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서민경의 졸업 작품 「메모장」해설

        서민경 동덕여자대학교 미래전략융합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63

        본 논문은 석사과정 이수를 위해 졸업 공연에서 연주한 네 곡의 자작곡을 해설한 것으로 각 작품들의 창작 배경, 형식, 구성, 화성 구조를 담고 있다. 네 곡의 작곡 의도와 음악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20살 무렵부터 살아가며 느끼는 감정들을 메모장에 기록하는 습관이 있다. 시간이 흐르며 사랑보다는 미래에 대한 걱정이나 방향성, 계획 등으로 인해 생기는 여러 감정들에 대한 얘기들로 채워져 있는 나의 메모장을 음악으로 표현하였다.

      • '春琴抄'における'無償の戀'の態度樣相硏究

        서민경 동아대학교 1997 국내석사

        RANK : 247647

        「春琴抄」는 1933년에 발표되어 대단한 절찬을 받았던 작품으로 昭和기로 시작되는 작가谷崎潤一郎의 고전적작품계열의 완성 일뿐만아니라, 谷崎의 대표작이라고 까지 일컬어지고 있는 작품이다. 「春琴抄」는 모성사모의 정이나, 여성숭배, 마조히즘과 사디즘과 같은 谷崎문학의 근원적인 요소를 대부분 포함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선행연구역시, 여성숭배나 마조히즘 · 사디즘과 같은 주제에 초점이 맞춰져왔다. 그러나, 본고에서 는 이러한 여성숭배, 마조히즘등의 종래의 논을 근거로 하면서도, 그 시점을 조금 달리하여 佐助와 春琴, 두사람의 사랑의 양상이 라는 주제에 초점을 맞춰 고찰해보았다. 이것은 「春琴抄」 의 전체상을 조망하는데에 도움이 될뿐만이 아니라, 谷崎문학의 일생의 본질이라고도 할 수 있는 영원한 여성상을 추구하는데에도 일조가 되리라생각한다.

