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서비스의 가구소비지출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허식 ( Shik Heo ),윤수영 ( Soo Young Yoon ) 한국재정정책학회 2013 財政政策論集 Vol.15 No.4

        본 연구는 문화서비스의 수요에 관한 연구로, 각 문화서비스 항목별로 소비지출 영향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비교분석한다. 기존의 문화서비스 수요연구는 문화서비스 세부항목을 분석대상으로 삼지 않아, 문화서비스의 특성을 고려한 수요분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특히, 문화서비스는 일반적인 서비스와는 달리 문화자본(cultural capital)축적이 수요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분석이 필요하며, 각 문화서비스 항목별 비교분석은 소비활성화에 상당한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분석자료는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자료로, 미시적 소비지출자료의 특성을 갖고 있다. 이러한 자료에서 흔히 발생하는 삭제된 자료(censored data)로 인한 추정량의 불일치성(inconsistency)과 표본선택편의(sample selection bias)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TypeⅡ토빗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공통적으로 가구원 수의 증가가 소비선택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공연 및 극장 관람과 관람시설이용은 정규 교육 및 문화자본축적 변수가 수요증가에 영향을 주었으며, 두 항목 간에는 보완재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콘텐츠와 방송 서비스는 교육과 문화자본축적의 효과가 미미하거나 오히려 음(-)의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항목 간에는 대체재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ecently the Korean economy is growing more and more interested in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as a new growth engine. In order to vitalize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this paper investigates the determinants of the household consumption expenditures on the item of arts-cultural services. Especially, we focus on both the role of cultural capital in arts-cultural expenditures and the comparative analysis among items paid to arts-cultural services. We use a Type II Tobit Model according to the data characteristic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on the items of ``watching performance and theater`` and ``using audience facilities,`` the cultural capital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household consumption expenditures and we found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items. Next, on the items of ``contents service`` and ``broadcasting service`` the role of the cultural capital in arts-cultural expenditures is very weak and these two items show the substitutional relationship. Our analysis may be helpful to provide some useful policy approaches for vitalizing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in Korea.

      • KCI등재

        문화예술분야의 임금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분위회귀접근-

        허식 ( Shik Heo ) 한국재정정책학회 2010 財政政策論集 Vol.12 No.4

        본 논문은 한국고용정보원「산업·직업별 고용구조조사(OES)」6년치 자료를 이용하여 문화예술 인력에 대한 임금결정요인을 분위회귀(quantile regression)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로부터 발견되는 주요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OLS분석결과처럼 남성이 여성보다 임금을 더 받고 모든 소득분위에서 성별 임금격차가 존재하였다. 성별 임금격차는 문화예술 영역에서 완화되는데, 특히 예술성, 창의성 및 전문성 등과 같은 문화예술적 요소가 잘 반영되는 문화직업의 경우에는 그 격차가 더욱 완화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둘째, 나이의 경우 중위소득수준 이상에서 제조업은 그 계수값이 일정하지만, 문화예술영역에서는 미약하나마 올라가는 현상을 보였다. 이는 문화예술의 영역에서 소득이 증가할수록 나이의 중요도가 커짐을 의미하는데, 그 이유는 나이가 들수록 예술적 재능이 원숙하게 발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학력더미의 경우 OLS분석결과처럼 문화예술 영역에서 종졸인력(기준더미)보다 고졸, 전문대졸업자가 제조업에 비해 임금 프리미엄이 발생하는데, 이는 고졸, 전문대졸이더라도 문화예술적 재능을 지닌 인력이라면 임금 프리미엄이 존재한다는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정규직더미인 경우 동일하게 정규직이 비정규직보다 훨씬 높은 임금을 받고 있으나, 고소득분위에서는 제조업보다 문화산업·직업에서 그 영향력이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로부터 문화예술 분야의 고용특성을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고 고용정책을 위한 제언을 제공할 수 있다. Using a quantile regression methodology, this paper is empirically analyzed on the wage determinants of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in Korean labor market.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employment characteristics of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in Korea are similar to those of other advanced countries; young, highly educated, part-time contracts, small firms, and concentrated in urban areas. Secondly, unlike the manufacturing sector,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encourages artistry, creativity, and specialty in cultural workers. This phenomenon provides a wage premium to the cultural workers who are even less educated. Whereas unskilled older people in the manufacturing sector are driven to lower wage groups, this feature does not occur in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Lastly, in the cultural area, there exists considerably less wage discrimination against female across all wage quantiles. Furthermore, although experience and education play important role in wage determinants of cultural workers, these roles rapidly drop down at the higher wage group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문화예술분야에서 성별임금격차 분석연구

