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쪽방촌 일대에 거주하는 알코올 의존 노숙 인의 생활세계: 총체적 문화기술지 접근을 중심으로

        상종열,최미경 한국질적탐구학회 2019 질적탐구 Vol.5 No.1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act of cultural norms and rules operating among alcohol dependents and homeless living in Jjokbang village. To achieve this purpose, I adopted a totalistic ethnography approach in designing qualitative research. Th e research was conducted in a participatory observation, focusing in the Jjokbang village and the ‘Hansarang Family Community’, which supported for about 6 months in Jjokbang Village located in Jungnim-dong. Aft er various observation, the researcher later expanded the scope of the observation to the area around Jungnim-dong in order to understand cultural norms and rules of the community. Th 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15 main participants and 16 minor informants, the researcher was able to collect data and analyzed them, using the data analysis method presented by Spradley and Kwon Ji-Sung. Th e result showed that the alcohol-dependent and homeless community has double-layer structure with the world regulated by the cultural norms and rules formed around ‘Hansarang Family Center’ and the other governed by cultural norms and rules of the outside. Th e alcohol dependents and homeless living with the cultural norms and rules of the community were grouped into the people who are ‘living in dependence in the Hansarang Family Community’, others looking outside the Hansarang Family Community and Jjokbang Village’, and the last group of people ‘living as an assistant in and outside the Hansarang Family Community’. 본 연구에서는 쪽방촌 일대에 거주하는 알코올 의존 노숙인의 생활세계에 작동하는 문화적 규 범과 규칙이 알코올 의존자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자, 총체적 문화기술지 접근을 통해 중림동 일대 소재해 있는 쪽방촌에서 약 6개월간 현장연구를 진행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쪽 방촌 일대를 ‘한사랑가족공동체’ 건물을 중심으로 참여관찰을 했으며, 이후에는 관찰 범위를 중 림동 일대로 확대하였다. 표면으로 잘 드러나지 않는 문화적 규범과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 주 요 정보제공자 15명과 보조 정보제공자 16명과 심층 인터뷰를 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radley 와 권지성이 제시한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쪽방촌 일대 알코올 의존 노숙인의 생활세계 에는 ‘한사랑가족공동체’를 중심으로 형성된 문화 규범과 법칙이 작동되는 세계와 그 바깥 세계 의 문화 규범과 법칙이 작동되는 세계로 중층적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코올 의 존 노숙인들은 공동체를 중심으로 형성되고 있는 문화적 규범과 규칙 속에서 각자의 방식으로 살아가고 있었는데, 이는 ‘인생의 종착역: 한사랑가족공동체에 의탁하며 살아가기’, ‘잠시 머무는 정거장: 한사랑가족공동체와 쪽방촌 밖을 바라보며 살아가기’, ‘경계를 넘어: 한사랑가족공동체 조력자로 살아가기’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단약’ 중인 전 폭력조직원에 관한 생애사 연구

        상종열 한국교정복지학회 2019 교정복지연구 Vol.0 No.59

        In this study, we have lived a drug-dependent life for a long time, but we have approached the recovery point of the life of a former gang member who is now on a short-lived basis, to explore the factors that have led him to rely on or stop a variety of drugs, including methamphetamine. To this end, Rosenthal's Narrative-Biological Interview Analysis method, which suggests that data collected be analyzed through five stages, was used, and the analysis was reviewed in terms of legal and cultural aspects that led all gang members from adolescence to adulthood to factors that led to drug dependence and factors that led to their release from drugs. Studies have shown a variety of factors that have affected former gang members who have lived drug-dependent lives.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reconstructing a participant's talked-about life history, participants were able to see that their past life as a drug was meant to be 'spend his life in vain' and that life in which participants lived after a short period of time was meant to be 'bicycle pedaling' and 'broken stringing.' The conclusions and discussions presented the need for the establishment of an ecological environment for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in legal and social aspects. 본 연구에서는 오랫동안 약물에 의존하는 삶을 살아왔지만, 지금은 단약 중인 전 폭력조직원의 생애를 회복관점으로 접근하면서, 이를 통해 필로폰을 비롯한 다양한 약물에 의존하게 하거나 중지하게 만든 요인들을 교정복지 차원에서 탐구하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과 분석은 Rosenthal의 내러티브-생애사 인터뷰 분석(Narrative-Biographical Interview Analysis)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을 통해 전 폭력조직원이 약물에 의존하게 만들었던 요인들과 약물에서 벗어나게 만든 요인들을 사회문화적 내지는 법·제도적인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약물에 의존하는 삶을 살았던 전 폭력조직원에게 영향을 미쳤던 요인들은 다양하게 나타났다. 또한, 참여자의 이야기된 생애사를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참여자는 약물을 하면서 살았던 자신의 지난 삶을 ‘허송세월’로, 단약 이후 참여자가 살아가고 있는 삶은 ‘자전거 페달 밟기’와 ‘끊어진 끈 잇기’로 의미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및 논의에서는 법적, 사회적 측면에서 치료와 재활을 위한 생태적 환경 구축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단주 중인 알코올 중독자의 체험을 통해 드러난 타자의 의미

