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Congenital heart defects screening with fetal cardiac axis between 11+0 and 13+6 weeks of gestation

        변미나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55

        목적: 태아 심기형은 빈도가 0.8%로 가장 높은 선천성 기형으로 선천성 기형으로 인한 사망의 반 이상을 차지한다. 심기형 선별검사로 심기형 태아의 처치를 적절히 함으로서 사망률, 유병율을 낮출 수 있다. 임신2삼분기 심기형 선별검사의 권고안이 나와있는 상태인데, 국내에서는 임신1삼분기에 대부분의 산과의가 nuchal translucency 측정을 하고 dual test를 시행하므로, 이때에 태아 심축 (fetal cardiac axis)측정하는 것이 심기형 screening 에 유용한지에 대해 연구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2014년 1월부터 2015년 4월까지 중앙대학교 병원에서 임신 제 1삼분기 정상태아 임신 63예, 선천성 심장기형 7 예를 정기 검진에서 nuchal translucency, ductus venosus, four-chamber view 를 포함한 초음파를 시행하여, 숙련되지 않은 2명의 심축을 측정하였으며 정상범위를 정하고, screening으로 서 심축의 유용성을 nuchal translucency, ductus venosus 와 비교하여 보았다. 측정자간 오차와 측정자내 오차 및 평균 시간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결과: 정상태아의 심축 평균은 49.51°이고 표준편차는 10.43°였으며 34.55° 에서74.05° 의 범위를 보였고 선천성 심장 태아군의 평균은 60.28°이고 표준 편차는 12.78°이었으며 48°에서 77°의 범위를 보였고 두 군 사이의 심축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심축측정은 nuchal translucency, ductus venosus 의 screening power에 비해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며 nuchal translucency, ductus venosus 와 심축을 함께 측정할 때 민감도를 높이고, 특이도를 높일 수 있었다. 결론: 임신 1삼분기 초음파 검사에서 심축의 측정은 자체로서 screening의 효과를 보이며, 더욱이 nuchal translucency, ductus venosus 과 함께했을 때 심기형 선별검사 효과를 더욱 높여주는 간편하고, 유용한 검사이다. 그리고 측정자간 오차와 측정자 내 오차는 2.2 ± 0.1?, 1.7 ± 0.4.? 로 초음파에 익숙하지 않은 초보자도 쉽게 측정할 수 있다 태아의 심축 측정은 태아의 선천성 심장 질환의 선별검사로서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 To evaluate the efficacy of measuring fetal cardiac axis as a screening tool for congenital cardiac defects in the first trimester. Methods: Fetal cardiac axis was measured by ultrasound in 70 fetuses between 11+0 and 13+6weeks of gestation. from January 2014 to April 2015 retrospectively. Sixty three cases were included in normal fetus group, 7 in anomaly group. Intra-observer and inter-observer reproducibility were calculated. Based on our results, normal cardiac axis was ranged by crown rump length (gestational age), and was applied to congenital heart defects. Results: The cardiac axis ranged from 34.6° to 74.1° (mean 49.5 ± 10.4) in 63 fetuses with normal cardiac anatomy. Congenital heart those identified with cardiac anomalies was significantly higher at 57° ( mean 60.28 ± 12.78 48 to 77, p= 0.043 ) The measurement of fetal cardiac axis appears to be good agreement between intra-observer, inter-observers. Conclusion: The assessment of cardiac axis can be helpful in screening of fetal congenital heart defects adding to the nuchal translucency, measurement

