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합교육교사 테크놀로지

        백종남(Baek, Jongnam) 한국통합교육학회 2018 통합교육연구 Vol.13 No.2

        이 연구는 통합교육교사의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에 영향을 미치는 테크놀로지-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내적경로를 설정하여 검증하였다. 아울러 이 모형에서 교사구분(일반교사/특수교사)과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일반교사 103명, 특수교사 79명 등 통합교육교사 182명을 대상으로 T-PACK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교사의 T-PACK 내적경로는, 교수지식(PK)이 테크놀로지지식(TK)과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T-SE)을 매개로, 내용지식(CK)이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T-SE)을 매개로 T-PACK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둘째, 통합교육교사의 T-PACK 내적경로에 교사의 구분(일반교사/특수교사)과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통합교육교사의 T-PACK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 데 있어 참고할 만하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결과에 따라 논의하였으며,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verified the inner path to determine the mediation effects of technology-self efficacy, which influenced the T-PACK (Technology-Pedagogy and contents knowledge) of integrated education teachers, In addition, the moderation effects of teachers’classification(general teacher/special teacher) and gender were verified. To perform this study, T-PACK was measured on 182 integrated education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PACK inner path of the integrated education teacher is influenced by PK through TK and T-SE, and CK through T-SE; Second, the T-PACK inner path model of integrated education teachers has the mediation effect of teachers’classification(special teacher/general teacher) and gender.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useful in establishing a strategy for improving the T-PACK of integrated education teachers. Based on these finding(results), some discussions and suggestions were offered.

      • KCI등재

        자폐성 장애 아동 실생활적응기술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기능성게임 고찰 및 행동주의 심리학적 적용 요소 제안

        백종남(Baek, Jongnam) 한국행동분석학회 2021 행동분석․지원연구 Vol.8 No.3

        가상현실(VR)을 적용한 기능성게임(serious game)은 자폐성 장애 아동에게 몰입과 흥미를 유도하여 자립생활훈련을 위한 도구로써 그 활용이 기대된다. 이 연구는 VR 기술의 특수교육적 효과, VR 기술과 기능성게임 접목, VR 기능성게임의 교육적 효과, VR 기능성게임 개발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등과 관련한 문헌을 고찰하였으며, 자폐성 장애 아동을 위한 VR 기능성게임 디자인 프레임워크 및 행동주의적 요소를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자폐성 장애 아동의 실생활적응기술 훈련을 위한 VR 기능성게임 개발 프레임워크로서, 페다고지(pedagogy), 학습 내용 및 게임 메카니즘, 평가에 대해 제안하였다. 둘째, 자폐성 장애 아동의 실생활적응기술 훈련을 위한 VR 기능성게임 동기화를 위한 행동주의적 요소로서, 강화와 처벌의 분명한 적용, 강화계획의 적용으로 게임 참여의 지속성 유도, 반복형 실습을 위한 행동연쇄의 다양화, 자극촉진을 활용한 난이도 조절, 개인 선호에 따른 반응 촉진의 다양화 등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자폐성 장애 아동 실생활적응기술 훈련을 위한 VR 기능성게임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 serious game applying virtual reality (VR) is expected to be used as a tool for independent life training by inducing immersion and interest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ASD). This study is to examine a framework for the development of a Virtual Reality-Serious Game(VR-SG) for training ASD children s real life adaptation skill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to propose a behaviorist prototype for synchronizing VR-S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VR-SG framework approaches in three areas: pedagogy, learning content and game mechanism, and evaluation. Second, the behaviorist strategy for synchronizing VR-SG for real life adaptation skills training for students with ASD is to: (1) Clear application of reinforcement and punishment; (2) Induce continuity of participation in the game by applying the reinforcement plan; (3) diversification of behavioral chains for repetitive practice; (4) difficulty control using stimulation promotion; (5) diversification of reaction promotion according to personal preference. This study presented basic contents for use in the development of independent life training programs for children with ASD by studying the framework for developing functional virtual reality games for children with ASD.

