two osteoid osteomas and one osteochondroma were treated by excision of tumors. Other cases were treated with curettage through the cortical window on the posterior process of the talus. Results: There was no recurrence during the follow-up period. one infection occurred. Except this case, all patients had no pain in weight-bearing, and complete range of movement at the ankle joint was reserved in each case. Conclusion: In this study, we suppose that posterior approach to the talar body may be a safe method with minimal damage of normal tissues and sufficient of curettage is capable through the cortical window on the posterior process of the talus.

      • KCI등재후보

        폐 전이된 골육종 환자의 생존율 및 예후 인자 분석

        이상훈(Sang Hoon Lee),김한수(Han-Soo Kim),오주한(Joo Han Oh),서성욱(Sung Wook Suh),조환성(Hwan Seong Cho),유재호(Jae Ho Yoo),김희오(Hee-Oh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1

        목적: 골육종의 폐 전이에 대한 치료에서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 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9년부터 2001년까지 골육종으로 진단받고 치료한 312명 중 추시 관찰이 가능하였던 265명을 대상으로 폐 전이가 발생한 35명의 전체 생존율을 구하였고, 폐 전이에 대해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19명에서 연령, 성별, 화학요법의 반응도, 폐 전이의 개수 및 무종양 기간에 따른 생존율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골육종 폐 전이 환자들의 3년 생존율은 62.3%, 5년 생존율은 39.3%이었다. 폐 병소에 대한 수술을 시행한 군이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군보다 생존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수술적 치료군에서 화학요법의 반응도가 90% 이상인 군과 전이된 폐 병소의 개수가 5개 이하인 군, 그리고, 무종양 기간이 길수록 생존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골육종의 폐 전이에 대한 치료는, 전이 병소도 보다 적극적으로 치료하여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We analyzed survival rates and the prognostic factors of pulmonary metastases from osteosarcoma.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1989 and 2001, of 312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nd treated for osteosarcoma in our institute, 35 patients with pulmonary metastases were included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the overall survival rates and analyzed prognostic factors, such as age, gender, chemotherapeutic response, number of the pulmonary lesions, and disease-free interval. Results: Overall 3-year and 5-year survival rates were 62.3% and 39.3%. Patients treated with thoracotomy and chemotherapy seemed to survive longer than patients without thoracic surgery. In the thoracostomy group, the degree of tumor necrosis after neoadjuvant chemotherapy, the number of metastatic nodules, and the tumor free interval were meaningful factors of survival. Conclusion: In osteosarcoma with pulmonary metastasis, complete metastatectomy and intensive postoperative chemotherapy can improve survival in selected patients.

      • 악성 골 종양의 초기 증상

        오주한,이상훈,서성욱,이호규,김한수,Oh, Joo-Han,Lee, Sang-Hoon,Suh, Sung-Wook,Lee, Ho-Kyoo,Kim, Han-So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3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9 No.1