      • 고등학교 교과별 과목 구분의 유형 분석 : Tyler의 교육과정 조직의 원리를 중심으로

        변미나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55

        The necessity of ‘strengthening curriculum connectivity' has always been discussed in researches on the educational curriculum. At this point, it is necessary to discuss how educational curriculum subjects are organized and classified and what the general standards and principles are, by focusing on 'connectivity-between-subjects organization', since the educational curriculum newly set for high schools is an elective curriculum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design. Based on this awareness of problems,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hierarchy and relevance between subjects based on the subject-specific curriculum and analyze the general standards and patterns in classifying subjects as part of efforts to improve connectivity between subjects. To this end, this study has se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 classification - Korean language, English, Mathematics, Social Studies, and Science - in high schools depending on the curriculum period? Second, what are the general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subject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yler's principle of curriculum organization? To explore such research problems, we considered period-specific high school curriculum documents, summarized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 classification,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s, and finally, based on these, drew the general patterns of subject classification. In this process, we used Tyler's principle of curriculum organization largely considered in terms of curriculum connectivity as the standard of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 classification in this study. In this respect, our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as the result obtained from the first research question,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 classification can be summed up as follows centering on the horizontal connectivity and longitudinal connectivity. First, in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re is a comprehensive subject(Korean language) that embraces all content areas presented by Korean education, and if this subject is divided into ‘Ⅰ and Ⅱ,’ the relation takes an intensified form of same contents or an added form of new learning contents. Sometimes content areas are differentiated into one or two subject(s) and then develop into one independent subject, and other times the existing-divided two subjects are combined into one subject. In addition, there is also a subject that is differentiated in terms of content elements or materials. As the subjects that are differentiated in terms of content areas and then develop into one independent subject contain more intensified and developed contents than the subjects that combine content areas, they are hierarchical each other, but each differentiated independent subject is in a parallel relationship regardless of the hierarchy in contents. Second, with respect to the characteristics appearing in the curriculum of English department, English emphasizes on the integrated education of four(4) language functions in the nature of language use. This is why English department is opening integrated subjects as the subjects that have the highest difficulty unlike the other subjects differentiated as its learning difficulty gets more intensified. The integrated subjects embracing all content areas play a role as a prerequisite subject for other elective subjects and indicated as ‘Ⅰ or Ⅱ’ to represent that the same contents are intensified. In addition, the title of subject is indicated as 'practical' or 'intensified' depending on whether you focus on practical learning of English or whether you focus on academic learning of English. The integrated subjects that had differentiated content areas are mutually independent regardless of the level of contents because they deal with different areas. This is why they are in a parallel relationship. The English department opens basic-level subjects as the basic process that can compensate for learning deficits. Third, the Mathematics department also has integrated subjects that cover several areas constituting mathematics. However, mathematics don't have subjects integrating all areas in the nature of this subject that is hierarchically clear in the level of contents. In other words, as the stage of learning gets more intensified, children tend to learn new areas based on the mathematical ability accumulated in the previous stage. Accordingly, subject title of ‘Ⅰ or Ⅱ’ is used for classifying prerequisite subject from subsequent learning subject. This means an addition of new learning contents that intensified the level of contents rather than intensifying the same contents. The subjects in Mathematics department have clear hierarchy between subjects. This is why the prerequisite subjects are obvious. This influences the order of completing subjects. Like in English department, basic-level subjects are open as the basic process that can compensate for the learning deficits in common educational curriculum. Fourth, to sum up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social studies are largely divided into ‘general sociology, history, and geography.’ Each area has detailed sub-areas to constitute this subject. This is why this curriculum has a more number of subjects than any other subjects. Sometimes titles are changed and other times various elective subjects are organized because this curriculum is differentiated depending on the scope of subjects or contents or the unit of exploration despite the same lineage that comes out from the common area. Content areas constituting the social studies are integrated into one subject. And this integrated subject enables students to learn about basic concepts to be well-equipped to foster social knowledge and is characteristic of prerequisite subjects for the later-intensified elective subjects. And the subjects differentiated from this area are in a parallel relationship regardless of the hierarchy in the level of contents because they are mutually independent due to different content areas to be dealt with. Fifth, to look at the characteristics appeared in the curriculum of science, science has the simplest organization of subjects, compared to other subjects, and uses the titles of science such as 'physics, chemistry, biology, and earth science' which are content areas constituting science. This is why the subject that integrate all content areas is designated as ‘science’ and the differentiated content areas are ‘physics, chemistry, biology, and earth science.’ The integrated subjects are prerequisite subjects introducing basic concepts from the four(4) areas. Generally, students complete these four areas and then select independent subjects intensified by area. In the department of science, subjects are differentiated as the stage gets higher and the difficulty of contents gets higher. And to differentiate the level, the subject name is indicated as 'I or II' if they use the same subject name although the level of contents is different. Each elective subject differentiated from the integrated area is independent each other without hierarchy in the difficulty of contents. This is why they are in a parallel relationship. From these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subject classification above, we could draw the results from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When we looked at the curriculum by revised period of each subject, it was found that Tyler's principle of ‘continuity, sequence, and integrity’ was applied between subjects, which suggested that there was connectivity among them. Accordingly, we can classify the patterns of subject classification in terms of connectivity. First, the subject classification depends on 'integ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content areas' in terms of horizontal connectivity. According to this classification criterium, it can be departmentalized into 'integration of entire areas' meaning that all content areas constituting a subject are contained in one subject, 'partial and selective integration' meaning that some areas are combined depending on the similarity of contents or effectiveness of learning, 'differentiation into a single area' meaning that one single area is departmentalized to create one subject, and 'differentiation of multiple areas' meaning that more than two content areas are separated to create one