      • KCI등재

        『행동분석·지원연구(창간호-2019)』의 특성 및 학술적 가치 분석

        백종남(Baek, Jongnam),박계신(Park, Gye-Shin) 한국행동분석학회 2020 행동분석․지원연구 Vol.7 No.2

        본 연구는『행동분석·지원연구』2014년 창간호부터 2019년 12월호까지 학술지 발행 현황, 학술지 활용성 및 체계성, 학술지 질적 향상 노력 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술지 발행 편수와 게재 논문 수는 창간 이후 지속하여 증가하였고, 수록 논문의 내용과 연구 방법이 학술지 주제와 완전히 부합한다. 그러나 연구 참여 저자의 지역 분포적인 측면에서는 투고원(投稿源)을 넓히는 노력이 요구된다. 둘째, 학술지의 활용성과 체계성 측면에서 게재 논문 접근성이 높고, 학술지 인용 지수와 논문집 구성 및 체계성 등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학술논문 온라인출판 표준규격(JATS) 도입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온라인 관리 시스템 활용, 심사 절차의 엄정성, 연구윤리 강화 등 학술지의 질적 향상 노력이 활발히 수행되었으나, 향후 인간 대상 연구 활동에 대한 윤리 교육 강화와 IRB 요구 절차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행동분석·지원연구』의 전문 학술지로서 지향해야 할 활용성, 체계성, 윤리성 및 학술적 가치를 재조명하고, 향후 학술지의 발전 방향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the publication of『Journal of Behavior Analysis and Support』from the first issue of 2014 to the December issue of 2019, the utilization and systematic nature of the journals, and the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journals.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ublication performance of the journal has steadily improved since its inception, and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e paper are completely in line with the subject matter of the journal. However, the efforts are required to expand the contribution source in the futur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accessibility of published papers was high in terms of the usability and systemicity of the journal, and the citation index of the journal and the composition and organization of the journal were good. It will be necessary to consider introducing a standard (JATS) for online publishing of academic papers. Third,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journals have been actively made in view of the performance of online management systems, strictness of screening procedures, activities to strengthen research ethics, and holding workshops and conferences. However, it is believed that calls for strengthening ethical education and IRB approval for human research activities are needed.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effective information on the utilization, system, ethics, and academic values to be pursued as a professional journal, and also provided an opportunity to discuss the future direction of the journal s development.

      • KCI등재

        지적장애, 자폐성장애 등 발달장애아동의 기능적 행동평가를 위한 동기사정척도(MAS)의 타당성 검증에 관한 연구

        백종남(Baek Jongnam) 한국행동분석학회 2020 행동분석․지원연구 Vol.7 No.1

        이 연구는 심리측정학적 검증을 통해 동기사정척도(Motivation Assessment Scale: MAS)의 타당성을 재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자폐성장애 104명, 지적장애 41명 등 발달장애학생 145명과, 이들을 대상으로 기능적 행동평가를 시행한 145명의 부모이다. 이 연구에서 온라인 설문조사 시스템과 오프라인을 통해 자료를 수집된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요인분석으로 MAS를 4개 요인 15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확인요인분석과 수정지수(MI)를 활용하여 MAS를 수정하였으며, 모형적합성과 집중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셋째, MAS의 잠재변인 간 판별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 결과, 복합기능 6개 문항, 선호활동 3개 문항, 감각추구 4개 문항, 관심유도 3개 문항 등 4개 요인 16개 문항으로 MAS를 재구성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복합기능을 제외한 3개 요인은 비교적 설명력을 갖추었으므로, 행동분석을 위한 연구 및 중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그러나 재구성된 4개 요인 16개 문항은 기존 이론적 가설과 완전하게 부합하지 않으며, 선행연구(김태형, 2018)의 모델과도 다른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에 따라 MAS의 요인 구조는 여전히 신뢰성 있다고 보기 어려우므로, 발달장애아동의 기능적 행동평가를 위한 새로운 도구 개발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따라 논의하였으며, 연구의 시사점, 후속연구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revalidate the validity of the Motivation Assessment Scale (MAS) through psychometric verification. Participants were 145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cluding 104 autism and 41 intellectual disabilities. 145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participated as a examine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AS was composed of four factors and 15 questions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econd, the MAS was revised by using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Modification Index(MI), and goodness-of-fit and convergent validity were verified. Third, the discriminant validity between potential variables of the MAS was verifi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MAS was reconstructed into 4 factors 16 items including ‘complex’ factor 6 items, ‘tangible’ factor 3 items, ‘sensory’ 4 items, and ‘attention’ 3 items. However, the revised MAS did not fully fit the theoretical hypothe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presented.

