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안교육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2000-2016)

        백종면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6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0 No.4

        이 연구는 대안교육 관련 국내의 학술연구 동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6년 5월초까지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155편, 박사학위 논문 26편 등 총 181편의 학술논문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첫째, 지난 15여년에 걸쳐 국내에서 이루어진 대안교육관련 연구에서 연구대상별 특징은 무엇인가?, 둘째, 대안교육관련 연구의 주요 연구주제나 영역은 무엇인가?, 셋째, 대안교육관련 연구의 연구방법상의 주요 특징은 무엇인가? 등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연구대상에 있어서는 인가된 대안교육기관, 사립의 대안교육기관, 고등학교급 수준에 연구가 집중되어 있으며 일반 학생 이외의 부적응 학생이나 다문화학생․북한이탈청소년 등 특정 유형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양적인 측면에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주제(영역)별 분석 결과, 교육내용․방법 분야, 설립․운영 분야, 교육성과 분야, 기타 분야, 교육이념․철학 분야의 순으로 논문 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에 있어서는 문현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교육성과 분야에서 일부 연구들이 대안교육의 영향이나 효과를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병행한 통합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대안교육 관련 연구수행을 위한 이론적이고 실제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ystematically the research trends of alternative education in Korean from 2000 to 2016. For this purpose, 155 articles of academic journals and 26 doctoral dissertations were selected for analysis and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explored in terms of research objects, research themes and research methosds. The reseach objects were subcategorized by accreditation/non-accreditation, public/private, school levels, and student characters. The research themes were categorized into 5 fields of educational ideology/ philosophy, contents/methods, performance, foundation/operation and so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es were mainly focused on accreditated institutions of alternative education, private institutions, and high-school level institutions. The studies for youth of multi-culture or north-Korea backgrounds were not enough in quantitative aspects. Secondly, The most researches were done in the fields of educational contents/ methods, followed by the field of foundations/operations. Thirdly, the most researches were relied upon literature review for their research method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were suggesed for further studies.

      • KCI등재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4년제 대학교육 도입 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백종면,박양근 한국취업진로학회 2012 취업진로연구 Vol.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4년제 대학에서 교육의 현장적합성을 제고하는 수단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epency Standard)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고 적용 방안을 제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 저 문헌조사를 통해 NCS의 우리나라 도입 배경과 개념 그리고 개발 현황과 시범운영 결과를 파악하였 다. 그 다음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정책담당자 및 정부출연기관의 전문가, 대학 교수 등을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하여 대학에서 국가직무능력표준을 도입 또는 활용하는데 있어서 의 제약요인을 파악하고 그 해소 방안을 도출하였다. 4년제 대학에서 NCS기반 교육과정의 개발·활용을 제약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는 먼저, 학문의 지식 과 이론체계, 지식방법론 등에 더 큰 관심을 가지고 있는 학문 지향적 특성으로 나타났다. 현장의 실무 직무능력의 표준화를 통해 현장기술인력이나 중견기술인력 양성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NCS기반 교육 과정은 고급인력을 양성하는 4년제 대학 교육과정에는 그 적용이 적절하지 않다고 보기 때문이다. 두 번째 요인은 NCS기반 교육과정의 도입을 위해서는 기존 교육과정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와 교육과정 개편이 불가피한데 이로 인한 전공 불일치 해소와 교수인력의 충원, 교재개발, 전공 관련 시설 및 설비 의 확보 등이 현실적 제약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제약요인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첫째, 4년제 대학에서의 NCS기반 교육과정이 기존 교 육과정이나 인증시스템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보완한다는 관점에서 접근할 것을 제안하며, 둘째, 4년 제 대학의 경우에는 전문대학 등 직업교육기관과는 달리 NCS에 대한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가 구조적, 의식적으로 어려우므로 지금처럼 소수의 과정을 NCS기반 교육과정으로 시범 개발하고 시범 적용하는 데 그쳐서는 안 되며 보다 적극적인 유인책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 and suggest the ways of applying it as a means of promoting the field-suitability of education at four-year colleges and universities. To do thi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e background, concepts and status of the NCS were identified together with the pilot operating results. Then the interviews of policy-makers, experts and professor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constraints in utilizing the NCS and the ways to resolve them were derived as follows. Two constraints are identified through the interviews. One is the academic nature of universities which is oriented for academic knowledge, theoretical system, methodology and so on. The NCS-based curriculum, whose main purpose is to cultivate field-workforce and middle-level technicians, is considered inappropriate for the universities. The other one comes from a realistic reason that the introduction of NCS-based curriculum inevitably results in full-scale review of existing curriculum and financial burdens. To overcome these constraints, two ways are suggested in this study. First, the NCS-based curriculum needs to be applied from the viewpoint of complementing rather than replacing the existing curriculum or certification system. Second, unlike the vocational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colleges and vocational high schools, it is difficult to expect sincere concerns and voluntary participation of universities for the NCS-based curriculum. For this reason, the active involvement and supports at the national level are required more than the pilot-development of NCS-based curriculum.

