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곤충배설물을 이용한 친환경적

        백윤정 한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굼벵이는 의서 ‘동의보감’에서 간에 좋은 약재로 소개되고 있다. 딱정벌레목의 유충 중 국내에서 식용되는 흰점박이꽃무지와 장수풍뎅이의 유충인 굼벵이가 최근 웰빙 열풍으로 인해 약용으로 한약재 및 각종 건강식품으로 가공되는 유통량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굼벵이 농가의 사육이 늘어남에 따라 굼벵이배설물 또한 증가하여 많은 양의 굼벵이 배설물이 버려지고 있다. 일부 굼벵이 사육농가들은 굼벵이 배설물을 토양에 직접 섞에서 농작물 재배에 이용하고 있다. 굼벵이는 우수한 영양학적 및 생리학적 가치를 가지고 있으므로 굼벵이의 배설물 또한 퇴비화 과정을 거친다면 기존의 퇴비에 비해 양질의 영양분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굼벵이배설물은 퇴비화 과정 중에 냄새가 없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친환경퇴비를 만들어서 퇴비로서의 가치가 인정이 된다면 무분별한 화학비료의 사용을 줄여 토양을 보호하고 가정에서도 손쉽게 원예용 퇴비를 만들어 화초를 재배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굼벵이의 배설물을 이용하여 퇴비화과정인 발효를 거쳐서 변화되는 것을 관찰하고 그것이 원예용 용토로 적합한지를 실험하였고 추가적으로 배설물로 만들어진 친환경퇴비와 일반토양을 혼합한 퇴비에 식물을 식재하여 식물의 성장 과정을 관찰하였다. 굼벵이의 배설물을 이용하여 만든 퇴비가 퇴비의 적정 탄질비(C/N)를 가지고 있는지가 이 연구의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연구 결과 퇴비에 적합하다는 결과를 나타내어 굼벵이의 배설물을 이용하여 친환경퇴비의 제조가 가능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이를 이용하여 실제 식물의 식재가 가능한지를 관찰하였고 식물성장에 도움에 된다는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에서 실험한 굼벵이 배설물을 이용한 친환경적 퇴비와 원예용토를 혼합하여 원예작물을 재배하게 된다면 버려지는 굼벵이배설물의 양을 줄이고 친환경 농산물을 생산 할 수 있어 이를 통한 비용절감 및 토양오염을 줄여 환경문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대학생의 미술치료에 대한 인식연구

        백윤정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is to inquire into the university students' recognition about art therapy, and also into the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about art therapy of the university students who experienced art therapy and of the university students who did not experience art therapy. And then, this thesis is to provide a basic material which is necessary for enlargement of recognition for art therapy and for a grope for the further direction of art therapy. The study subject was 420 university students of five universities located in Kwangju and Kyungsan. For them,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which was composed of the recognition of art therapy, the expected effect of art therapy, the curative value, the problem of art therapy, the therapeutic factors of art therapy based on precedent studies. The data materials were analyzed by SPSS(ver.18.0 for Windows).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test(Cronbach's α) and factor analysis were carried out for the composition of scale. The frequency, the percentage, the average, the standard deviation were valued for the recognition of art therapy. T-test was carried out for the expected effect of art therapy according to whether-or-not of experience in art therapy, the curative value, the problems of art therapy, the difference in the therapeutic factors of art therap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n view of the recognition degree of art therapy, top on the list of responses was To Know a Little. In most cases, they came to know art therapy by way of newspaper or TV. And there were respondents who came to know art therapy in class hour or in counselling. The interestedness in art therapy was very high, and the rate of thinking art therapy as one of clinical or counselling fields was high. There were a lot of students who did not participate in an art therapy program. Generally, most of the students had confidence in art therapy on the whole, and wanted to take part in an art therapy program afterwards. The rate of the respondents was high, who thought that the subject of art therapy was the person with psychological, sentimental problems. The rate of the respondents was highest, who thought that the person in charge of art therapy program should be a professional art therapist. And also, the rate of the respondents was high, who thought that the person in charge of art therapy program should be a counselor. In view of the anticipation for art therapy, most of the respondents anticipated the heightening of self-efficacy and self-confidence. In view of the effectiveness of art therapy, most of the respondents anticipated the solving of inner conflicts and the changes from negative attitude to positive one. In the problems of art therapy, advertisement shortage of art therapy advertisement was highest. And some respondents pointed out short of studies for the harmony with other research studies and also a confusion resulted from the various training institutions for an art therapist. In view of the client factors out of the therapeutic factors, confidence in art therapist was highest. In view of the professional field of art therapist, understanding on various symptoms of clients was highest. And in view of the character of art therapist, concern and love for client were