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함석헌의 『바가바드 기타』 주석서에 나오는 경구(經句) 인용의 출처와 맥락 연구

        나혜숙 인도철학회 2022 印度哲學 Vol.- No.65

        In 1985, Ham Sok-Hon, a Korean philosopher and religious thinker, wrote a commentary on a Hindu scripture, the Bhagavad Gītā (henceforth Gītā). In his commentary, Ham quotes many and various phrases from Eastern and Western scriptures such as the Zhuangzi (莊子), Mencius (孟子), and Bible, etc. This study aims to better understand Ham’s commentary by revealing the source and context of his scriptural quotations. There are two reasons that the source and context, two main topics, are to be explored. Firstly, Ham left rough sources of quotations, but there are many sources that need to be disclosed in detail. Secondly, it is difficult to find out the context or intention of his quotations since they are provided with no explanations. This study, therefore, tries to reveal the source and context of the 91 quotations, and to argue further that it is possible to discover three aspects of his scriptural quotations. Firstly, Ham’s scriptural quotations do not appear without context. A previous study on Ham’s quotations implied that there is almost no relationship between Ham’s quotations and the commented text, the Gītā, and between neighboring quotations. However, this study argues that all 91 scriptural phrases are quoted within context; that is, Ham’s scriptural quotation corresponds to the Gītā verse that he comments on, or the other quotation located above Ham’s quotation, or the Gītā verse(s) located before the Gītā verse that he comments on. Secondly, Ham has never discussed which of the Gītā’s teachings he most put emphasis on. This study highlights Ham’s focus on the Karma-yoga, the teaching that one should fulfill one’s duty without attachment to the results of one’s actions. Considering that both Karma-yoga and Bhakti-yoga are the main teachings of the Gītā where they are described abundantly, it is noteworthy that Ham quotes the scriptural phrases regarding Karma-yoga most often. Thus, it can be said that he put importance on it. Lastly, it is impossible to find out why Ham prefers a manner of quotation to a manner of description in commenting on the Gītā. It can, however, be assumed that by his scriptural quotations, Ham wants to show that the Gītā’s thoughts are present not only in Hinduism but also in Taoism, Confucianism, and Christianity. Ham attempts to find the common features among the religions and see the religions as one. By revealing the source and context of Ham’s scriptural quotations, and by suggesting some new insights on his scriptural quotations, this study contributes to better understanding Ham’s commentary on the Gītā. 한국의 철학자이자 종교가인 함석헌은 힌두교 경전 『바가바드 기타』(Bhagavad Gītā, 이하 ‘『기타』’)에 대해 주석서(이하 ‘『기타주석서』’)를 썼다(1985). 이 주석서에서 함석헌은 『장자(莊子)』, 『맹자(孟子)』, 『성서(聖書)』 등 다양한 경전 및 고전의 구절(이하 ‘경구’)을 많이 인용한다. 본고는 『기타주석서』에서 함석헌이 인용하는 경구의 출처와 맥락을 밝힘으로써 이 문헌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경구 인용은 출처가 상세히 밝혀지지 않은 것이 많고, 또 아무 설명 없이 인용으로만 이루어져 있어 인용의 맥락을 알기 어려울 때가 많다. 이에 본고에서는 91개 경구 인용의 출처와 맥락을 밝히고, 그 결과로 다음의 세 가지를 알 수 있다고 주장한다. 첫째, 『기타주석서』에서 경구 인용은 논의되고 있는 내용과 상관없이 갑작스럽게 등장하지 않는다. 경구는 해당 『기타』본문이든, 경구의 바로 위에 인용된 주석이든, 주변 『기타』본문이든, 논의되고 있는 내용과 관련을 맺고 인용되었다. 둘째, 『기타주석서』에서 함석헌은 자신이 역점을 두고 주석한 『기타』의 교리가 무엇인지 밝힌 적이 없다. 그러나 경구 인용의 맥락을 연구함으로써, 그가 주석할 때 『기타』에서 가르치는 행위의 요가(karma-yoga)에 특별히 관심을 두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경구 인용을 통해, 함석헌은 『기타』에 담긴 사상들이 힌두교에만 있는 고유한 사상들이 아니라 도가사상, 유교, 그리스도교에서도 찾을 수 있는 보편적 사상임을 말하고자 한다. 그가 경구 인용을 통해 종교들을 하나로 보려고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고는 각 경구 인용의 출처와 맥락을 밝히고 경구 인용에 관한 새로운 통찰들을 제시함으로써, 『기타주석서』를 더 잘 이해하는 데에 기여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대중매체 칼럼에 나타나는 간디의 해혼(解婚)에 관한 고찰

