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한국 비만 여성의 신체 계측에 의한 체지방 추정

        심경원,김지연,서희선,이홍수,이상화,강지현 대한비만학회 2002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1 No.2

        연구배경 : 국내 비만 여성을 대상으로 비용이 적게 들고 단순하면서도 보다 정확하게 체지방률을 추정할 수 있는 체지방률 추정식을 작성함으로써 쉽게 체지방률과 조절해야하는 지방의 양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방법 : 이대목동병원 비만클리닉을 처음으로 내원한 19세 이상의 성인 여자 607명 중 체질량지수가 25 kg/㎡ 이상인 50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목, 가슴, 허리, 엉덩이, 대퇴, 하퇴, 발목, 상완, 전완, 손목의 10부위의 둘레와 생체전기저항분석법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BIA) 방식의 체성분 분석기를 이용하여 체지방률을 측정하였다. 체지방률 추정식을 구하기 위해 BIA에 의한 체지방률을 종속변수로 하고 , 신체 둘레 계측기 및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 연령을 독립변수로 하여 단계별 다중회귀분석 (multiple stepwise regression)을 시행하였다. 결과 : 신장과 체중, 연령, 체질량지수 및 신체 둘레 측정치 중 체지방률을 반영하는 지표는 체질량 지수, 전완둘레, 신장, 엉덩이 둘레, 하퇴둘레였고, 이 다섯가지 지표를 이용한 체지방률 추정식은 66.1%의 예측력과 2.86%의 측정 오차를 나타냈다 (R^2=0.661, SEE=2.86). 결론 : 비만한 성인 여성에서 신장과 체중, 연령 및 신체 둘레 계측치를 이용한 본 연구의 추정식은 체지방률(%)을 적은 오차범위로 비교적 정확하게 반영하였다. Background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regression equation that accurately estimates body fat percentage using relatively easy and inexpensive method in adult obese Korean women. Method : Data were collected among 500 obese Korean women visiting obesity clinic in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Seoul, Korea. Height, weight, and circumferences at ten body sites (neck, chest, waist, hip, thigh, calf, ankle, arm, forearm, wrist) were measured s well as total body bioelectrical impedance. Results : The full regression equation estimates body fat percentage included six variables : BMI, forearm circumference, height, hip circumference, thigh circumference. This equation accounted for 66.1% of the variance in body weight measured by bioelectrical impedance, and their standard error of estimate was 2.86%. Conclusion : For the obese Korean women in this study, circumference measurements provided a s relatively good estimation of body fat percentage.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임신 중 산후 비만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임신 중의 체중증가를 중심으로

        심경원,김상만,이득주,김행수 대한비만학회 2000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9 No.2

        1. 분만 후의 여성은 결혼전에 비하여 유의한 체중 증가가 있었으며, 특히 3회 이상의 분만은 산 후 과체중의 위험인자로 나타났다. 2. 분만 후 여성에 있어서 체질량 지수와 관련된 요인으로는 임신전 체중이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연령, 임신 및 분만수, 임신 이후의 체중증가가 유의하게 분석되었다. 3. 연령과 활동도를 보정한 후 비만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임신 전 체중 (p=0.00), 임신수 (p=0.00), 만삭시 체질량 지수 (p=0.00), 분만수 (p=0.047), 임신 후 체중 증가 (p=0.045) 등으로 나타났다. 4. 출산 후 과체중을 유발할 수 있는 요인으로 다회 임신 (3회 이상), 만삭시의 높은 체질량 지수 (30 kg/㎡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임신 이후 체중저류가 4.5 kg 이하 인 경우는 과체중의 위험에 대한 보호 인자로 분석되었다. The proportion of Korean women who are obesity in increasing. Being overweight is a risk factor for excess morbidity and mortality from chronic disease and negative psychological and social consequences as well. Pregnancy is frequently cited as a cause of major weight gain among women and a contributor to their becoming overweight.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pregnancy on postpartum weight gain and to identify potential risk factors for maternal obesity. A total of 124 healthy women was enrolled and their medical records and questionnaires about their sociodemographic, medical, behavioral, obstetric and perinatal data, together with weights and heights for BMI at prepregnancy, term and postpartum. Prepregnancy weight was highly correlated to postpartum BMI (r= , p<0.001). Age, activity level, parity, BMI at term, prepregnancy BMI and age of last pregnancy also correlated significantly to postpartum BMI (p<0.05). Parity, Age of first pregnancy, BMI at terms, prepregnancy BMI, gestational weight gain influence postpartum BMI adjusted at age and activity (p<0.05). Parity (>3), BMI at term (> 30 kg/㎡) were risk factors for postpartum obesity and gestational weight gain (<4.5 kg) was a protective factor for postpartum obesity. The result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regnancy as a contributor to women's becoming overweight and a time for prevention efforts.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종합검진 수진자에서 비알콜성 지방간과 대사 증후군의 연관성

