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무용수업 경험 및 무용공연인식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백현순,김양희 한국무용연구학회 2022 한국무용연구 Vol.40 No.4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online practical classes conducted after COVID-19 on students' perceptions of classes and performance experiences. Methods: Considering the 'appropriateness' and 'sufficiency' of the study, 10 college students from the dance department in downtown Seoul who are expected to honestly state their experiences were selected. These students participated in online classes for at least two years, and the research method was Colaizzi phenomenology. Colaizzi phenomenology is a study that focuses on revealing the empirical nature of a phenomenon through research such as in-depth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stating experiences with research participants.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four steps suggested by Kim Bun-Han et al. (1999). Result: The meaning of online class experience was meaninglessness, sympathy, and low motivation. In addition, there were 9 themes such as burden, college life, poor concentration, physical contact, fear, co-workers, distraction, anxiety, and practical skill difference. The meaning composition of the online performance experience was practice room performance, communication, emotion and understanding, audience, comfortable viewing, and lack of sense of presence. Conclusion: In the case of practical subjects, the burden and inconvenience of non-face-to-face online video classes, and the ineffectiveness of education, sympathized with the necessity of field performances. 연구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 19 이후 진행된 온라인 실기수업이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인식과 공연 경험에 어떠한 심리적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의 ‘적절성’과 ‘충분성’을 고려해 자신의 경험을 솔직하게 진술해 줄 것으로예상되는 서울 시내 소재 대학 무용학과 대학생 10명을 선정하였다. 이들은 최소 2년정도의 온라인 수업에 참가한 학생들로 연구방법은 Colaizzi현상학을 사용하였다. Colaizzi 현상학은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 및 체험을 진술하는 질문지 등의연구를 통해 현상의 경험적 본질을 밝히는데 중점을 둔 연구로 본 연구의 설계는 김분한 외(1999)가 제시하는 4가지 단계를 거쳐 진행하였다. 결과: 연구참여자들이 느끼는 온라인 수업경험의 의미구성은 무의미함, 교감, 의욕저하 등 3개로 범주화하였으며 부담감, 대학생활, 집중력저하, 신체접촉, 두려움, 동료, 산만함, 불안감, 실기차이 등 9개의 주제로 나타났다. 연구참여자들이 느끼는 온라인 공연경험의 의미구성은공연효과와 대중성 등 2개의 범주로 나누었으며 연습실 공연, 소통, 감동 및 이해, 관객, 편안한 관람, 현장감 부족 등 6개의 주제로 나타났다. 결론: 실기교과의 경우 비대면 온라인 영상 수업의 부담감과 불편함, 그리고 교육의 효과면에서 무익하다고 느끼고 있으며 공연 역시 온라인 공연보다 직접 공연장에서 직접 관객들과 만나는 현장공연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었다.

      • KCI등재

        한국무형문화재 춤 웹사이트 콘텐츠 유형 탐색

        백현순 한국무용연구학회 2019 한국무용연구 Vol.37 No.1

        This study analyzed 8 sites related t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order to search contents type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web site in internet based knowledge base society. This finding shows that on the website of national cultural heritage, the directory should be classified with a view to searching for dance, according to its forms and characteristics. The website of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has to be modified so that relevant material can be built up, depending on the type of dance. The website of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does not cover dance information of south Korean cities and provinces and five northern Korean provinces, so the dance needed to be categorized. For on the website of the encyclopedia of Korean local culture, dance information by different criteria based on region has been offered. For each dance, dissimilar authors are involved, leading to inconsistency of dance content. The website of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needs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have insight into diverse dance. In case of the website of encyclopedia of Korean folklore, some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which has to be included in the dance division is found in the improper area, which reveals that division of dance should be systematized. On the website of encyclopedia of Korean traditional festivals, definition of traditional festivals ought be reestablished and in-depth aesthetic discussion is to be carried out. The website of culture content has to deal with whole knowledge of one dance. 본 연구는 인터넷이라는 지식기반 사회에서 무형문화재 춤 웹사이트 콘텐츠 유형을 탐색하기 위하여 무형문화재 관련 8개의 사이트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가문화유산 포털 웹사이트에서는 춤의 유형 혹은 춤이 가진 속성에 따라 춤을 검색할 수 있도록 디렉토리를 세분화 함이 좋겠고, 문화재청 웹사이트는 춤 관련 정보가 총체적 혹은 유형별로 검색되지 않으므로 종목에 따라 자료가 구축될 수 있도록 최적화 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국립무형유산원의 웹사이트에서는 시·도무형문화재와 이북5도 무형문화재 춤 정보가 전혀 탐색되지 않으므로 이들 춤도 유형화하여 무용, 놀이, 의식 등에 포함되어 있는 춤 콘텐츠를 총체적으로 콘텐츠화 하여야 한다. 향토문화전자대전의 웹사이트는 지역별로 다른 기준에 의해 춤 정보가 제공되고 있으며, 또한 각 춤별로 집필자들이 서로 달라 춤 내용에 따른 차이를 보이고 있으므로 이를 고르게 서술함이 좋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웹사이트는 춤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어려운 것이 단점이므로 이를 보완하여 춤을 다양하게 통찰을 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여야 한다. 한국민속대백과사전 웹사이트는 무용에 포함되어야 할 국가무형문화재가 다른 분야에 속해 있는 오류가 있으므로 이를 바로 잡아 춤의 분류체계를 구분할 필요가 있으며, 한국전통연희사전 웹사이트는 무용학적 측면에서 전통연희의 개념을 새롭게 정리하여 분류체계를 확립하고, 미학적 측면의 논의를 따로 분류하여 층차적으로 콘텐츠화 하는 것이 좋겠으며, 문화콘텐츠닷컴 웹사이트는 한가지의 춤을 총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내용을 정리함이 좋겠다는 생각이다.