        나혜숙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 2019 종교문화연구 Vol.- No.33

        This study aims at suggesting solutions for problems regarding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in the newspaper and magazine columns dealing with Gandhi’s haehon. Jolhon means graduation from marriage, and its synonym haehon means liberation from marriage. Both words mean ending the marital relationship, except for the legal status that continues to exist. Interestingly, when jolhon and haehon are discussed in the columns, Gandhi, a leader of the Indian Independence Movement, has often been mentioned as an example of haehon. However, the columns regarding Gandhi’s haehon include incorrect information and they have never been examined; moreover, the problematic contents have been reproduced for years. At some point, it becomes important to correct this information so that it is not repeated.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closely examine the columns and offer solutions. This study analyzes three columns that are considered the original material based on which many following columns have been composed. Furthermore, the study argues that there are three main issues: the concept of Gandhi’s haehon, the concept of his “haehon ceremony,” and the reason behind his haehon. First, haehon is commonly accepted as being similar to jolhon, and it is often misunderstood that “Gandhi’s haehon” also means jolhon. However, Gandhi’s haehon has a different implication; it means the cessation of sexual relations between the wife and husband. Second, the word “haehon ceremony” is frequently used in the columns, but the meaning is vague, thereby leaving it open to the possibility of being misunderstood as having an image similar to that of a romantic or magnificent “wedding ceremony.” Gandhi used the word “brahmacharya vow” (or just the “vow”) frequently, and the concept of the “vow” was extremely important for Gandhi. It is, therefore, better to use the clear and specific term, the “haehon vow” instead of the “haehon ceremony.” Lastly, according to some columns, Gandhi decided to observe haehon not for himself, but to follow an Indian tradition. However, Gandhi’s haehon has nothing to do with tradition. He decided to observe haehon to commit himself to public service—the service to Indians in South Africa who faced extreme racial segregation. Therefore, Gandhi’s haehon, seemingly a private activity, is in fact, an activity performed to serve the public. 본 연구는 간디의 해혼을 다룬 대중매체 기사에 나타나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최근 몇 년 사이 대중매체 기사에 ‘졸혼’(卒婚), ‘해혼’(解婚)이 논의될 때 인도의 간디(Mohandas K. Gandhi)가 자주 거론된다. 졸혼이나 해혼을 설명하면서 간디도 해혼을 했다고 소개하는 형식이다. 그런데 기사에 모호하고 부정확한 내용이 있고, 이러한 내용이 한 번도 검토 받은 적 없이 몇 년에 걸쳐 새로운 기사 안에서 재생산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간디의 해혼을 다룬 대중매체 기사들의 원(原) 자료로 추정되는 세 칼럼을 분석하고, 간디의 ‘해혼’ 개념, ‘해혼식’ 개념, ‘해혼의 배경’에 관해 문제점이 발견됨을 지적한다. 그리고 해결책을 제시함으로써 간디의 해혼에 관해 잘못 알려진 지식을 바로잡고 간디에 관해 바로 알린다. 이를 통해, ‘간디 관련 지식’과 ‘대중매체에서 소비되는 지식’ 사이의 간극을 좁히고, 간디의 금욕을 더 폭넓게 이해하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한다.

      • KCI등재

        애슬레저 브랜드 커뮤니티의 세대별 사용자 경험 연구

        나혜숙,김승인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1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satisfaction level of user experience of athlesure brand community by generation through surveys, and to derive satisfaction level according to consumption taste by generation. As a tool for measuring brand community, a questionnaire written Creating Pleasurable Interfaces Model of Stephen P. Anderson was used and was conducted focusing on women in their 10s-40s, which are the main consumers.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community participation rate and satisfaction level a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nsumption tendency of each generation. In addition, focused on task satisfaction was high, but focused on experience satisfaction was relatively low.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need for a plan to improve satisfaction based on experience for revitalization of online and offline communities in the future. Through this study, we expect the use of consumer-centered brand communities and brand communities according to the satisfaction level of consumption demand by generation and consumption preference by demand. 본 연구는 설문을 통해 애슬레저 브랜드 커뮤니티 사용자 경험 만족도를 세대별로 측정하고 세대별 소비 취향에 따른 만족 요인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브랜드 커뮤니티 측정 도구는 스티븐 앤더슨(Stephen P. Anderson)의 감성 인터페이스 모형을 중심으로 작성된 설문지를 사용했고, 주요 수요층인 10대-40대의 여성을 중심으로 설문을 시행하였다. 설문 결과 세대별 소비성향에 따라 커뮤니티 참여율과 만족도 요인이 유의미하게 다르게 나타남을 추론할 수 있었다. 또한 태스크 중심의 만족도는 높았으나 경험 위주의 만족도는 비교적 낮은 결과가 도출 되었는데 이는 향후 온·오프라인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경험 위주의 만족도 향상의 제고 방안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세대별 소비 취향에 따른 만족도 요인이 향후 세분된 수요자 중심의 브랜드 커뮤니티 연구의 자료로써 활용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 KCI등재

