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tudent and Faculty perspectives on Student Course Evaluation: A Case Study of a U.S. University

        Kiyong Byun(변기용) 한국교육행정학회 2006 敎育行政學硏究 Vol.24 No.3

        학생에 의한 강의평가에 대해서는 그 동안 수 많은 연구가 이루어 졌는데, 기존의 연구는 주로 학생 강의 평가의 신뢰도과 타당성 또는 이에 대한 교수들의 인식조사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 졌다. 이에 반해, 학생과 교수 등 서로 다른 집단이 학생 강의평가에 대해 가지는 인식 비교 등에는 상대적으로 제한된 수의 연구만이 이루어 졌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학생과 교수집단이 과연 효과적 강의가 무엇인지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서로 다른 기준을 적용하는가” 여부와, 둘째, 미국 오레곤 대학에서 실제로 시행중인 학생강의 평가 방식에 대한 학생들과 교수들의 인식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실증적으로 조사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한국과 미국의 대학현장에서 시행되고 있는 강의평가 방식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주고, 나아가 효과적인 교수법 구안에 대한 연구전반에 기여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오레곤 대학의 162명의 학생과 56명의 교수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다. 자료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먼저, 일부 차이는 있지만, 교수와 학생들은 효과적 교수방식을 평가하는데 있어 동일한 기준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학생들과 교수들은 현행 학생 강의 평가방식에 대해서는 여러 측면에서 상당히 다른 견해를 보이고 있다 (예: 강의평가과정에서 익명성 보장 여부, 학생 강의평가의 타당성 여부, 강의의 난이도와 평가결과와의 연관성 등). 단, 강의평가 결과의 활용과 관련해서는 학생들과 교수들은 서로 비슷한 견해를 보이고 있다. 분석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첫째, 학생강의 평가결과는 유용한 자료이며, 그 결과는 강의의 질 개선이나, 교수들의 승진, 정년보장 등의 결정에 있어서 활용되어야 한다. 다만, 이 경우 강의평가는 신뢰도와 타당성이 보장될 수 있는 방식으로 시행되어야 하며, 단순히 평가지에서 제시된 점수를 합산하는 방식이 아니라 티칭 포트폴리오, 동료평가 등의 다양한 자료들과 함께 고려될 필요가 있다. 둘째, “효과적 강의”는 다면적 차원의 개념으로서 강의평가지 설계시에는 교수 강의능력과 관련된 다면적 차원이 모두 포함될 수 있도록 고려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강의평가지에 포함된 모든 항목의 단순평균으로 교수강의의 전체적 효과성을 평가하는 현행 방식은 재고될 필요가 있다. 셋째, 강의 종료시에 강의평가를 하는 일반적 방식은 전반적인 강의의 질 향상에는 도움이 되지만, 해당강의를 수강하는 학생들의 입장에서 볼 때 당해 강의에 대한 문제점을 시정하는 기회를 부여받지 못한다는 측면에서 문제가 있으므로 해당학기의 중반에도 형성평가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The study was designed: first to determine whether students and faculty rate effective teaching criteria differently in forming their respective perceptions of effective teaching; secondly to explore student and faculty views on the current student course evaluation procedures at the University of Oregon. 162 students and 56 faculty members in the College of Education at the University of Oregon were surveyed. The results indicate that, although some differences exist, faculty and students generally rate teaching effectiveness in similar ways. It was also found that students' and faculty members' general attitudes toward current student course evaluation procedures are quite different in many aspects (e.g. confidentiality in the rating process, the accuracy of student ratings, the relationship between rating results and course difficulty etc.). However, students and faculty appear to have similar views on the use of student course evaluation results.

