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해시태그를 통한 감정 공유가 지각된 관심 끌기와 사회적 상호작용성에 미치는 영향

        김민지(Minji Kim),김보명(Bomyung Kim),김현영(Hyunyoung Kim),백서연(Seoyeon Baek),신현식(Hyunsik Shin),이인성(Inseong Lee),김진우(Jinwoo Kim) 한국HCI학회 2016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

        소셜 미디어를 통한 감정 공유가 증가하고 있다. 감정공유는 타인의 공감을 얻고 ‘좋아요’나 댓글과 같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증가시키기 위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지나친 감정 공유로 인해 오히려 타인의 공감을 얻지 못하고 관심 끌기라고 판단되는 경우가 나타나고 있다. 관심 끌기를 목적으로 한다고 판단되는 게시물에 대해 사용자들은 공감하지 못하고 사회적 상호작용을 줄이게 된다. 관심 끌기라고 판단하게 되는 원인 중 하나로 해시태그(#)를 통한 감정 공유가 있다. 기존의 해시태그는 게시물의 주제를 나타내는 키워드로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직접적인 감정 공유의 수단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시태그가 강조성과 보편성이라는 수사적 기능을 수행하며 이러한 기능이 감정 공유에 있어 관심 끌기라고 판단하게 되는데 영향을 줄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이러한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해시태그를 통해 감정을 공유하는 가상의 게시물을 제작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관심 끌기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고 생각될수록 게시물에 대한 ‘좋아요’ 수가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공유된 감정이 강조되었고 보편적이지 않다고 생각될수록 관심 끌기라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Emotion sharing on social media is flourishing. People share their feelings to increase social interactions such as ‘like’ and comment. Due to the excessive sharing, however, some people have failed appealing and perceived as attention seekers. People do not empathize with an attention seeking post and decrease the number of social interaction. Emotion shared with hashtag(#) is a classic example which is perceived as an attention seeking. Although hashtag has usually represented a keyword of a post, recently it becomes an emotion delivering method. In this study, we hypothesized that the rhetorical function of hashtag affects the judgment of attention seeking. To verify the hypotheses, we conducted a survey with prototype system. The result indicated that as people perceived the post as attention seeking, the number of ‘like’ decreased. In addition, people tend to judge the post as attention seeking, when they think shared emotion is emphasized and unique.

      • Course-based Assistive Technology Development Program in College

        Dongil Kim(김동일),Kyoungsun Kim(김경선),Sora Jeong(정소라),JeeEun Karin(남지은),Seoyeon Baek(백서연),Jaeho Lee(이재호),Seyoung Jang(장세영)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본 연구는 장애인 참여형 보조 공학 기기 개발 수업(CATCH)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보조 공학 기기 개발과정의 경험을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CATCH 수업지원 프로그램을 수강한 A대학교 공대에 재학 중인 열 한 명의 학생이다. 면담은 한 학기 동안 학기의 시작 시점, 중간, 그리고 학기 말에 참여자 1인당 3회씩 총 33회 실시하였다. 면담 내용을 보완하기 위해 수업 참여 경험에 대한 참여자의 자기보고서 2건을 수집하였고, 또한 수업 참여 관찰, 장애인 자문위원단과의 협의회 참여 관찰 및 조원협의회 참여관찰을 각 1회씩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서 반복적 비교분석(constant comparativ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참여자들의 수업 경험을 통해 드러난 각 코드들이 18개로 범주화 되었고 이것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기대’, ‘막막함과 좌절’, ‘도전과 타협’, ‘보람 그리고 인식의 확장’의 4개의 주제(theme)로 분류되었다. CATCH 수업지원 프로그램에 참가한 학생들의 장애인과 따뜻한 기술에 대한 긍정적 인식의 변화와 수업이 갖는 한계점을 탈피할 수 있는 제언이 제시되어 있다. 요약의 제목은 [요약문]의 스타일을 적용한 뒤 진하게 만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arning experiences of students who have participated in a course-based assistive technology development (CATCH) program. 10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ATCH program offered at A University in Seoul were recruited for this qualitative study.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through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Final results showed that various codes were classified into 18 categories and four sequential themes: ‘expectation’, ‘frustration and failure’, ‘challenges and compromises’ and ‘rewards and increased awareness.’ Positive changes in students’ percep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assistive technology are outlined, and the limitations of the CATCH program are discussed.