subject. Second, the subject classification depends on 'hierarchy of contents' in terms of longitudinal connectivity. According to this classification criterium, it can be departmentalized into sub-categories such as 'presentation of different levels of common contents' meaning that the level of same contents is intensified and presented, 'classification of prerequisite subjects from subsequent learning subjects' meaning that based on prerequisite subjects, new contents are added and then subsequent learning occurs, 'classification by independent relationship between the areas' that are in a parallel relationship without hierarchy between subjects due to different content areas, and 'selection of basic subjects' that connects common educational curriculum and elective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purpose of compensating for the learning deficit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above, we have the following discussions and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issues to strengthen the connectivity of subject organization. The first thing is the subject classification by the principle of integrity. The pattern of ‘integ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content areas’ has to have the logic to the criteria of ‘integration’ and ‘differentiation’ and after being integrated, should have combination and harmony between areas. And in terms of subject differentiation, connectivity with the previous integrated subject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general criteria and principle of 'intensification of contents' if subjects are organized depending on the hierarchy of contents by subject and the principle of continuity and sequence are applied between subjects. Third, as the discussion closely related to the necessity of this study, consistent logic or principle or perspective should be set to open a subject through in-depth discussion process in order to revise educational curriculum. By doing so, such issues other than the quality of learning experience in students should not affect the subject classification. Fourth, it is necessary to have a complementary research to seek for cooperation work with adjacent subjects when developing subjects or applicability with other subjects. Fifth, it is necessary to present the organization principle and criteria of various subjects opened by each subject in the educational curriculum documents at a national level and develop detailed guidance materials so that students can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various subjects when they select subjects. 교육과정 연구에 있어서 ‘교육과정 연계성 강화’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는 항상 있어 왔으며, 최근에도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위한 기초연구를 비롯하여 교육과정 연계성을 주제로 하는 세미나들을 통해 지속적으로 교육과정의 연계성 강화 방안을 탐색하고 있다. 지금까지 교육과정 연계성에 관련된 연구들은 학교급 간 또는 학년(군) 간 교육과정의 연계성, 교과 간 또는 교과 내 연계성, 교육과정 문서상의 총론과 각론 사이의 연계성, 교육과정과 실제 적용되는 교과서 사이의 연계성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런데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교과 교육과정은 선택 교육과정으로 운영하도록 함에 따라 선택 과정의 기간이 길어지고 선택과목의 수와 종류가 다양해져 학생의 진로와 소질 계발을 위해서 어떠한 과목의 이수가 필요하며, 어떤 순서로 이수해야 하는지 등에 관한 정보의 제공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현시점에서 ‘교과목 편성에서의 연계성 문제’에 주목하여 교과별 과목들이 어떻게 구성되고 분류되었는지, 그 일반적인 기준이나 원칙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교과 내 과목 간의 연계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각 교과별 교육과정을 기초로 과목 간의 위계나 관련성을 검토하여 교과별 과목 구분의 일반적인 기준과 유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시기에 따른 고등학교 교과별(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 과목 구분의 특징은 무엇인가? 둘째, Tyler의 교육과정 조직 원리에 따른 교과별 과목 구분의 일반적 유형과 특징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탐구하기 위해 시기별 고등학교 교육과정 문서들을 고찰하여 과목 구분의 특징을 정리하고, 과목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과목 구분의 일반적인 유형을 도출하였다. 이 과정에서 각 교과별 과목 구분의 특징에 대한 본 연구의 분석기준은 교육과정 연계성 측면에서 주로 고려되는 Tyler의 교육과정 조직의 원리를 사용하였다. 그 기준의 내용은 ‘과목 간에 교과의 주요 개념, 원리 등이 반복되어 조직되는가?, 과목 간에 교과의 주요 학습내용이 심화·반복되어 위계성을 가져오는가?, 과목 간 혹은 과목을 구성하는 내용영역들이 통합적으로 조직되는가?’이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첫 번째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로서 교과별 교육과정의 과목 구분에 대한 특징은 횡적 연계성과 종적 연계성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국어과가 제시하는 모든 내용 영역을 포괄하는 통합형 과목(국어)이 있으며, 이 과목이 ‘Ⅰ,Ⅱ’로 구분되는 경우 그 관계는 동일 내용이 심화된 형태이거나 새로운 학습 내용이 추가된 형태를 의미했다. 내용영역이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하나의 독립과목으로 발전하는 형태와 기존의 분리된 두 개의 과목이 하나로 결합하는 형태가 나타나기도 하였다. 또한 내용 요소 혹은 소재수준의 분화 과목도 있었다. 이렇게 내용영역이 분화되어 하나의 독립과목으로 발전하는 과목들은 내용영역이 통합된 과목의 내용보다 심화․발전된 내용을 담고 있어 서로 위계성을 지니게 되지만, 분화된 각각의 독립 과목들은 서로 내용수준의 위계와 상관없이 병렬관계를 이루었다. 둘째, 영어과 교육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으로는 영어는 언어사용의 특성상 4가지 언어 기능의 통합교육을 강조하여 단계가 높아질수록 과목이 세분화되는 다른 교과와는 달리 통합성격의 과목을 난이도가 가장 높은 과목으로 개설하고 있었다. 모든 내용영역을 포괄하는 통합과목은 주로 다른 선택과목들의 선수과목으로서의 역할을 하며, ‘Ⅰ,Ⅱ’로 표기하여 동일 내용이 심화됨을 나타내었다. 또한 실용적인 영어 학습에 중점을 두느냐, 학문적인 영어 학습에 중점을 두느냐에 따라 과목명에 ‘실용’, ‘심화’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구분하기도 하였다. 통합과목에서 내용영역이 분화된 과목은 각기 다루는 영역이 달라 내용 수준에 관계없이 상호 독립적이므로 이들은 병렬관계를 이루었다. 영어과에는 학습 결손을 보충하기 위한 기본과정으로 기초 수준의 과목이 개설되기도 하였다. 셋째,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도 수학을 구성하는 여러 개의 영역을 포함하는 통합과목이 존재한다. 그러나 수학은 내용 수준의 위계가 명확한 과목의 특성상 모든 영역을 통합한 과목을 두지 않는다. 즉, 학습의 단계가 심화되면서 이전 단계에서 기른 수학적 능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영역을 학습하게 되는 방식을 취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과목 표기의 ‘Ⅰ,Ⅱ’는 선수과목과 후속 학습과목의 구분으로 사용되어 동일 내용의 심화라기보다는 수준을 높인 새로운 학습 내용의 추가를 의미한다. 수학과 과목들은 과목 간의 위계가 뚜렷하여 선수과목이 명확하게 드러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과목의 이수 순서에 영향을 준다. 영어과와 마찬가지로 공통 교육과정에서의 학습 결손을 보충하기 위한 기본과정으로 기초 수준의 과목이 개설되기도 하였다. 넷째, 사회과 교육과정의 특성을 정리해보면 사회과는 크게 ‘일반사회, 역사, 지리 영역’으로 나누어지며, 각 영역 내에서도 세부적으로 소영역을 나누어 과목을 구성하기 때문에 어느 교과보다도 개설되어 온 과목의 수가 많았다. 명칭을 변경하는 경우도 있었고, 공통된 영역에서 나와 계통은 같지만 다루는 대상이나 내용의 범위, 탐구의 단위에 따라 여러 과목으로 세분화되어 다양한 선택과목을 구성하는 형태도 있었다. 사회과를 구성하는 내용 영역들을 하나로 모두 통합시켜 구성한 과목은 학생들에게 기본 개념들을 학습하게 함으로써 사회적 기본 소양을 함양시키고, 이후의 심화된 선택과목들에 대한 선수 과목의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영역의 분화로 형성된 과목들은 다루는 내용의 영역이 달라 상호 독립적이므로 이들은 내용 수준의 위계와 상관없이 병렬관계에 놓이게 된다. 다섯째,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살펴보면 과학과는 다른 교과와 비교했을 때 가장 과목의 구성이 단순했고, 과학을 구성하는 내용영역인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의 명칭을 그대로 과목명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그래서 내용 영역 모두가 통합된 과목을 ‘과학’으로 하고, 내용 영역을 분화시켜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의 과목을 구성했다. 통합과목은 4개 영역의 기본 개념들을 소개하는 선수과목으로서, 학생들은 이를 이수한 후 심화된 영역별 독립과목을 선택 하여 이수하게 된다. 과학과도 단계가 높아질수록 과목의 세분화가 이루어지며 내용의 난이도도 높아지도록 편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용 수준이 다르지만 같은 과목명을 사용할 경우에는 과목명에 ‘Ⅰ,Ⅱ’로 표기하여 수준을 구분하였으며, 통합된 영역에서 분화되어 나온 각 선택과목들은 내용난이도의 위계 없이 서로 독립적이므로 이들은 병렬관계에 놓이게 된다. 이상의 각 교과별 과목 구분에서 보이는 특징들을 통하여 두 번째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각 교과의 개정 시기별 교육과정을 살펴본 결과, 과목 간에도 Tyler의 ‘계속성 ․ 계열성 ․ 통합성’의 원리가 적용되면서 연계성을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에 연계성 측면에서 본 교과별 과목 구분의 유형을 다음과 같이 구분하였다. 첫째, 횡적 연계성 측면으로서 ‘내용 영역의 통합과 분화’에 의한 과목 구분이다. 이 구분 기준에 의하여 교과를 구성하는 내용 영역들이 모두 하나의 과목 안에 담기는 ‘전체 영역의 통합’, 내용의 유사성이나 학습의 효과성에 따라 일부 영역을 결합하는 ‘부분적 ․ 선택적 통합’, 하나의 영역이 분화되어 과목을 형성하는 ‘단일 영역의 분화’, 두 개 이상의 내용 영역이 분리되어 과목을 형성하는 ‘다중 영역의 분화’라는 하위 유형들로 세분화 할 수 있었다. 둘째, 종적 연계성 측면으로서 ‘내용의 위계’에 따른 과목 구분이다. 이 구분 기준에 따라 과목 구분의 유형은 동일한 내용을 수준을 심화시켜 제시하는 ‘공통 내용의 상이수준 제시’, 선수과목을 기초로 새로운 내용이 추가되어 후속학습이 이루어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선수과목과 후속과목의 구분’, 내용 영역의 소재가 달라 과목 간 위계가 없이 병렬 관계를 이루는 ‘영역 간 독립적 관계’에 의한 구분, 학습의 결손을 보충해 주기 위한 목적으로 공통 교육과정과 선택 교육과정을 연결해주는 ‘기초과목의 선정’이라는 하위 범주로 유형화 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교과목 편성의 연계성을 강화하기 위한 개선 과제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논의 및 제언을 하였다. 첫째, 통합성의 원리에 의한 과목 구분으로서 ‘내용 영역의 통합과 분화’의 유형은 ‘통합’과 ‘분화’에 대한 기준에 논리성을 가져야 하며, 통합된 후에는 영역 간에 융합과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그리고 과목의 분화에 있어서는 이전의 통합 과목과의 연계성도 고려될 필요가 있다. 둘째, 교과별로 내용의 위계에 따라 과목을 구성하여 과목 간에 계속성과 계열성의 원리가 적용되는 유형의 경우에는 내용의 ‘심화’에 대한 일반적인 기준과 원리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의 필요성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논의로서 교육과정 개정 시에는 심도 있는 논의 과정을 통해 일관된 논리와 원칙 또는 관점으로 과목을 개설하여야 한다. 그래서 학생들의 학습 경험의 질에 대한 고려 이외의 문제가 과목 구분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넷째, 과목 개발 시 인접 교과와의 협동작업과 타 교과로부터의 적용가능성을 찾기 위해 상호보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다섯째, 각 교과별로 개설된 다양한 과목들의 구성 원리와 기준을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문서상에 제시하고, 과목 선택 시 학생들이 다양한 과목들의 성격과 내용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상세한 안내 자료를 개발하여 제공해줄 필요가 있다.