      • KCI등재

        한국 교육행정학의 학문적 정체성과 연구 방법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 : 이분법적 배타성 극복을 통한 대안적 지점의 모색을 중심으로

        변기용(Byun, Kiyo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18 敎育行政學硏究 Vol.36 No.4

        본 연구는 우리 교육행정학 이론이 실제와 괴리되어 있다는 상황 인식하에, 이러한 문제의 근저에는 무엇보다 ‘이론 vs. 실천 지향적 연구’, ‘양적 vs. 질적 연구’, ‘이론의 보편성 vs. 특수성’으로 나뉘어진 이분법적 배타성이 암묵적으로 자리 잡고 있다고 진단하였다. 이러한 문제인식 하에 필자는 현재 한국에서의 ‘교육행정학의 학문적 정체성 확립’은 바로 “교육행정학에서 필요한 ‘이론’은 무엇인가?, 이를 어떻게 생성·축적해 나갈 수 있는가?” 라는 근본적 질문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다음과 같은 대안적 관점을 제시하였다: (1) 교육행정학 연구에서는 ‘학문성’과 ‘실천성’이 모두 중요하다; (2) 토착적 이론 구축을 위해 교육행정학에 가장 필요한 이론은 적절한 조직적·상황적 맥락에서 타당성을 가질 수 있는 ‘중범위 이론’이다; (3) 거시적 측면에서 이론의 생성·축적을 위해서는 질적·양적 연구의 상보적 역할이 필요하다; (4) 질적 연구는 구성주의(해석주의)적 관점 뿐 만이 아니라 다양한 탐구 패러다임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 관점에 따른 구체적 연구방법으로서는 근거이론적 방법에 따른 귀납적-질적 연구의 적극적 활용, 외부 전문가의 전문적 지식과 현장 실천가의 경험적 지식의 상호작용을 통한 공동생성적 지식창출을 강조하는 실용적 실행연구(pragmatic action research) 방법이 제안되었다. This study begins by arguing that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ories in Korea are currently separated from practices; and that the reasons causing such problems seems to be deeply rooted dichotomous thinking in the academic community and subsequent debates surrounding theoretical vs. practical research; quantitative vs. qualitative research; and general vs. specific theory. The author argues that, to improve current situation and to establish clearer identity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EA) as an academic discipline, the Korean EA community needs to start thinking about (1) what is ‘a theory’ given academic identity of EA as a social science ; and (2) how can theories be created and accumulated over time from what kinds of research methodology perspectives?. The alternative perspective which the author argues includes the following 4 principles: (1) EA research should respect both academic and practical value; (2) To create theories to explain phenomena and educational system in Korea, the EA community should put more emphasis on pursuing a mid-range theory; (3) to create and accumulate theories from a macro-perspective, the complementary roles betwee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should be emphasized; and (4) Qualitative research can be conducted based on various inquiry paradigms, not exclusively on a constructivist (interpretivist) paradigm. Qualitative-inductive research based on a grounded theory approach and Pragmatic action research are recommended to implement these principles.

      • KCI등재

        국제교육표준분류(ISCED-97)에 따른 현행 고등교육 프로그램 분류체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변기용(BYUN Kiyong) 한국비교교육학회 2007 比較敎育硏究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1997년 국제교육표준분류(ISCED-97)가 채택된 이래 OECD 주요 국가에서 일어난 고등교육 분야의 급격한 변화를 현행 분류체계가 제대로 수용하고 있는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에 답하는데 있다. 1990년대 후반부터 유럽지역을 중심으로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일련의 고등교육 개혁조치들(볼로냐 프로세스)은 고등교육의 성격자체에 엄청난 변혁을 초래하고 있는바, 이는 ISCED-97의 분류기준을 구성하는 (1) 전문연구자격, (2) 수학연한, (3) 이론지향(직업지향), (4) 전문직(일반직업) 등과 같은 핵심적 개념요소들의 의미와 해석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ISCED-97 분류기준이 국가별로 일관성 있게 적용되는데 많은 혼란을 초래하는 주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와 관련, 최근 유럽연합을 중심으로 논의가 확산되고 있는 유럽자격체계는 투입요소, 외형적 기준(수업연한, 학위 명칭 등)에 치중한 현행 분류방식에서 탈피, 학습성과(지식, 기술, 소양)를 그 기준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ISCED-97과 같은 국제 교육프로그램 분류체계의 재구조화 방향과 관련하여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한편, 우리나라의 현행 분류체계의 경우 국제비교적 관점에서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전문대학원/특수대학원, 교육대학/산업대학의 단계 분류와 관련해서는 보다 심층적이고 즉각적인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swer whether the current higher education classification scheme based on ISCED-97 has effectively caught up with recent higher education developments in the OECD countries. Since the late 1990s, a series of reforms have occurred in the area of higher education, in particular, in the European countries which in turn have had a great impact on the nature of higher education itself. These reforms have gradually changed the meaning and interpretation of the core elements of the ISCED-97-(1) advanced research qualification, (2) theoretical duration of study, (3) program orientation (theoretical vs. occupational), (4) high skills profession-consequently causing inconsistency in applying the criteria of ISCED-97 across different educational systems in the OECD countries. In relation to this, the European Qualification Framework (EQF), recently proposed by the European Commission, suggests meaningful implications on improving the current classification scheme of higher education programs on the ground that the focus of EQF classification criteria, as opposed to the current classification scheme, is not on "input (i. e. duration of study, number of credits, program orientation)" but on "learning outcome (i. e. knowledge, skills, competencies)." Regarding the current classification scheme for the Korean higher education programs, the study argues that there are a number of problems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comparability. In particular, the study recommends that immediate and intensive attention should be paid in classifying programs at (1) professional/ special graduate schools, (2) Industrial universities, and (3) universities for primary teachers" education.

