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ynthesis and Shape Control of Uniform Polymer Microparticles by Tailored Adsorption of Poly(ethylene oxide)-b-Poly(ε-caprolactone) Copolymer

        Shahinur Acter,조장우,김정운,변아,박경호,김진웅 대한화학회 2015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ol.36 No.5

        This paper introduces a straightforward and robust polymerization method for the synthesis of uniform polymer microparticles having controlled surface chemistry as well as tailored particle shapes. Uniform polystyrene (PS) microparticles are produced by dispersion polymerization, in which amphiphilic poly(ethylene oxide)-b-poly(ε-caprolactone) (PEO-b-PCL) copolymers anchor on to the growing polymer particles and stabilize them by steric repulsion. We have observed that, when PEO-b-PCL copolymers are incorporated at the proper concentration range, the total number of particles remains unchanged after the formation of primary particles, which is essential for maintaining size uniformity. Otherwise, nonuniform PS microparticles are produced mainly as a result of the coagulation or secondary formation of particles. To show the diversity of our particle synthesis technology, shape-controlled microparticles, such as dimples and Janus particles, are also produced by using temperature-mediated swelling and phase separation. Finally, we show that PEO-b-PCL copolymers play a key role in regulating the surface wettability of the seed particles, thereby facilitating the formation of anisotropic microparticles.

      • KCI등재후보

        당뇨병이 없는 한국 성인 남성에서 고감도 C-반응 단백과 인슐린저항성과의 연관성

        권영은,이상화,이홍수,심경원,변아리,박선영 대한가정의학회 2019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9 No.2

        Background: Insulin resistance syndrome is recognized as a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CVD) and type 2 diabetes mellitus (DM). Even though early management and prevention during the pre-DM stage is emphasized,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risk of insulin resistance and CVD in individuals with normal blood glucos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iveness of the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hs-CRP) test as a preventative measure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s-CRP and a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HOMA-IR) in adult men without DM. Methods: Our study included 1,924 men who were ≥20 years of age, from the 2015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Based on fasting glucose levels,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normal and impaired fasting glucose (IFG). Results: Student’s t-test was used to compare the means of the normal and IFG categories, and hs-CRP and HOMA-IR showed significantly lower values for all variations, except height and smoking, at a significance level of 0.001. All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quadrant groups according to hs-CRP values, and ANCOVA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HOMA-IR average of each group. The mean IR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between cohorts, except for in the IFG category of one group. Conclusion: In adult men without DM, hs-CRP did not significantly correlate with HOMA-IR, except in the IFG category. This indicates that the risk of CVD increases continuously in the normal blood sugar range.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mprove the usefulness of the high sensitivity hs-CRP test. 연구배경:인슐린저항증후군은심혈관질환과제2형당뇨병의위험인자로 인식되고 있다. 당뇨병 전 단계에서부터 관리 및 예방이 중요함에도 정상 혈당범위에서 인슐린저항성과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성에관한연구는많지않다. 본연구에서당뇨병이없는성인남성에서고감도 C-반응단백과 HOMA-IR의 연관성을 살펴봄으로써 예방차원에서고감도 C-반응단백검사의유용성을알아보고자하였다. 방법: 2015년 제6기 3차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이용하여 분석을시행하였다. 분석 대상은 20세이상 성인남성으로 총 3,374명 중 고감도 C-반응단백, 인슐린, 공복혈당수치가 있는 1,924명의 최종대상자가 선정되었다. 모든 대상자들은 공복혈당, 인슐린, 혈중 지질농도,고감도 C-반응단백, 체질량지수를 측정하였고 인슐린 저항성은HOMA-IR 지표를 이용하였다. 공복혈당에 따라 정상군, 공복혈당장애군 2군으로 나누어(당뇨병 진단 기준에 해당하는 자는 제외) 비교하였다. 결과: 정상군과 공복혈당장애군 간의 평균을 비교하기 위해 t검정을 실시하였고 고감도 C-반응단백, HOMA-IR은 신장과 흡연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수치가 정상군이 공복 혈당 장애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상군의 25, 50, 75 백분위수에 해당하는고감도 C-반응단백값에 따라 전체 대상군을 사분위군으로 분류한뒤 각 집단의 HOMA-IR 평균 비교를 위해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집단간 HOMA-IR의평균은공복혈당장애군의한군을제외하고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당뇨병이 없는 성인 남성에서 고감도 C-반응단백은 HOMAIR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공복혈당장애군의 경우에서만 고감도 C-반응단백수치가 높은 집단일수록 HOMA-IR수치가높아지는 경향성을 나타냈다. 이는 정상 범위의 혈당에서도 심혈관질환의 위험이 연속적으로 증가함을 어느정도 시사하고 있지만 고감도 C-반응단백검사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더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자연 폐경 연령에 따른 당뇨병 및 당뇨병 전단계의 관계