      • 초중등 교사의 수업 자율성이 학교 및 교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백종면 한국교통대학교 2020 한국교통대학교 논문집 Vol.5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eachers’ autonomy on teachers’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TALIS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2018 data were used, which has provided the results of survey of 3,207 primary school teachers and 2,931 middle-school teachers in Korea. Teachers’ satisfaction was categorized into two dependent variables of current school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Teachers’ autonomy was specified as instructional autonomy which meant autonomy in teaching and learning. Teachers’ current school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were respectively estimated by 4 questioning items. Teachers’ autonomy was estimated by 5 questioning items. For the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al analysis, and process macro model developed by Hayes were execu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eachers’ instructional autonomy was turned out to influence directly positive effects on both teachers’ current school satisfaction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Based on this finding,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fforts to raise the level of teachers’ autonomy in teaching and learning be a principal agenda in educational policy. Further researches on teachers’ autonomy in administrative and managerial areas of schools as well as field of instruction are also encouraged.

      • 학교장의 시간 사용 및 지도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백종면 한국교통대학교 2019 한국교통대학교 논문집 Vol.5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rinicipals’ time-use and its relationships with leadership. For this purpose, TALIS(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2018 data were used, which has provided the results of survey on time-use and leadership of 161 primary school principals and 150 middle-school principals in Korea. Principal’s time-use was estimated by percentage of time used on the following 7 tasks in their role as principals - administrative tasks and meetings, leadership tasks and meetings, curriculum and teaching-related tasks and meetings, student interactions, parent or guardian interactions, interactions with local and regional community/business/industry, other. The leadership was estimated by 3 questioning items concerning supports for co-operation among teachers to develop new teaching practices, ensuring teachers’ responsibilities for improving their teaching skills, and ensuring teachers’ responsibilities their students’ learning outcomes. Principals’ sex, level of formal education and work experience years were considered as control variables. For statistical analysis,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execu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except for student interactions, little differences in the pattern of time-use between primary and middle school principals. Second, principals use more time on administrative tasks and curriculum and teaching-related tasks. Third, there a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principal’s time-use and their leadership. Finally, male principals have higher distributed leadership.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principal’s time-use on their tasks be considered in developing leadership program or in-service education

      • KCI등재

        장애인 평생교육 관련 법규 및 지원체계의 현황과 과제

        백종면,김영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

        Under the context of recent amendment of 「Lifelong Education 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related laws and supporting system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and is to discuss the problems and the ways of solving them. The problems are raised in terms of ambiguity of conceptions, imperfection of related laws, and uncertainties of roles and functions among the supporting agenci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disabilities closely related with employment and welfare issues, it is suggested that the conception and necessity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should be discussed on the more ideological and philosophical basis. In the legal aspects, revision in the certification system of lifelong educator and enactment of local rules are proposed.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linkage and cooperation among the supporting agencies be reinforced.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substantive enforcement of revised 「Lifelong Education Act」and active discussion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평생교육 관련 법규와 지원체계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고 미비점에 대한 보완책을 논의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장애인 평생교육의 문제점을 장애인 평생교육 개념의 모호성, 법규적 측면의 미비점, 지원주체 간의 역할 및 기능의 불명확 등 세 가지 측면에서 제기하였다. 고용과 복지와 밀접히 연계된 장애가 가지는 특성을 고려할 때,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해서는 그 의미와 필요성에 대한 이념적·철학적 접근이 더욱 요구되고, 법규적인 측면에서는 장애인 전문 평생교육사의 양성을 위해서 자격제도를 보완하고 그 배치와 이행을 담보할 수 있는 법 규정의 마련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지방차원에서는 장애인 평생교육 관련 조례가 조속히 완비되어야 함을 지적하였다. 장애인 평생교육의 지원체계와 관련해서는, 중앙과 지방차원에서 관련기관 간 연계·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를 통해 장애인 평생교육의 전환점을 마련한 최근의 「평생교육법」개정의 취지가 단순한 선언적 의미에 그치지 않고, 향후 장애인 평생교육 발전에 실질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교과교실제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체계적 문헌분석