      • KCI등재

        COVID-19가 고등교육체제에 초래한 변화와 가능성 탐색 : 대학 현장 보직교수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변기용 ( Byun Kiyong ),손다운 ( Son Daun ),이승희 ( Lee Seunghee ),조성우 ( Cho Sungwoo B. ) 안암교육학회 2021 한국교육학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COVID-19로 인한 급격한 사회 환경 변화 속에서 국내 대학들이 경험하고 있는 변화와 어려움들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이러한 이해를 토대로 대학들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아 준비해야 할 교육혁신을 위한 새로운 가능성과 이에 따른 과제들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전국 4년제 대학의 보직교수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대학의 유형과 맥락에 따라 나타나는 상황을 보다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COVID-19로 인해 대학 구성원들이 급속히 확대된 온라인 교육의 실체와 가능성에 대해 새롭게 인식한 것이 가장 의미있는 변화로 나타났으며 이는 곧 대학 시설·설비, 기술, 그리고 오프라인 대학의 의미에 대한 성찰의 필요성을 제기해 주었다. 한편 COVID-19로 인한 대면접촉의 최소화는 그 동안 산업 현장 및 학생들과의 접촉면을 넓힘으로써 교육 혁신을 추진해 온 지방 후발 중소규모 대학들에 가장 큰 타격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OVID-19로 촉발된 변화를 교육혁신을 위한 새로운 가능성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수들의 학부교육의 중요성을 보는 태도와 가치관 변화가 가장 중요한 것임을 다시금 확인하였다. 아울러 지방 후발 중소규모 대학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보다 정교한 대책 마련과 오프라인 시대에 만들어진 법령과 제도의 전면적 재검토, 양질의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연계·활용할 수 있는 ‘공유 교육과정의 도입’, 그리고 온라인 교육의 질 관리 등에 대한 정부의 역할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changes and difficulties experienced by South Korean universities due to rapid social changes generated by COVID-19, and based on this understanding, proposes new opportunities and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innovation in a post COVID-19 era. Survey data was collected from 4-year university deans and directors across the country, and was then followed by in-depth interviews to understand current situations more thoroughly in regards to university type and context. The ensuing results revealed that the most meaningful change brought about by COVID-19 was that members of Korean universities, in particular faculty members, perceived the true nature and potential embedded in online education; hence, raising the question that there was a need to reflect upon the meaning of university facilities, equipments, technology and the offline university concept. On the other hand, reduced face-to-face contact due to COVID -19 hit small and medium-sized universities in local regions the hardest, which had long striven to initiate educational innovation by increasing face to face contact with students and industries. Furthermore, in order to turn the changes caused by COVID-19 into new opportunities; the change in attitude and perception towards undergraduate education by faculty members, once again proved to be most important. Therefore, this study calls for the provision of more detailed measures to help alleviate the difficulties of small and medium-sized universities in local regions, the overall re-examination of regulations and systems put in place during the offline education era, the implementation of a ‘Shared Curriculum’ that enables high-quality educational contents to be transfered and utilized effectively, and finally, highlights the role of government in areas such as online education quality assurance.