        송지윤,이홍수,이상화,심경원,변아리,이신나 대한가정의학회 2019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9 No.1

        Background: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fasting insulin and blood glucose levels are higher in postmenopausal than in premenopausal women and that insulin resistance was more serious in postmenopausal women. The effects of menopause on glucose metabolism have been well studied, but it is unclear whether age at menopause onset is associated with fasting blood sugar and HbA1c leve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menopause age on diabetes and prediabetes.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data from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5). The participants were 2,156 naturally menopausal women, except diabetes, stroke, coronary artery disease and cancer patients. The study population was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age of natural menopause onset (<40, 40–44, 45–55, and ≥56 years). Diagnosis of diabetes and prediabetes was based on th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guideline. The association between menopause age and diabetes or prediabetes was analyzed b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Women reaching menopause at 40–44 years were 4.901 times more likely to have diabetes (odds ratio [OR], 4.901; 95% confidence interval [95% CI], 1.353–17.756, P=0.016) than those who reached menopause at an age of ≥56 years. Women with menopause at age <40 years were 2.839 times more likely to have diabetes or prediabetes (OR, 2.839; 95% CI, 1.012–7.968, P=0.047). Conclusion: Women with premature menopause (<40 years) have high risk of developing diabetes or prediabetes, and women with a menopause age of 40–44 years have high risk of developing diabetes. 연구배경: 폐경 후 여성은 폐경 전 여성보다 공복 시 인슐린과 혈당수치가 증가하고, 인슐린 저항성이 악화되며, 대사 증후군의 위험 증가와 연관이 있다는 보고가 있다. 그동안 폐경이 당뇨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졌으나 폐경 연령이 당뇨병의 위험과 관련이 있는지는 불분명하였다. 이 연구는 자연 폐경 연령에 따른 당뇨병및 당뇨병 전단계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방법: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3–2015년)를 이용하여 자연 폐경 여성들 중 당뇨병, 뇌졸중, 관상동맥질환, 암 진단, 채혈 전 8시간미만 금식, 결측값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총 2,156명을 대상으로하였다. 자연 폐경 연령은 40세 미만, 40–44세, 45–55세, 56세 이상 군으로 나누었다. 당뇨병 및 당뇨병 전단계에 대한 폐경 연령의 영향을추정하기 위해 연령, 결혼상태, 교육 수준, 소득 수준, 흡연, 음주, 당뇨병 가족력, 출산력, 경구피임약 사용 여부, 허리둘레, 체질량지수,혈압, 중성지방, HDL, LDL, 총 콜레스테롤을 보정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56세 이상 폐경 여성들에 비해 40–44세 폐경 여성들은 당뇨병(공복혈당≥126 mg/dL 혹은 당화혈색소 ≥6.5%)에 해당될 확률이4.901배(OR, 4.901; 95% CI, 1.353–17.756)로 유의하게 더 높았다(P=0.016). 또한, 폐경 연령이 56세 이상일 때에 비해 폐경 연령이 40세미만일 때 당뇨병 및 당뇨병 전단계(공복혈당이≥100 mg/dL 혹은 당화혈색소 ≥5.7%)에 해당될 확률은 2.839배(OR, 2.839; 95% CI,1.012–7.968)로 유의하게 더 높았다(P=0.047). 결론: 조기폐경 여성(40세 미만 폐경)의 경우 당뇨병 및 당뇨병 전단계의 발생 위험이 높으며, 40–44세 폐경 여성의 경우 당뇨병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한국 성인 남성 당뇨병 및 당뇨전단계 환자에서 간헐적인여가신체활동이 혈당조절에 미치는 영향