      • 무용수들의 무용유형과 대상별 스트레스 요인분석

        변미 昌原大學校 2002 국내석사

        RANK : 1823

        본 연구는 무용수들의 무용유형과 대상별 스트레스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피험자는 한국무용 100명, 현대무용 100명, 발레 100명 등 총 300명으로 하였으며, 이들은 중·고, 대·일반의 2개 대상별로 각각 50명씩 구성하였다. 검사도구는 박현정(2001)이 제작한 "대학무용과 여학생의 스트레스 척도 개발"의 스트레스 질문지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유형·대상별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도식화하였으며, 평균차를 검증하기 위하여 카이스퀘어(Chi-square)검증과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스트레스 요인 1) 차별적인 평가요인 차별적인 평가요인에서는 대·일반부가 중·고등부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유형별로는 한국무용전공자들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차별적인 평가요인에 대한 대상과 유형간의 상호작용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체형관리 요인 체형관리 요인에서는 대·일반부가 중·고등부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유형별로는 중·고등부는 현대무용과 한국무용, 대·일반부는 한국무용전공자들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체형관리 요인에 대한 대상과 유형간의 상호작용효과는 통계적으 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실기능력 요인 실기능력 요인에서는 대·일반부가 중·고등부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유형별로는 현대무용전공자들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실기능력 요인에 대한 대상과 유형간의 상호작용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무용상해 요인 무용상해 요인에서는 대·일반부가 중·고등부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유형별로는 현대무용전공자들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무용상해 요인에 대한 대상과 유형간의 상호작용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인간관계 요인 인간관계 요인에서는 대·일반부가 중·고등부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유형별로는 중·고등부는 한국무용, 대·일반부는 현대무용, 한국무용전공자들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인간관계 요인에 대한 대상과 유형간의 상호작용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경제적 부담요인 경제적 부담 요인에서는 대·일반부가 중·고등부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유형별로는 중·고등부는 한국무용, 대·일반부는 현대무용전공자들이 높게 나타 났으며, 경제적 부담 요인에 대한 대상과 유형간의 상호작용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 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 환경조건 요인 환경조건 요인에서는 대·일반부가 중·고등부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유형별로는 한국무용전공자들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환경조건 요인에 대한 대상과 유형간의 상호작용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8) 진로 요인 진로 요인에서는 대·일반부가 중·고등부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유형별로는 중·고등부는 한국무용, 현대무용이 같고, 대·일반부는 현대무용이 높게 나타났으며, 진로 요인에 대한 대상과 유형간의 상호작용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ance pattern and causes of dance stress and its reaction. I chose 100 Korean dancer, 100 modern dancer and 100 ballet dancer as a sample. I divided this sample into 2 groups, one wa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group and the other is university student and adult group. The research methods of this study is the questionnaire from "University dancing and stress degree development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of Park Hyeun Jeong(2001). I calculated the mean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pattern and subjects. The results of my calculation were diagramed. To prove the mean error, Chi-square and two-way ANOVA were practic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1. The cause of stress 1) discriminative evaluation The university student and adult group shows higher grade than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group. In terms of dance pattern, Korean dancer is the highest group. The correlation between subjects and pattern in discriminative evaluation proved statistically different. 2) figure maintenance The university student and adult group shows higher grade than the other group. Modern dancer and Korean dancer are the highest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group, and Korean dancer is the highest in University and adult group. The correlation is statistically different. 3) practical technique The university and adult group is higher than the other one. Modern dancer is the highest grade. The correlation is statistically indifferent. 4) injury The university and adult group is higher than the other one. Modern dancer is the highest. The correlation is statistically indifferent. 5) human relation The university and adult group is higher than the other group. Korean dancer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group and Modern dancer and Korean dancer in the university and adult group show the highest score. The correlation is statistically different. 6) economic cause The university and adult group is higher than the other one. Korean dancer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group and Modern dancer in the other group show the highest scor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ject and pattern is statistically different. 7) environment The university and adult group scores higher than the other one. Korean dancer shows the highest score. The correlation is statistically indifferent. 8) future The university and adult group shows higher score than the other one. Korean dancer and Modern dancer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group scored the same grade. Modern dancer in the university and adult group is the highest. The correlation is statistically different.