highest. In the factors of therapy room, the production of counselling atmosphere was highest. In the factors of art media, the response that the effectiveness of art therapy was improved by the use of art media was highest. Second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nticipation for the art therapy according to whether-or-not of experience of art therapy. University students who experienced art therapy thought that art therapy was helpful for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r improvement of self-efficacy and self-confidence, for decision on the course after graduation, for getting rid of stress, as compared with university students who did not experience art therap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iveness of art therapy according to whether-or-not of experience of art therapy. University students who experienced art therapy recognized highly the effectiveness of art therapy. In the problems of art therapy according to whether-or-not of experience of art therapy, university students who experienced art therapy had a high recognition for the shortage of professional art therapist, and for confusion resulted from the various training institutions for art therapist. On the other hand, in the aspect of the shortage of studies for the harmony with other research studies, university students who did not experience art therapy recognized the aspect higher than university students who experienced art therapy. The recognition about the therapeutic factors according to whether-or-not of experience in art therapy showed a difference in the factor of art therapist's professional quality, of art therapist's character, of environmental factor of therapy room, of art media. University students who experienced art therapy recognized the factors highly.

      • 만다라 집단미술치료가 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미치는 효과

        백윤정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만다라 집단미술치료가 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G시 10개 사립 유치원교사 10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사전 조사를 하였으며, 직무스트레스 원점수 90점(평균 점수) 이상인 교사 중 만다라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참가를 희망하는 자로 실험집단 7명, 통제집단 7명, 총 14명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다. 2009년 3월 10일부터 2009년 5월 29일까지 주 2회, 회기 당 120분씩, 총 20회기의 만다라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질문지 검사인 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척도와 스트레스 대처능력 척도를 실시하였고, 투사 검사인 빗 속의 사람 그림검사(PITR)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Version 12.0 Program을 이용하여 공분산분석(ANCOVA)를 실시하였으며, 질문지 검사의 양적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해 빗 속의 사람 그림검사(PITR)를 사전․사후 실시하여 그림의 변화 양상을 채점 체계표를 이용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다라 집단미술치료 실시 후,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전체와 각 하위요인인 원아들과의 활동요인, 업무 관련 요인, 행정적 지원 요인, 학부모 관련 요인, 경제적 안정 요인, 개인 관련 요인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사전 검사에 비해 사후 검사의 스트레스 전체와 각 하위요인 평균점수 모두 감소하였다. 또한 빗 속의 사람 그림검사 채점에서 사전에 비해 사후 스트레스 요인 점수가 감소하였다. 만다라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진행과정에서 긴장감을 완화하고 스트레스를 구체적으로 표출함으로써 정서적 안정감을 느끼게 되었고, 이로 인해 초기에 나타난 스트레스 징후인 신체적 증상(두통, 불면증, 피로감)이 종결단계에서 완화됨을 볼 수 있었으며, 이는 만다라 집단미술치료가 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만다라 집단미술치료 실시 후, 스트레스 대처능력 전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적극적인 스트레스 대처능력인 문제중심 대처, 사회적 지지추구 대처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전 검사에 비해 사후 검사의 평균점수가 스트레스 대처능력 전체와 각 하위요인 모두 증가 하였다. 또한 빗 속의 사람 그림검사 채점에서 스트레스 대처능력이 사전에 비해 사후 점수가 높아지고 스트레스 대처자원 수가 증가 하였다. 만다라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자기 내면세계를 통찰하게 되어 외부 스트레스 상황을 지각하는 수준과 정도가 감소하였으며, 스트레스 요인을 구체화 시키고 대처방안을 모색해 보는 활동, 집단원들과 상호교류하는 협동작업을 통해 점차적으로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태도로 변화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론은 만다라 집단미술치료가 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감소와 적극적인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Mandala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Kindergarten Teachers' Job Stress and Stress Coping Ability. For the purpose, 100 persons of the 10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 Gu-mi were selected for Questionnaire Pre-test. The Study Objects were selected to the Upwards of the Job Stress Raw Score 90 Points(Average Score) on Kindergarten Teachers object of the Study. The Mandala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hopeful of participating and then, Study Objects established Experimental Group 7 persons, Control Group 7 persons, all 14 persons. From March 10th 2009 to May 29th 2009 as twice for each week, as 120 minutes for each session, all 20 sessions of the Mandala Group Art Therapy Program enforced. Research