        박선영,이상화,이홍수,심경원,변아리,권영은 대한가정의학회 2019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9 No.1

        Background: Although less frequent activity might be fit into patients, little is known about the benefits of the low frequency physical activity. With the increasing prevalence of diabetes,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patterns on glycemic control in Korean adult men with diabetes and prediabetes. Methods: We obtained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VI (2014 to 2015), which included 14,930 participants. We analyzed the data for 1,297 male individuals aged 40–80 years, with diabetes or prediabetes. Physical activity patterns were classified into physical activity (Metabolic Equivalents [MET]·minutes) and frequency. Results: Among the 1,297 respondents, 846 were in the “Inactive”, 98 were in the “Insufficiently Active 1” (<600 MET·minutes, 1 or 2 sessions/wk), 54 were in the “Insufficiently Active 2” (<600 MET·minutes, 3 or more sessions/wk), and 299 were in the “Sufficiently Active” (≥600 MET·minutes). Those in the “Insufficiently Active 1” had a significantly lower HbA1c than “inactive” (0.27%; 5.98±0.07 vs. 6.25±0.05). In contrast, those in the “Insufficiently Active 2” (6.66±0.28) exhibited higher HbA1c as compared to “inactive”. Finally, those in the “Sufficiently Active” (6.21±0.06) exhibited lower HbA1c as compared to “inactive” (0.04%) (all P-values <0.05). A similar trend was observ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fasting blood glucose levels. Conclusion: Though engaging in physical activity once or twice a week does not meet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recommended frequency, it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glycemic control in patients with diabetes and prediabetes. 연구배경: 신체활동이 여러 만성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중요하다. 낮은 빈도의 운동이 환자들에게 더 적합하지만 낮은 빈도의 운동에대한 이점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당뇨병 유병률이 점점 증가하고 당뇨병 치료의 중요성이 대두되는 가운데 본 연구의 목적은신체활동 패턴이 당뇨병 및 당뇨전단계인 한국 성인 남자의 혈당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2014년부터 2015년까지) 참가한14,930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중 40세 이상 80세 미만이면서 당뇨병이거나 당뇨전단계의 성인 남성 응답자 1,29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국제신체활동설문지를 이용하여 여가신체활동에대해 조사하였다. 신체활동패턴은 활동량(Metabolic Equivalents[MET]·minutes)과 빈도로 분류하였다. 결과: 당뇨병 및 당뇨전단계인 환자 1,297명 중 비운동군 전체는 846명(61.3%) 이었고, 운동부족 1군(600 MET·minutes 미만, 1–2회/주) 전체는 98명(9.2%)이었으며, 운동부족 2군(600 MET·minutes 미만, 3회/주 이상) 전체는 54명(4.6%)이었고, 운동충분군(600 MET·minutes 이상) 전체는 299명(24.8%)이었다. 운동부족 1군에서 비운동군에 비해HbA1c가 0.23% 더 낮았다(6.01±0.07 vs. 6.24±0.05). 운동부족 2군(6.65±0.27)에서는 오히려 HbA1c가 비운동군보다 더 높았고 운동충분군(6.21±0.06)에서 비운동군보다 HbA1c가 0.03% 더 낮았다(P-value<0.05). 공복혈당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결론: 신체활동이 World Health Organization 지침에 충족되지 않더라도 주간 1–2회의 적은 횟수의 운동이라도 꾸준히 장기적으로 실천한다면 혈당조절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본 연구에서 확인하였다

      • KCI등재

        한국 노인에서 악력과 수면시간과의 관련성

        이한나,심경원,이상화,이홍수,조영경,변아리 대한가정의학회 2021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11 No.3