      • KCI등재

        분과학문간 연계, 융합,통섭과 고등교육학의 향후 발전과제

        변기용 ( Kiyong Byun ),이석열 ( Suk Yeol Lee ) 안암교육학회 2015 한국교육학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학문으로서의 고등교육의 개념 및 연구 현황을 분석하고, 분과학문간 연계, 융합 및 통섭이라는 관점에서 ‘새로운 연구 영역’으로서 고등교육학의 발전방향과 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현재까지의 고등교육 연구성과를 파악하기 위해 교육 분야의 총 36개 학술지를 대상으로 2001년부터 2013년까지 게재된 논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에서도 이미 고등교육 제도와 현상에 대한 상당한 연구가 축적되어 있기는 하지만, 고등교육이라는 대상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분과학문적 배경을 가진 연구자들이 단일 학문공동체를 이루고 있는 미국과는 달리, 연구자들이 분과학문 배경에 따라 상호교류 없이 분절적으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어 연구성과의 체계적 축적과 시너지 창출에 실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고등교육학의 발전을 위해서는 (1) 교육행정학으로부터 고등교육행정의 분리·독립 및 독자적 학문적 정체성의 확립, (2) 고등교육이라는 연구대상을 중심으로 교육학내의 인접 분과학문과의 연계, 융합 및 통섭의 강화, (3) 교육학 외부의 분과학문과의 연계, 융합, 통섭을 통한 학문공동체로서의 외연 확대 등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실천전략으로 정부 차원에서 고등교육에 대한 실천적 이슈를 중심으로 분과학문 연구자들간의 공동연구 장려(연구비 지원), 학문 공동체 차원의 자발적 교류 협력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urrent status of research in the area of higher education and to suggest a new direction of establishing higher education as a new field of study based on inter-/multi-disciplinary approach in Korea. To examine extant research on higher education, the study analyzed all academic articles published from 2001 to 2013 in 35 KCI journals in the area of education. The results show that considerable amount of research has been already done in the area of higher education. However, unlike the situation in the US where researchers with various disciplinary backgrounds work together to understand higher education phenomena holistically, researchers in Korea conduct research and publish those results mainly in disciplinary-based journals which prevents them from sharing the research results with each other. To improve this situation and to establish higher education as a new field of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1) to separate ‘higher education administration’ from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to firmly establish its identity as an independent academic discipline; (2) to Increase inter-/multi-disciplinary approach across different academic disciplines within the broader education major and between higher education as a separate academic discipline and other academic disciplines outside as education majors when studying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and phenomena. To facilitate these directions, (1) government grants supporting inter-/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investigate practical higher education issues and (2) other voluntary efforts organized by academic associations to hold seminars and conferences emphasizing inter-/multi-disciplinary approach would be recommended.

      • KCI등재

        교육학 연구에서 근거이론적 방법의 발전적 활용을 위한 비판적 성찰 : Strauss와 Corbin의 코딩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변기용 ( Byun Kiyong ),김한솔 ( Kim Hansol ) 안암교육학회 2020 한국교육학연구 Vol.26 No.3