      • KCI등재

        한국무형문화재 춤 웹사이트 구축을 위한 CMS 및 화면 레이아웃(layout) 구현

        백현순,김양희 한국무용연구학회 2019 한국무용연구 Vol.3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subsequent researchers by implementing CMS and website screen layout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ance website. Therefore, we have effectively implemented the layout to search the information of Kore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n each page of CMS and website and to confirm the location and function of the menu.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CMS, a data page for data manager, consists of main page, registration and modification of dance content DB, detailed search and deletion of dance content, and registration and deletion of media content. In addition, the search box, index by list, tags, etc., can be used to search for various dance items. Second, the website screen, which is a data page for data users, consists of menus of 'Map Dance Search', 'Text Dance Search', 'Media', and 'Introduction of Research'. In addition, the search for dance items was search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region, designation period, tag, media, etc. of Korean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ttached. 본 연구는 한국무형문화재 춤 웹사이트 개발을 위하여 CMS와 웹사이트 화면 레이아웃을 구현함으로써 후속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CMS와 웹사이트 각각의 페이지에서 한국무형문화재 춤 정보를 탐색하고, 메뉴의 위치 및 기능을 확인할 수 있는 배치도를 효과적으로 구현하였다. 이에 따라 첫째, 데이터 관리자용 웹페이지인 CMS에서는 크게 메인 페이지, 춤 콘텐츠 DB 등록 및 수정, 춤 콘텐츠 상세조회 및 삭제, 미디어 콘텐츠 등록 및 삭제 기능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검색창, 목록별 색인, 태그 등을 통해 춤 종목을 다양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데이터 사용자용 웹페이지인 웹사이트 화면에서는 크게 ‘지도 춤 검색’, ‘텍스트 춤 검색’, ‘미디어’, ‘연구 소개’의 메뉴로 구성되었다. 춤 종목 검색은 한국무형문화재 춤의 분류, 지역, 지정시기, 태그, 미디어 등에 따라 검색할 수 있도록 하였고, 후속 연구의 촉발을 위해 웹사이트가 구축되기까지의 연구 성과와 연구원들에 대한 정보 메뉴를 첨부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東海 別神굿춤 硏究 : 宋 東淑氏를 중심으로

        白鉉順 大韓舞踊學會 1986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8 No.-

        Mudang Dancing of the Easters Coast, a special Mudang Dancing Ritual of a village co-operation has a great deal of popularity with entertainment , is held by uncommon heritage dancing groups, and has more shaman songs than another Mludang Dancing ritual. This study describes an unique function and aspect of Byeolshin Gud, studies the names and terms of Dancing movement and is going to understand our traditional Dudang Dancing righ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our traditional spirit of art by analysing the theolgical psycholosical and artical functions that have Mudang Dancing of Byeolshin Gud. Thus, the result of this examination and study is as follows. 1) Impression and power of persuasion to audiance are more strong than another Dancing . Because the procedure of sacrificial rite of Byeolshin Gud consists of human being's ardent passion longing for abundance in fishes and health. 2) The characteristics of procedure of sacrificial rite are as follows . 1. Each shaman song is used by similar Dancing Sawee, has more more variety than another province in sort. 2. Shaman songs are danced with Poonuri in the beginning and with Geomu Dancing in the end. 3. The lines of Mudang Dancing are beautiful delicabe and calm. 4. Graceful Monk Dancing and Bara Dancing are danced in See Jon Gud and dramatic Mask Dancing is danced in Mask Gud. 3) The result of seeing Byeolshin Gud as the fection of Dancing, Mudang Dancing of Byeolshin Gud has been included in shaman art with shaman songs has affected traditional Dancing (Syeung Mu, Bara Dancing) , traditional Drama (Ha Hoe Mask drama) , and traditional nori thief catching in See Jon Gud.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시대 대학무용학과 커리큘럼의 방향모색

