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종합병원 종사자의 노화지식 및 노화불안이 노후생활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백경원 차의과학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ging knowledge, aging anxiety and retirement living preparation level, as well as the factors that affect the retirement living preparation level among the general hospital workers that directly & indirectly meet patients as they experience the aging society. As for the data collection, 170 workers of the general hospital located in Gangnam-gu were surveyed for 6 days during October 17 - 22, 2011. In regards to the measurement tool, questions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used, as well as 25 questions of the scale used by Myung-Shin Kim (2008) and Hyun-Sook Park (2009) based on the scale by Jung-Ran Han (2000, 2007) that supplemented and recomposed,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 of our country, the Facts on Aging Quiz (FAQ) I, II for the purpose of measuring their knowledge on aging. As for the aging anxiety scale, in the total of 20 questions were used from the Anxiety about Aging Scale (AAS) by Lasher & Faulkender (1993). In regards to the retirement living preparation level scale, in the total of 29 questions were used from the scale used by Won-Ju Lee (2011) that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scale by Seung-Il Hwang (2000) and Min-Sook Park (2007).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9.0 Window program to conduct descriptive statistics as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rough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xt and ANOVA,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ging knowledge level was high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al variables of general hospital workers that are in their 40s and above, graduated from graduate school, that have over 11 years of working experience and that do not live together with their parents. Second, the anxiety on loss and psychological anxiety level was high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al variables of general hospital workers with the type of residence in the order of others, lease, ownership and monthly rent, and the anxiety level on loss was high in the order of the mother's age being in the 60s, the 70s and above and the 50s and below. Third, the retirement living preparation level was high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al variables of general hospital workers in the case of that are in the 40s and above and married in the sub factor of physical preparation, and in the case of that are in the 20s, female, medical profession group and the husband's age of in the 50s and above in the emotional preparation, and in the case of that are in the 40s and above, graduated from graduate school, married, house ownership, over 11 years of working experience, over 3 million won income and not living with parents in the financial preparation. Fourth, as for the other variables that show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aging knowledge, aging anxiety and retirement living preparation level of the general hospital workers, fear of the elderly was high for those that have not lived together with their grandparents, and the anxiety on loss was high for those that have no educational experience, and the psychological anxiety was high for those do not have chronic diseases. Finally, as for the type of living as a factor that affects the financial preparation of the retirement living preparation level, the preparation level was high in the case of those that are not living with their parents in the order of ownership, lease, monthly rent and others, and the financial preparation level was higher as the psychological anxiety level was lower. As for the emotional preparation, the emotional preparation level was higher as the anxiety on loss was higher and the psychological anxiety was lower. In conclusion, the aging knowledge of the general hospital workers that are in their 20s to 40s had no statistically meaningful effects on their retirement living preparation level, but it was found that the retirement living preparation level sub factors of financial preparation and emotional preparation were higher, as the aging anxiety sub factor of psychological anxiety was lower.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emotional preparation was higher, as the anxiety on loss was higher. It would be necessary to prepare various programs in the field for education on aging anxiety and systematic retirement living preparation.