      • KCI등재

        유아기 의무교육 권리 강화를 위한 특수교육대상학생 보호자의 지원 요구

        박소영(Park, Soyoung),백종남(Baek, Jongnam),홍사훈(Hong, Saahoon),이정윤(Lee, Jungyoon),백상수(Baek, Sangsu)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0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3 No.3

        이 연구는 자녀의 영·유아기 보육 및 교육기관 경험을 가지고 있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유아기 의무교육에 관한 지원 요구를 파악하여 특수교육대상유아 의무교육 권리 강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전국 17개 시·도 특수교육대상학생의 보호자 757명이다. 연구 방법은 조사연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빈도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유아기 교육 및 보육 경험에서 교육기관 중 국·공립 유치원 이용경험이 높았고, 그 이유는 통합교육을 경험하기 위해서였다. 보육기관 중 민간어린이집 이용경험이 높았고, 이유는 집 근처 통합유치원이 없어서였다. 둘째, 장애유아 의무교육에 대한 인식에서 의무교육 실행요건으로 교사 자격은 유아특수교사(교육부 자격), 기관장 자격은 국․공․사립 유치원 원장(교육부자격), 배치 기관은 국공립유치원이 가장 높았다. 의무교육 실행개선을 위해 특수학급 설치유치원에 특수교사 배치, 특수교육을 전공한 방과 후 전담인력 배치, 특수교육지원센터를 통한 다양한 치료지원 인력 확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에 따라 특수교육대상유아를 위한 의무교육 지원과 관련된 법률의 개정 및 정책 수립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asures to strengthen the right of the compulsory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by identifying parents’ demands for supports. Seven hundreds and fifty seven parents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were recruited from 17 provinces in Korea. The survey were conducted to collect data and the frequency data analysis were us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parents perception on the care settings and the education settings, the parents preferred to be enrolled their child into public educational settings rather than care settings to provide inclusive education to their child. Second, parents were aware of operation requisite for compulsory education that teachers should have teaching certification issu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at the chief of the organization should have education director certification issu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at their children should be enrolled in public preschool. To improve compulsory educational practices, special teachers should be placed at preschool where special class were setup, after school care-givers who majored special education should be placed, and therapy support service providers should be hired at Supporting Center for Special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vision of the law and the direction of policy establishment related to the compulsory education support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education needs were discussed and suggested.

      • KCI등재

        특수학급 교사의 다중지능이론 수용 준거 개발

        정정온 ( Jeongon Jeong ),백종남 ( Jongnam Baek ),김삼섭 ( Samsup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0 No.1

        이 연구는 특수학급 교사가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함에 있어 수용할 준비는 어느 정도 되어있는 지를 판단하는 준거, 즉 특수학급 교사의 다중지능이론 수용 준거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수학급 교사의 다중지능이론 수용 예비준거를 구성한 다음, 문항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타당화하였다. 그 결과, ① 교사의 준비, ② 예술적 수용, ③ 학교협력문화, ④ 협조적 수용, ⑤ 존중의 문화, ⑥ 정보의 교류의 6개 영역에 속하는 29개의 문항이 ‘특수학급 교사의 다중지능이론 수용 준거’로 밝혀졌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준거는 특수학급을 운영하는 교사가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함에 있어 필요한 요인이 어떤 것인지 알아보는 준거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다중지능이론의 수용 준비 정도가 어느 정도인지 알아보기 위한 후속 연구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veloping the adoption criterion about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for special class teachers. The participant of this research is 197 special class teachers. First, We made the adoption preliminary criterion. Preliminary criterion is made by development of item group, professional examination and preliminary inspection. Second, To improve item discrimination, We applied analysis of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lpha if item deleted and item-total correlation. And to improve construct validity of criterion, we appli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hich is evidence on internal structure. From this result, We found out 29 items subjected those 6 categories: the teacher``s preparation for class; artistic acceptance; school cooperation atmosphere; cooperative acceptance; respectable atmosphere; information exchange. This study focused on probing and opportuning what criterion is needed for special class teachers in which the teachers adapt the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These new criterion will be used as a criterion whether the teachers is prepared for adaption about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or not. In addition, We expect that the adoption criterion about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will be useful for further study to know the degree of preparation for adoption about Multiple Intelligence.