        목적: 골 육종, 연골 육종은 흔한 질환이 아니므로, 일차 진료 현장에서 명확한 진단이 신속히 이루어지지 않고, 진단의 지연이나 오진으로 인해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질환에 대한 초기 증상과 임상적 특징을 조사하여 이를 확인하고, 조기 진단에 도움을 주고자한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진단된 골 육종이나 연골 육종 환자로, 기록 검토와 설문지 조사가 가능한 13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골 육종 환자가 108명, 연골 육종이 31명이었고, 남자가 86명, 여자가 53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골 육종이 20.2세, 연골 육종이 42.4세이었다. 결과: 병원을 방문하게 된 초기 증상은 두 질병 군 모두에서 동통이 가장 많았는데, 골 육종은 101명(93.5%), 연골 육종은 19명(61.3%)이었다. 이들 중 골 육종의 49명(48.5%), 연골 육종의 1명(5.3%)에서 통증이 외상과 관련되어 시작되었으며, 야간 동통이 골 육종의 77명(76.2%), 연골 육종의 11명(57.8%)에서 있었다. 처음 방문한 진료 기관에서 악성 골 종양으로 진단된 경우는 골 육종에서는 66명(61.1%), 연골 육종에서 20명(64.5%)이었고, 오진된 경우는 골 육종에서는 골절로 본 경우가 18명(16.7%)으로 가장 많았으며, 연골 육종에서는 골 감염으로 본 경우가 6명(19.4%)으로 가장 많았다. 초진 시에 방사선 촬영을 시행한 경우 골 육종과 연골 육종 모두에서 진단율이 유의하게 높았고(p=0.009, p=0.014), 성인 군에서의 진단율이 높았다(p=0.037). 연골 육종에서 골 육종보다 환자와 의사에 의한 지연이 모두 길었다. 진단의 의사 지연을 길게 하는 요소로는 초진 시에 단순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지 않는 것과 골반 등 축성골에 종양이 위치하는 것이었고, 외상과 미성년 환자는 진단의 환자 지연을 단축시킬 수 있는 요소로 파악되었다. 결론: 악성 골 종양의 조기 진단을 위해서는 외상이나 야간 동통 등의 병력 청취를 소홀히 하지 않아야 할 것이며, 초진시의 단순 방사선 촬영과 주기적인 경과 관찰 및 방사선 사진의 비교 등으로 조기 진단의 정확성에 힘써야 할 것이다. Purpose: Delay in the diagnosis of the primary malignant bone tumors may critically influence the chance of the patients' survival and the limb sparing, but the primary malignant bone tumors are so rare that most doctors have little experience in these challenging disease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the initial symptoms of osteosarcoma and chondrosarcoma, and to shorten the delay of diagnosis. Materials and Methods: The data was based on the questionnaires and the medical records from 139 patients whose histological diagnoses were confirmed in the authors' institution. There were 108 patients of osteosarcoma and 31 patients of chondrosarcoma. Eighty-six were male and fifty-three were female.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20.2 years in osteosarcoma, and 42.4 years in chondrosarcoma. Results: The most common symptom that the patient consult the doctor was pain (93.5% of osteosarcoma patients and 61.3% of chondrosarcoma patients). Among them, 76.2% of osteosarcoma and 57.8% of chondrosarcoma patients complained the night pain. The history of trauma was evident in 48.5% of osteosarcoma patients and one patient of chondrosarcoma. At the first medical visit, the malignant bone tumor was suspected in 61.1% of osteosarcoma and 64.5% of chondrosarcoma patients. Fracture was the most common misdiagnosis in osteosarcoma (16.7%), and the osteomyelitis in chondrosarcoma (19.4%). Initial radiographic examination and the adult age were shown to increase the rate of correct diagnosis of both diseases (p<0.05). Patient's delay and doctor's delay were significantly longer in chondrosarcoma patients than in osteosarcoma. Initial radiography led to shorten the doctor's delay, and the axial location of the tumor lengthened the doctor's delay. Trauma and the young age were believed to shorten the patient's delay. Conclusion: Careful history taking, including the night pain and trauma, would be mandatory for the early diagnosis of the primary malignant bone tumors, and the initial radiographic examination and periodic follow-up can increase the rate of correct diagnosis.

      • 연부 조직에 발생한 악성 횡문근양 종양 - 증례 보고 -

        이상훈,김한수,오주한,서성욱,이한구,Lee, Sang-Hoon,Kim, Han-Soo,Oh, Joo-Han,Suh, Sung-Wook,Lee, Han-Ko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0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6 No.4