      • 강점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산재근로자의 회복탄력성 및 구직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변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2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injured worker’s resilience and job search efficacy having strengths-based group counselling program. Candidata from Seoul, Gangseo-gu injured workers, the experimental group of 11, and the control group of 11 total of 22 injured workers. The program used for this study were based on previous strengths-based group counselling program for injured workers, such as Korea Workers Compensation and Welfare Service in Hope search program. With the help of 3 psychological counselor’s feedback were able to revised and updated. The program consisted 8 sessions, each session lasted 120 minutes and researcher myself conducted the program. Resilience scale and Job search Efficacy scale were used to analyze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For data analysis SPSS 23.0 program were applied and with frequency analysis, it verifie general individuality.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resilience and job serch efficacy,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pre and post specimen experiment had been tested by the Mann-Whitey test. The difference in pre- and post-mortem test scores of each variable in the group was performed by Wilcoxon signed-rank test. The finding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of the injured work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rengths-based group counselling program showed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in resilience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idn’t. Second, he experimental group of the injured work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rengths-based group counselling program showed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in job search efficacy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idn’t. The study proved that strengths-based group counselling program help enhancing injured worker’s resilience and job search efficacy. Therefore,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the effectiveness of collective counseling programs based on strength against the backdrop of positive psychology was verified for middle-aged people and positive psychology was applied to industrial workers who suffered industrial accidents. It is also meaningful that this study is highly practical by organizing the program contents considering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industrial worker and the actual approach was made through emotional and psychological explor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산재근로자를 대상으로 강점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실시하여 회복탄력성 향상 및 구직효능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지역 강서구에 위치한 A병원에 요양기간중인 산재근로자들을 대상으로 ‘강점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내용과 목적을 공고하여 참가를 희망한 실험집단 11명, 통제집단 11명 총 22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프로그램은 기존의 근로복지공단에서 운영하고 있는 희망찾기 프로그램을 토대로 구성 되었으며, 상담심리 전문가 3인의 지도를 통하여 수정· 보완 되었다. 프로그램은 총 8회기, 회기당 120분으로 구성되었고, 본 연구자가 직접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회복탄력성 및 구직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3.0을 이용하여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고,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실시에 따른 효과 검증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및 사후검사에 대한 차이는 Mann-Whitey test를 실시하였고, 집단 내 각 변인의 사전-사후 검사 점수 차이는 Wilcoxon signed-rank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점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회복탄력성이 향상되었다. 둘째, 강점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구직효능감이 향상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강점기반 집단 상담 프로그램이 산재근로자의 회복탄력성 및 구직효능감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긍정심리학의 강점을 기반으로 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검증한 점과 산업재해를 당한 산재근로자들에게 실시하여 긍정심리를 적용시켰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산재근로자의 심리·정서·직업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프로그램 내용을 구성하였으므로 실용성이 높으며, 실제적인 접근이 이루어졌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한국의 영유아보육정책에 관한 연구