        백현순,유지영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9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3 No.3

        This study focuses on what changes are required as to a curriculum of dance department in the university in the ag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urricula of dance department in the five universities in Seoul, five academic subjects as to curricula of dance department, which covers what to learn for dance education in the ag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e presented. First, dance integrative education, the integration of creativity and science education, can be referred to as a subject that stimulates ideas and creativity and raises artistic sensitivity based on STEAM. Second, the curriculum characterized by prediction of the future prospect through Big Data can be utilized well in dealing with dance performance, career path of dance-majoring people, and job creation by analyzing public opinion, evaluation, and feelings. Third, video education. Seeing the images as modern major media tends to occupy most of the expressive area of art, dance by dint of video enables existing dance work to be created as new form of art, expanding dance boundaries in academic and performing art viewpoint. Fourth, VR and AR are essential techniques in the era of smart media. Whether upcoming dance studies are in the form of performance or education or industry, for VR and AR to be digitally applied into every relevant field, keeping with the time, learning about VR and AR is indispensable. Las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curriculum of dance art are needed to foresee the change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o educate changes, development and seeking in dance curriculum.

      • KCI등재

        경상도 지역 덧배기춤의 연행과정과 의미

        백현순 한국무용연구학회 2022 한국무용연구 Vol.40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덧배기춤을 바탕으로 경상도 지역을 내륙지역과 해안지역으로분류하여 그 지역별 덧배기춤에 대한 연행과정을 살펴보고 그 과정 속에 내재되어 있는 덧배기춤의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덧배기춤의 경계를 송석하의 지역적 구분에 따라 내륙지역과 해안지역으로 구분하여 선행 연구된 연구물과 문헌을 통한 분석연구이다. 결과: 첫째, 안동하회별신굿탈놀이는 탈을 쓰고 노는 놀이로 덧배기의 ‘덧’에 해당되는 내용이 ‘탈’의 의미를 지니며 탈놀이 속에는 마을굿과 제의성이들어있다. 따라서 덧배기춤의 의미는 탈과 탈놀이의 연행목적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밀양백중놀이에서 덧배기춤의 의미는 명칭의 변화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연행과정에 덧배기나 자진 덧배기 장단에 맞춰 덧배기춤을 추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덧배기춤이 허튼춤 계열의 들놀이임을 상기하면 야류가 들놀이이므로 동래야류에서추어지는 춤은 덧배기춤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넷째, 고성오광대는 탈놀이로 덧배기춤이 탈춤이나 들놀이의 허튼춤, 북춤 등에 그 기원이 있듯이 역시 덧배기춤을 추고있다. 다섯째, 덧배기춤은 내륙지역은 마을굿의 의미와 제의문화를 띠고 있으며 해안지역은 들놀음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결론: 덧배기춤의 의미는 탈, 제의, 마을놀이, 들놀이, 탈놀이 등으로 추론할 수 있으며 연행절차는 연행목적에 따라 조금씩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 무용 전공자의 취업 방향 모색

        백현순 한국무용연구학회 2011 한국무용연구학회 국제학술발표논문집 Vol.2011 No.-

        본 연구는 무용전공자의 취업을 어떻게 창출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연구로 문화예술정책적인 방향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정부가 주도하는 공공의 관점, 즉 사회문화 복지차원에서의 무용전공자의 취업의 문을 어떻게 열 수 있는가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문화복지가 모든 국민의 문화생활상의 요구나 문화적 필요성에 부응하여 문화생활을 개선 향상시키는 사회문화적 서비스를 통칭하는 것이라면 무용예술교육이야말로 현시대에 꼭 필요한 문화복지 중의 하나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필요성을 실감하여 무용전공자의 공적인 취업의 영역을 확장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그 결과 첫째, 무용예술 서비스는 모든 대상에 문화예술을 즐기는 의미의 복지영역으로 포함되어야 한다. 둘째, 무용예술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한 문화예술복지정책이 입안되어야 하고 그에 따른 사회서비스의 확대실시로 무용전공자들의 "일자리"를 창출하여야 한다. 셋째, 무용예술교육을 예술복지 차원의 정책으로 수립하여 무용을 국민복지를 위한 정규적인 프로그램으로 실시하여야 한다. 넷째, 사회서비스 영역을 취업과 연관시켜 보면 많은 일자리 창출이 가능한데 이러한 일자리를 정규적인 직업으로 연결할 경우 무용예술교육을 사회복지차원의 정책으로 결정하여야 한다. 다섯째, 공공문화예술복지재단의 설립, 무용(사회)복지사의 개념 도입, 노인문화예술복지센터 건립을 통한 노인복지시설의 무용수업 활성화, 노인이나 장애인을 위한 공공 무용 프로그램개발(무용치료와 건강예방), 평생교육으로 무용수업 확대 등을 통하여 생기는 일자리에 무용전공졸업자들이 무용복지사로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