      • 역사수업에서의 내러티브의 활용과 학습

        서민경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최근 내러티브에 관한 관심이 다시 주목받자, 우리나라에서는 역사학계뿐 아니라 역사교수법 연구에서도 내러티브에 대한 관심이 확산 되고있다. 이런 상황에서, 먼저 본 연구는 내러티브가 학생들에게 역사적 사고력을 신장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에서 시작하였다. 다시 말해서, 기존의 교육체제에서 강조해 온 ‘역사적 사고력 신장’이라는 목표가 주로 논리적, 분석적 사고의 촉진에만 맞추어온 것에 대한 보완책으로 내러티브의 효용성을 고려하였다. 또한 나래티브는 주관적 담론으로 표현되는 것이 특성이어서 역사의 객관성 유지란 부분에 단점을 보여주지만, 이도 적절한 자료 비판 절차만 거친다면 오히려 학생들로 하여금 역사 지식의 형성 에 대한 인식을 더 풍부하게 만들어줄 것이란 기대에서 이 논문은 시작되었다. 다음으로, 기존의 논의가 주로 내러티브 이론에 집중되어 있는 경향이 있어 본 논문은 지금까지 제시 되어온 내러티브의 이론적 효과를 직접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내러티브식 활용 수업을 통하여 역사적 사고력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역사학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내러티브식 역사수업 학습모형을 탐색해 보았고, 하나의 중심 주제 아래 일정한 구성 형식을 갖춘 일련의 이야기를 적용한 역사 수업을 전개하였다. 또한 역사적 사고력을 신장시키고자 학생들에게 수행평가 등의 과제를 내주었다. 그 결과 학생들은 역사적 사고력과 판단력이 향상 되고 역사수업에 대한 흥미도가 신장되었다. 특히 의문점을 갖고 역사적 사실을 살피려는 시각도 신장되었다. 이처럼 내러티브식 수업이 학생들의 역사적 사고력 신장뿐 아니라 역사 수업 전반에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해 내고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외에, 필자는 내러티브 자체를 특별한 것이 없는 단순한 이야기형태일 뿐이라고 치부하거나, 어렸을 때 할머니한테 듣던 옛날 이야기와 다를 바 없다고 하는 주장에는 의문을 가지며 이 글을 쓰게 되었다. 내러티브란 단순한 이야기가 아니라 이야기의 근본을 의미한다. 특히 역사에서는 이야기를 빼어 놓고는 역사를 논할 수 없다. 그러나 학교 수업에서는 역사의 기본인 이야기는 사라지고 연표와 연대기만이 남아 있다. 따라서 필자는 가장 기본이지만 지금의 역사 수업에서는 사라져 버린 내러티브의 기능을 살리고 내러티브의 긍정적인 효과를 증명하고자 하였다. Recently, narrative is attracted to society again, thus it spreads over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history as well as learned circles of history in Korea. In the circumstances, firstly, this paper is started from a perspective that narrative can expand historical thought to students. Existing education system has emphasized the goal of “expanding of historical thought”, and it focuses on promotion of logical and analytic thought, but this paper considers a utility of narrative as complementary measures about historical thought. Narrative has a characteristic which describe subjective discourse. That is a weak point for application of narrative in history because it is emphasized the maintenance of objectivity to history. However, if it goes through formalities on a pertinent data criticism, students can get plentiful awareness about a formation of historical knowledge. This is another point for beginning to write the paper. Existing debate mainly tends to be concentrated on narrative theory, so this paper would like to examine the previous theoretical effect of narrative directly. Secondly, this paper analyzed history curriculum for expanding of historical thought by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by using narrative, searched learning model on narrative history education, and developed a history lessen by using a series of narrative that was formatted under a core main subject. And it gave students tasks such as performance assessment for expanding of historical thought. As a result, historical thought and judgment of students improved and their historical interest goes up. Especially, students expanded their viewpoints about historical truth with academic questions. Thus, this paper reached the result that narrative education exerted an affirmative influence on the whole range of history education as well as expanding historical thought of students. Besides, I wrote this paper because of negative opinions of narrative that is not special and a simple story such as a grandmother’s old story in our childhood. Narrative does not mean a simple story, means origin of the story. Especially, without a story, there is no meaning that history is. But, in current history lesson, story as the base of history disappears and chronology and chronicles remain. Thus, I tried to bring back function of narrative that disappeared in history lesson, and to prove an affirmative effect of narrative.