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를 경험하면서 직․간접적으로 환자를 만나는 한 종합병원 종사자를 대상으로 노화지식, 노화불안 및 노후생활준비도가 어떠하며, 노후생활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료수집은 2011년 10월 17일부터 10월 22일까지 6일간 서울 강남구 소재의 종합병원 종사자 17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측정도구는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묻는 문항과 노화에 관한 지식을 측정하기 위하여 Facts on Aging Quiz(FAQ) Ⅰ,Ⅱ를 기초로 우리나라의 설정에 맞도록 일부를 보완하여 재구성한 한정란(2000. 2007)의 척도를 기초로 김명신(2008), 박현숙(2009)이 사용한 척도 총 25개의 문항을 사용하였고, 노화불안 척도는 Lasher & Faulkender(1993)의 Anxiety about AgingScale(AAS) 척도로 총 20개 문항을 사용 하였다. 노후생활준비도 척도는 황승일(2000)과 박민숙(2007)의 척도를 수정 보완하여 이원주(2011)가 사용한 척도 총 29문항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Window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t-Test, ANOVA를 통한 평균차이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합병원 종사자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연령 40대 이상 , 대학원졸, 경력 11년 이상, 부모와 비동거일 경우 노화지식이 높았다. 둘째, 종합병원 종사자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주거형태가 기타, 전세, 자가, 월세 순으로 상실에 대한 불안과 심리적 불안이 높게 나타났고. 모 연령이 60대일 때, 70대 이상, 50대 이하 순으로 상실에 대한 불안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종합병원 종사자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노후생활준비도 하위요인인 신체적 준비에서는 40대 이상, 기혼일 경우, 정서적 준비에서는 연령이 20대, 여자, 의료직군, 부 연령이 50대 이하 일 경우, 경제적 준비에서는 40대 이상, 대학원졸, 기혼, 자가 주택, 11년 이상 경력, 소득이 300만원 이상, 부모와 비동거일 경우 높게 나왔다 넷째, 종합병원 종사자의 기타변인이 노화지식, 노화불안, 노후생활준비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변인은 조부모와 동거경험이 없는 경우 노인에 대한 두려움이 높았고, 교육경험이 없을 경우 상실에 대한 불안이 높았으며, 만성질환이이 없는 경우 심리적 불안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노후생활 준비도 중 경제적 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주거형태는 자가, 전세, 월세, 기타 순으로, 부모와 비동거인 경우 준비도가 높게 나왔고, 심리적 불안이 적을수록 경제적 준비도가 높게 나왔다. 정서적 준비는 상실에 대한 불안이 클수록, 심리적 불안이 적을수록 정서적 준비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위의 결과로부터 20~40대의 종합병원 종사자들의 노화지식은 노후생활준비도에 유의미한 영향이 없었으나, 노인불안 하위요인인 심리적 불안이 낮을수록 노후생활준비도 하위요인인 경제적 준비, 정서적 준비가 높았으며, 상실에 대한 불안이 높을수록 정서적 준비가 높게 나타났다. 노후생활준비를 위해 노화불안에 대한 교육 및 체계적인 노후생활준비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현장에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PRECEDE 모형을 적용한 초등학교 안전교육의 진단적 연구

        백경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산업과 교통의 발달로 생활환경이 복잡해짐에 따라 대형사고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처할 수 있는 행동을 갖도록 하는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안전교육의 중요성이 날로 부각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학교안전교육의 요구를 총체적으로 진단하기 위해 Green 등(1980)이 제시한 PRECEDE 모형을 근간으로 초등학생들의 안전과 관련된 문제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다차원적 요인을 분석하므로써, 초등학교 안전교육의 진단을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안전사고 예방행동을 살펴보고, 안전사고 예방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적 진단변수를 파악하고자, 서울 시내 초등학교 4개교를 임의로 추출하여 1999년 4월 12일부터 5월 8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사고 경험유무는 ‘교내에서의 놀이나 운동중의 사고’가 59.6%로 가장 많았고, ‘길거리에서 놀이중의 사고’가 49.5%, ‘교통사고’가 41.6% 순이었다. 2. 성별에 따른 사고발생 경험점수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았고(p<0.01), 안전사고 예방행동점수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으며(p<0.001), 그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3. 안전사고 예방행동을 항목별로 살펴보면 ‘차들이 많이 다니는 길가나 공사장 같은 위험한 곳에서는 놀지 않는다’의 실천율이 가장 높았으며 ‘놀이기구를 탈 때는 안전용 헬맷과 무릎보호대를 착용한다’의 실천율이 가장 낮았다. 4. 성별에 따른 소인성 요인에서 ‘사고발생에 대한 인식도’는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다른 사람에 비해 사고를 많이 당한다고 생각했으며(p<0.001), ‘사고발생에 대한 염려정도’(p<0.05)와, ‘안전습관의 실천정도’(p<0.001)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았고, 강화성 요인은 ‘가정에서의 안전교육’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많은 교육을 받았다고 하였으며(p<0.01), 이들 항목에서의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5. 교육적 진단변수에 따른 안전사고 예방행동을 살펴보면 소인성 요인에서는 ‘사고발생에 대한 인식도’에서 다른 사람에 비해 사고를 자주 당하지 않는다고 생각할수록(p<0.001), ‘사고발생에 대한 염려정도’(p<0.001)와, ‘안전습관의 실천정도’(p<0.001) 및 ‘안전에 대한 지식정도’(p<0.001)가 높을수록, 가능성 요인에서는 ‘인지된 학교안전교육의 학습내용’점수가 높을수록(p<0.001),‘학교내 안전교육자료의 활용정도’가 많을수록(p<0.01), 강화성 요인에서는 ‘안전교육에 관한 책자’(p<0.001)와, ‘안전교육에 관한 시청각 자료’(p<0.01)를 많이 접할수록, ‘지역사회에서의 안전교육’(p<0.01), ‘가정에서의 안전교육’(p<0.001), ‘학교에서의 안전교육’(p<0.001)을 많이 받을수록, ‘부모님의 안전습관 실천정도’(p<0.001)가 높을수록 안전사고 예방행동의 실천율이 높았으며, 통계학적으로도 유의하였다. 6. 교육적 진단변수에 따른 안전사고 경험점수를 살펴보면, 소인성 요인에서는 ‘사고발생에대한 인식도’에서 다른 사람에 비해 사고를 자주 당한다고 생각할수록(p<0.001), ‘안전에 대한 지식정도’가 낮을수록(p<0.01), 가능성 요인에서는 ‘지각된 학교안전교육의 학습내용’점수가 낮을수록(p<0.01), 안전사고 경험점수가 높았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7. 