tool was enforced Questionnaire test on Kindergarten Teachers' Job Stress Scale and Stress Coping Ability Scale. Trace test was used to the Person In The Rain(PITR). Data Analysis utilized SPSS WIN Version 12.0 Program for Covariance Analysis(ANCOVA), Pre․Post test of the Person In The Rain(PITR) were used to make up the Questionnaire test of the Quantitative research for the limitation. And then, Changable Aspects of Drawing made use of the Marking System Chart comparison․analysis. From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after the Mandala Group Art Therapy Program, whole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Job Stress and each of the Low factors with kindergarten children Activity factor, Job relation factor, Administrative aid factor, Parents of students relation factor, Financial stability factor, Individual relation factor were changed. The whole Stress and each of the Average score were reduced of the Pre-test's score than Post-test's score. Also Person In The Rain(PITR) was reduced of the pre-test than post-test for the Stress Factor Score. Emotional a sense of security was felt from the Mandala Group Art Therapy Program progressing process relaxed the strain and concretely expressed the stress. Therefore, the Mandala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eased to the beginning of the Stress Sign on Physical Symptoms(headache, sleeplessness, fatigue) from the conclusion grade. As the result of the Mandala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effected to decrease on the Kindergarten Teachers' Job Stress. Second, After the Mandala Group Art Therapy Program, all of the Stress Coping Ability statistically didn't change. But, progressive Stress Coping Ability of the Subject Focus Coping, Social Support pursuit Coping Ability were changed. Pre-test's Average score than Post-test's Average score was increased to the whole of the Stress Coping Ability and each of the Low factors. Also marking on the Person In The Rain(PITR) Stress Coping Ability was raised up pre-test than post-test and increased Stress Coping resources. Level and Degree was reduced through the Mandala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discerning of the Self inside realm and perceiving of the Outside Stress State. And Stress Cause was embodied to find a Coping Scheme activity. And then, through a group of the teachers' Interactions Cooperative Work gradually changed progressive and active attitudes. From the results and discussions, this study of conclusions are effective to improve the Mandala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Kindergarten Teachers' Job Stress decrease and progressive stress coping ability.

      • 신변처리 프로그램이 정신지체 여학생의 성 지식과 생리시 신변처리 능력에 미치는 영향

        백윤정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To research the influence of the use of personal hygiene program on the mentally retarded girl students' sex knowledge and personal hygiene ability when menstruating, researcher apply personal hygiene program to 5 junior high school girl students of a special school for mentally retarded children in H County, Chonnam, two times a week 15 times in total. The time required for each program is 40 minutes. Concer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First, the use of personal hygiene program has affirmative influence on the sex knowledge of mentally retarded girl students. Students 2 experienced great changes, Students 1 hardly changed. Especially in 'pregnancy and birth', students showed great improvement after applying personal hygiene program. So the appliance of personal hygiene program is helpful for students' knowledge of pregnancy and birth. Second, the use of personal hygiene program have affirmative effect on personal hygiene ability of mentally retarded girl students when having menstruation. Student 4 showed many changes, and students 3 changed little. In 'use of regular, wing-shaped sanitary pads', students showed great improvements after the application of personal hygiene program. So it is confirmed that personal hygiene program helps knowledge in using sanitary pad. The grades of students varied widely in 'menstrual pain' and students have little knowledge before appliance personal hygiene program. After applying the program, students showed improvements in knowledge in menstrual pain. Based on the conclusions, I would suggest as follows. First, we should give efficient and systematic sex-education program to mentally retarded students which is suitable for their school year. And studies should be made continuously in order to carry out sex-education in every school. Second, administrative supports should be made for the studies of the sex-education program which fits mentally retarded students.