        횡문근양 종양은 주로 소아기의 신장에서 발생하는 신생물로, 침습적인 양상을 보이는 비교적 드문 종양이다. 최근에 신장 외의 다양한 부위에서 발생한 예들이 보고되고 있으며, 연부 조직에 발생한 경우에는 미분화된 횡문근 육종으로 오진되기 쉽다. 횡문근양 종양은 횡문근 육종보다 침습적이고 나쁜 예후를 보이는 종양으로, 횡문근 육종과의 조직학적인 정확한 감별이 필요하며, 면역조직화학 검사가 그 감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저자들은 치골 부위와 하복벽 부위에서 발생한 횡문근양 종양을 경험하여 문헌의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Malignant rhabdoid tumor is a highly aggressive tumor of children, that often arises in the kidney. Some rhabdoid tumors have been reported in various extra-renal location including the central nervous system, liver, skin, and soft tissues. In case of arising in soft tissues, it may be misdiagnosed as rhabdomyosarcoma. It is important to distinguish malignant rabdoid tumor from rhadomyosarcoma, because malignant rhabdoid tumor has more aggressive behavior and poorer survival rate. And this differential diagnosis can be performed by several immunohistochemistry. Here we report a case of malignant rhabdoid tumor that arose in lower abdominal wall with related articles.

      • 하지 골 종양에서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의 평가

        이상훈,오주한,유광현,서성욱,구기형,김한수,임수택,Lee, Sang-Hoon,Oh, Joo-Han,Yoo, Kwang-Hyun,Suh, Sung-Wook,Koo, Ki-Hyoung,Kim, Han-Soo,Lim, Soo-Taek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2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8 No.1

        목적 : 하지의 골 종양에서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의 기능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을 시행받고 기능적 평가의 설문이 가능하였으며, 방사선학적인 평가를 계속적으로 할 수 있었던 88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평균 추시기간은 76(22~174)개월이었다. 연령(20세 이하 군과 20세 이상 군), 시멘트 사용 여부, 골절제율, 항암치료 여부, 국소 재발 및 원격 전이 여부에 따라 대치물의 생존율, MSTS 기능적 평가와 ISOLS 방사선학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결과 : 종양 대치물의 5년 누적 생존율은 근위 대퇴골에서 100%, 원위 대퇴골에서 83.3%, 근위 경골에서 81.9%이었다. 기능적 점수는 각각 73.3%, 72%, 68.7%이었다. 원위 대퇴골에서 비 항암치료 군의 종양 대치물 생존율이 높았고, 기능적으로는 원위 대퇴골에서 국소 재발이 없는 군과 비 원격 전이 군이, 근위 경골에서 비원격전이 군이 우수하였으며, 방사선학적으로는 원위 대퇴골에서 20세 이상인 군과 시멘트 사용 군에서 골 재형성이 우수하였다. 수술 후 감염과 해리는 종양 대치물 실패의 주요 원인이었다. 결론 : 하지에서 발생한 골 종양의 치료에서 종양 대치물을 사용한 골 종양의 치료는 만족할 만한 방법으로 생각된다. 골 절제율, 항암치료 여부, 국소 재발 및 원격 전이 등이 종양 대치물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되고, 보다 많은 예를 분석하여 예후 인자를 파악하고 장기적인 추적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We evaluated the radiological and functional results of prosthetic reconstruction for locally aggressive benign and malignant tumor in the lower extremity. Materials and Methods : Eighty eight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an average 76 months(22~174). We examined the survival rate of prosthesis, and evaluated the final result by MSTS functional score and ISOLS radiological implants evaluation system. They were statistically analyzed according to the age(<20 year vs. ${\geq}$20 year), fixation methods, amount of bony resection, chemotherapy, local recurrence, and presence of metastasis. Results : The 5 year prosthetic survival rates were 100% in the proximal femur, 83.3% in the distal femur, 81.9% in the proximal tibia. Mean total functional scores were 73.3%, 72%, 68.7%, respectively. In distal femur, the non-chemotherapeutic group was superior in the prosthetic survival rate. Recurrence or metastasis affected the functions in the distal femur and proximal tibia. In the radiological evaluation of the distal femur, older patients over 20 years of age and with cement fixation were superior in bone remodeling(p<0.05). Postoperative infection and radiological loosening were the main causes of the prosthetic failure. Conclusion : The prosthetic reconstruction in the lower extremity led to good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Amount of bony resection, chemotherapy, recurrence and metastasis seemed to influence the prosthetic survival, and long-term follow-up will be necessary to investigate mo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 견관절 주위 원발성 골 종양에서 사지 구제술의 종양학적 결과 및 기능적 평가