안전사고 예방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안전사고 예방행동을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요인은 가능성 요인의 ‘지각된 학교안전교육의 학습내용’이었으며, 다음으로 ‘안전습관 실천정도’, ‘사고발생에 대한 인식도’, ‘안전에 대한 지식정도’, ‘부모님의 안전습관 실천정도’, ‘사고발생에 대한 염려정도’ 순이었다. As the complexity of the our environment is further complicated by advancements in industry and increase in vehicle traffic flow, the incidents of injury causing accidents are on the rise. Consequently, there is increasing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systematic and continual safety education for injury preventive behaviors. This study investigates safety related problem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PRECEDE model, proposed by Green at al.(1980 Green), to comprehensively identify the requirements of school safety education. The identified requirements were used to diagnose the current state of elementary school safety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multidimensional factor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594 sixty grade students from randomly selected 4 schools in seoul to examine their injury preventive behaviors and to determine the educational diagnosis variables that affect it. The duration of the survey was 3 weeks starting from April 12, 1999 to May 8, 1999. A summary of the survey results are presented below; 1. Situations in which accidents have occurred were, in their order of frequency, ‘during play or sports activities within the school grounds’ was most frequent at 59.6%, ‘during play on local streets’ at 49.5%, and ‘traffic accidents’ at 41.6%. 2. In terms of distribution between genders, the accident incident scores of male students were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p<0.01), while the injury preventive behavior scores were higher for females were higher than males(p0.001). These differences between gende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3. Categorization of the injury preventive behavior showed that ‘not playing at high traffic flow locations such as streets and construction sites’ had the higher level of observance, while ‘wearing of helmets and joint protection devices during playing’ was least observed. 4. The gender differences of predisposing factors showed that ‘perception to injury accid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p<0.001), while ‘concerns for injury accidents’(p<0.05) and ‘practice of preventive behaviors’ were significantly higher among female students. 5. Considering injury preventive behaviors in relation to educational diagnosis variables indicated, for predisposing factors, lower ‘perception to injury accidents’(p<0.001) combined with higher ‘concerns for injury accidents’(p<0.001), ‘practice of preventive behavior’(p<0.001), and ‘the level of safety knowledge’(p0.001) resulted in significantly higher observance of injury preventive behaviors. For enabling factors, higher ‘perceived level of the school safety education’(p<0.001) and ‘availability of safety education resources’(p<0.01) indicated significantly higher observance of injury preventive behaviors. For the reinforcing factor, frequent exposure to ‘safety education brochure’(p<0.01) and ‘audio-visual material for safety education’(p<0.01) combined with more ‘regional safety education’(p<0.01), ‘home safety education’(p<0.01) combined with more ‘regional safety education’(p<0.01), ‘home safety education’(p<0.01), ‘school safety education’(p<0.001), and parents’ observance of preventive behaviors'(p<0.001) showed significantly higher observance of injury preventive behaviors. 6. Examination of injury experiences in relation to educational diagnosis variables indicates that for predisposing factors, higher ‘perception to injury accidents’(p<0.001) and lower ‘level of safety knowledge’(p<0.001) resulted in significantly higher injury experiences. For enabling factors, lower ‘awareness of school safety education’ results in significantly higher injury experiences. 7. An analysis of the factors that affect injury preventive behaviors showed that the enabling factor ‘awareness of school safety education’ ha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injury preventive behaviors followed by factors, in their order of significance, ‘practice of preventive behavior’, ‘perception to injury accidents’ ‘level of safety knowledge’, ‘parents’ observances of preventive behaviors’, and ‘concerns for injury accidents.’