        AMOS를 이용한 외국인 고용허가제에 대한 효용성 평가

        나혜숙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08 경영컨설팅연구 Vol.8 No.3

        외국인근로자 고용허가제는 외국인 근로자의 합법적 고용을 위해 2003년 7월 31일 “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이 국회를 통과하여 2004년 8월 16일에 최종 공포되었고 2004년 8월 17일부터 실시되었다. 외국인 고용허가제는 외국 인력을 연수생 신분이 아닌 합법적인 근로자 신분으로 도입 하자는 것으로 그동안 외국인 고용에서 문제 되어온 불법 체류자 문제, 송출 비리 문제, 등 외국 인력 도입 및 관리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개선하자는 국가적 정책바램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고용허가제의 제도 도입에 대한 지난 4년간의 효용성에 대해 경영 과학적 측면에서 연구․분석하고자 한다. 분석방법은 관련 담당 업무자를 대상으로 한 면접 및 설문조사로 AMOS를 이용한 고용허가제 효용성 평가에 대해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모형에 대해 분석하도록 한다. 고용허가제에 대한 성과분석은 기술적, 경제적, 사회적, 정책적 측면에 대해 분석하고 실제 외국인 고용허가제의 성과에 대해 효용성을 분석한다. 실제 구조방정식 모형에 의한 고용허가제 효용성에서 기술적 측면과 경제적 측면, 그리고 정책적 측면에서는 상당한 효과를 얻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사회적 측면에서는 아직까지 우리나라 외국인 고용이 가지는 본질적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그 결과 고용허가제에 대한 성과를 제시하고 앞으로 외국인 고용의 나아갈 방향에 대해 제언하도록 한다. Employment of foreign workers legally employed foreign workers permission for the July 31, 2003 "regarding the employment of foreign workers" laws passed by the National Assembly on 16 final announced in August 2004 and August 2004 conducted 17. Foreign employment of foreign workers and trainees who moderated a non-legitimate foreign workers have been hired by suggesting the introduction of identity position the problem of illegal alien problem, corruption, transmission problems, including introduction of foreign labor management system to efficiently and suggesting improvements, including a national policy wish. These introduced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for the past four years in terms of the benefits of scientific research and business analysis for the 2007s. Analytical methods are related to a man in charge of business surveys and interviews with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AMOS assessment utility models for the structure to set the model for analysis. Employment Permit System for the performance analysis of the technological, economic, social and political aspects of the work permit system for foreign workers and actual performance analysis for the benefit analysis. The actual benefi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by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in terms of economic and technical aspects and political aspects of the significant aspects of the social effects, but so far appears to have obtained a foreign country are essentially two kinds of employment in the assessment does not resolve the problem. As a result of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for the performance of present and future directions for the advice to move to foreign employment.