        상종열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8 생명연구 Vol.49 No.-

        본 연구는 단주 중인 알코올중독자가 일상의 삶에서 마주치는 타자에 대해 어떤 의미를 부여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단주 중인 알코올중독자 3명을 심층 면담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현상학적 사례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본질적 주제는 내 밖에 있는 타자 구별짓기와 내 안에 있는 타자 조절하기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일상의 삶을 영위하는 과정에서 단주에 도움이 되지 않는 타자와는 거리를 두었으며, 도움이 되는 타자는 가까이하였다. 그리고 도움이 되는 타자들을 자신의 생활세계에 배치하면서 새로운 삶을 모색하고자 했다. 참여자들은 한편으로는 자신의 내면에 존재하는 타자를 의식하면서 살아가고 있었다. 참여자들은 언제라도 재발할 수 있음을 의식하고 있었으며, 술을 요구하는 내 안의 타자가 모습을 드러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일상의 삶에서 긴장감과 평정심을 유지하고자 했다. 타자 개념을 통해 단주 중인 알코올중독자의 의식의 지향을 추적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철학적 의미에서 타자 개념이 지닌 사회복지적인 유용성을 제시하는 한편, 이 같은 타자 개념을 통해 알코올중독자에 대한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요구되는 행위 민감적 지식과 실천적 함의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essential structure and meaning of Others (derived from Philosophy) that revealed from the Alcoholic’ lived experience For this, Three participants once depended to Alcohol in their life are interviewed, and analyzed it by using Phenomenological Case method. The typical theme of three participants’ lived experience turned out to be 『drawing a line between I and other』, 『maintaining a alcohol-longing myself』. Three participants tried to refrain from those people are not helpful to maintain ‘stop drinking’. Otherwise, tried to put Other into the their daily life. Besides Three participants are conscious of a alcohol-longing myself that might be a cause of recurrence. And they tried to keep calm in their everyday in order not to be a alcoholic once again. Based on th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concept of Other is useful to understand Alcoholic’ awareness intention that give to the Alcoholic-related social worker a serious implications ontologically and ethically.

      • KCI등재

        ‘실존적 자기조절(existential self-regulation)’ 측면에서 본 여성노인도박자의 삶에 대한 연구

        상종열(Sang Chong Ryel),차명희(Cha Myeong Hee) 한국노년학회 2018 한국노년학 Vol.38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근현대사를 관통하는 삶을 살아온 70대 중반의 여성도박자의 이야기이다. 구술을 바탕으로 해석한 자기이해의 삶의 이야기(life story)를 통해 그녀를 이해하고 도박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찾아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실존적 자기조절’이라는 개념을 제시하였으며 내러티브적 인터뷰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 된 자료는 맨델바움(Mandelbaum)이 제시한 삶의 영역, 전환, 적응이라는 분석틀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자의 자기서사(self narrative)는 ‘정신적 결핍을 돈과 자녀교육으로 충족하고자 함’, ‘정신적 결핍을 도박으로 해소하고자 함’, ‘정신적 결핍에서 자유로워짐’으로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도박이 가지는 의미는 실존적 공허를 달래주는 위안거리, 삶을 피폐하게 만드는 걱정거리, 일상의 무료함을 달래주는 소일거리로 변형되었다. ‘실존적 자기이해를 통해 도박충동을 조절하는 생애 사건은 두 번째와 세 번째 단계에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여성노인도박자를 위한 자서전 쓰기나 성찰 프로그램의 도입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on mid-seventies female gamblers who went through Korean modern history. The purpose is to analyze interviews on their life of understanding what their true self is, and to redefine gambling. The concept of ‘existential self-regulation’ was proposed and the materials were acquired through narrative interviews. The materials were then investigated according to Mandelbaum’s framework for analysis of which suggests dimension, turning, and adaptation. The self-narrative revealed that the process of being addicted to gambling is as in the following: compensating her emotional deficiency via money and child’s education, getting rid of the emotional deficiency via gambling, becoming free from emotional deficiency. The meaning of gambling has shifted to a comfort to existential vacuum, a source of anxiety ruining life, pastime for boring everyday life. Life events that control the impulse to gamble through ‘existential self-knowledge’ occurred in the second and the third stage.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suggests mid-seventies female gamblers to write her autobiography, and proposed the necessity of self-examining programs.

