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직업내 여성비율의 임금효과에 관한 연구

        사명철(Myung-cheol, Sa) 대한경영학회 2016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Vol.2016 No.1

        본 연구는 직업내 여성비율이 개인의 임금에 대한 인과효과의 크기를 주는지 추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KLIPS 4차~17차 자료를 패널로 구축하여, 개인의 미관측 특성과 시간고정효과를 통제한 고정효과 모형으로 임금함수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국내 선행연구의 결과와는 다르게 직업내 여성비율이 남성 집단과 여성 집단 모두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성별 임금격차에 대한 분해를 수행한 결과, 성별임금격차에서 직업내 여성비율이 차지하는 비중이 적지 않음 역시 알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학력별 분석을 수행한 바, 이 현상이 저학력․저임금 집단은 전체집단과 유사한 흐름을 보였으나, 고학력․고임금 집단의 경우 남성집단에서의 계수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his paper performs an analysis for the effect of the sex composition in occupations. To this end, using KLIPS 4th~15th raw data, fixed-effect model controlled unobserved individual-characteristics. Because the causal effect of female ratio in occupations can not be identified due to unobserved individual-characteristics. As a result the female ratio in occupation shown that it cause the negative causal effect toward the wage function both of male and female. Also the negative effect is greater high educational-wage group more than low educational-wage group.

      • KCI등재

        문화예술분야에서 성별임금격차 분석연구

        허식(Heo, Shik),사명철(Sa, Myung-Cheol)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1 No.11

        본 연구는 문화예술분야에서 노동시장과 관련된 연구가 부족하다는 인식아래 문화예술분야 임금근로자의 임금함수추정과 임금분해를 시도하여 전통산업인 제조업과 비교분석 하였다. 주요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통계량을 비교해본 결과, 제조업에 비해 문화예술분야에서 성별임금격차가 적으나 여전히 일정부분 격차가 존재 하였다. 아울러 문화예술분야 근로자가 제조업 근로자에 비해 젊고, 학력이 높으며, 근로조건은 다소 나았다. 특히 문화예술분야 중 문화직업에 속한 여성근로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더 젊고, 학력이 더 높으며, 정규직의 비중도 역시 높았다. 반면에 젊다는 특성이 어느 정도 반영된 이유로 문화예술분야 여성의 근속 및 경력이 타 비교그룹 남성이나 제조업 여성에 비해 짧은 특성을 보였다. 둘째 임금함수 추정결과 우리의 주요 관심사인 성별임금격차가 제조업에 비해 문화예술분야에서 적음이 재차 확인됐다. 이와 더불어 문화직업의 경우 연령이 임금결정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나이가 들수록 명성, 인기, 숙련도가 높아지는 문화적 특징이 잘 반영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학력더미에서 고졸 출신자라도 문화예술적 능력이 확보되면 어느 정도 임금프리미엄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였 다. 셋째 비교그룹별로 임금분해를 실시한 결과, 설명되는 부분의 비중이 제조업에 비해 문화예술분야가 월등히 높았 고 특히 문화직업에서 그 현상이 더욱 두드러졌다. 문화예술분야에서 생산성의 차이에 의해 발생한 임금격차는 인적 속성과 인적자본 등 대부분의 설명변수에서 발생하고 있던 반면에, 차별에 의한 임금격차에서는 그 격차의 대부분이 연령에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ecently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is drawing attention as a new growth engine of the Korean economy. The paper is empirically analyzed on the gender wage differentials in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and specially focused on decomposing the wage differentials between the manufacturing sector and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Our results may be partly useful for explaining the existing phenomenon of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in Korean labor markets, for example, young, highly educated, part-time contracts, less gender discrimination, etc. The results might provide somehow the policy directions of reducing the gender wage differentials.

      • KCI등재

        문화예술분야 정규직-비정규직간 임금격차 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허식 ( Shik Heo ),사명철 ( Myung Cheol Sa ) 한국재정정책학회 2011 財政政策論集 Vol.13 No.4

