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ultural Homeless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Young Cross-Cultural Individuals

        JeeEun Karin Nam(남지은),J. Sophia Nam(남지혜),Dongil Kim(김동일) 한국교육심리학회 2018 敎育心理硏究 Vol.32 No.3

        본 연구에서는 교차문화 청소년들이 겪는 어려움들을 문화적 소속감의 부재라는 이론적 틀 안에서 살펴보았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151명의 교차문화 청소년들의 데이터를 통해 이들의 문화적 소속감의 부재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탐색하였고, 그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문화적 소속감의 부재는 심리적 안녕감과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심리적 안녕감의 6차원 중 긍정적 대인관계와 환경에 대한 통제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문화적 소속감의 부재가 심한 청소년일수록 정서인식 명확성 수준과 상관없이 만족스러운 관계를 적게 맺고 있고, 일상생활에서 통제감이 적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문화적 소속감의 부재가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칠 때 정서인식 명확성이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이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심리적 안녕감의 6차원 중 긍정적 대인관계와 개인적 성장 영역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의 수준이 문화적 소속감의 부재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적 소속감의 부재 정도가 낮은 개인들은 긍정적인 대인관계 수준이 정서인식 명확성 수준에 따라 달라졌다. 즉, 문화적 소속감의 부재를 경험하고 있는 개인들 중 정서인식 명확성 수준이 이 높은 이들은 타인과 보다 긍정적인 관계를 보고하였다. 흥미롭게도 문화적 소속감의 부재 정도가 높은 청소년들은 정서인식 명확성 수준과 상관없이 개인적 성장에 대한 큰 열망을 보고하였다. 즉, 이들은 겉으로는 진취적이게 보여도 내적으로 명확하지 않은 정서들을 경험하며 어려움을 겪고 있을 수 있다. 이 결과는 교차문화 청소년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들의 문화적 소속감의 문제와 정서인식 명확성의 문제를 동시에 다루어야 함을 시사한다. 특히 문화적 소속감의 부재로 힘들어하는 교차문화 청소년들을 위해 정서경험을 더욱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적, 상담적 개입이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llenges of young cross-cultural individuals (CCIs) through the cultural homelessness (CH) framework. Methods: Through a survey of 151 CCIs, the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 and psychological well-being (PWB), as well as the moderating role of emotional clarity (EC). Results: Results indicated that CH was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PWB, especially on the Positive Relations with Others and Environmental Mastery dimensions. Individuals with high CH tended to have less satisfactory relationships and a reduced sense of control over daily life situations, regardless of their EC level.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CH and EC was found, specifically in Positive Relations with Others (PR) and Personal Growth (PG). For individuals with high CH, however, satisfactory relationships were dependent on their EC level; they reported mor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others when their EC levels were high. Interestingly, individuals with high CH were likely to report a high desire for personal growth regardless of their EC level, indicating that they may appear ambitious but may be experiencing unclear emotions.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H and EC are issues that need to be dealt with simultaneously. As individuals’ PWB depends not only on their CH level, but also on their EC, reducing the level of CH should not be the only goal in promoting the well-being of CCIs. Increasing individuals’ EC would be just as important, as high EC, along with low CH, predicts important dimensions of PWB.

      • 중증 장애 대학생 해외 연수 경험과 인식 분석 : QoLT 1~4차 연수를 중심으로

        김동일(Kim, Dongil),이재호(Lee, Jaeho),남지은(Nam, JeeEun Karin) 순천향대학교 특수아동교육연구소 2015 특수·영재교육저널 Vol.2 No.1