        김수연,심경원,이홍수,이상화,김혜림,오영아 대한가정의학회 2007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28 No.9

        The Association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with Metabolic SyndromeSu Yun Kim, M.D., Kyung Won Shim, M.D.†, Hong Soo Lee, M.D., Sang Hwa Lee, M.D., Hai Lim Kim, M.D., Young A Oh, M.D. Background: Recently, the diagnosis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has been made more frequently, as the use of ultrasonography on health screening has been on the ri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AFLD and the metabolic syndrome defined by NCEP-ATP III criteria. Methods: A total of 1,675 subjects, who attended for routine physical check‐ups, were screened. Among those, 401 subjects were selected after excluding the subjects with either significant alcohol consumption, evidence of viral or toxic hepatitis, significant liver or renal dysfunction, or overt thyroid disease. NAFLD was diagnosed if the subjects had a “bright liver” on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The diagnosis of metabolic syndrome was made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NCEP-ATP III established in 2001. Results: The prevalence of NAFLD was 27.2%. Blood pressure, body weight,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and serum levels of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fasting glucose and liver enzymes were higher among the subjects with NAFLD than the control. The prevalence of obesity, IFG/DM, dyslipidemia and hypertension was higher in the NAFLD group. The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was 19.2%, which was higher in the NAFLD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The odds ratio of NAFLD for the metabolic syndrome was 6.458 (95% C.I. 3.178∼13.124). Conclusion: NAFLD wa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metabolic syndrome regardless of the presence of obesity. (J Korean Acad Fam Med 2007;28:667-674) 연구배경: 최근 종합 검진센터에서 복부 초음파 검사율이 증가하면서 비알콜성 지방간의 발견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비만, 제2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과 연관성이 알려진 비알콜성 지방간의 대사적 특징을 알아보고, 대사 증후군과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3년 11월부터 2004년 1월까지 3개월간 일개 대학병원 종합 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한 35세 이상의 성인 1,675명 중, 1주일에 40 g 이상의 음주력이 있거나 바이러스성, 독성 간염의 병력이 있는 경우를 제외한 401명을 대상으로, 신체 계측, 혈액 검사, 복부 초음파를 실시하였다. 먼저, 비알콜성 지방간의 유병률 및 ATP III, 아시아 태평양 지역 복부비만 기준에 따른 대사 증후군의 유병률을 알아보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해 대사 증후군에 대한 비알콜성 지방간의 교차비를 산출하였다. 결과: 비알콜성 지방간의 유병률은 27.2%였고, 이들 환자군에서 대조군보다 혈압, 체중, 체질량 지수, 허리둘레와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공복혈당, 간 효소 수치가 의미 있게 높았으며 고밀도 지단백은 의미 있게 낮았다. 또한 환자군에서 비만, 당대사 이상, 이상지질혈증, 고혈압의 유병률이 더 높았다. 대사 증후군의 전체 유병률은 19.2%였고 비만군과 비비만군에서 비알콜성 지방간이 있는 경우 대사 증후군의 유병률이 높았다. 대사 증후군에 대한 비알콜성 지방간의 교차비는 6.458 (95% C.I. 3.178∼13.124)이었다. 결론: 비알콜성 지방간은 비만 유무에 상관없이 대사 증후군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