        본 연구는 산업·직업별 고용구조조사(OES)의 과거 6년치 풀링자료를 사용하여 제조업분야와 문화예술분야 사이에 고용형태의 결정요인과 고용형태간 임금격차 발생요인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의 주요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정규직 선택에 대한 분석결과를 요약해 보면, 문화예술인력은 정규직 선택에 있어서 학력이 제조업보다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었고, 근속보다는 경력증가의 한계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반면, 가구주이거나 수도권 거주자인 경우 한계효과가 제조업과는 다르게 음(-)의 값으로 나와, 문화예술분야에서 가구주이나 수도권 거주가 정규직이 될 확률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지 못하였다. 한편, 임금방정식 추정결과를 통해 문화예술인력은 전체적으로 제조업인력에 비해 성별임금격차가 월등히 낮았으며, 연령과 경력년수가 증가할수록 제조업보다 임금상승에 대한 이점이 더 크게 나타났다. 정규직-비정규직간 임금격차를 Oaxaca-Ransom(1994)의 방식으로 분해한 결과를 비교해 보면, 제조업인력의 경우 미약하나마 정규직 편애와 비정규직 차별의 존재가 임금분해 결과에서 드러났다. 그러나 문화예술인력의 경우에는 편애나 차별이 존재하지 않았고 오히려 역(-)의 현상을 보여 임금에 있어 차별적 요소가 제조업처럼 존재하지 않았다. 하지만 문화예술분야에서 정규직-비정규직 간의 임금격차는 대부분 제조업처럼 생산성의 차이(45.8%)에 의해 발생하였다. 이는 문화예술분야에서 고용형태간 차별적 요소는 존재하지 않지만, 현실적으로 고용형태간 생산성의 차이가 상당히 존재함을 나타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empirically to analyze the wage differential between regular and non-regular workers in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Using the Oaxaca-Ransom approach, we focus on the decomposition of the wage differential between two types of workers. Our sampling data does sufficiently reflect the general employment characteristics existing in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Unlike the manufacturing sector, we found less wage discrimination against non-regular workers in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And the likelihood of regular workers in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increases with persons holding higher education and experience. The wage gap between regular and non-regular workers was mostly due to the difference in explained parts; for example, age, education, and experience. This implies that there does not exist a discriminatory factor against non-regular cultural workers. Our findings may provide partly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n cultural employment.

      • 제어 특성에 따른 배터리 냉각 plate 성능 동특성 연구

        김병련(Kim byung ryeun),응웽티난(Nhan),사명철(Sa myung chul),박찬우(Park chan woo) 대한기계학회 2021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21 No.11

        Due to industrial development around the world, level of energy usage has been increasing rapidly which consequently eventuates in global warming and environmental destruction. Therefore many studies have started focused on energy saving and greenhouse gas reduction. In case of battery cells in electrical vehicles, the working temperature of charge and discharge cycle has an important role in overall system efficiency. This research has studied the usage of water cooling system for batteries operation temperature adjustment in order to their efficiency improvement.

      • KCI등재

        전문디자인인력에 대한 성별임금격차 연구

        허식(Shik Heo),신경숙(Kyung-Suk Shin),사명철(Myung-Cheol Sa) 한국산업경제학회 2012 산업경제연구 Vol.25 No.5

        본 연구는 디자인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산업측면의 연구와 더불어 전문인력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인식하에서 진행되었다. 전문디자인인력 자료의 취합에 어려움이 많아 한국고용정보원의 " 산업·직업별 고용구조조사"의 2005~2009년 원자료에서 직업세분류(4-digit)로 제품?패션·?실내장 식·시각·?웹및멀티 디자이너에 관한 자료를 확보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임금함수를 OLS추정하고 Oaxaca-Ransom 임금분해를 시도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첫째 연령과 근속, 경력년수, 정규직비중에서는 남성의 비중이 높은 반면, 기혼자비중, 교육년수 등에서는 여성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임금함수 추정결과에서 주요한 점은 연령, 근속년수, 경력년수에서 성별임금차이의 존재가 확인된 것이다. 셋째 Oaxaca-Ransom임금분해 결과, 임금격차의 약 86%가 생산성에 의한 차이로 나타났으나, 미약하나마 남성편애와 여성차별 부분도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Recently the importance of design is recognized more and more in business. From the compensational perspective, this paper empirically examines the gender wage gaps among design experts in Korea. Design experts usually work in four ranges as products, fashion, interior design, and visual/web/multimedia designers. By using the Oaxaca-Ransom approach, we focus on decomposing the gender wage gaps of Korean design experts. Our collecting data does sufficiently reflect general employment characteristics existing in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We found that the gender wage gaps of design experts were mostly due to the differences in the explained parts; for instance, age, tenure, and experience. Although male advantages and female discriminations exist still, their proportions were considerably smaller. Our results might provide somehow the policy directions of reducing the gender wage gap among Korean design expe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