        본 연구는 현장 기반 실체이론 생성이라는 근거이론적 방법의 취지를 제대로 살리기 위해서는 Strauss와 Corbin의 패러다임 모형이 어떻게 활용되는 것이 타당한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 근거이론 논문에서 패러다임 모형이 활용되고 있는 실태를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이를 해외에서 출간된 논문들과 비교해 보았다. 패러다임 모형의 각 요소에 개방 코딩한 결과를 기계적으로 배분하고 이에 따라 스토리를 제시하는 국내 논문들과는 달리, 해외 논문들에서는 패러다임 모형에 단순히 구속되지 않고 연구자가 발견한 내용을 중심으로 연구결과를 제시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연구자들은 교육학 분야에서 패러다임 모형의 발전적 활용을 위해서는 (1) 특정 현상을 연구하는 소규모 연구에서 패러다임 모형의 6개 요소를 다 설명해야 하는 강박 관념에서 벗어나야 한다; (2) 교육학 연구에서는 패러다임 모형에서 제시된 ‘맥락’의 의미를 근거이론이 태동한 간호학 분야와는 다른 방식으로 규정할 필요가 있다; (3) 인과적, 맥락적, 중재적 조건을 납득할 만한 근거도 제시하지 않은 채 자의적으로 구분하여 제시하는 것보다는, 명확하지 않은 경우 굳이 각각의 조건으로 구분하려는 강박 관념을 버리는 것이 낫다; (4) 어느 정도 완결된 근거이론, 즉 이론적 통합에까지 이르는 ‘근거이론’은 개인이 수행하는 소규모 단일 연구에서 도출하기는 어렵다 라는 네 가지 사항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고 제언하고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proper directions on how the paradigm model proposed by Strauss and Corbin should be applied in the perspective of grounded theory approach which emphasizes substantive theory generating based on the ground. To do this, we critically reflected on the actual conditions where the paradigm model is being used, exploring grounded theory papers published in Korea and compared what we found with those published overseas. Unlike domestic papers that mechanically distributed open-oded results to each element of the paradigm model and presented the story accordingly, overseas papers tended to present research results based on what researchers had found rather than simply being bound to the paradigm model. On that basis, researchers suggest that the following four things should be kept in mind for progressive utilization of the paradigm model in educational studies. (1) It should be free from the obsession of explaining all 6 elements of the paradigm model in a small scale study of a particular phenomenon; (2) In educational studies, it is necessary to define the meaning of the ‘context’ presented in the paradigm model differently from the field of nursing in which the grounded theory was born; (3) It is better not to be obsessed with distinguish causal, contextual, and intervening conditions from one another when convincing reasons are not given. (4) The ‘grounded theory’ related to theoretical integration is difficult to be derived from a single small scale study conducted by individuals.

      • KCI등재

        교육행정학 연구에서 근거이론 접근방식 활용 실태와 비판적 성찰

        변기용(Byun, Kiyong),권경만(Kwon, Kyoung Man),이현주(Lee, Hyun Ju),홍바울(Hong, Bawool) 한국교육행정학회 2020 敎育行政學硏究 Vol.38 No.1

        본 연구는 한국 교육행정학 연구에서 근거이론의 활용 실태를 살펴보고 향후 우리 교육행정학계에서 근거이론을 보다 적절히 활용하기 위해 보완되어야 할 부분들을 찾아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근거이론의 발전과정과 주요 내용을 살펴보고, 교육행정학 연구에서의 근거이론 활용 실태를 해당 논문 7편을 대상으로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1) 개념을 지나치게 많이 생성하는 경향 - ‘개념 생성 워크시트’의 적극적 활용, (2) 대부분 미시적이고 속성적인 주제에 치중하는 문제 - ‘분석 초점자’ 시점의 도입, (3) ‘코딩 패러다임’의 지나친 남용 - 모든 범주를 채우기보다는 가능한 범위에서의 개념적 이론화, 관계적 이론화를 시도, (4) 2차 코딩 단계에서 연구가 종료되는 제한된 이론화 과정 - 3차 코딩(이론적 코딩) 과정을 통한 기존 이론과의 연계 혹은 확장·발전 시도, (5) 간호학 분야에서 제시된 기존 교과서의 근거이론 구조 적용의 한계 - 기존 교과서의 맥락, 인과적 조건에 대한 교육행정학 분야 차원에서의 재해석, (6) 연구자의 주관과 준거 틀에 대한 통제의 한계 - 연구자의 정체성 및 이론적 민감성과 관련된 정보를 명확히 기술 등을 시사점과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ctual condition of grounded theory in the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to find out the areas to be supplemented in order to use the grounded theory more appropriately in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development process and main contents of grounded theory were examined, and the application of grounded theory in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was analyzed in depth in 7 grounded theory research articl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tendency to generate too many concepts - the active use of the ‘concept generation worksheet’, (2) the focus on most micro and attribute themes - the introduction of the ‘analytical focalizer’ viewpoint, (3) excessive abuse of the ‘coding paradigm’ - researchers attempt conceptual theorization and relational theorization to the extent possible, rather than fill all categories, (4) Limited theorizing process where research is completed in the second coding process - Attempt to link or expand/develop with existing theories through the 3rd coding (theoretical coding) process, (5) limitations on the application of the grounded theory structure of existing textbooks presented in the field of nursing - reinterpretation at the leve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on contextual & causal conditions of existing textbooks, and (6) limitations of the control of the researcher’s subjectivity and reference framework - clear description about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searcher’s identity and theoretical sensitivity.