        이상훈,유재호,오주한,서성욱,김한수,Lee, Sang-Hoon,Yoo, Jae-Ho,Oh, Joo-Han,Suh, Sung-Wook,Kim, Han-So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2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8 No.3

        목적: 견관절 주위 원발성 골 종양 환자에서 시행한 사지 구제술의 종양학적, 기능적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2년에서 2001년 사이에 견관절 주위 원발성 골 종양으로 본원에서 사지 구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추시 관찰이 가능한 2 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35세, 평균 추시 기간은 7년 1개월(1년 2개월~19년 9개월)이었고, 골육종 7예, 연골육종 14예, 방골성 골육종 1예, 혈관외피종 1예, 거대세포종 6예였다. 사지 구제술의 방법으로는 시멘트 충전술을 7예에서, 시멘트 주형 관절성형술 및 골수강내 정 삽입술을 10예에서, 종양 대치물 삽입술을 7예에서 이용하였으며, 5예에서는 절제만 시행하거나, 골이식, 관절 유합술 등을 실시하였다. 술 후 기능 평가는 근골격계 종양 학회(Musculoskeletal Tumor Society)의 상지 근골격계 종양 환자 기능 평가 방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추시 도중 6예에서 국소 재발 하였고, 2예에서 폐 전이로 재발 하였고, 2예에서는 국소 재발과 폐전이가 모두 있었으며 3명이 사망하였다. 구제된 상지의 생존율은 최종 추시상 88.6%였으며, 재발이나 전이가 있을 경우 열등한 사지의 생존율을 보였다(p=0.012). 근골격계 종양 학회 기능 평가상 구제된 상지의 기능 점수는 평균 80%(24점, 18~30점)였다. 치료방법에 따른 기능 점수는 시멘트 충전술 86%, 시멘트 주형 관절성형술 및 골수강내 정 삽입술 71%, 종양 대치물 삽입술 83%점으로 시멘트 주형 관절성형술 및 골수강내 정 삽입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좋지 않은 결과를 보여주었다(p=0.034). 합병증으로 요골 신경 마비와 액와 신경 마비가 각각 1예 있었으며, 생 비골 이식편의 이탈로 재수술을 받은 경우가 1예, 창상 감염이 1예 있었다. 결론: 견관절 주위 악성 골 종양과 거대 세포종의 치료에 있어서, 사지 구제술은 종양학적, 기능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oncologic results and functional outcomes of limb salvage surgery performed in patients of primary bone tumors of the shoulder girdle. Materials and Methods: Twenty-nine patients who underwent limb sparing resection for shoulder girdle neoplasm between 1982 and 2001 were analyzed. Follow up periods averaged 7 years and 1 month.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35 (11~71) years. There were 14 males and 15 females. Primary malignant bone tumors of shoulder girdle (proximal humerus 21, scapula 3, both 1) were 23 cases; osteosarcomas 7, chondrosarcoma 14, parosteal osteosarcoma 1, hemangioendothelioma 1, and giant cell tumor of proximal humerus were 6 cases. Limb salvage surgery was performed by curettage and cementing in 7 patients, by cement molding arthroplasty in 10 patients, and by tumor prosthesis in 7 patients, by other method such as resection only, bone graft, arthrodesis in 5 patients. The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functional rating system was used to assess functional outcomes. Results: One osteosarcoma and 2 chondrosarcoma patients died, and the survival of the salvaged limb was 88.6% at the final follow-up. There were 6 local recurrences, 2 lung metastases, 2 local recurrences and lung metastases. The functional outcome was 80%.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functional results among the patients treated by cement filling (86%), cement molding arthroplasty and IM nailing (71%), and tumor prosthesis (83%). (p=0.034) There were three complications including 1 radial nerve palsy and 1 axillary nerve palsy, and 1 wound infection. Dislodgement of vascularized fibular graft in one patient was treated by internal fixation. Conclusion: Limb salvage surgery seems to be useful method to treat bone tumors of the shoulder girdle.

