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수어 말뭉치 구축 모형 연구

        강미영 ( Mi Young Kang ),이현화 ( Hyun Hwa Lee ),원성옥 ( Seong Ok Won ),홍성은 ( Sung Eun Hong ),이봉원 ( Bong Won Yi ),윤병천 ( Byung Chen Yoon ),변강석 ( Kang Suk Byun )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건지인문학 Vol.16 No.-

        The Korean Sign Language (KSL) is the language of the Deaf in the Republic of Korea. KSL is a visual-spatial language and it’s branch of research is rather young, but due to the Korean Sign Language Act (2016) the interest and need of deeper understanding of the language has risen. This paper describes how the first KSL-Corpus has been build and how the data has been collected and transcribed. 60 deaf native and near-native signers from the area of Seoul were filmed in pairs. The deaf informants were asked to deal with 13 tasks, which included open conversation or discussion on various topics, retelling of a picture story or movie clip. Each session of this naturalistic, controlled and elicited signed language sample has a length of about three hours that means the complete recordings contain about 90 hours of sign language data. Almost 12 hours of this sign language data has been annotated in ELAN, a professional tool for the creation of complex annotations on video and audio resources developed by the Max-Planck-Institute of Psycholinguistics in the Netherlands. The time-aligned annotation in ELAN is meant to be a basic transcription of the KSL data that means the focus of the transcription was to identify sign units in a consistent way. This paper also addresses the need of a systematic database which administers the annotated glosses and reveals the concrete strategy to develop such tool.

      • 한국수어 말뭉치 연구 현황

        송미연(MI-Yeon Song),강창욱(Chang-Wook Kang),원성옥(Seong-Ok Won),홍성은(Sung-Eun Hong),변강석(Kang-Suk Byun),이은영(Eun-Young Lee) 한국특수교육학회 2020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

        연구목적: 본 연구는 문자가 없는 수어의 보존, 농문화의 기록, 수어 연구를 위한 실증적 자료의 필요와 수어 연구의 활성화 및 발전을 위해 연구 기반이 되는 원시 수어 말뭉치 구축과 말뭉치를 활용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경남지역 수어 원어민 11쌍(22명)을 대상으로 13개 과제에 대한 언어자료를 촬영, 편집 및 시스템에 탑재하였고, 기 구축된 서울지역의 말뭉치 135분 1초 분량의 수어 자료의 기본주석 정비 및 의미주석 기록을 실시한 후 이를 활용하여 생산적 수어의 의미와 도상성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2018년 수행된 원시 말뭉치 수집에서 언어제공자의 수가 가장 적었던 경남지역을 대상으로 총 11쌍 22명의 언어제공자로부터 총 36시간 47분 분량의 수어자료를 확보하였다. 기본 주석이 완료된 서울지역 수어자료 총 11개 파일 135분 1초 분량에 대한 기본 주석 정비와 지시를 제외한 의미 주석을 기록한 결과 고정된 수어의 토큰 수는 19,252개, 생산적 수어는 총 611개로 나타났다. 611개의 생산적 수어의 도상성 기법을 분석한 결과 모든 도상성 기법이 나타난 수형은 [구형1]이었으며 4개(손대체기법, 손이용기법, 스케치기법, 측정기법)의 도상성 기법 중 가장 많이 나타난 기법은 개체를 대신하는 손대체 기법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경남지역의 원시 수어 말망치를 구축함에 따라 지역 변이를 살펴볼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 구축된 자료를 활용한 사례 연구 제시를 통해 과학적인 수어 연구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한국수어의 생산적 수어 어휘에서 나타난 도상성 -이미지 형성 기법을 중심으로-

        송미연(Song, Mi-Yeon),홍성은(Hong, Sung-Eun),강창욱(Kang, Chang-Wook),원성옥(Won, Seong-Ok),변강석(Byun, Kang-Suk),이현화(Lee, Hyun-Hwa)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20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수어 말뭉치 내 생산적 수어 어휘의 기저 이미지에서 나타난 손 모양과 손의 움직임 기능을 분석하여 생산적 수어의 수형별 이미지 형성 기법의 유형, 손의 형태와 역할, 생산적 수어 어휘와 이미지 형성 기법 간의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수어 자료 통합 지원 시스템에 탑재된 11개 135분 분량의 수어 자료에서 나타난 생산적 수어의 수형을 이미지 형성 기법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생산적 수어 어휘는 12개의 수형에서 손대체 기법, 손이용 기법, 스케치 기법, 측정 기법 등 분석에서 사용된 이미지 형성 기법이 모두 나타났다. 4개의 기법이 모두 나타난 수형은 [구형1]과 [육형2]이며, 손대체 기법에서 생산적 수어의 12개 수형이 모두 나타났다. 이미지 형성 기법은 수어 사용자가 기저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동기화 하는 방법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 수어의 음운적, 형태적, 통사적 특징을 함께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unction of the hand and its movement of productive signs in the Korean Sign Language Corpus by describing the different image-producing techniques (Koenig et al. 2008). We describe the productive signs which are glossed after their handshape and reveal the meaning they express. For this reason we have downloaded eleven files of signed data (135 minutes) from the Integrative System for Korean Sign Language Resources and analyzed all productive signs and their image-producing techniques. As a result, we found 611 tokens of productive signs, distinguished by 12 handshapes which made use of the substitutive technique, manipulative technique, sketching technique and measuring technique. Of these productive signs there are two handshapes (flathand1) and (Q-handshape2) which make use of all four image-producing techniques. Besides, we found out that the substitutive technique is used by all twelve handshapes of the productive signs. As an example we have looked deeper into the productive signs which are articulated by the unmarked flathand and the meaning they carry. Our findings show that the image-producing techniques will help sign language learners to understand how signers visually synchronize the underlying image of a sign with the signs they use. This will help sign language learners to understand the phonological, morphological and syntactical features of sign langu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