      • 재난안전취약계층의 재난회복력 제고에 관한 연구 : 미국·일본·한국 사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서민경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한국, 미국, 일본의 재난안전관리체계 내에서 재난회복력 제고를 위한 법-제도 체제의 유사점 및 차이점을 통해, 우리나라 재난안전취약계층 재난회복력 제고에 높은 시사점과 적실성을 주는 요인들을 중점적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재난안전취약계층은 일반적으로 여성, 저소득층, 고령자, 이주민, 어린이, 장애인을 포함하며, 이들에게 나타나는 취약성은 선행연구를 통해 사회·경제적인 요인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IPCC 취약성의 개념 중 적응능력이 본 논문에서 강조되는 재난회복력과 밀접하게 연관된다고 볼 수 있는바, 구체적으로 적응능력이란 시스템이 환경의 영향으로부터 얼마나 빨리 회복할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의미로 사회·경제·환경적인 요소가 중요하게 고려되며, 적응능력이 높은 시스템은 회복력도 높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적응능력은 경제적 자원뿐 아니라 지역 먹거리 공급과 배분 시스템, 응급상황 발생 시 조기 경보, 거버넌스와 정보에 대한 접근성, 위기관리 프로그램과 정책 및 제도적인 요인 등을 포함한다. 즉 재난대응에 있어서 실행되는 여러 자원들의 상호작용·보완·시너지를 통해 재난회복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재난취약성·회복력 및 재난안전취약계층에 대한 개념 탐색과 미국·일본·한국의 전반적인 재난 관련 법-제도 체계(거버넌스)를 분석한 후, 미국·일본·한국의 재난대응에 있어서 크게 중앙정부, 지방정부, 민간조직 차원으로 나누어 제도적인 정비들을 살펴보았다. 먼저, 미국·일본의 가장 큰 재난대응 특징은 재난상황에 대비하여 각 지역 사정에 맞는 재난안전취약계층 별 매뉴얼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반해 한국은 지역에 따른 재난의 특징이 명확하지 않다는 점을 감안하여, 지역별 취약계층 매뉴얼보다는 재난안전취약계층 관련 시설별 매뉴얼을 보유 및 개발하고 있었다. 미국·일본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또 다른 특징은 복합재난에 맞서 정부와 사회공동체의 협업이 필요하다는 측면에서 지역회복력과 각 지자체 특성에 적합한 재난안전취약계층별 매뉴얼을 보급하여 재난안전취약계층의 자립적 대응 즉 개인적 회복력을 강조하였다는 점이다. 특히 미·일과 우리나라의 두드러지는 차이점은 재난안전취약계층의 개인적 회복력 간과와 함께 지나친 정부 의존에서 비롯된 민간조직 비활성화 및 이들과 정부 간 소통 부족이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민-관의 명확한 역할분담 및 협업 체계를 통해 재난안전취약계층에 대한 통합적 대응을 위한 사회 내장형 안전 관리 시스템 도입을 제안한다. Throug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law-system for enhancing disaster recovery within the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 of Korea, the U.S. and Japan, this paper focuses on factors that give high meaning and aptitude in enhancing disaster recovery capabilities of the nation's disaster safety and vulnerable classes. The disaster-safety-weak classes generally include women, low-income people, the elderly, migrants, children and the disabled, and the vulnerabilities shown to them were found to have the greatest impact on social and economic factors through prior research. In addition,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factors are considered important and highly adaptable systems are highly resilient, as adaptive capabilities are closely related to disaster recovery as emphasized in this paper. This ability to adapt includes not only economic resources but also local food supply and distribution systems, early warning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access to governance and information, crisis management programs and policy and institutional factors. In other words, disaster recovery can be improved through the interaction, complementing and synergies of various resources that are implemented in disaster response. In this study, after exploring the concepts of the vulnerable, resilient, and vulnerable class of disaster, and analyzing the overall disaster-related legal-system order (governance) of the United States, Japan, and Korea, we examined institutional modify by dividing them into the dimensions of the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 and private organizations in response to disasters in the United States, Japan, and Korea. First of all, the biggest disaster response feature of the U.S. and Japan is that they have a manual for each class of disaster safety and vulnerability that fits the situation in each region in preparation for a disaster situation. In contrast, Korea possessed and developed facilities-specific manuals for the vulnerable rather than regional ones, considering that the characteristics of disasters are not clear according to regional circumstances. Another characteristic common in the U.S. and Japan is that the government emphasized independent response or personal resilience of the vulnerable by distributing regional recovery and manual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ocal government in terms of the need for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social community in the face of multiple disasters. In particular, the noticeable difference between the U.S., Japan and Korea was the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U.S., Japan and the Korean government, which resulted from excessive reliance on the government, along with the overlooked personal resilience of the vulnerable.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e introduction of a social built-in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integrated response to the disaster safety weak class through a clear role sharing and collaboration system between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s.