        본 연구는 2011년부터 지식경제부(현 산업통상부)의 지원을 통해 QoLT 센터를 중심으로 진행된 4번의 중증 장애 대학생 해외 연수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인식 변화 분석에 대한 내용분석법을 활용한 질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2011년부터 2012년까지 2년에 걸쳐서 총 4회의 연수가 실시되었으며, 본 연구자들은 모두 1회 이상의 연수 참여 연구원으로 함께 장애 대학생들과 연수를 진행, 주도하였다. 총 26명의 중증 장애 대학생이 참여하였으며, 방문지는 미국과 캐나다로 이들은 1차 서류심사와 2차 면접을 통하여 선발되었다. 연수 기간은 짧게는 7박 9일에서 길게는 9박 11일로 진행이 되었으며, 모든 일정에 인솔교수와 지원 스텝이 함께 하였다. 연구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하여 삼각 검증법이 사용되었다. 분석 자료는 1~4차 보고서, 사업 계획서, 평가회 자료집, 홈페이지 자료, 학술 논문 등이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는 장애 유형별로 시각장애, 청각장애, 지체장애 학생들의 인식과 경험을 차례로 분석하였고, 추가적으로 4번의 연수에 모두 참여한 연구원의 인터뷰를 통해 해외 연수 프로그램이 어떻게 변화되고 발전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시각적 정보 접근의 제한, 영어와 통역에 대한 문제, 이동성과 접근성,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서 연수가 더 발전되었다고 도출되었으며, 이들의 경험이 각 분야에서 장애인 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 밑거름으로 되길 기대해본다. This study sought to illuminate the unique experiences and perspective changes of college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who had participated in a overseas training program. The overseas training programs were run by Quality of Life Technology, financially supported by the Korean government, and took place four times in 2011 and 2012. The researchers have coordinated and led the programs at least once. A total of 26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were chosen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through a competitive selection process. Qualitative analyses on the written reports of the students were conducted by researchers, who have als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s coordinators. To enhance the validity of the analysis, triangulation was used. In addition to various related materials, the student report conten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disability type (visual, hearing, physical impairment). Also, a coordinator who had participated in all four programs was interviewed in depth. Findings suggest that the participants have gained valuable insight about themselves as well as the differences in the facilities and social systems between Korea and other countries. Such results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future training endeavors for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 Course-based Assistive Technology Development Program in College

        Dongil Kim(김동일),Kyoungsun Kim(김경선),Sora Jeong(정소라),JeeEun Karin(남지은),Seoyeon Baek(백서연),Jaeho Lee(이재호),Seyoung Jang(장세영)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본 연구는 장애인 참여형 보조 공학 기기 개발 수업(CATCH)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보조 공학 기기 개발과정의 경험을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CATCH 수업지원 프로그램을 수강한 A대학교 공대에 재학 중인 열 한 명의 학생이다. 면담은 한 학기 동안 학기의 시작 시점, 중간, 그리고 학기 말에 참여자 1인당 3회씩 총 33회 실시하였다. 면담 내용을 보완하기 위해 수업 참여 경험에 대한 참여자의 자기보고서 2건을 수집하였고, 또한 수업 참여 관찰, 장애인 자문위원단과의 협의회 참여 관찰 및 조원협의회 참여관찰을 각 1회씩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서 반복적 비교분석(constant comparativ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참여자들의 수업 경험을 통해 드러난 각 코드들이 18개로 범주화 되었고 이것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기대’, ‘막막함과 좌절’, ‘도전과 타협’, ‘보람 그리고 인식의 확장’의 4개의 주제(theme)로 분류되었다. CATCH 수업지원 프로그램에 참가한 학생들의 장애인과 따뜻한 기술에 대한 긍정적 인식의 변화와 수업이 갖는 한계점을 탈피할 수 있는 제언이 제시되어 있다. 요약의 제목은 [요약문]의 스타일을 적용한 뒤 진하게 만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arning experiences of students who have participated in a course-based assistive technology development (CATCH) program. 10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ATCH program offered at A University in Seoul were recruited for this qualitative study.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through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Final results showed that various codes were classified into 18 categories and four sequential themes: ‘expectation’, ‘frustration and failure’, ‘challenges and compromises’ and ‘rewards and increased awareness.’ Positive changes in students’ percep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assistive technology are outlined, and the limitations of the CATCH program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