      • KCI등재

        거주지 분리와 교육에 대한 사례연구: 성남시 수정구 어머니들의 경험과 인식

        김미숙,상종열 한국교육사회학회 2014 교육사회학연구 Vol.24 No.2

        This paper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ial differentiation of residential areas by social class and educational difference. To realize this aim, we employ a qualitative case study focusing on lower class mothers who live in Sujeong-Gu, Seongnam city. These mothers do not have much concern about their children's “studying”, rather about their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They see residents in Bundang-gu, a middle class residential area, as others who are different from them or who are narrow minded elites to exclude others. Some Sujeong parents, especially who have higher achieved children, want their children to attend higher quality of schools in Bundang. At the same time, they worry about that their children might have poor grades and lose confidence after moving in Bundang. Unlike these parents, many Sujeong parents criticize that Bundang parents so strongly push their children to study that their children feel lots of stress and frustration. They perceive a good school as one that children are happy rather than as one that they receive lots of study stress. 이 연구는 계층에 의한 거주지 분리와 이웃효과가 자녀 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했다. 이를 위해서 성남시 수정구지역 중3 학생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수정구는 경제적으로 열악한 가구가 많지만, 동일한 방식이 아닌 자신들의 삶의 여정과 조건에 따라서 자녀 교육에 달리 대응했다. 성적 좋은 자녀를 둔 학부모들은 자녀들이 수정구 학생들과 다른 길을 가는 사람들로 인식하고, 더 나은 교육여건을 가진 분당으로 이주하고 싶어 하면서도 적응실패의 두려움을 보였다. 그 외 다수 학부모들은 “공부”보다는 사회성이나 정서발달에 더 관심을 보였다. 이들은 힘들 때 서로 돕는 이웃들을 좋은 사람들 그리고 수정구를 “사람냄새가 나는” 곳으로 인식하였다. 반면, 인접한 중산층 분당주민들을 자신과는 다른 사람들 또는 자신들을 배척하는 “지도층”으로 생각했고, 이들의 과도한 자녀 통제와 교육투자에 비판적이었다. 이러한 교육관과 양육과정은 계층 재생산의 가능성과 교육에 대한 보편적 통찰력을 갖는 이중적 의미를 갖는다.

      • KCI등재

        중산층 밀집지역에 거주하는 중산층 학부모들의 자녀교육문화: 분당구 사례

        김미숙,상종열 한국교육사회학회 2015 교육사회학연구 Vol.25 No.3

        This paper explores relationship between neighbor effect and child education of parents whose children attend junior high schools in Boondang-Gu, Seongnam city where middle class residents congregate. We do this by interviewing 21 peoples (16 parents, 2 teachers, a head-officer in child welfare center, the director of a private institute, a consultant of a private institute). Many middle class parents in Bonndang devote to child management that parents systematically plan and monitor their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extra curriculum activities, friends, and time in order for them to go to top colleges. However there are some parents who are not very eager to their children's entering into top colleges. There are wealthy parents who engage in self-employment or businesses or those who inherit considerable wealth from ancestors. Or some parents who are partly influenced by innovative education policy of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try to make current entrance examination oriented education into schooling that care for all children's various abilities, experiences, interests and dreams. This implies that even same middle class people construct different child education cultures according to the nature of critical capital that contributes to acquiring and maintaining their current social status, the meaning of happiness and schooling, and state policies. 이 연구는 중산층 밀집지역인 분당구의 중학생 학부모들의 자녀교육문화를 탐구하였다. 분당의 주류문화는 자녀의 명문대 진학을 위해 자녀의 성적, 시간, 교육, 교우관계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자녀관리”문화다. 이들은 자녀에게 중산층 지위를 세습시키기 위해서 욕망과 습속이 유사한 사람들 또는 자녀의 지위 향상에 유익한 사람들로 모임을 제한하고 그 외의 사람들을 배제한다. 하지만 일부 부유한 자영업자나 사업가 또는 상속자들은 자녀의 명문대 진학에 덜 집착하였으며, 학력 외에도 경제력, 사회성, 즐기는 삶에 가치를 두었다. 한편 일부 중산층 학부모들은 주류문화인 경쟁적 입시지원보다는 자기주도 학습, 체험, 개성, 공동체의식, 민주적 학교문화 창출에 가치를 두었다. 이는 기존 연구에서와 달리, 우리 사회의 중산층이 획일적인 입시중심의 자녀지원문화만 있는 것이 아니라, 보다 다양한 자녀교육문화를 형성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지위 획득과 유지 과정에서 학력이 얼마나 중요한가에 대한 인식, 교육적 가치와 행복의 기준, 그리고 대안적 교육정책의 실행에 따라서도 중산층의 자녀교육문화에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 KCI등재