      • KCI등재

        직장-가정 간 전이와 일상생활 스트레스 및 주관적 행복감의 구조적 관계

        나혜숙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3

        목적 본 연구는 중년 기혼 직장 여성을 대상으로 그들이 인식하는 직장-가정 전이와 스트레스, 주관적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를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제공하는 여성 가족 패널 8차 자료를 이용하여 40세 이상 60세 이하인 기혼의 중년 직장여성 3,756명을 대상으로 직장-가정 갈등, 가정-직장 촉진, 가정-직장 갈등, 가정-직장 촉진을 외생변인으로, 일상 스트레스와 주관적 행복감을 내생변인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다양한 통계기법(예: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집중 타당성, 그리고 판별 타당성 등)을 활용하여 PLS-SEM 기법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검증을 실행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 직장여성이 인식하는 직장→가정 촉진이 높을수록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감소하였고, 직장→가정 갈등, 가정→직장 촉진, 가정→직장 갈등 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증가하였다. 둘째, 중년 기혼 직장여성이 인식하는 직장→가정 촉진이 높을수록 주관적 행복감이 증가하였으나, 직장→가정 갈등, 가정→직장 촉진은 그 인식 수준이높을수록 주관적 행복감이 감소하였다. 셋째, 중년 기혼 직장여성이 인식하는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주관적 행복감이 감소하였다. 넷째, 일상생활 스트레스는 모든 직장-가정 간 전이의 하위요인과 주관적 행복감 간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매개하는 것을확인하였다. 결론 분석 결과를 통해 중년 기혼직장여성의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주관적 행복감의 개선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은 직장→가정 촉진인 것을 알 수 있으며, 그들의 주관적 행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일상생활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가정→직장의 긍정적 전이전략이 필요하며, 특히 직장→가정 촉진을 위한 전략 수립이 필요함을 시사받을 수 있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transition, daily life stress, and subjective happiness perceived by middle-aged married working women. Methods For this purpose, using the 8th data from the Women and Family Panel provided by the Korea Women's Policy Institute, 3,756 married middle-aged working women aged between 40 and 60 were surveyed on work-family conflict, family-work promotion, family-work conflict, and family. -Workplace facilitation was selected as an exogenous variable, and daily stress and subjective happiness were selected as endogenous variables.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structural equation testing using PLS-SEM using various statistical techniques (e.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etc.).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middle-aged married working women's perception of work→family promotion increased, daily life stress decreased, and the higher the level of recognition for work→family conflict, family→workplace promotion, and family→workplace conflict, the higher daily life stress. Second, the higher the level of work→family facilitation perceived by middle-aged married working women, the higher the subjective happiness. Third, the higher the daily life stress perceived by middle-aged married working women, the lower the subjective happiness.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daily life stress significant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ll sub-factors of work-family transition and subjective happiness. Conclusion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sults, the most important factor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daily life stress and subjective happiness of middle-aged married working women is work → family promotion. To improve their subjective happiness, it could be achieved through work-to-family transition strategy which contributes to the reduction of daily life stress; of which the most important goal strategy in promoting work→family needs to be established.

      • KCI등재

        마음이 교만한 제자를 다루는 스승의 교육법

        나혜숙(羅惠淑)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5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3 No.-

        이 논문은 고대 힌두 경전 우파니샤드에서 마음이 교만한 제자가 나오는 사제 간 대화들을 읽고, 스승들이 교만한 제자를 다루는 공통적 교육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우파니샤드에는 교만한 마음을 직접적으로 경계하는 구절은 찾아볼 수 없지만 대신 마음이 교만한 제자가 나오는 대화가 여럿 있다. 이 연구는 이 대화들 가운데 제자 슈베타케투, 발라키, 아그니/바유/인드라가 각각 스승 웃달라카 아루니, 아자타샤트루, 브라흐만에게 교육받는 대화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연구 결과, 스승 웃달라카 아루니, 아자타샤트루, 브라흐만은 이성과 자비가 조화로운 교육법을 사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스승들은 질문을 통해 제자의 한계를 스스로 깨닫게 한다. 둘째, 겸손한 제자만이 아니라 교만한 제자도 깨우쳐 줄만큼 자비롭다. 셋째, 제자가 몸을 움직여 실험하고 관찰하게 하는 체험적 방식으로 가르친다. 비록 우파니샤드에서 직접적으로 서술되지는 않았지만, 이 스승들의 교육법은 스승에게 해탈을 위한 지식을 교육받기 위해서는 교만했던 제자의 마음이 반드시 겸손한 마음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을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There are no direct indications of warding off arrogance or recommending modesty in the Upani?ads. Instead, there are several dialogues in which the conceited students appear and are transformed by their teachers. This paper aims at looking at how teachers teach the arrogant students in those dialogues and what we, the readers, can learn about the arrogance represented in the Upani?ads. This study focuses on three texts between ?vetaketu and Udd?laka ?ru?i, B?l?ki and King Aj?ta?atru, and the gods Agni, V?yu, Indra and the Supreme Deity Brahman. It is possible to find a good balance between intelligence and compassion in the teaching methods. First of all, the teachers neither criticize nor preach nor are angry at the arrogant students, but simply ask one or two questions in order to help their students realize themselves the limitations of their own knowledge and power. Second of all, the teachers are compassionate even to the arrogant students. Last of all, after the arrogant students get humbled by the teachers’ questioning and compassion, the teachers teach them by active methods such as experience, experiment and observation, for the difficult theological doctrines as to the self and brahman. Although there are no upani?adic sentences warning us of the danger of pride, these three dialogues tell us the great lesson that a seeker after the soteriological knowledge of ?tman and brahman must transform his or her arrogant mind to a humble mi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