      • 19세기 한국 춤 공간 연구 : 궁중기록화(宮中記錄畵)를 중심으로

        백윤정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한국 춤 공간이 19세기로 접어들면서 궁중기록화의 그림에서 볼 수 있는 춤 공간과 그에 따른 춤의 종류에 대해 찾아보았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우리 춤의 공간 연구의 기준을 춤을 기점으로 한 공간 연구를 할 것 인가, 공간의 형성을 바탕으로 한 춤의 성격으로 할 것인가에 대한 방법을 제시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음을 언급하고자 한다. 즉 한국무용사적 작품측면에서 볼 때 한국 춤에 관한 연구는 많은 문헌과 논문으로 연구되고 있지만, 한국 춤 공간에 대한 선행연구의 자료가 미흡하다. 또한 궁중기록화의 작품에서는 춤 공간의 도판만으로 제한한 관계로 그림 자료가 충분하지 못한 것이 아쉬움이 남는다. 이에 본 논문은 궁중기록화의 도판에 나타난 춤 공간의 형태나 구조를 도식화하고 분석하여, 한국 춤의 종류와 특징을 재조명하고 한국 춤 공간의 미학적 특징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의 연구 방법은 19세기의 시대적 배경 기록을 중심으로 궁중기록화(宮中記錄畵)에 따른 관련된 문헌과 논문, 19세기 궁중기록화에 속한 궁중행사도(宮中行事圖)와 의궤도(儀軌圖) 작품에서 한국 춤 공간이 그려진 도판을 바탕으로 연구를 전개한다. 또한 <도식 1>의 무대 공간 분석에 따라 춤 공간을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예(禮)를 실천하는데 반드시 필요했던 가무 부분의 궁중기록화 도판을 도식화하여 얻어낸 춤 공간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밝히고자 한다. 첫째, 19세기에도 공연을 연행하기 위해서 물리적인 무대 공간을 조성하였다는 것이다. 즉 보계는 효과적인 공연을 가능하게 하는 무대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오늘날의 야외무대와 유사하다고 추측할 수 있다. 둘째, 한국 춤 공간이 나타난 궁중기록화에서는 한 무대에서 여러 가지 작품이 공연되었다. 셋째, 각 진찬도병마다 살펴보면 1첩에서 8첩, 1첩에서 10첩으로 그림이 진행될수록 무대의 춤 공간이 간소화 되어가고 입체적으로 변화한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표 15>에 나타난 무대 공간의 도판을 연구한 결과 유사한 도식의 형태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즉 본 논문에서 연구되어진 궁중기록화의 8가지 도판을 분석한 결과, 도식의 유형은 5가지 정도로 구분되어 질 수 있다. 또한「평양감사향연도(平壤監司饗宴圖)」의 3가지 도식은 서로 다른 특징을 갖고 있다. 다섯째, 3폭의 그림으로 구성된「평양감사향연도」의 도식에서 보여지는 공통적인 특징은 관객석이 사방으로 배치되어서, 관객이 무대공간의 사방에서 공연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논문의 춤 공간 연구는 한국 춤 공간에 대한 연구와 자료가 미흡하였으므로 궁중기록화를 분석하는 방법론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실제 조선시대 전반에 걸쳐 꾸준히 제작되어 온 궁중기록화는 19세기에 이르러 그 절정에 달하였다. 그리고 그 당시의 상황을 사실적으로 표현하였다는 점으로도 기록화 그 자체의 가치는 물론 그 시대 공연예술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로써의 가치를 충분히 지니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19세기 궁중기록화에 나타난 춤 공간의 도판을 도식화하여 춤 공간의 미학적 특징을 밝힐 수 있었다. 한국 춤 공간 연구에 있어서 어려움에 당면하는 것은 전반적으로 자료가 미흡하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춤 연구의 새로운 자료와 연구방법을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며, 이를 바탕으로 좀 더 폭넓은 연구가 활성화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초등영어에서 TV광고를 활용한 수업이 학습자의 영어듣기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백윤정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7차 교육 과정에서 지향하고 있는 다양한 교수 매체 활용에 발맞추어 광고를 활용한 영어 듣기 학습을 해보고 이에 따른 성취도 변화를 알아보는 것이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 은평구에 위치한 I 사설학원의 초등학교 4,5,6학년 학생 24명(실험집단 12명, 통제집단 12명)을 선정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로는 사전/사후 흥미도 및 자신감에 대한 검사와 사전/사후 영어 듣기 성취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자료 처리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1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흥미도와 자신감에 대한 영역과 영어 듣기 성취도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은 사전 동질성 검증을 위한 t-test(검증)와 사후 변화에 대한 t-test(검증)로 나뉜다. 흥미도와 자신감에 대한 분석으로는 집단별 변화 분석, 집단 간 변화를 t-test(검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설문조사 자료로써 시행된 광고를 활용한 학습을 하고 난 후 느낀 점 등을 질적 자료로서 제시하였다. 