      • 직업훈련이 산업의 생산성과 임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서민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empirically examines the effects of job training on the wage and the industry productivity during 2004 to 2015. The results of the study is predicted as when the amount of job training increases, the wage and the industry productivity will be positively affected. Even if the half amount of human capital an individual builds is achieved by the job trainings, the previous studies mainly examined on constructing human capital through the schooling. Thus, this paper improves the errors that the previous researches has conducted by the OLS and System GMM. Moreover, the detailed estimations on the job training and economic implications are suggested by introducing the new concept of the significant job training. The predicted estimation demonstrates that taking a job training increases 3% on the wage and the industry productivity which coincide with the hypothesis. Finally, this research has meaningful implications as followings: i) unlike the previous literatures, the empirical study has conducted with the KLIPS (Korea Labor & Income Panel Study) Panel data which allows the consistent results on the wage and the industry productivity and ii) it expands the range of the study by applying the concept of significant job training.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조사 (Korea Labor & Income Panel Study)의 2004년부터 2015년까지의 패널데이터를 이용해 직업훈련이 산업의 1인당 노동생산성과 임금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먼저, 노동자들의 직업훈련이 증가하면 노동생산성과 임금은 모두 양의 효과를 가질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개인이 평생 동안 쌓는 인적자본의 반은 취업 후 직업훈련을 통해서 얻게 됨에도 불구하고 이전의 업적들은 학교교육을 통한 인적자본의 형성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뤘었다. 따라서 선행연구들이 범했던 오류들을 개선시키고 OLS와 System GMM모형을 이용해 직업훈련이 산업의 1인당 노동생산성과 임금에 주는 영향을 각각 비교분석해 보았다. 추가적으로, 유의한 직업훈련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하면서 좀 더 세부적인 추정과 경제학적 함의를 이끌어냈다. 추정결과 직업훈련의 효과는 노동생산성과 임금 모두에서 약 3%로 나타났으며 이는 앞선 가설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과 달리 한국의 패널데이터 자료를 이용해 노동생산성과 임금의 분석결과를 함께 비교분석하고 유의한 직업훈련을 사용해 해당 주제에 대한 연구의 범위를 확장시켰다는데 그 의의를 갖는다.