      • KCI등재

        OECD 국가의 대학 가버넌스 구조 유형화와 시사점

        변기용(Kiyong BYUN) 한국교육행정학회 2007 敎育行政學硏究 Vol.25 No.2

        본 연구에서는 여러 국가들의 다양한 학내 가버넌스의 존재양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수단으로 6개의 개념유형(①총장전권형, ②교수중심/③내부자참여 대의기구형, ④ 교수중심/⑤ 내부자참여/⑥ 외부자통제 이사회형)을 설정하고, 이에 따라 OECD 회원국의 학내 가버넌스 변천동향과 현행 구조를 분석해 보았다. 국가별로 차이는 있지만 변화의 주된 흐름은 전통적인 훔볼트형 대학의 ‘교수지배 대의기구형’에서, 학생ㆍ행정직원 등 여타 구성원의 참여가 보다 확대되는 ‘내부자참여 대의기구형’과 기업형 대학을 모토로 하는 ‘외부자통제 이사회형’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공산정권 붕괴후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는 동구권에서도 90년대 이후 대체로 이같은 변화양상을 따르고 있는 것으로 보여 야제 거의 모든 OECD 회원국들에서 전통적인 모형이었던 ‘순수한’ 교수지배 대의기구형이나 총장전권형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이런 분석결과는 아직까지 공식적으로는 총장전권형 학내 가버넌스 구조를 유지하는 가운데, 민주화에 따른 교수(평의)회의 실질적 영향력 강화, 국립대학 법인화 등 새로운 상황을 맞아 격화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학내 가버넌스 논쟁과 관련하여 많은 시사점을 제공해 주고 있다. The study attempts to develop a useful typology of institutional governance structures in higher education to better understand the inter-country variation and the complexity of institutional governance arrangements across the OECD countries. Based on the de Boer & Huisman (1999)'s classification scheme and other criteria additionally considered in the study (composition of governance bodies and selecting methods of institutional leaders), the following six different conceptual models were identified: (1)Faculty member-dominated /Representative; (2) Internal-democratic/Representative; (3) Faculty member-dominated/ Executive; (4) Internal-democratic/Executive; (5) Laymen-controlled/Executive; and (6) Rector dictatorship model. Although the scope and extent of institutional governance reforms have varied widely across countries, it seems clear that there are several trends penetrating these reform efforts: (1) the reinforcement of the power of executive authorities (i.e., president) and the trend towards appointment of institutional leaders; (2) a loss of authority and decision-making power on the part of traditional participatory and collegial bodies; and (3) an increase in participation on various governing bodies by representatives and individuals from outside the HEIs which in tum results in (1) a demise of the Humboltian model of the faculty member-dominated /Representative model; (2) a weakening position of traditional representative governance models; and (3) an overwhelming popularity of laymen- or stakeholder-controlled/Executive models. Based on the analyses, the study tries to draw some useful insights and implications on designing the Korea's own institutional governance structure.