        변미 영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23

        This thesis is to examine out the nursing policies for infant and young children of the advanced countries and to examine out the present status and the problems of nursing policies for infant and young children of Korea. The present status and the problem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five parts by way of an analysis frame of Gilbert and Terrell(2002), such as the nursing object(the person engaged for nursing facilities, the nursing environment, the nursing service), the nursing wage(the nursing facilities and the nursing cost), the nursing delivery system(evaluative accreditation system), and the nursing finance. The following developing plans can be put forward based on the analysis and the discussions above. Firstly, it is necessary to improve labor conditions for persons engaged for nursing facilities and to produce useful nursing environment focused on children's care. The improvement of work environments such as the work shift, the day-off, the nursing education helps to have high-qualified professional nursing human resources. And the wage system on a par with the wage system of public kindergarten should be secured. The infrastructure for providing various nursing services should be built in order to establish high-quality public nursing system and the nursing education system which are available for every children to meet the increasing level of anticipation for children's care resulted from the rise of standard of living. Secondly, in the aspect of nursing wage, it is necessary to expand national and public nursing facilities in the consideration of district conditions. It is important to expand public and national nursing facilities in order to secure publicity of nursing and heighten quality of nursing. However, the local government can not afford to expand the facilities due to the lack of the necessary budget for purchasing a land and for construction cost of the facilities. Thus, it is necessary to set up a plan in which the central government, cities and provinces bear the expenses for the facilities. And the Government should heighten the level of quality for the nursing service by expanding the eligibility of all-expense-paid recipients. And also, the Government should support actively for the lessening of cost burden of nursing children imposed on parents. Thirdly, in view of nursing delivery system,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close cooperative system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local government for the efficient enlargement of evaluate accreditation. And then they should enlarge the incentive for the accredited facilities and enforce public advertisement for the facilities. Designating the excellent facilities with evaluative accreditation by regions as a good example ones, they should maximize the excellency of the example facilities. Fourthly, in the aspect of nursing finance, it is necessary to enlarge the financial support for the non-governmental nursing facilities. In order that the non-governmental nursing facilities, which 77.5% of the nursing children attends, secure the publicity of nursing and heighten the level of quality of nursing service, the nursing service should be improved by way of enlargement of financial support and supervision for the non-governmental nursing facilities. Without the active support of the Government and the local government, the equality of opportunity or the enlargement of opportunity for infant and young children nursing is almost impossible. Thus, it can be said that the enlargement of financial support for the non-governmental nursing facilities takes on the character as good as a facility supported by the Government. Therefore, the nursing cost should be supported without distinction of national and public facilities or nongovernmental facilities as the advanced countries do. And also, the institutional control and supervision should be performed for the facilities much the same as the institutional control and supervision for the facilities supported by the Government. 본 연구에서는 선진국의 영·유아보육정책을 살펴보고, 한국의 영·유아보육정책을 Gilbert와 Terrell(2002)의 분석틀을 이용하여 보육대상(보육시설종사자, 보육환경, 보육서비스), 보육급여(보육시설 및 보육료), 보육전달체계(평가인증제), 보육재정으로 나누어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보육대상 중 보육시설종사자의 처우개선 및 아동 중심의 보육환경 조성은 근무교대, 휴가, 보육교육 등 근무환경의 개선으로 자질이 높은 전문 보육인력을 확보하고, 공립유치원 수준의 봉급체제를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국민의 생활수준 향상과 기대수준의 증대로 모든 아동이 이용 가능한 질 높은 공보육·교육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다양한 보육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보육급여에 있어서는 지역 여건을 고려한 국·공립보육시설 확충이다. 보육의 공공성을 확보하고 보육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안으로 국·공립보육시설 확충이 매우 중요하지만, 토지구입비 및 건축비 등 많은 예산의 소요로 지방자치단체의 열악한 재정환경으로 시설 확충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에 소요비용을 중앙정부 및 시·도에서 부담하도록 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정부에서는 보육료 전액지원 대상을 확대하여 보육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제고함과 동시에 부모의 자녀양육 비용부담을 경감토록 적극 지원해야 할 것이다. 셋째, 보육전달체계는 평가인증의 원활한 확대를 위하여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에 긴밀한 협조체제를 구축하고 이를 위하여 평가인증된 시설에 대하여 인센티브를 확대 지원 및 홍보를 강화하며, 지역별 평가인증 우수시설을 모범시설로 지정하여 적극 활용해야 할 것이다. 넷째, 보육재정 면에 있어서는 민간보육시설에 대한 재정지원 확대이다. 전체 보육아동의 77.5%를 이용하는 민간보육시설의 공공성을 확보하고 보육서비스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방안들은 민간보육시설의 재정지원 확대와 지도감독을 통한 서비스 향상이다. 영유아보육의 기회확대와 균등화는 정부 및 지방의 적극적인 지원 없이는 불가능하다. 민간보육시설에 대한 지원확대는 민간보육시설이 정부지원시설로서의 성격을 가지게 되는 것이고, 보육료는 다른 보육선진국에서와 마찬가지로 국·공립, 민간 구분없이 동일하게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들에 대해서는 정부지원시설과 동일한 수준의 제도적 관리, 감독이 반드시 실시되어야 한다.

      • 동영상을 중심으로 한 효율적인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작방법

        변미 西原大學校 情報通信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1823

        오늘날 멀티미디어는 영상회의, 전자출판, 오락, 교육, 방송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으며 동영상은 대표적인 멀티미디어 구현형태이다. 동영상은 기본영상에 다양한 애니메이션과 특수효과 그리고 오디오를 결합한 형태로 구현되며 이러한 동영상을 기획 의도대로 만들기 위해서는 반드시 편집과정을 거쳐야 한다. 동영상 편집 방법은 크게 선형편집(Linear Edit)과 비선형편집(Non-linear Edit)으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영상 편집방법 중 PC를 활용한 비선형편집(Non-linear Edit)을 기반으로 설명하였다. 그리고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고 있는 어도비사의 디지털 비디오 편집 도구인 프리미어를 기반으로 편집 관련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영상, 텍스트 애니메이션, 장면전환, 특수효과, 오디오 등의 멀티미디어 요소를 효과적으로 편집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소개하였다. 그리고 실제 제작된 영상의 분석을 통해 일반 사용자들이 각 요소별로 유사한 효과를 표현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선택 과정에 대한 안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논문은 2003년 8월 서원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공학석사학위 논문임. Multimedia is applied to various areas such as video conference, electronic publishing, amusement, education, broadcasting, and so on. Moving picture is a representative multimedia implementation form. In general, moving picture is implemented by adding various animations, special effect, and audio, to a basic image. We call this additional process by the editing process. The editing process is needed to make moving picture more effectively. There are many editing tools used in the editing process. In this thesis, we compare and analyze various non-linear editing tools for moving picture. We also present new guidelines for the selection of suitable editing tools to novice developers of moving pictures. The guidelines include editing tools for text animation, scene translation, special effect, and audio: adobe premiere, Aftereffect, Photoshop, ulead cool3D, Swishzone.com swish, macromedia flash, Impulse illusion, Sonic Foundry sound forge.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Technology, Seowon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ngineering in August, 2003.