      • KCI등재

        Bibliographic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f the Play-oriented Curriculum in Chinese Kindergartens

        장심설 ( Xinxue Zhang ),백종남 ( Jongnam Baek )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3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3 No.3

        유치원 놀이중심 교육과정은 유아의 발달 단계와 특성을 고려하여 놀이를 핵심내용으로 하여 교육과정 전체의 시행과정을 통해 이를 통합하는 과정이다. 본 연구는 중국 국가지식인프라(www.cnki.net )를 통해 1995년부터 2023년까지 중국에서 발간된 학술지의 문헌자료 448개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정보 시각화-사이트스페이스’를 활용해 유치원 놀이기반 교육과정 연구 문헌을 시각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이 분야의 연구 현황과 핫스팟(hotspot), 동향 등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자간의 학술적 교류와 협력이 부족하고, 연구 접근방식은 양적 연구에 주로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질적 연구는 충분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연구의 주제는 유치원, 민속놀이, 놀이, 유치원 놀이기반 교육과정, 놀이정신 등의 분야에 집중되어 있다. 이들 분야의 연구 동향으로는 놀이, 민속놀이, 놀이화(化) 통합교육과정, 교육과정 개혁 등이 있다. 본 연구는 유치원 놀이기반 교육과정의 발전과정과 핫스팟을 파악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예측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kindergarten play-oriented curriculum is a process of integrating play into the entire curriculum as the core content in consideration of the development stages and characteristics of infant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448 literature sources from journals published in China between 1995 and 2023, accessed through the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www.cnki.net). Visually analyzing kindergarten play-based curriculum literature using “Information Visualization- CiteSpace”, helps to understand the research status, hotspots, and trends in this field.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is a lack of academic exchange and cooperation among researchers, and the research approach primarily focuses on quantitative research while lacking sufficient qualitative research. The hot topics of research are focused on areas such as kindergarten, folk play, play, kindergarten play-based curriculum, and play spirit. The research trends in these fields include play, folk play, playfication, integrated curriculum, and curriculum reform, among others. This study analyz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kindergarten play-based curriculum, identified current hot topics, predicted future development directions, and finally presente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 유아기 의무교육 권리 강화를 위한 특수교육대상학생 보호자의 지원 요구

        박소영(So-young Park),백종남(Jongnam Baek),홍사훈(Saahoon Hong),이정윤(Jung Yoon Lee),백상수(Sang soo Baek) 한국특수교육학회 2020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

        연구목적: 의무대상자인 유, 초, 중등 학교 자녀들을 양육한 보호자를 대상으로 자녀의 영 ·유아기 보육과 교육기관 경험과 특수교육대상유아 의무교육에 관한 현황 및 지원 요구를 분석하여 특수교육 대상유아의 의무교육 강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17개 시도 특수교육대상학생의 보호자 757명의 설문조사를 수집된 자료를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빈도와 퍼센트를 산출하였으며 다만, 우선순위를 묻는 문항에서 여러 개 항목 중 1순위~3순위로 응답하는 경우, 가중치를 주어 환산점수를 구하여 순위를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유아기 교육 및 보육 경험에서 교육기관 중 국·공립 유치원 이용경험이 높았고, 그 이유는 통합유치원이 없어서였다. 둘째, 장애유아 의무교육에 대한 인식에서 의무교육 실행요건으로 교사 자격은 유아특수교사(교육부 자격), 기관장 자격은 국.공.사립 유치원 원장(교육부 자격), 배치 기관은 국공립유치원이 가장 높았다. 의무교육 실행개선을 위해 특수학급 설치 유치원에 특수교사 배치, 특수교육을 전공한 방과 후 전담인력 배치, 특수교육지원센터를 통한 다양한 치료지원 인력 확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자녀의 영·유아기 보육 및 교육 경험을 균형 있게 제공한 특수교육대상학생의 보호자 입장에서 특수교육대상유아의 의무교육 권리 강화를 위한 지원 요구 분석함으로써 관련법과 정책의 기초 자료로 근거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유아특수교사의 놀이지원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대인관계 특성 분석

        박소영(Park So-young),백종남(Baek Jongnam)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1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4 No.4