        Background: In an aged society, studies on sleep duration and hand grip strength are limited.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associations of sleep duration and hand grip strength among a large sample of Korean older adults. Methods: This study is based on data from 2014–2015 from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who were over the age of 65 years was 2,104.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self-reported sleep duration. Muscle power was estimated using hand grip strength. The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and hand grip strength was analyzed using ANOVA and ANCOVA. Resul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leep duration and hand grip strength; After controlling for covariates, a sleep duration of shorter than 4 hours (estimated mean [95% confidence interval, CI]: 25.91±0.44) was associated with a weaker dominant hand grip strength than an average sleep duration of 7–8 hours (estimated mean [95% CI]: 27.20±0.25) (P=0.027). However, when stratified by sex, only female with a sleep duration of longer than 9 hours (estimated mean [95% CI]: 18.88±0.41) had a significantly weaker non-dominant hand grip strength than those with an average sleep duration of 7–8 hours (estimated mean [95% CI]: 19.85±0.24). Conclusion: An inappropriate sleep duration in older adults was associated with a lower hand grip strength. This finding suggests that decreased muscle power ma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hort sleep duration and adverse health outcomes. 연구배경: 한국에서 수면 시간과 악력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노인 인구를 대상으로 수면시간과 악력과의 연관성을 평 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2014년–2015년) 자료에서 65세 이상 노인 2,10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가 보고된 수면 시간을 통해 참 여자들을 ≤4 hours, 5–6 hours, 7–8 hours, ≥9 hours 4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 사회경제적 정보, 건강행태, 만성질환, 정신건강 상태를 고려하여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하였다. 각각의 수면시간이 미치는 악력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유의한 변수를 보정하여 로지스 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근력은 악력을 사용하여 추정되었다. 결과: 총 2,104명의 65세 이상의 노인 인구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 중 219명(10.5%)이 4시간 미만의 수면시간을 가졌다. 혼란 변수를 보 정 후 우세수 악력의 경우 4시간 이하(25.91±0.44)의 수면시간군이 7–8시간(27.20±0.25)의 평균 수면시간군보다 악력이 낮았다(P<0.05). 성별로 계층화한 경우 짧은 수면시간과 약한 악력을 보였으나 9시간 이상의 긴 수면시간군의 악력이(18.88±0.41) 유의하게 낮았다. 결론: 65세 이상 노인에서 짧은 수면시간의 경우 약한 악력을 보였다. 이를 통해 근력 감소가 짧은 수면시간과 부정적인 건강 영향과의 관계를 중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1인 가구와 다인 가구의 사회경제적 수준, 건강 행태와대사증후군에서의 차이: 성별과 세대에 따른 분석

        조영경,심경원,석혜원,이홍수,이상화,변아리,이한나 대한가정의학회 2019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9 No.4

        Background: The rising popularity of one-person households makes the health hazards they are prone to, highly relevant in epidemiological studies. This study aimed at comparing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like the socioeconomic status, health behavior, and metabolic syndrome of one-person households, to multi-person households in Korea. Methods: The participants required for this study included 9,423 Koreans aged 19 and above, who took the Six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household types were classified into “one-person” and “multi-pers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based on their annual socioeconomic status, health behavior, anthropometric variables, and blood test results were analyzed. Results: The percentage of men and women in one-person households was 7.2% and 10.5%, respectively. Such households had a lower annual income and education than multi-person households. The odds ratios (OR) for alcohol consumption (OR, 1.69; 95% confidence interval [CI], 1.16–2.46) and smoking (OR, 3.24; 95% CI, 1.77–5.95)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one-person households of women, aged 60 and above, compared to multi-person households. The OR for metabolic syndrome was considerably higher in one-person households of middle-aged people in contrast to multi-person households for both men (OR, 1.84; 95% CI, 1.14–2.95) and women (OR, 1.90; 95% CI, 1.21–2.99). Conclusion: The socioeconomic status was lower, and the health behaviors were worse in one-person households as compared to multi-person households. Considering the growing popularity of one-person households, it is suggested that medical plans be customized to su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ecific group. 연구배경: 우리나라는 최근에 핵가족을 넘어서 홀로 가구를 구성하여 거주하는 1인 가구가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1인 가구에 대한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1인 가구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노인 1인 가구에 집중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령과 성별에 따라 1인 가구의 사회경제적 수준, 건강 행태와 대사증후군을 다인 가구와 비교해 보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국민건강영양조사 6기 참여자 중 19세 이상의 성인 9,423명을대상으로 하였다. 가구의 형태는 1인 가구와 비1인 가구의 2가지 유형으로 구별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의 소득 수준, 교육 수준, 흡연, 음주, 운동, 신체계측, 혈액검사 자료를 이용하여 성별과 연령에 따른 1인 가구와 다인 가구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대상 중 1인 가구의 비율은 남성에서 7.2%였고, 여성에서는 10.5%였다. 1인 가구의 소득 수준과 교육 수준이 비 1인 가구와 비교하였을 때 더 낮게 나타났다. 1인 가구 노년 여성에서의 음주에 대한 교차비는 1.69 (95% confidence interval [CI], 1.16−2.46)로 유의하게높았고 흡연은 3.24 (95% CI, 1.77−5.95)로 유의하게 높았다. 대사증후군의 교차비는 1인 가구 중장년층 남성에서 1.84 (95% CI, 1.14−2.95),중장년층의 여성에서 1.90 (95% CI, 1.21−2.99)로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1인 가구는 비 1인 가구와 비교하였을 때 사회 경제적 수준이낮고 건강 행태 및 대사증후군에서 보다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가 증가하는 추세를 미루어 볼 때 1인 가구에 대한 사회 전반적인 의료적 지원이 고려되어야 하며, 연령과 성별에 따라 집단별 특성에 맞춘 계획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한국 당뇨병 환자에서 신체활동과 건강 관련 삶의 질의 연관성

