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p21, p27 단백질의 발현과 골육종 예후와의 관련성

        오주한,이상훈,조환성,유광현,김진삼,공현식,서성욱,김지은,김한수,Oh, Joo-Han,Lee, Sang-Hoon,Cho, Whan-Seong,Yoo, Kwang-Hyun,Kim, Jin-Sam,Gong, Hyun-Sik,Suh, Sung-Wook,Kim, Ji-Eun,Kim, Han-So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3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9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xpressions of p21 and p27 in osteosarcoma, and prognostic impact such as local recurrence, distant metastasis and survival rate.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1988 and 2001, forty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followed more than 12 months, and whose pathologic blocks were available, were evaluated retrospectively. Their formalin-fixed and paraffin-embedded tumor specimens wer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expressions of p21, p27, local recurrence, distant metastasis and survival rate was statistically evaluated. Results: p21 protein was expressed in 38 (95%) patients. p27 protein was expressed in 14 (35%) patients. Patients with high expression of p21 had more frequent metastasis and poorer results (p=0.024). In contrast with these findings, patients with positive staining of the p27 had the significant lower distant metastasis (p=0.028). Conclusion: The prognosis of the osteosarcoma according to the expression level of p21 and p27 had inverse relationship which had unknown mechanism. Further work will be needed to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21 and p27. 목적: 골육종 환자에서 p21, p27 단백질의 발현과 국소 재발, 원격 전이 및 생존율과의 상관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골육종 환자 40명의 종양학적 결과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으며, 이들의 파라핀에 포매된 조직을 실험 재료로 사용하였다. 단백질 발현은 조직 배열법을 이용한 면역염색 화학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40례의 골육종에서 p21은 38례에서 발현되었고 p27은 14례에서 발현되었다. p21은 많이 발현될수록 화학요법에 대한 조직의 반응도가 나빴고(p=0.002), 원격 전이가 유의하게 많았다(p=0.024). p27 양성군에서는 음성군에 비해 원격 전이의 발생이 유의하게 적어(p=0.028), p27의 발현이 안될수록 예후가 좋지 않았다. 결론: p21, p27은 서로 상반된 결과를 보였으며, 환자의 예후와 밀접한 관계를 가짐을 알수 있었다. 하지만, 두 인자의 작용 기전은 명확하지 않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무수 알코올을 새로운 보조 치료제로 이용한 거대세포종의 치료

        오주한(Joo Han Oh),이상훈(Sang Hoon Lee),김한수(Han-Soo Kim),서성욱(Seong Wook Suh),조환성(Whan Seong Cho),윤필환(Pil Whan Yo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3

        목적: 장관골에서 발생한 거대세포종의 치료 방법으로 철저한 소파술 후 페놀, 냉동 요법 등 여러 가지 보조적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소개되어 왔지만, 각각의 경우 여러 합병증들이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되는 바, 저자들은 새로운 보조적 치료제로서 무수 알코올을 사용한 결과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장관골에 발생한 거대세포종 환자 10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6년(1-29.3년)이었고, 평균 연령은 33세(16-67세)였다. 69명은 소파술 후 고속 burr를 이용하여 공동 내부를 갈아낸 후 골 이식이나 시멘트 충진을 시행하였고, 이 중 38명에서는 소파술 후 무수 알코올을 보조적 치료제로 사용하였다. 결과: 보조적 치료를 사용하지 않은 31명의 환자들 중에서는 15명(48.4%)에서 재발한 반면, 무수 알코올을 사용한 환자 중에서는 4명(10.5%)에서 재발하였다(p=0.001). 거대 세포종의 누적 재발률 감소는 무수 알코올의 사용과 유의하였다 (p=0.014). 무수 알코올과 관련된 수술 후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무수 알코올은 장관골에서 발생한 거대세포종의 수술적 치료에서 효과적인 보조적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Purpose: As a treatment of giant cell tumors (GCT) of the long bone, anhydrous alcohol was used in our institution due to the potential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other previous adjuvants. Therefore, this study evaluated the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anhydrous alcohol as a new adjuvant in the treatment of a GCT. Materials and Methods: One hundred and three GCT patients were treated and followed up for an average of 6 years (range, 1-29.3 years) with a mean age of 33 years (range, 16-67 years). Curettage, additional burring, and reconstruction with a bone graft or cementing were performed in 69 patients. Among them, anhydrous alcohol was used as an adjuvant in 38 patients. Results: Four (10.5%) patients given the anhydrous alcohol treatment had a local recurrence, whereas 15 recurrences (48.4%) developed in 31 patients treated without the anhydrous alcohol (p=0.001). There were no anhydrous alcohol-related complications. According to Kaplan-Meier's analysis and the log rank test, the anhydrous alcohol adjuvant showed a significant effect (p=0.014) in preventing the recurrence of GCT. Conclusion: The data suggests that anhydrous alcohol can be used as an effective adjuvant without potential risks for the treatment of a GCT of the long b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