        허식(Heo, Shik),사명철(Sa, Myung-Cheol)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1 No.11

        본 연구는 문화예술분야에서 노동시장과 관련된 연구가 부족하다는 인식아래 문화예술분야 임금근로자의 임금함수추정과 임금분해를 시도하여 전통산업인 제조업과 비교분석 하였다. 주요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통계량을 비교해본 결과, 제조업에 비해 문화예술분야에서 성별임금격차가 적으나 여전히 일정부분 격차가 존재 하였다. 아울러 문화예술분야 근로자가 제조업 근로자에 비해 젊고, 학력이 높으며, 근로조건은 다소 나았다. 특히 문화예술분야 중 문화직업에 속한 여성근로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더 젊고, 학력이 더 높으며, 정규직의 비중도 역시 높았다. 반면에 젊다는 특성이 어느 정도 반영된 이유로 문화예술분야 여성의 근속 및 경력이 타 비교그룹 남성이나 제조업 여성에 비해 짧은 특성을 보였다. 둘째 임금함수 추정결과 우리의 주요 관심사인 성별임금격차가 제조업에 비해 문화예술분야에서 적음이 재차 확인됐다. 이와 더불어 문화직업의 경우 연령이 임금결정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나이가 들수록 명성, 인기, 숙련도가 높아지는 문화적 특징이 잘 반영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학력더미에서 고졸 출신자라도 문화예술적 능력이 확보되면 어느 정도 임금프리미엄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였 다. 셋째 비교그룹별로 임금분해를 실시한 결과, 설명되는 부분의 비중이 제조업에 비해 문화예술분야가 월등히 높았 고 특히 문화직업에서 그 현상이 더욱 두드러졌다. 문화예술분야에서 생산성의 차이에 의해 발생한 임금격차는 인적 속성과 인적자본 등 대부분의 설명변수에서 발생하고 있던 반면에, 차별에 의한 임금격차에서는 그 격차의 대부분이 연령에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ecently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is drawing attention as a new growth engine of the Korean economy. The paper is empirically analyzed on the gender wage differentials in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and specially focused on decomposing the wage differentials between the manufacturing sector and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Our results may be partly useful for explaining the existing phenomenon of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in Korean labor markets, for example, young, highly educated, part-time contracts, less gender discrimination, etc. The results might provide somehow the policy directions of reducing the gender wage differentials.

      • KCI등재

        문화예술분야 정규직-비정규직간 임금격차 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허식 ( Shik Heo ),사명철 ( Myung Cheol Sa ) 한국재정정책학회 2011 財政政策論集 Vol.13 No.4

        본 연구는 산업·직업별 고용구조조사(OES)의 과거 6년치 풀링자료를 사용하여 제조업분야와 문화예술분야 사이에 고용형태의 결정요인과 고용형태간 임금격차 발생요인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의 주요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정규직 선택에 대한 분석결과를 요약해 보면, 문화예술인력은 정규직 선택에 있어서 학력이 제조업보다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었고, 근속보다는 경력증가의 한계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반면, 가구주이거나 수도권 거주자인 경우 한계효과가 제조업과는 다르게 음(-)의 값으로 나와, 문화예술분야에서 가구주이나 수도권 거주가 정규직이 될 확률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지 못하였다. 한편, 임금방정식 추정결과를 통해 문화예술인력은 전체적으로 제조업인력에 비해 성별임금격차가 월등히 낮았으며, 연령과 경력년수가 증가할수록 제조업보다 임금상승에 대한 이점이 더 크게 나타났다. 정규직-비정규직간 임금격차를 Oaxaca-Ransom(1994)의 방식으로 분해한 결과를 비교해 보면, 제조업인력의 경우 미약하나마 정규직 편애와 비정규직 차별의 존재가 임금분해 결과에서 드러났다. 그러나 문화예술인력의 경우에는 편애나 차별이 존재하지 않았고 오히려 역(-)의 현상을 보여 임금에 있어 차별적 요소가 제조업처럼 존재하지 않았다. 하지만 문화예술분야에서 정규직-비정규직 간의 임금격차는 대부분 제조업처럼 생산성의 차이(45.8%)에 의해 발생하였다. 이는 문화예술분야에서 고용형태간 차별적 요소는 존재하지 않지만, 현실적으로 고용형태간 생산성의 차이가 상당히 존재함을 나타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empirically to analyze the wage differential between regular and non-regular workers in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Using the Oaxaca-Ransom approach, we focus on the decomposition of the wage differential between two types of workers. Our sampling data does sufficiently reflect the general employment characteristics existing in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Unlike the manufacturing sector, we found less wage discrimination against non-regular workers in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And the likelihood of regular workers in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increases with persons holding higher education and experience. The wage gap between regular and non-regular workers was mostly due to the difference in explained parts; for example, age, education, and experience. This implies that there does not exist a discriminatory factor against non-regular cultural workers. Our findings may provide partly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n cultural employment.