        백종면(Baik, Jong-M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7

        본 연구는 교과교실제에 대한 학술적 연구에서 제기된 교과교실제의 필요성·가능성과 함께 교과교실제의 한계나 성공적 도입을 위한 과제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는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학술논문 DB인 RISS, KISS, DBPIA 등의 검 색을 통해 1997년부터 2013년 기간 동안 발표된 학술지논문 26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학술논문은 하드웨어 영역, 소프트웨어 영역, 휴먼웨어 영역, 시스템웨어 영역 등 네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체계적 분석이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교과교실제는 그 필요성과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학급교실제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교육여건에 비추어 볼 때 그 성공적 도입을 위해서는 해결되어야 할 많은 과제를 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하드웨어 측면에서 볼 때 신설학교가 아닌 기존의 학교에 대해 리모델링이나 증축, 재배치를 통해 교과교실제에 적합한 건축공간을 조성하는 것은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소프트웨어 측면에서는 단위학교의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자율성의 확대, 효과적 교수학습을 위한 교과 별 수업모형 및 방법의 개발·보급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휴먼웨어 측면에서는 학생들의 교과교실제에 대한 이해도와 만족도를 높이고, 교사의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집중적인 연수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넷째, 시스템웨어 측면에서 볼 때, 단위학교의 업무중심의 교무조직을 교과와 수업중심의 체제로 전환하고 학생지도체제는 자율적 자기관리 방식으로 바꾸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necessity/possibility and limits/tasks of subject classroom system raised in academic researches. For this purpose, the academic papers studied from 1997 to 2013 were looked up initially through the academic DBs such as RISS, KISS and DBPIA. For this study, 26 journal articles were finally selected for the analysis.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in terms of four categories of hardware, software, humanware and systemware.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subject classroom system had many problems to be solved in Korean educational context, in spite of its necessity and possibilities. First, in hardware aspect, the schools has difficulties in restructuring the classroom and facilities into ones appropriate for subject classroom system. Secondly, with respect to software aspect, the school autonomy of curriculum management should be expanded and subject instructional models need to be developed for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Thirdly, in humanware aspect, the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of students for subject classroom system should be enhanced and intensive in-service training of teachers should be enforced. Finally, with regard to systemware, the school organization shoud be reorganized for instruction-centered one from administration-centered one and system of student guidance and disciplines should be changed into self-directed management system.

      • KCI등재

        지방분권 강화에 따른 특수교육 행정지원체계 개선 방향

        백종면(JongMyun Baik),김영표(YoungPyo Ki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5

        최근 새로운 정부 출범과 함께 초·중등교육분야에서 시·도 교육청에 대한 중앙정부의 대폭적인 권한이양이 추진되고 있는바, 특수교육분야에 있어서만큼은 교육대상의 특성과 고비용 등의 특수성을 고려할 때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인식하에 본 연구는 특수교육에 관한 행정지원체계의 바람직한 개선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우리나라 특수교육 행정지원체계의 현황 및 문제점은 무엇인가? 둘째, 지방분권 강화에 따른 특수교육 행정지원체계의 바람직한 개선방향은 무엇인가? 등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조직 및 인력, 기능 및 역할, 재정 등 3가지 측면에 대하여 문헌 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중앙차원에서는 기능 및 역할, 재정 측면에서, 지방차원에서는 조직 및 인력, 측면에서 특히 개선 및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특수교육분야에서 중앙정부와 시·도 교육청의 역할 분담 등 행정적 지원체계의개선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New central government is directing towards turning considerable powers in the field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over local educational authorities. For special education, under this trend of decentralization, cautious approach is required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nd high cos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desirable directions of reorganizing special education administrative support system in Korea. Two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current status of the special education administrative support system in the central and provincial level? Secondly, what is the desirable directions for the improvement of special educational administrative system?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analyses, research findings were presented in terms of three aspects of organization and manpower, function and role and finances.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decentralization of educational system.

      • 학교문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백종면(Baik, Jong-Myun) 한국교통대학교 미래교육통합연구소 2021 미래교육통합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OECD가 제공하는 TALIS 2018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의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초등학교와 중학교에 있어서 교사들이 인식하는 학교문화의 특성을 학교 훈육 풍토, 교사와 학생 간 관계, 교사 및 이해관계인의 참여 등 세 가지 학교문화 구성요소를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첫째, 교사가 인식하는 학교의 훈육 풍토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모두에서 학습분위기 조성에 소극적이거나 비협조적인 학생들로 인해서 다소 엄격한 통제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학교문화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 교사와 학생 간 관계에 있어서는 초등학교의 경우 긍정적인 관계문화가 조성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는 반면에 중학교의 경우에는 그렇지 못한 것으로 나타난다. 셋째, 교사 및 이해관계인의 참여에 있어서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모두 학교 내 의사결정의 참여 기회가 부족하고 상호협력적인 문화도 미흡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지표에 따른 우리나라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학교문화는 통제적이며 학교 구성원들의 관계나 참여에 있어서 개선의 여지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만 초등학교에 있어서 교사와 학생 간의 바람직한 관계 문화가 형성되어 있는 것은 긍정적이며 향후 학교문화 개선에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chool culture of Korean primary and middle school. For this purpose, TALIS(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2018 survey data were used, which has provided the results of survey on school climate by OECD. School culture was represented in terms of three indicators: teachers’ perceived disciplinary climate, teacher and student relations, participating among stakeholders and teachers. The survey was administered to 3,207 teachers of 200 primary schools and 2,931 teachers of 200 middle schools in Korea. The results of analysis on school culture are as follows. First, in the primary and middle schools, strict control in the classrooms and lessons are executed for learning atmosphere. Second, intimate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primary schools are appeared, whereas in middle schools such relationships are not existed.. Finally, bothl of primary schools and middle schools, opportunities to actively participate in school decision process are not provided for staffs, parents, students and stakeholders.