      • 복합상업공간에 나타나는 은유적 특성 연구

        서민경 국민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의 생활속도는 빨라지고 생활환경은 편리해지고 있다. 기술이 발전하고 의식수준이 높아지면서 여가 시간이 늘어나고 늘어난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려는 경향이 대두되고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도 함께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대공간도 건축물 자체를 짓는 것에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삶을 증진시키는 형식으로 사람들의 삶을 디자인해주고 새로운 방식을 제공한다. 이러한 변화를 통해 건축도 다양한 삶의 모습이 펼쳐지는 공간으로 변모하고 있다. 현대의 공간은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에 따라 역할도 함께 변화되고 있는데, 여가 시간이 증가하고 소득 수준이 향상되면서 단순히 물건을 판매하는 단일상업공간에서 경험과 가치를 함께 구매하려는 소비자의 의식 변화로 인해 복합상업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문화, 예술, 산업등과 같은 공공공간의 상업적 복합화는 소통과 재미의 장을 제공한다. 무수한 타자(他者)들에 의해 새롭게 생성되고, 끊임없이 변화하여 또 다른 가치를 생산해 내는 현대공간에서 은유는 공간에 대한 인식을 바꾸고 새로운 해석을 통해 다차원적인 영역으로 확대한다. 또한 공간은 고정되어진 것이 아니라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외부적 요소에 의해 비결정적, 비확정적, 비경계성 등의 속성을 갖게 된다. 이러한 속성은 확장된 공간으로서 복합공간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복합공간을 통해 시각적, 공간적, 경험적 공간으로서의 역할과 잠재적 가치 실현을 강조한다. 본 연구는 사람들로 하여금 공간안에서 감성을 지각하게 하여 물질적인 것이 아닌 비물질적인 것이 되게 하는 방향 전환을 개념으로 삼고, 보이는 것 이상의 것을 통해 장소들이 소통하는 방식을 은유적 개념을 토대로 알아보고자 한다. 이에 복합상업공간에 대해 다양하고 가치 있는 표현방식으로 풀어보기 위해 은유 특성을 적용해 보고자 한다. 첫 번째 연구내용은 은유의 개념을 기존에 연구된 몇몇의 철학자들의 견해를 통해 알아본다. 또한 연구의 대상공간이 되는 상업복합공간을 고찰하기에 앞서 은유의 표현이 자유로운 초현실주의 시각예술분야에 대한 고찰을 한다. 시각예술 분야 중에서도 이미지로 잘 드러날 수 있는 회화와 사진예술의 작품들을 고찰하여 작가의 작품세계와 은유적 특성의 접점을 찾아 연구한다. 두 번째 연구내용은 먼저 복합공간에 대한 이해와 가치를 고찰하기에 앞서, 현대공간에서 나타나는 양상과 특징을 토대로 복합상업공간에 대한 이해와 가치를 고찰한다. 은유적 공간특성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대상인지 알아보기 위해 복합상업공간에 대한 특성을 연구한다. 그 후 복합상업공간에서 나타나는 은유적 특성을 몇몇의 사례로 함께 연구하여 사례분석을 위한 특성을 도출한다. 연구의 대상으로는 현대의 관점에서 복합화 양상을 가지는 상업공간을 연구의 범위로 하여 2000년대 이후의 국·내외 복합상업공간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복합상업공간에 나타나는 은유적 특성을 밝히고, 이와 같은 특성을 토대로 복합상업공간의 다양한 사례를 통해 그 가능성을 확인해 보았다. 오늘날 복합상업공간은 기능이 다양하고 소비자의 편리함을 제공하는데 그치지 않고, 끊임없이 변화하고 새로운 사고의 확장을 통한 공간의 속성을 제공하려는 목적을 지향하고 있다. 더욱이 다양성과 요소들의 복합적 성격을 지닌 복합공간은 은유의 특성과 맞물려 일상속에서 생성되는 특이성을 받아들이고 공간의 의미를 창조적으로 재구성한다. 본 논문은 은유적 특성 연구가 상업복합공간에 한정되었지만, 공간 전체로 연구 영역을 펼쳐 건축에서의 은유의 의미를 보다 확대해서 다양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길 바란다. In recent society, life’s pace changes faster and living conditions are more convenient. Due to change of technology and level of consciousness, people can have a leisure time. This makes people use the time efficiently. Modern space is focus on build a building as well as improvement quality of life, designing life and providing new method. Thus, architecture means various type of life ultimately. Change of lifestyle by increasing in leisure time and raising income upgrades commercial place. People woud prefer to using complex space which can buy experiment and value rather than a singular space which sells only goods. Especially, commercialized of public space such as culture, art, and industry makes atmosphere of communication and amusement. It is also creating trends and becoming commercial. By numerous other people, complex space newly makes and produces value. In other words, mataphor gives users have chance to change recognition and interpret the space, broadening boundaries of thinking. Also, space which is not fixed constantly tend to get a character such as non-deterministic, non-decisive, and non-boundary. Complex as a extended space can be made. Complex spac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otential value as visual, spatial, and experimental spaces. This study aims to result in metaphorical characteristics on complex space based on the concept of metaphor. By recognizing emotion, changing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communication style, public spaces become places for people to enjoy. To interpret the space variously, therfore, this study apply mataphor to complex space. First of all, learn concept of metaphor from philosophers’ thinking, surrealism painting and photographs. Second, understand commercial complex space based on facet of recent society. To recognize whether subjects are proper, stud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complex building. After consideration, I begin try to explain it by giving several examples. After consideration, there is a possibility on complex space. This is represented that today’s commercial complex is not only supply convenient service but also try to give a new meaning of space, analyzing the examples.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effects on analysis about commercial complex space. From now on, the more study which can be analyzed for entire space is needed.