      • 방사선 조사 없이 속발한 거대 세포종의 악성 전환

        이상훈,오주한,유광현,서성욱,안준환,김한수,임수택,Lee, Sang-Hoon,Oh, Joo-Han,Yoo, Kwang-Hyun,Suh, Sung-Wook,Ahn, Jun-Hwan,Kim, Han-Soo,Lim, Soo-Taek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2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8 No.1

        목적 : 거대 세포종이 방사선 조사 없이 악성 전환하는 것은 매우 드문 경우로 저자들이 경험한 4례를 분석하여, 흔하지 않은 악성 전환된 거대 세포종의 진단과 치료의 방침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85년 9월부터 2001년 1월까지 본원 정형외과에 내원하여, 수술적 치료를 시행했던 거대 세포종 112례 중 방사선 조사 없이 악성화한 4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악성전환 후 평균 추시 기간은 2.4년(최저 1.3년, 최고 4년)이었다. 결과 : 거대 세포종의 진단 후 악성 전환 때까지의 기간은 평균 6.9년(최저 2.2년, 최고 13.5년)이었고, 근위 상완부 연부 조직, 근위 대퇴골, 원위 대퇴골, 근위 경골에 각각 1례씩 발생하였다. 3례에서는 골 육종으로, 1례에서는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으로 악성 전환이 일어났으며, 국소 재발은 1례, 폐 전이는 골 육종으로 악성 전환한 3례에서 모두 관찰되었다. 결론 : 방사선 조사 없이 속발한 거대 세포종의 악성 전환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병리 조직의 철저한 채취가 매우 중요한 요소라 사료되며, 방사선 소견상 악성 전환이 의심될 때는 부적절한 절제술을 시행하기보다는 절개 생검을 먼저 시행한 후 치료 방침을 정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Giant cell tumors(GCT) sometimes undergo malignant transformation after the radiotherapy, but very rarely do without radiotherapy. We reviewed the clinical experiences of the malignant transformation of GCT to suggest the guidelines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em. Materials and Methods : We examined four patients of pathologically proven malignant transformation of GCT, which occurred after the operative treatment alone without radiation, from September 1985 to January 2001. The mean follow-up period after the malignant transformation was 2.4 years(range, 1.3~4 years). Results : The mean time-interval from the initial diagnosis to the malignant transformation was 6.9 years(range, 2.2~13.5 years). The locations of tumors were soft tissues of proximal upper arm, proximal femur, distal femur and proximal tibia. The histology of malignant GCT was osteosarcoma in 3 cases and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in 1 case. Local recurrence developed in 1 patient and the pulmonary metastasis developed in 3 patients which transformed to osteosarcoma. Conclusion : Thorough sampling of the surgical specimen appears to be a very important factor for diagnosing the malignant transformation of GCT. In case of suspicion of malignancy in radiographs, the incisional biopsy should be followed by definite treatment rather than the improper resection.

      • KCI등재

        무수 알코올을 새로운 보조 치료제로 이용한 거대세포종의 치료

        오주한(Joo Han Oh),이상훈(Sang Hoon Lee),김한수(Han-Soo Kim),서성욱(Seong Wook Suh),조환성(Whan Seong Cho),윤필환(Pil Whan Yo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3