      • 동화를 활용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이 정서·행동장애 위험아동이 포함된 일반학급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도, 정서능력,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변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23

        While many children at risk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face difficulty in naturally acquiring social skills, children without disability also have trouble forging interpersonal relations due to maladjustment in the development cycles, family breakdowns, and the increase in nuclear families. The resulting lack of social skills not only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child’s relation with peers and teachers but also leads to difficulty when the child enters adulthood. Thus, helping individuals acquire social skills to build an upright character and establish positive relationships with others during childhood is both meaningful and import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Social Skills Improvement Program that utilizes fairy tales on children at risk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and children without disability within same classroom with specific evaluation criteria that includes the children’s school adjustment, emotional competency, and self-esteem.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hange of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2.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hange of emotional competency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3.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hange of self-esteem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4.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hange of school adjustment, emotional competency, self-esteem and social competence and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at risk for EB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ird-graders in two different classrooms at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study with each class composed of one child at risk for EBD and 20 or 22 children without disability.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were exposed to 12 sessions of Social Skills Improvement Program Using Fairy Tales during the creativity-building time slot in their school curriculum. The routine session was held twice a week for forty minutes each.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group children participated in various leisure activities chosen by the teacher during the same time slot. With a pretest-posttest control-group experimental design, an independent t-test was used to assess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s of school adjustment, emotional competency, and self-esteem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or children at risk for EBD, the arithmetical changes of the raw score and the percentile rank of ‘Scale of Social Competence and School Adjustment’ was examined based on the homeroom teacher’s rating. The Social Skills Improvement Program Using Fairy Tales was based on five sectors of social skills, namely cooperation, self-assertion, responsibility, empathy, and self-control. Each session of the Social Skills Improvement Program Using Fairy Tales consisted of the following activities. In the introduction stage, games and activities were utilized to arouse the interest of the children and create an accommodating atmosphere. During the development stage, the teacher read a book aloud then engaged the children to participate in activities based on the story including role play, mock interviews, and drawing mind maps. For the closing stage, the children freely exchanged their opinions about the overall program that da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of school adjustmen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eco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change of the emotional competenc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ir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change of the self-esteem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orth, a comparison between the child at risk for EBD in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found that the child in the experiment group showed a slightly higher improvement in the dependent variables except self-esteem; however, because the change was insignificant, it cannot be judged as meaningful. Therefore, the implementation of the Social Skills Improvement Program Using Fairy Tales results in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 without disability's emotional competency and self-esteem. However, in the case of children at risk for EBD, the changes were insignificant.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e following aspect: First, the effectiveness of the Social Skills Improvement Program Using Fairy Tales was evaluated in the context of the regular school curriculum, specifically during the time slot allocated for creativity-building. Second, the need to provide both intervention under an inclusive environment and a stable, long-term customized care for each child at risk for EBD was verified. Third, implementing a Social Skills Improvement Program Using Fairy Tales in a classroom composed of both children at risk for EBD and children without disability fostered a supportive mood among the children. 일반학급에서 생활하는 정서·행동장애 위험아동들은 학업준비기술의 부족과 수업 참여를 방해하는 문제행동으로 인해 학업에 어려움을 경험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정서·행동장애 위험아동들이 보이는 공격적이고 충동적인 행동들은 함께 생활하는 일반아동들의 학습을 방해하고, 또래, 교사와의 긍정적인 관계형성을 어렵게 한다. 다양한 특성을 보이는 아동들이 포함된 학급을 운영하는 교사는 정서 및 행동상의 문제를 보이는 아동들의 문제행동과 방해행동으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성장기에 학습부진으로 인한 자존감 저하, 집단 따돌림에 의한 우울 등 발달상의 부적응 문제를 경험하는 아동이 증가하고 있으며, 핵가족의 증가, 가정의 파괴 등으로 인해 사회성 기술을 자연스럽게 습득하지 못하여 타인과의 관계에 어려움을 겪는 아동의 수도 날로 늘어나고 있다. 특히 학교 내 집단 따돌림, 폭력이 증가하면서 사회성 향상을 위한 특정 학생이 아닌 모든 학생의 적절한 교육적 지원의 강화가 요구되고 있다. 사회성 기술의 부족은 외현화, 내재화된 행동문제, 낮은 자아존중감, 외로움, 적대적인 대인관계와 같은 부정적인 결과와 관련이 된다. 또한 성인기의 성공적인 삶을 영위하는데 심각한 영향을 준다. 학급은 다양한 특성과 능력을 가진 아동들로 구성된 역동적이고 상호적인 복잡한 환경으로, 아동들은 학급 내 복잡한 인간관계 속에서 상호작용하며 성장한다. 학급 구성원들은 서로에게 역할모델이 되어 사회의 질서와 규범을 배우고, 또래의 피드백을 통해 자신을 인식하고, 타인의 관점을 지각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학급 전체아동을 대상으로 한 긍정적인 관계형성을 촉진하는 사회성 향상을 위한 지원은 상호지지적이고 안정된 학급 공동체 형성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서·행동장애 위험아동이 포함된 일반학급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동화를 활용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이들의 학교생활적응도, 정서능력, 자아존중감 변화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정서·행동장애 위험아동의 경우, 학교생활적응도, 정서능력,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담임교사가 평정한 ‘사회적 능력 및 학교적응행동척도’ 원점수와 백분위점수의 산술적 변화추이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 A초등학교 3학년 정서·행동장애 위험아동 2명과 그 아동이 속한 두 학급의 일반아동 42명이다. 실험집단은 학급의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이용하여 주 2회 40분씩 12회에 걸쳐 동화를 활용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교사재량의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여가 중심의 활동을 하였다. 본 연구는 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학교생활적응도, 정서능력, 자아존중감에서 두 집단의 변화 정도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두 독립표본 t 검정을 사용하였다. 또한 정서·행동장애 위험아동의 학교생활적응도, 정서능력, 자아존중감의 변화와 ‘사회적 능력 및 학교적응행동척도’ 원점수와 백분위점수의 산술적 변화추이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생활적응도 변화에서는 동화를 활용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능력 변화에서는 동화를 활용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을 실행한 실험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능력의 하위 요인별 분석 결과, 감정이입, 정서조절, 정서활용에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정서인식과 정서표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자아존중감 변화에서는 동화를 활용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을 실행한 실험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의 하위영역별 분석 결과, 학업적 능력, 사회적 수용, 운동적 능력, 신체적 능력, 행동적 능력의 5가지 하위 영역 중 신체적 능력에서만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두 집단에 속한 정서·행동장애 위험아동의 변화양상을 비교한 결과, 모든 종속변인에서 사전-사후 간 향상 정도가 유사하여 두 아동 간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동화를 활용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은 정서·행동장애 위험아동이 포함된 일반학급전체의 정서능력과 자아존중감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학교생활적응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정서·행동장애 위험아동의 변화는 집단에 관계없이 변화량이 미미하여 눈에 띄는 변화를 보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본 중재가 개별 정서·행동장애 위험아동의 성과를 향상시키지는 못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정서·행동장애 위험아동이 포함된 초등일반학급 전체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했다는 점, 아동들에게 친밀한 동화를 활용하여 교육과정 안에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을 운영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단기간의 중재를 통해 긍정적인 변화모습을 보인 일반아동과 달리 정서·행동장애 위험아동은 좀 더 강력하고 장기적인 중재를 제공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후속 연구에서는 일반아동의 사회성 향상을 통해 또래 수용도를 높이는 동시에 정서·행동장애 위험아동을 위한 개별화된 사회성 중재를 함께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발달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중재를 위한 교사-부모간 협력 실태 및 개선 방안