      • 1970년대 이후 한국 디자인 담론의 변천 과정에 관한 연구 : 디자인 단행본을 중심으로

        서민경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해방 이후 국내에서 출판된 디자인 관련 단행본을 통해 시대별 디자인 담론의 내용과 흐름을 분석함으로써 디자인을 둘러싼 담론이 어떻게 발생하고 전개되어 왔는지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이 다루는 내용은 디자인 영역이 어떠한 담론들로 구성되어 있는지, 그리고 디자인 담론은 어떤 주체를 만들어내는지에 대한 것이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논의된 한국 디자인의 역사는 ‘실천의 역사’라고 할 수 다. 그러나 본 논문은 한국 디자인사를 담론의 차원에서 분석함으로써 한국 디자인 ‘담론의 역사’를 서술하고 있다. 본 논문은 디자인 영역에서 논의되는 담론의 내용과 흐름, 형성과 발달과정을 다루기 위해 분석의 도구로 디자인 분야의 단행본을 택하였다. 단행본은 출판의 형식을 빌려 담론을 전달한다. 담론을 구체적인 언어로 정립하는 과정에서 단행본은 새로운 담론을 형성하거나 기존 담론을 지속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단행본에 내재된 텍스트를 분석하는 행위는 유통되는 담론을 읽어내는데 유효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디자인 단행본을 분석하는 움직임은 디자인을 관통하고 있는 수많은 담론들을 살펴볼 수 있도록 해준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연구자는 1970년대부터 2010년까지 10년 단위로 국내에서 출판된 산업디자인과 디자인 이론 분야의 단행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 진행된 디자인 담론 연구는 한국 디자인의 흐름과 디자인 단행본의 교차 지점을 분석하고, 상호 어떠한 관계를 형성했는지를 밝혀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on finding the origination of design discourse and its development by analyzing the relative contents published throughout Korea since 1970s. This paper shows the consistent discourses of design area, and what a design discourse makes. The contemporary design history in Korea has been recognized as a ‘practice history,’ however, this paper analyzes the design history of Korea in terms of discourse and is described a ‘discourse history.’ Diverse volumes of design publications are used as tools in analysis of discourse contents, formation, and the developing process in the realm of design. Publication conveys the discourse by means of publishment. The role of the publication is on sustaining a resisting discourse or forming a new one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specific language. Analyzing the text in publication is effective on understanding the highly remarked discourse. In this respect, using design publication as an analyzing tool makes it possible to find distinct discourses in design history. Thus publications related to industrial design and theoretical design, published from 1970s to 2010 are analyz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on analyzing the cross point of the design discourse and the current flow of design in Korea, and accounting for the correlation of those two.