        목적: 장관골에서 발생한 거대세포종의 치료 방법으로 철저한 소파술 후 페놀, 냉동 요법 등 여러 가지 보조적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소개되어 왔지만, 각각의 경우 여러 합병증들이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되는 바, 저자들은 새로운 보조적 치료제로서 무수 알코올을 사용한 결과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장관골에 발생한 거대세포종 환자 10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6년(1-29.3년)이었고, 평균 연령은 33세(16-67세)였다. 69명은 소파술 후 고속 burr를 이용하여 공동 내부를 갈아낸 후 골 이식이나 시멘트 충진을 시행하였고, 이 중 38명에서는 소파술 후 무수 알코올을 보조적 치료제로 사용하였다. 결과: 보조적 치료를 사용하지 않은 31명의 환자들 중에서는 15명(48.4%)에서 재발한 반면, 무수 알코올을 사용한 환자 중에서는 4명(10.5%)에서 재발하였다(p=0.001). 거대 세포종의 누적 재발률 감소는 무수 알코올의 사용과 유의하였다 (p=0.014). 무수 알코올과 관련된 수술 후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무수 알코올은 장관골에서 발생한 거대세포종의 수술적 치료에서 효과적인 보조적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Purpose: As a treatment of giant cell tumors (GCT) of the long bone, anhydrous alcohol was used in our institution due to the potential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other previous adjuvants. Therefore, this study evaluated the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anhydrous alcohol as a new adjuvant in the treatment of a GCT. Materials and Methods: One hundred and three GCT patients were treated and followed up for an average of 6 years (range, 1-29.3 years) with a mean age of 33 years (range, 16-67 years). Curettage, additional burring, and reconstruction with a bone graft or cementing were performed in 69 patients. Among them, anhydrous alcohol was used as an adjuvant in 38 patients. Results: Four (10.5%) patients given the anhydrous alcohol treatment had a local recurrence, whereas 15 recurrences (48.4%) developed in 31 patients treated without the anhydrous alcohol (p=0.001). There were no anhydrous alcohol-related complications. According to Kaplan-Meier's analysis and the log rank test, the anhydrous alcohol adjuvant showed a significant effect (p=0.014) in preventing the recurrence of GCT. Conclusion: The data suggests that anhydrous alcohol can be used as an effective adjuvant without potential risks for the treatment of a GCT of the long bone.

      • KCI등재
      • p21, p27 단백질의 발현과 골육종 예후와의 관련성

        오주한,이상훈,조환성,유광현,김진삼,공현식,서성욱,김지은,김한수,Oh, Joo-Han,Lee, Sang-Hoon,Cho, Whan-Seong,Yoo, Kwang-Hyun,Kim, Jin-Sam,Gong, Hyun-Sik,Suh, Sung-Wook,Kim, Ji-Eun,Kim, Han-So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3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9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xpressions of p21 and p27 in osteosarcoma, and prognostic impact such as local recurrence, distant metastasis and survival rate.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1988 and 2001, forty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followed more than 12 months, and whose pathologic blocks were available, were evaluated retrospectively. Their formalin-fixed and paraffin-embedded tumor specimens wer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expressions of p21, p27, local recurrence, distant metastasis and survival rate was statistically evaluated. Results: p21 protein was expressed in 38 (95%) patients. p27 protein was expressed in 14 (35%) patients. Patients with high expression of p21 had more frequent metastasis and poorer results (p=0.024). In contrast with these findings, patients with positive staining of the p27 had the significant lower distant metastasis (p=0.028). Conclusion: The prognosis of the osteosarcoma according to the expression level of p21 and p27 had inverse relationship which had unknown mechanism. Further work will be needed to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21 and p27. 목적: 골육종 환자에서 p21, p27 단백질의 발현과 국소 재발, 원격 전이 및 생존율과의 상관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골육종 환자 40명의 종양학적 결과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으며, 이들의 파라핀에 포매된 조직을 실험 재료로 사용하였다. 단백질 발현은 조직 배열법을 이용한 면역염색 화학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40례의 골육종에서 p21은 38례에서 발현되었고 p27은 14례에서 발현되었다. p21은 많이 발현될수록 화학요법에 대한 조직의 반응도가 나빴고(p=0.002), 원격 전이가 유의하게 많았다(p=0.024). p27 양성군에서는 음성군에 비해 원격 전이의 발생이 유의하게 적어(p=0.028), p27의 발현이 안될수록 예후가 좋지 않았다. 결론: p21, p27은 서로 상반된 결과를 보였으며, 환자의 예후와 밀접한 관계를 가짐을 알수 있었다. 하지만, 두 인자의 작용 기전은 명확하지 않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