듣기 성취도에 대한 분석으로는 집단별 변화 분석 및 집단 간 t-test(검증)를 통해 분석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각 차시별로 7차 교육과정과 접목이 되는 소재를 다루고 있는 광고를 선정하여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 구현하였고 이를 직접 실험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광고를 활용한 수업은 일반 듣기 수업보다 학습자의 듣기 능력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광고라는 매체 자체가 주는 흥미와 즐거움을 통하여 학습자들이 듣기 수업에 더욱 집중할 수 있었고 광고에 따른 외국 문화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배운 단어와 표현 등을 더욱 오래 기억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초등학습자들은 외국의 광고를 본 경험이 거의 없으므로 광고라는 매체가 줄 수 있는 흥미로움에 젖어 수업 자체에 몰입할 수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둘째, 광고를 활용한 수업은 일반 듣기 수업보다 학습자의 흥미도와 자신감에서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 듣기 수업의 경우 들려오는 본문을 귀로만 듣는 것에 반해 광고를 활용한 수업의 경우, 광고라는 동영상을 이용하여 학습자의 주의를 끌고 문화적인 설명을 덧붙여서 즐거운 이야기도 함께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광고 선정 시 학습자들이 흥미를 더욱 갖을 수 있도록 우리나라의 유명한 상품이나 학습자의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소재들을 선택하여 학습자의 흥미를 더욱 끌어냈기 때문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서 광고를 활용한 영어 듣기 수업이 학습자의 영어 듣기 능력 및 흥미도와 자신감에 더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7차 교육과정에서는 다양한 교수 매체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 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광고는 그러한 다양한 교수 매체 중의 하나로서 그 역할을 하기에 부족함이 없다. 광고를 통하여 학습자들은 언어를 이해하기 위한 필수 불가결한 요소인 문화도 함께 접할 수 있고, 카피라이터들이 고심하여 만들어낸 문장들을 학습할 수 있는 기회도 얻을 수 있다. 또한 광고에는 소비자의 흥미를 끌기 위한 요소들이 많아서 학습자들도 더 오래 기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주의를 끌기 위해 유머러스한 내용 및 상황을 연출하여서 학습 하는 동안 즐겁고 지루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광고 매체의 장점을 잘 살려서 학습자들이 즐거움과 더불어 능력 향상도 얻을 수 있도록 교사들은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English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y of EFL(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students through the use of TV English advertisements. The main goal of learning English is to build up the ability to appropriately communicate with native English speakers in a real-life situations. In an EFL environment, learners don't have many opportunities to meet and talk with native speakers. In order to overcome this restriction, twelve TV commercials have been chosen for analysis in accordance with the 7th English Curriculum.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in three phases based on the theory of listening: pre-listening, listening and post-listening phases. First, the pre-listening phase includes the explanations of vocabulary lists and sociocultural background. Second, the listening phase includes listening activities such making guesses of the topic, question and answering of the context as well as dictations. Finally, the post-listening phase consists of learning of role-plays and discus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the class exposed to ad instructions scored higher on the English listening tests than before the experiment. In addition, students' interests were increased too. In conclusion, using advertisements for English language education provides learners with some significant benefits, such as opportunities to learn natural English expressions and English culture as well as to develop creativity. These effects are in accordance with the 7th English Curriculum, which emphasizes practical English training, learning English culture and developing creativity. Also, it can help EFL learners to improve their communication skills,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English education. In conclusion, we need to develop various media and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English by using advertisements to facilitate English education more effectively.