      • KCI등재

        수학학습장애 위험군아동, 읽기,수학공존학습장애위험군아동, 일반아동의 수학문장제 문제해결력 비교 -수학 인지변인을 중심으로-

        김동일 ( Dongil Kim ),고혜정 ( Hyejung Koh ),김이내 ( Ienai Kim ),백서연 ( Seoyeon Baek ),이해린 ( Haelin Lee ),이기정 ( Kijyung Lee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3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4 No.1

        수학문장제 문제해결력 문제는 읽기능력, 수리적 계산능력과 문제해결력을 동시에 요구한다. 수학문장제 문제해결력 검사의 경우 읽기 혹은 수학 단일 영역의 능력만을 측정하지 않고 두영역과 더불어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변인들에 대한 측정이 종합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문장제 문제해결력 문장제 문제의 식과 답, 총점을 측정하여 일반아동과 수학학습장애 위험군아동, 읽기ㆍ수학공존학습장애 위험군아동의 수학문장제 문제해결력을 비교하였으며 수학문장제 문제해결력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변인들을 측정하여 각 집단 간의 수행력 차이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수학학습장애 위험군아동과 읽기ㆍ수학공존학습장애 위험 군아동은 수학문장제 문제해결력에서 일반아동들보다 낮은 수행력을 보였으며, 특히 공존학습 장애위험군 아동들이 가장 낮은 성취수준을 보였다. 각 인지변인에 있어서도, 주의력을 제외한 모든 인지변인에서 공존학습장애 위험군아동이 가장 낮은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미루어, 공존학습장애 위험군 아동들에게 실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진단도구 개발과 교육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e mathematical word problem needs reading skills, mathematical calculation abilities and problem solving skills at the same time. The mathematical word problem solving test measures not that only single reading or mathematical skills but that reading skills, mathematical abilities, and cognitive variables that influence these skills in overall. Therefore,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mathematical word problem solving of children at risk in mathematics disabilities(MD), comorbid in reading and mathematical disabilities (MDRD), and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N) by measuring the mathematical formula, answer and total score of mathematical word problem. Additionally, this study is also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erformance of cognitive variables through measuring the cognitive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mathematical word problem solving. As a result, the children at risk in MD only and MDRD showed lower performance in mathematical word problem solving than the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N) did, especially the children at risk in MDRD revealed the lowest performance. Regard with the cognitive variables, the children at risk in MDRD are also classified with the lowest performance group in all the cognitive variables except for atten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implication and recommendation were suggested that diagnostic instrument and education program are needed to develop to applying practically for the children at risk in MDRD.

      • 장애대학생들이 경험한 온라인 학습에 대한 질적 분석

        김동일(Dongil Kim),손지영(Jiyoung Son),고혜정(Koh, Hyejung),정소라(Sora Jung),이재호(Jaeho Lee),백서연(Seoyeon Baek)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본 연구는 장애대학생들이 경험한 온라인 학습에 대해 면담조사를 실시하여, 장애로 인한 온라인 학습의 어려움, 온라인 학습의 필요성, 온라인 학습을 위해 필요한 정보통신 인프라, 교수·학습지원 제도, 온라인 학습 콘텐츠 개발에 대한 요구의 네 가지 항목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1명의 시각, 청각, 지체장애를 가진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해 실시한 면담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장애대학생들은 고등학교 입시과정에서부터 많은 온라인 교육을 받았던 것으로 나타났으나, 각 장애유형에 따라 온라인 학습에 대한 접근의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이를 통해 앞으로 온라인 학습이 장애학생을 포함하여 모든 사용자를 위한 온라인 교육이 되기 위한 제언점에 대해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online learning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terviews of eleven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implemented, and then each individual case was analyzed through qualitative analytical method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difficulties of online learning and specific need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of developing online learning environment were recommen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