        이 연구는 유아특수교사의 놀이지원 실행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대인관계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도구는 “대인관계 형용사척도(KIAS)”로 온라인 설문조사로 수집된 153명의 자료를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특수교사의 교육과정 운영 역량은 교사의 대인관계 특성이 친화형, 지배형일수록 그 역량이 높고, 고립형과 사교형일수록 그 역량이 낮았다. 둘째, 유아특수교사의 배움 지원 역량은 교사의 대인관계 특성이 친화형일수록 그 역량이 높고, 복종형일수록 그 역량이 낮았다. 셋째, 유아특수교사의 기록과 평가 역량은 교사의 대인관계 특성이 친화형일수록 그 역량이 높고, 복종형일수록 그 역량이 낮았다. 넷째, 유아특수교사의 전문성 함양 역량은 교사의 대인관계 특성이 지배형, 친화형일수록 그 역량이 높고, 고립형일수록 그 역량이 낮았다. 다섯째, 유아특수교사의 관계 형성 역량은 교사의 대인관계 특성이 친화형일수록 그 역량이 높고, 복종형일수록 그 역량이 낮았다. 향후 유아특수교사의 직전교육 및 현직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of the interpersonal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he play support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s the research tool, “Interpersonal Adjective Scale (KIAS)”, a stepwis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data of 153 individuals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bility to operate the curriculum of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was higher when the teacher s interpersonal characteristics were friendly and dominant, and lower as they were inhibited and sociable type. Second, the ability to support learning of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was higher when the teacher s interpersonal characteristics were friendly and lower as they were obedience type. Third, the ability to the recording and evaluation competencies of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was higher when the teacher s interpersonal characteristics were friendly and lower as they were obedience type. Fourth, the ability to increase expertise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as higher when the teacher s interpersonal characteristics were friendly and dominant and lower as they were inhibited type. Fifth, the ability to relationship-building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as higher when the teacher s interpersonal characteristics were friendly and lower as they were obedience type. In the future, we propse using this basic data in the pre-service training and in-service training of teachers to strengthen the play support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 KCI등재

        2019 개정 누리과정 적용에 따른 통합교육 환경 유아특수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진재섭 ( Jin Jaesup ),백종남 ( Baek Jongnam )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3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장애유아 통합교육 현장에서 개정 누리과정 적용으로 인한 유아특수교사들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경험이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질적 메타분석을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 개정 누리과정이 시행된 2019년부터 2023년까지 발간된 질적연구물 7편을 대상으로 탐색을 실행하였으며, Nobit과 Hare(1988)가 제시한 질적 메타분석 7단계 방법을 활용하였다. 개정 누리과정을 실행하는 유아특수교사들은 ‘변화에 대한 도전, 어려움과 한계’, ‘놀이에 대한 인식 변화, 교사로서 역할에 대한 행동의 변화’, ‘장애유아 통합교육 현장에 나타날 긍정적인 효과에 대한 기대’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은 성공적인 놀이중심 교육 실행을 위해 기관의 구성원 및 사회의 구성원들의 ‘공동의 노력’이 필요함을 요구하고 있었다. 이를 위해 개정 누리과정의 실행을 위한 자료 제공 및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역량 증진을 위한 구체적 지원, 실행 경험에 대한 데이터 축적 및 평가과정이 요구되며, 특수교육대상 유아의 놀이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통합교육 환경에서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경험한 유아특수교사들에 대한 개별적인 질적 연구물들을 종합적인 시각으로 살펴보고, 통합교육 환경에서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실행을 위한 방향을 제안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utilized a qualitative meta-analysi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garding the implementation of play-centered educational curriculum in the field of inclusion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s influenced by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o achieve this, a search was conducted on seven qualitative research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19 and 2023 that focused on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qualitative meta-analysis followed the seven-step approach proposed by Nobit and Hare (1988). The findings revealed that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mplementing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experienced challenges, difficulties, changes in perception of play, changes in their role as teachers, and positive expectations regarding the potential positive effects in the field of inclusion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Furthermore, these teachers emphasized the need for collaborative efforts among institutional and societal members to successfully implement play-centered education. Specific support such as providing materials for the execution of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enhancing teachers’ capacity for curriculum restructuring, accumulating data on implementation experiences, and conducting evaluations were identified as necessary. In addition, in-depth discussions on play for children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are required. This study contributes by providing a comprehensive perspective on individual qualitative research studies examining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with play-centered educational curriculum in inclusion education settings and proposing directions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play-centered education in inclusion education environ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