      • KCI등재

        CAMPUS Asia 시범사업의 성과 및 집행과정 분석

        변기용 ( Byun Kiyong ),전재은 ( Jon Jae-eun ),홍세영 ( Hong Seyoung ),박예진 ( Park Ye-jin ) 안암교육학회 2016 한국교육학연구 Vol.2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2012년부터 2015년까지 4년간 시행된 CAMPUS Asia 시범사업의 성과와 집행과정을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시각에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본 사업의 설계 및운영에 대한 실천적인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정책집행 분석을 위한 통합적 접근방식을 사용하였고, 시범사업 기간 동안 수집한 문헌자료, 설문 및 면담조사 등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CAMPUS Asia 시범사업은 참여 학생의 발달측면 그리고 정부 및 대학 차원의 교류 협력 기반 조성 측면에서 상당한 성과를 거둔 반면, 여러 한계점도 드러낸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이러한 CAMPUS Asia 시범사업의 성과및 한계에 영향을 미친 맥락적 요인을 정부 차원, 참여 사업단 차원, 학생 차원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CAMPUS Asia 본사업의 효과를 극대화하기위한 다양한 방안들, 예를 들어, 사업의 궁극적 목표에 대한 명확한 설정, 정부 차원의 국가별 학사제도 차이 및 학점인정 문제 해결, 사업의 차별성 확립, 사업단별 교육과정 강화, 공동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특화된 진로모델 개발 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utcomes and implementation process from various stakeholders`` perspectives related to the CAMPUS Asia (Collective Action for Mobility Program of University Student in Asia) pilot project, and thereby provide practical suggestions for it. The pilot projet of the CAMPUS Asia lasted four years from 2012 to 2015. A hybrid approach was used to analyze its implementation process, and diverse sources of data such as documents, surveys, and interviews were employed for analysis. Findings showed the accomplishments of the CAMPUS Asia pilot project for promoting participants`` development and building the foundation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at the governmental and institutional levels, while various limitations were also identified. In addi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ontextual factors that influenced the outcomes and limitations of the CAMPUS Asia pilot project at the governmental, institutional, and student levels. Based on these findings, multiple suggestions to maximize the effect of the CAMPUS Asia pilot project were provided, for example, to set up the ultimate goals of the project clearly, for governments to coordinate different academic systems by country and address the issue of credit transfer, to establish the uniqueness of the project, to strengthen the curriculum of each consortium, to co-manage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to develop the specialized career paths.

      • KCI등재

        고등교육기관에 대한 성과주의 예산의 적용 가능성과 한계 - 미국에서의 성과주의 예산 시행경험을 바탕으로

        변기용(Kiyong Byun) 한국비교교육학회 2008 比較敎育硏究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성과주의 예산이 기반하고 있는 이론적 배경의 음미와, 1990년대 중반이후 본격적으로 도입된 미국에서의 성과주의 예산 시행경험 분석을 통하여 고등교육기관에 대한 성과주의 예산 적용의 가능성과 한계를 모색하는데 있다. 새로운 정책의 시행에 있어 흔히 그렇듯이, 성과주의 예산도 쉽게 해결되기 어려운 많은 이론적ㆍ실천적 쟁점들을 본질적으로 내포하고 있으며, 그 도입의 가장 핵심적 논거인 기관의 성과향상에 대한 실증적 증거도 아직까지 명확히 제시되지 않고 있다. 하지만, 1990년대 중반이후 미국에서의 성과주의 예산의 시행경험은 향후 각 국가에서 성과주의 예산모형의 설계 및 시행과 관련하여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에 대한 몇 가지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해 주고 있다. 성과주의 예산제도만을 가지고 정부가 원하는 방향으로 고등교육기관의 행태를 변화시킬 수 없다는 것은 명확해 보이지만, 미국에서의 시행경험이 보여주듯이 잘 설계된 성과주의 예산모형이 고등교육기관의 성과향상에 일정부분 기여를 할 수 있다는 점도 부인하기 어렵다. 이러한 측면에서 우리나라에서 성과주의 예산을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이것이 제대로 작동하기 위한 선행여건의 구축과 함께, 우리나라 고등교육 시스템 특성에 적합한 모형 개발을 위한 보다 심층적 연구가 무엇보다도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and limitations of performance-based funding for higher education (1) by critically examining its theoretical premises based on the principal-agent theory and (2) by analyzing previous experiences of implementing performance-based funding in the U. S. mainly since the mid-1990s. As is the case with many other newly introduced policy initiatives, the concept of performance-based funding brought about many theoretical and practical issues which often can not lead to easy compromise among stake-holders (i.e. institutional administrators, professors, policy-makers).<BR>  Based on the analyses of the study, it seems there have so far been no clear empirical evidences with regard to the impact of performance-based funding on improving institutional quality and performance unlike the expectation by ardent advocates of performance-based funding. However, more than 10 years" experiences of implementing performance-based funding in a number of the U. S. states seem to provide some useful lessons for other countries in designing & implementing a performance-based funding program.<BR>  Performance-based funding is not a panacea, but just one of the attractive policy options which would have high potential to "influence," not "determine" institutional performance. To maximize its potential, but at the same time to minimize the unexpected consequences of implementing performance-based funding, it would be highly recommended that more thorough evaluations of and more in-depth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 capability of an individual higher education system should be conducted before introducing such a sophisticated policy tool as a performance-based fund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