      • KCI등재
      • KCI등재

        여성인력의 유리천장 현상에 대한 연구

        허식(Shik Heo),엄주영(Ju Yeong Eam) 한국산업경제학회 2017 산업경제연구 Vol.30 No.5

        본 연구는 산업과 직업 관점에서 유리천장 현상이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존재하는지를 분위회귀분해를 통하여 분석하고 그 원인을 파악하여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정 산업이나 직업에 성별분리 현상이 존재할 수 있는 점을 감안하여 대분류 18개 산업과 9개 직업별로 나누어 분위회귀분해를 하였고, 또한 지역 및 학력수준 간에 비교분석을 통해 보다 세밀한 분석을 하였다.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근로자 대상으로 우리나라 성별임금격차는 개인특성 및 생산성의 차이보다 차별적 요소로 인해 더욱 발생함을 보였다. 임금분위별로 살펴보면 역U자 형태를 띠어 전반적으로 유리천장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지역간 분석에서 수도권과 비수도권 모두 유리천장 현상이 발견되지 않았고, 학력수준간 분석에서는 고학력 근로자인 경우에 두 지역 모두 유리천장 현상이 보이지 않았으나 저학력 근로자의 경우에는 두 지역 모두 심한 유리천장 현상을 보였다. 특히 비수도권 저학력 근로자에게 더 심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산업 및 직업별 분석에 의하면, 우리나라 유리천장 현상은 고용성비가 혼합적이고 고숙련을 요구하는 산업이나 직업보다는 남성비중이 높거나 남성위주의 문화(old boy networks)가 팽배하고 저임금, 저숙련으로 여성진출이 용이한 산업이나 직업에서 심각하게 나타났다. Using the RIF quantile decomposition,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xistence of a glass ceiling for women employees in the Korean labor market. Considering gender segregation by industry and jobs, we examine 18 industries and 9 occupations classified by KSIC alphabetical code and KSCO one-digit code respectively. More specifically, our analysis is extended to investigate the glass ceiling effect by region and educational attainment.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total gender wage gap of all workers is attributable rather to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than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It is found that there does not exist the glass ceiling effect for the entire labor market. Secondly, there exists a glass ceiling for the workers with low educational attainment and in non-capital area. This implies that, as the wage quantile moves from lower to higher levels, women employees with low educational attainment and in the non-capital area face significant barriers to career advancement. Lastly, in view of industry and occupation, glass ceilings are more likely to occur in male-dominated industries and occupations or those still ruled by the old-boy networks. Also, the glass ceiling effect is found in low-paid and less-skilled industries and occupations where women are easily accessible.

      • KCI등재

        임금격차, 무역 및 생산성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분석

        허식(Shik, Heo),이성원(Sung-Won, Lee) 한국통상정보학회 2006 통상정보연구 Vol.8 No.2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 among wage differentials, trade, and productivity in Korea, using the methodology of Granger causality and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ling. Cointegration test results over the 1975-2004 period indicate that all the test variables are cointegrated. Therefore, wage differentials, trade, and productivity are all related in the long run. We found some evidence on long-run relationship, while there is no short-run relationship between three test variables. First, trade and wage differentials have positively and bi-directionally Granger causality in the long-run. Second, productivity Granger causes negatively wage differentials in the long-run. Finally, productivity Granger causes positively trade in the long-run. These results explain partially the current theoretical predictions for wage inequality as well as supports the productivity-led growth hypothesis in the Korean econom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