        도박중독 회복자상담사 양성 및 활용에 대한 사례연구 - 강원랜드 중독관리센터 동료상담사 사례를 중심으로 -

        강선경,상종열,김용근 한국중독범죄학회 2019 한국중독범죄학회보 Vol.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quirements for the institutional settlement of counseling for recovering gambling addiction in the context of the Korean situation, through the training course of KangwonLand Addiction Care Center(KLACC)'s peer mentoring program conducted in 2018-19. For this purpose, based on the Case Study posposed by Yin (2003), KLACC's development and utilization process was analyzed at the program level, program participants level, and community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program was well developed as a peer counseling course. At the participants level, the program had a positive impact in terms of self-identity and change of daily life, but at the community level, it was clear that institutional measures needed to be strengthened in order to perform as a recovery (peer) counselor. The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of theoretical, policy, and practice level were presented, along with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본 연구에서는 강원랜드 중독관리센터(KangwonLand Addiction Care Center: KLACC)가 실시한 2018-19년 동료상담사 양성과정 사례를 통해 한국적 상황과 맥락 속에서 도박중독 회복자 상담이 제도적으로 정착되기 위한 요건들을 탐색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사례연구방법(Case Study)을 토대로, KLACC 동료상담사 양성과 활용과정을 프로그램 차원, 프로그램 참여자 차원, 지역사회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2018-19년 동료상담사 양성과정은 도박중독 회복을 위한 양질의 상담 프로그램으로써 발전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참여자들은 이 과정을 통해 도박중독 회복자로서 자기 정체성을 구축하고 일상생활에 변화를 모색하였지만, 회복자상담사로서는 개인적 내지는 지역 내 사회문화적 요인들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회복자 상담제도의 조기정착을 위해서는 ‘프로그램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지속적인 개발’, ‘상담사의 자질과 전문역량 강화’, ‘양성과 활용에 있어 체계적인 준비’가 필요함을 함의와 함께 제시하였다.

      • KCI등재

        가족처럼 살아가는 쪽방촌 알코올 의존자들의 일상 탐구 : ‘관계’와 ‘유대감’을 중심으로

        최미경,상종열 중소기업융합학회 2019 융합정보논문지 Vol.9 No.5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 의존 노숙인을 위한 사회복지적 지원의 핵심은 가족을 대체할 만한 영향력 있는 관계’일 수 있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중림동 쪽방촌 일대에서 알코올 의존 노숙인을 지원하는 ‘H-공동체’의 사례를 스프레들리 가 제시한 문화기술지 방식으로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알코올 의존자들은 H-공동체를 중심으로 ‘가족을 대체할만한 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그 속에서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는 ‘큰 정은 없어도 잔정으로 살아가기’라는 문화적 주제로 나타났다. 하지만, 그 관계와 유대감 정도는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각자의 생애과정과 건강, 나이, 경제 상황과 무관하지 않았다. 논의에서는 이 같은 차이를 ‘가족을 대체할만한 관계’, ‘정서적 유대감’, ‘참여’ 정도를 통해 유형화시키고 논점으로 제안하였다. 결론에서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알코올 의존 노숙인에게 필요한 함의를 제시하고 제언을 하였다. we explored the case of ‘H-Community’, a private organization that supports alcohol-dependent homeless people living in the Jokbang village, based on the awareness that "the key to social assistance for alcohol-dependent homeless may be an influential relationship to replace the role of their families." Th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followed the research that Spradley presented, and the result was 'living in the balance rather than the great affection'. However, the density of the relationship and emotional bond appeared different, which had something to do with their respective life processes and their health, age and economic conditions. These differences were categorized and suggested as arguments through 'a family-alternative relationship', 'emotional bond' and 'participa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conclusions presented the implications needed for alcohol-dependent homeless peo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