      • 프로그래밍 교과의 e-learning 학습시스템 설계 및 구현

        백윤정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터넷의 발전은 학습자의 학습환경을 변화시키면서 교육환경에도 커다란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는데, 그 중에서 기존의 면대면 방식의 일방적 수업방식에서 인터넷을 활용한 상호작용을 통해 수업 및 학습을 진행할 수 있게 된 e-learning 환경의 교육적 변화도 큰 몫을 차지하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은 인터넷을 활용한 e-learning의 교육적 기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가정이나 학교 그 이외의 어느 곳에서나 학습할 수 있는 교육용 켄텐츠의 설계, 구현에 목적을 두고 e-learning 학습시스템을 구현하였다. 학습내용은 실업계 고교의 프로그래밍 교과 중 C++프로그래밍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는데, 성인을 위한 프로그래밍 학습사이트는 많이 있지만 아직까지 실업계 고교의 수업과 학습을 병행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교과에 대한 학습용 컨텐츠를 다루는 웹사이트는 거의 없다는 점에서 본 논문의 학습시스템은 선생님의 교수활동은 물론 학생의 효율적인 프로그래밍 학습에 많은 기여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더 효율적이고 양질의 교육용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먼저 e-learning의 정확한 이해를 위한 개념 확립과 함께 e-learning의 특징과 장단점등으로 e-learning 시스템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교수·학습 시스템 설계에 대한 기본 구조 및 내용 이해를 위한 교수설계 부분에서는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단계로 이루어지는 가장 기본적이고 대표적인 ADDIE모형을 적용하였고, 학습자분석을 위한 설문조사도 실시하여 기존의 교육용 컨텐츠에서는 많이 다루지 않았던 학습내용인 선행학습 부분의 필요성을 유추해냄으로써 선행학습이라는 컨텐츠를 추가, 개발하여 학습의 효율성을 도모하였다. 또한 학습과 지식구성의 주체는 학습자임을 감안하여 단순한 학습자 중심의 e-learning이 아닌 교사와 학생 사이의 상호작용뿐만 아니라 학습자들 끼리의 의견교환, 학습자와 학습내용과의 활발한 교류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묻고 답하기, 학습자료실, 자유게시판, 방명록 등의 커뮤니티 부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학습의 극대화를 꾀하려는 목적으로 학습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궁극적으로는 e-learning 환경의 학습 컨텐츠로서의 면모를 갖출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has changed the learning environment for learners and led to the transformation of education environment. Most of all, the educational change of e-learning environment has taken a huge share by enabling interactive teachingand learning based on the Internet from the existing, unilateral method of face-to-face teaching.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e-learning system intended for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content which can be taught at any time, in any place, whether at home, at school or in any other place, to maximize the utilization of educational function of e-learning based on the Internet. This system deals with C++ Programming among programming curriculum for vocational high schools. While there are abundant sites to learn programming for adults, few sites provide content for leaning programming curriculum which can be used for teaching as well as learning at vocational high schools. From this respect, the learning system in this paper is expected to make a meaningful contribution not only to the teaching activities of teachers but to the effective learning of programming for students. Of course, in order to implement more efficient education system in good quality, we suggested, in the first place, the need for establishment of concept for correct understanding of e-learning and the need for development of e-learning system including the characteristics, merits and demerits of e-learning. In instruction design part intended to provide understanding of the basic structure and contents, the most basic and representative ADDIE model consisted of five steps of analysis, design, development, execution, evaluation was introduced and survey was conducted to analyze learners. From these, we added and developed the content of prior learning, which has hardly been the subject of the existing educational content, by analogizing the need for prior learning, promoting the efficiency of learning. Besides, considering that the subject of learning and knowledge construction is learners, we also helped users make the most of community part including Q&A, learning materials archive, bulletin board system(BBS) and guest book so that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re facilitated beyond the simple learners-centered e-learning and exchange of opinions among learners and interchange between learners and learning contents are activated. With these, our learning system is intended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learning and is implemented to ultimately put on the aspect of learning content for e-learning environment.