        변미 창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1823

        본 연구는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교사-부모간 협력을 증진하는 방안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와 부모의 협력 실태에 대한 인식은 어떠하며, 이들 간의 인식 차이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둘째, 교사와 부모의 협력 저해 요인에 대한 인식은 어떠하며, 이들 간의 인식 차이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셋째, 교사와 부모의 협력 개선 방안에 대한 인식은 어떠하며, 이들 간의 인식 차이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이상의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경남 지역에 소재한 특수학교에서 문제행동이 나타나는 발달장애학생을 담당하고 있는 현직 담임교사와 학부모 14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자가 연구 문제에 부합하도록 구성한 문제행동 중재를 위한 협력 실태, 저해 요인, 개선 방안 등에 대한 조사 설문지를 사용하여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128명의 응답내용이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응답 내용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증, 그리고 개방형 응답에 대한 기술 및 해석이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부모간 협력 실태에 대한 인식 정도는 교사와 부모 모두 협력 실행 정도를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효능감/성실’, ‘기술/문제해결’, ‘존중/동등성’의 세 가지 요인 중 ‘효능감/성실’ 요인에서 부모 보다 교사의 인식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교현장에서 교사가 더 주체적으로 부모와의 협력을 이끌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학생의 문제행동 중재에 대해 부모 또한 동등한 입장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자세가 요구된다. 둘째, 교사-부모간 협력 저해 요인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차이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협력을 저해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교사들은 학생과 교육에 대한 부모와의 가치, 견해, 철학 등에서의 인식 차이라고 생각했고, 부모들는 한정된 특수교육 자원 관련 문제와 지식, 정보, 경험의 부족이라고 생각했다. 셋째, 교사-부모간 협력 개선 방안에 대한 인식 정도는 교사와 부모 모두 협력 개선에 대한 요구가 높은 편이며, 내적 요인, 상호적 요인, 외적 요인의 세 가지 요인 중 내적 요인에서 부모 보다 교사의 인식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사와 부모는 주로 교사-부모간 상호적 관계 측면의 의사소통 개선을 가장 증진되어야 할 개선 방안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발달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중재에서 교사-부모간 원활한 협력을 위해서 내적․ 상호적․외적 요인을 증진할 필요가 있다. 먼저 내적 요인으로 교사와 부모는 관련 교육이나 연수에 참여하여 부단히 전문성 및 상담능력을 길러 합리적이고 성숙한 자세를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상호적 요인으로 교사-부모간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해 서로에 대한 이해와 신뢰를 쌓고, 학생의 문제행동 중재를 협력적으로 일관성 있게 접근해 나가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외적 요인으로 환경적 차원의 물리적이고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학급당 학생 수 감축, 특수교사와 보조 인력의 양적 확대, 특수교사의 업무 축소, 예방적 차원의 제반 환경의 재정비 등의 다차원적 지원과 여건 마련이 시급할 것이다.

      • 영어독해력 향상에 관한 독해지도 연구

        변미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1823

        With the change of times, the study on reading has been progressed and various reading skills have been introduced. However, traditional grammar-translation method has been taught in our typical EFL reading class. For this reason, students' reading abilities have not been improved in terms of their efforts and time in reading. These results are caused by the absence of systematic reading methods which can apply various reading skills to the reading class. Perceiving the importance of reading skil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heories for developing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of EFL students, and to present the reading methods applying to the theories. By practicing these reading skills and applying them to the reading instruction, reading ability can be improved. This study is made of the following form in each chapter. In chapter 1, there is an introduction: the necessity, purpose, content of this study. Chapter 2 deals with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reading : the definition of reading, the reading methods and schema theory. Chapter 3 presents the stages of reading : pre-reading activities, while-reading activities, post-reading activities. And the performances of each steps are properly selected. Chapter 4 discusses the method of specific reading skills. In chapter 5, there are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nd the opinion in the way of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Reading skills should be taught appropriately under a teacher's detailed plan and instruction. General readers must practice these specific reading skills steadily to improve their reading abilities. To improve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an intensive and interactive reading class on specific reading skills should be programm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