      • 대학교육에 대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활용 촉진 방안 연구

        백종면(Baik, Jong-Myun),박양근(Park, Yang-Keun) 대한경영학회 2012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Vol.201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4년제 대학에서 교육과정의 현장적합성을 제고하는 수단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epency Standard)의 활용을 촉진하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와 함께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정책담당자 및 관계기관의 전문가, 대학 교수 등을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하여 대학의 국가직무능력표준의 활용을 가로 막고 있는 제약요인을 먼저 파악한 후에 그 극복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에서의 NCS기반 교육과정의 개발과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NCS기반 교육과정이 기존 교육과정이나 인증시스템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보완한다는 관점에서 접근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NCS가 도입될 시 기존 교육과정의 변화로 인한 심리적, 재정적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NCS의 개발과 대학에서의 적용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에 산업체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적이라는 점이다. 아울러 NCS활용확산을 위해 NCS기반 교육과정의 개발과 시범적용을 통해 효과성을 널리 알리고, 정부의 각종 대학재정지원사업과 연계하는 등 대학이 위험과 부담을 감수하고 NCS의 활용을 시도할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적인 유인책을 마련할 것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the use of the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 in order to enhance the field(on-site) suitability of university curriculum. Based on the review of literature and the interviews of policy makers, experts and professors, this study recommends the ways of promoting the use of NCS-based curriculum at the universities. First, the utilization of the NCS for the university curriculum should be to complement the existing curriculum rather than to replace it. To alleviate the psychological and financial burdens of universities,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industry is also essential in the whole process of developing and applying the NCS at the universities. In addition, the active involvement and supports of the government are required in terms of conducting pilot-development and pilot-application of NCS-based curriculum, providing the incentives or linking the utilization of NCS with the government"s various funding-projects for the universities.

      • KCI등재

        국립대학 행정직원의 역량 요구 분석 : H대학의 6급 이하 실무집행계층을 대상으로

        백종면(Jong-Myun Baik)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5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국립대학 행정직원을 대상으로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역량모델을 적용하여 그들에게 요구되는 역량과 그 우선순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5급 이상의 관리층을 대상으로 한 기존 연구들과 달리 6급 이하의 실무집행계층을 대상으로 중부권 소재 중소규모의 한 국립대학에 역량모델을 적용한 기초 사례연구의 성격을 띠고 있다. 공통역량, 리더십역량, 직무역량의 3가지 역량군 13개 하위역량에 대하여 중요(필요)수준과 현재수준에 대한 대응표본 t검정과 보리치(Borich) 요구도, The Locus for Focus 모델 적용을 통해 나타난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역량에 대한 요구도를 살펴본 결과 3가지 역량군 13개 하위역량 모두에 대해 행정직원들이 인식하고 있는 중요(필요)수준과 현재수준 사이에는 해소해야 할 격차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각 역량에 대해 요구의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성별이나 직군, 근무경력과 같은 개인별 특성에 따라 그 우선순위가 각각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존 선행연구에서 국립대학의 계장급 이상의 관리자에게 변화관리 역량이나 기획력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나는데 비 해 6급 이하의 실무집행계층에 대해서는 전문가 의식이나 의사소통과 같은 역량이 가장 우선적으로 요구됨을 보여 주고 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국립대학의 6급 이하 실무집행계층의 경우 다양한 개인별 특성을 반영하여 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됨을 보여 주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needs of competency development for the administrative staffs of national universities. A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mpetency gaps between ‘what is’ and ‘what should be’.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findings, the competencies were categorized into 3 competency groups of common competencies, leadership competencies, and job competencies and their 13 sub-competencies. The results of analysis through t-test, Borich need assessment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re as follows. First, the statistically meaningful gaps were identified between the competencies of ‘what is’ and ‘what should be’ for all of the 13 sub-competencies. Second, the highest priority of competency development were differentiated by sex, employment-status and job-career of the administrative staffs. In order to promote the competency levels of national universities’ administrative staff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o consider diversity of personal characteristics of administrative staffs in term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job status/ranks, and so 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