      • 중학생의 학습성격유형과 수학 영역별 학업성취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백윤정 계명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개인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성격 중의 학습성격의 유형과 수학의 각 영역별 성취도의 관계를 연구,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D중학교 2학년 152명과 경북에 소재한 S중학교 3학년 130명, 총 282명을 대상으로 학습성격유형 검사와 수학 학업성취도 검사를 실시하였습니다. 282명 중 두 검사에 모두 참여한 231명의 자료를 SPSS 10.0/WI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분석 하였습니다. 연구 결과 학습성격유형과 수학 학업성취도간의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는 탐구형과 수학 학업성취도가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중학교 2학년의 경우에는 이상형과 수학 학업성취도가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다. 중학교 2, 3학년 모두 행동형과 수학 학업성취도가 가장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행동으로 학습이 동기화 될 수 있는 행동형의 학생들에게 보다 적합한 수업 방식이 요구된다. 학습성격유형과 수학 영역별 학업성취도간에도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는 이상형과 확률 및 통계 영역이 가장 큰 상관이 있다. 탐구형은 확률 및 통계를 제외한 모든 영역에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고 행동형은 수와 연산 영역에서만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중학교 2학년은 이상형은 수와 연산, 문자와 식을 제외한 영역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지만 행동형은 모든 영역에 유의미한 상관이 없었다. 중학교 3학년의 경우에는 탐구형이 확률과 통계를 제외한 모든 영역에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고 이상형이 모든 영역과 유의미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중학교 2학년은 행동형의 학생들을 소외시키지 않는 수업 방법이 필요함을 알 수 있고 중학교 3학년은 행동형과 이상형 학생들에게 좀 더 적합한 수업 방법이 추가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This research paper conducted research and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 of studying personality and level of achievement for each math domains when it comes to the unique personalities of each individual students. Studying personality type test and level of achievement for math test was conducted, targeting total of 282 students (152 from second year of Junior High School situated in Daegu, and 130 from the third year of Junior High School S based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for this research. Data of 231 among 282 who participated in the two tests was subjected to statistical processing and analysis by using SPSS 10.0/WIN program.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showed that there i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ype of studying personality and level of achievement for math. In overall, the research showed that there i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nvestigation type and level of achievement for math, but in the case of second year of junior high, there i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deal type and level of achievement for math. Both the second and third year of junior high manifested the lowest correlation when it comes to the action type and level of achievement for math. Accordingly, a more appropriate teaching method is required for action type students who can be induced into studying through action.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ype of studying personality and level of achievement for each math domains. In overall, ideal type and probability and statistics domain manifested highest correlation. Investigation type manifested significant correlation in all domains except for probability and statistics. Action type manifested significant correlation in numbers and operation domains. As for the second year of junior high, ideal type manifested significant correlation except for numbers and operation, and equation. However, action type did not manifest significant correlation in all domains. As for the third year of junior high, investigation type manifested significant correlation in all domains except for probability and statistics. Ideal type did not manifest significant correlation in all domain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possible to know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teaching method that does not marginalize action type students in the second year of junior high, and to develop more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for action type and ideal type students in their third year of junior hig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