      • 근거리 시각매체의 휘도조건이조절자극에 의한 양안시기능에 미치는 영향

        서민경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33 cm, 50 cm 자극에서 시각매체를 통한 영상시청 시 실험 전, 낮은휘도, 높은휘도에 맞춰 변화하는 시기능의 변화양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취지에 동의한 안질환 및 전신질환이 없고 약시가 없는 대상자 중 양안 교정시력이 0.8 이상인 20대 성인 24명(남 11명 여 13명 평균연령 22.92±1.84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령대는 스마트폰의 보급률과 사용률이 높은 한국인터넷진흥원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선정하였다. 15분간 33 cm의 거리에서 근거리 작업 후 15분간 진행되었던 시기능 회복을 위해 영향을 받은 시간만큼 휴식을 진행하였다. 휘도를 변화시킨 후 동일한 영상을 15분간 시청하도록 지시하였고, 영상의 휘도는 무작위로 선정하였다. 각각의 영상시청 전·후에는 11개의 실험항목을 측정하였다. 또한 안피로와 집중력을 위해 설정되는 거리에 따른 항목들을 2일에 걸쳐 진행하였고, 이때 실험 거리는 무작위로 결정되었다. 근업에 따라 단안 및 양안 최대조절력은 증가하였다. 휘도와 무관하게 실험전 대비 최대조절력의 증가를 보였고, 휘도에 따른 일정한 변화 패턴을 확인할 수 없었다. 최대조절력에는 상관관계가 존재하지는 않으나 단안 최대조절력은 조절자극에 우선적으로 반응하는 시기능임을 알 수 있었다. 단안조절용이성은 거리의 변화에 따라 50 cm 조절자극에서 조절용이성 감소를 보였고, 휘도가 높아질수록 조절용이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때 양안과 단안 조절용이성은 조절자극에 우선적으로 반응하는 시기능이었다. 근거리 작업 후 조절래그는 증가경향을 나타내었다. 근거리 사위도에 따라 분석했을 때 33 cm 조절자극에서는 휘도가 높아질수록 순차적 외사위방향으로 이동하였고, 50 cm에서는 휘도자극에 무관하게 실험전 대비 모두 외사위방향으로 이동하였다. 이에 근거리작업을 가까이할수록, 휘도가 높을수록 근거리 외사위도가 증가하여 근거리 작업 후 AC/A비 결과와 연결지었을 때 조절성폭주비 감소로 인한 융합성 폭주 요구량이 증가하여 폭주적응량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원거리시력과 대비시력은 높은휘도수준에서 감소되었고, 입체시의 경우 33 cm 거리에서 휘도가 높아짐에 따라 순차적으로 입체시가 저하되는 양상을 띠었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을 통한 영상시청은 휘도조건에 따라 최대조절력, 조절용이성과 같은 조절기능이 증가하지만, 폭주력을 감소시켜 AC/A비 감소, 근거리 외사위화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조절자극에 우선적으로 반응하는 시기능에는 단안 최대조절력, 양안과 단안 조절용이성, 양안과 단안 근거리시력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휘도조건에 우선적으로 반응하는 시기능에는 단안 원거리시력, 양안과 단안 대비시력으로 거리자극에 무관하게 낮은휘도대비 높은휘도에서 대비시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거리자극과 휘도조건에 대해 모두 변화를 보인 시기능은 양안원거리시력, AC/A비 였다. 한편 양안최대조절력, 원·근거리사위도, 입체시, 조절래그는 영상시청 후 조절자극과 휘도조건 중 어떠한 조건의 영향을 더욱 많이 받았는지 판단할 수 없는 시기능이었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시각매체를 통한 근거리 작업 후 나타난 시기능의 변화 분석을 통하여 거리자극과 휘도조건에 따라 변화하는 시기능의 종류와 양상이 상이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근업 시 효율 저하와 시각적 피로도의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양안 시기능 요소들을 고려하여 작업 환경을 조절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In this study, when an image is viewed through a visual medium under a stimulus of 33 cm and 50 cm, the pattern of visual function change according to the low and high luminance before the experiment was analyzed. 24 adults (mean age 22.92±1.84 years old, 11 males, 13 females) with corrected visual acuity of 0.8 or higher in both eyes among subjects without ocular or systemic disease and amblyopia who agreed w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included. Age groups were selected based on data from the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which has high smartphone penetration and usage rates. After 15 minutes of short-distance work at a distance of 33 cm, they rested for 15 minutes. After changing the luminance, it was instructed to watch the same image for 15 minutes, and the luminance of the image was randomly selected. 11 experimental item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each video viewing. In addition, items according to the distance set for eye fatigue and concentration were conducted over 2 days, and the experimental distance was randomly determine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accommodative amplitude increased compared to before the experiment regardless of the luminance, and a constant change pattern according to the luminance could not be confirmed. Although there was no correlation with accommodative amplitude, it was found that monocular accommodative amplitude was a visual function preferentially responding to accommodative stimuli. The monocular accommodative facility decreased with the 50 cm accommodative stimulus according to the change of distance, and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 the luminance increased. In this case, binocular and monocular accommodative facility were the visual functions that responded preferentially to accommodative stimulation. accommodative lag showed an increasing trend after short-distance work. When analyzed according to approximate latitude, the 33 cm accommodative stimulus sequentially moved in the exophoria direction as the luminance increased, and at 50 cm, regardless of the luminance stimulus, all moved in the exophoria direction compared to before the experiment. Distance visual acuity and contrast visual acuity were decreased at high luminance, and in the case of stereopsis, the stereopsis decreased in turn as the luminance increased at a distance of 33 cm. Distance visual acuity and contrast visual acuity were decreased at high luminance, and in the case of stereopsis, the stereopsis decreased in turn as the luminance increased at a distance of 33 c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조절기능 functions such as accommodative amplitude and accommodative facility increase according to the luminance condition when watching video using a smartphon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AC/A ratio decrease and near exophoria could occur due to the decrease in convergence. It was confirmed that the visual functions that preferentially respond to accommodative stimuli include monocular accommodative amplitude, binocular and monocular accommodative facility, and binocular and monocular near visual acuity. It was confirmed that the binocular and monocular contrast visual acuity, monocular far visual acuity, was significantly lowered at the high luminance compared to the low luminance regardless of the distance stimulus. The visual functions that showed changes in both distance stimulation and luminance conditions were binocular distance visual acuity and AC/A ratio. On the other hand, accommodative amplitude, far·near phoria, stereoscopic vision, and accommodative lag were visual functions that could not determine which of the accommodative stimulus and luminance condition was more affected after viewing the video. As a result of this study, as a result of analyzing changes in visual function after short-distance work, it was found that the types and aspects of visual functions that change according to distance stimuli and luminance conditions were different. Therefore, it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working environment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al factors of both eyes that affect the decrease in efficiency and increase in visual fatigue during short-distance work.