        이신나,이홍수,이상화,심경원,송지윤,변아리 대한가정의학회 2020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10 No.2

        Background: It is well known that physical activity has various health benefit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monstrate the association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among Korea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Methods: Our study is based on VI phases (2014–2015)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groups according to high and low levels of physical activity. HRQoL was measured by using the Euro quality of life-5 dimension (EQ-5D). ImpairedHRQoL was defined as the score within the lowest 20% of the EQ-5D index and some or extreme problems in the EQ-5D domains. Logistic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calculate the odds ratio (OR) and the 95% confidence interval (CI) for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on impairedHRQoL. Results: The adjusted OR for impaired HRQoL for individuals that were more physically active compared to those who were less physically active washigher for the EQ-5D index (OR, 2.85; 95% CI, 1.82–4.44). Furthermore, compared to less physically active individuals, the adjusted ORs were higherfor more physically active individuals in mobility (OR, 1.97; 95% CI, 1.28–3.02), self-care (OR, 2.20; 95% CI, 1.20–4.03), usual activities (OR, 2.83; 95%CI, 1.81–4.45), and pain/discomfort (OR, 1.75; 95% CI, 1.19–2.57) among the various EQ-5D domains. Conclusion: A lack of physical activity is associated with lower HRQoL among Korean patients with diabetes, particularly when compared with Koreansengaged in frequent physical activity. 연구배경: 신체활동은 나이를 막론하고 다양한 건강상의 이득이있음이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참가자 중19세 이상 성인 남녀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신체활동과 건강 관련 삶의 질과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제6기(2014–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이용하여 만 19세 이상의 성인 당뇨병 환자 80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율에 따라 신체활동군, 비신체활동군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삶의 질은 Euro quality of life-5 dimension (EQ-5D)를 사용하였고 삶의 질이 낮은 것은 삶의 질 지수(EQ-5D index score) 점수가하위 20%에 해당하는 경우, EQ-5D 항목별로 약간, 매우 문제 있는경우로 정의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율에 따라 신체활동군에 비해 비신체활동군의 삶의 질이 낮은 경우에 대한 교차비와 95% 신뢰구간을 구하였다. 결과: 신체활동군에 비해 비신체활동군에서 삶의 질이 낮을 교차비는 EQ-5D 지수에서 2.58 (95% 신뢰구간, 1.82–4.44)로 높았다. 불안/우울 제외 EQ-5D 영역인 운동능력, 자기관리, 일상활동, 통증/불편감에서 신체활동군에 비해 비신체활동군에서 삶의 질이 낮을교차비가 각각 1.97 (95% 신뢰구간, 1.28–3.02), 2.20 (95% 신뢰구간,1.20–4.03), 2.83 (95% 신뢰구간, 1.81–4.45), 1.75 (95% 신뢰구간, 1.19–2.57)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건강 관련 삶의 질과관련된 다른 요인들에는 나이, 체질량지수, 교육, 수입, 흡연, 스트레스가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 결론: 한국 당뇨병 환자에서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것은 건강 관련삶의 질이 낮은 것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