      • 전라남도 일자리창출 정책 성과와 개선 방향

        서민경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우리나라 고용률은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구직자의 체감실업률이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 국가경제는 성장세를 기록하였지만 일자리의 증가는 이루어지지 못한 채 고용환경이 점점 악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IMF 이후 회복되기 시작한 노동시장 역시 과거와 달리 비정규직 시장이 상대적으로 크게 확대됨으로써 상당 수 비정규직 근로자로 평생직장의 개념이 붕괴되었다. 우리나라는 일자리 창출 개수만을 증가하여 고용률 70%를 달성하기 급급했다. 고용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시간이 짧으면 짧을수록 실업률의 증가속도도 빨라져 갔다. 취업자의 일자리의 질과 고용을 유지하는 정책이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일자리창출 정책 및 현황을 파악하여 지역에 적합한 맞춤형 일자리창출 정책을 마련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전라남도를 대상으로 일자리창출 환경을 파악하여 보고자 2009년부터 2014년까지의 고용과 관련한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고용 및 지역산업 환경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라남도는 전국에서 고령화 속도가 가장 빠르며, 지역경제 침체로 자영업자 수가 감소하였으며, 구직자가 타 지역으로 유출되는 수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제조업의 구인 비중이 가장 높고,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소비 생산활동 산업, 농업과 임업 및 어업 산업의 구인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구인처와 구직자의 미스매치, 노동수급 불균형 현상이 심각해지고 있다. 이렇듯 전라남도는 청년층의 3D 업종에 대한 취업 기피현상, 중장년층이 취업할 수 있는 사업체가 부족, 선택할 수 있는 직종에 한계가 있는 심각한 고용문제를 안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지역산업과 지역 내 구직자에 대한 지역맞춤형 일자리 창출 정책을 통하여 지역경제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우리나라는 공공일자리의 대부분이 중앙정부정책에 따라 시행되는 일자리로 획일적인 일자리를 만들어 한시적인 실업 해소를 위한 임시단편적인 취업으로 치중되었다. 지역산업에 맞춰 일자리 창출 정책이 펼쳐진 것이 아니라 일시적인 일자리 정책이 지역적 차원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진행된 것이다. 따라서 지역산업에 맞춘 일자리창출 정책의 발굴과 구직자의 단기적인 일자리가 장기적이며 안정된 일자리로써 제공될 수 있는 정책을 펼쳐 나가야한다. 전라남도 일자리창출 정책의 개선방안으로는 첫째, 지역산업에 대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구직자에 대한 유형별 인력양성교육의 다양화와 교육훈련기관의 환경 개선과 홍보가 필요하다. 셋째, 지역경제 성장을 위해서는 지역 내 중소기업 및 사회적기업에 대한 아낌없는 지원 정책을 마련하는 것이다. 넷째, 취업취약계층에 대한 맞춤형 일자리 발굴 및 알선이 필요하다. 다섯째, 일자리 정책에 있어서 다양한 협의체를 구성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광범위적인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본 논문은 대상 지역을 전라남도로 한정하였다는 점에서 심층적인 분석은 이루어졌으나,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에는 근본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내용이 기초 자료로 활용되어 타 지역과의 비교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길 바란다. 아울러 전라남도가 일자리창출 정책 대상에 따라 집중적인 정책으로 개선되어 전라남도 내 지역경제성장에 이바지 하는데 본 연구가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