      • 피부미용실의 인사시스템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백경원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내 피부미용실들은 아름다움에 대한 관심과 높아진 고객 수준에 발맞추어 현재 그 어느 때보다도 경쟁이 치열한 상황이다. 경쟁의 핵심전략요소는 고객에게 서비스를 직접 시술하는 종사자라고 볼 수 있으며, 우수한 기술과 서비스를 갖춘 인적자원의 효율적인 관리가 피부미용실의 미래를 결정짓는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본 연구는 피부미용실의 인사시스템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통해 피부미용산업의 주요한 과제인 인적자원 관리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피부미용실의 성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현재 피부미용실에 근무하고 있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피부미용실의 인사시스템의 중요성은 계속해서 강조되어 왔지만, 여전히 현장에서의 인식은 낮은 편이다. 본 연구는 인사시스템이 조직의 성과를 측정하고 평가하는 기준이 될 조직유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하였고, 이로써 인사시스템의 효과에 대해 현장의 인식도 역시 높아질 것이라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인사시스템과 조직유효성에 관한 선행 논문과 서적을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연구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독립변수인 인사시스템의 하위변인으로는 인적자원관리의 개발관리와 보상관리를 피부미용산업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선정하였다. 마찬가지로 연구의 목적에 맞게 종속변수인 조직유효성의 하위변인으로는 직무만족, 조직시민행동, 장기근속의도를 선정하여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한 표본으로는 광주, 전남 지역의 최소 3인 이상 프랜차이즈 또는 직영 체인 피부미용실을 선정하여, 1년 이상 근무한 피부미용실 종사자를 대상으로 2020년 8월 중순부터 8월 31일까지 총 32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고 320부 모두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으로 두드러지게 나타난 것은 연령은 30세 미만이 269명으로 전체 조사대상자의 84.1%를 차지하며 대체적으로 젊은 연령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여부는 대부분 미혼으로 304명(95.0%)이었으며, 피부미용실 총 경력이 5년 미만이 287명(89.7%)를 차지했고, 월 평균소득이 200만원 미만이 267명(83.4%)으로 나타났으며, 이직에 대한 경험이 없는 대상자가 261명(81.6%)으로 나타났다. 피부미용실의 인사시스템과 조직유효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을 때, 인사시스템 하위요인별 개발관리, 보상관리는 조직유효성의 하위요인별 직무만족, 조직시민행동, 장기근속의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무만족에 대한 인사시스템의 하위요인별 개발관리의 영향력(.484)은 보상관리의 영향력(.313)보다 약 1.5배 가량 높게 나타났다.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인사시스템의 하위요인별 개발관리(.478)의 영향력은 보상관리의 영향력(.163)보다 약 3배 가량 높게 나타났다. 반면, 장기근속의도에 대한 인사시스템의 하위요인별 보상관리의 영향력(.449)이 개발관리의 영향력(.392)보다 약 1.1배 가량 높게 나타났다. 단순하게 가설의 검증 결과를 요약하면 분석의 결과가 가설을 채택할 수 있는 결과를 충족하며, 하위변인별 가설들 또한 채택조건을 충족시키기 때문에 피부미용실의 인사시스템은 조직유효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가설 검증 과정에 있어서 인사시스템의 하위요인별 개발관리와 보상관리가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해보면, 조직유효성의 하위요인별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에는 개발관리의 영향력과 보상관리의 영향력 수치가 명확하게 차이가 나는 결과를 보인 반면에 장기근속의도에 대한 영향력은 다른 양상을 나타냈다. 보상관리의 영향력이 개발관리의 영향력보다 높게 나타나긴 했지만, 그 차이가 매우 근소하였으며 수치 자체가 둘 다 낮지 않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것으로 보아 조직유효성의 하위요인별 장기근속의도에 대하여 인사시스템 하위요인별 보상관리의 영향력이 더 크다고 단정적으로 말할 수 없다. 오히려 보상관리를 통해서만 인사시스템을 적용시킨다면 상대적으로 조직시민행동과 직무만족 측면에서는 부족함을 나타내기 때문에, 원래의 목적에 맞지 않게 단순히 급여에 따라 이직이 더 쉬워질 수도 있을 가능성을 내포한다. 때문에 피부미용실의 인사시스템은 개발관리에 더 치중되어서 적용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조직유효성을 더 높일 수 있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하여 피부미용실의 인사시스템이 성과 면에서도 충분히 효과적임을 검증하였다. 최근 소규모 프랜차이즈 가맹점도 늘어나고 있는 만큼 인사시스템을 갖춘 피부미용실들이 늘어난다면 산업 전반의 발전에 도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소수 특정 표본을 대상으로 측정한 결과이기 때문에 전체 피부미용실을 일반화하기는 문제가 제기될 소지가 있다. 향후 다양한 사례분석 연구와 프랜차이즈가 아닌 소규모 업체에 적용 가능한 인사시스템 모델 개발 연구가 이어진다면 피부미용산업의 현장에서도 인사시스템의 인식이 더욱 높아질 것이며, 실용 학문으로서 가치를 가질 것이라고 사료된다.

      • 이변수 시계열의 전이함수모형 분석 : 습도변동에 대한 예측모형

        백경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습도의 미래 예측을 위하여, 습도는 온도의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토대로 통계학적 분석을 기반으로 모형을 설정하고 통계적 절차를 제안한다. 습도 시계열의 미래값을 예측하는 데 자신의 과거나 현재의 값은 물론 이고 이 시계열과 인과관계를 갖는 다른 시계열인 온도의 과거 나 현재 그리고 미래의 예측값까지도 예측에 이용함으로써 예측 효과를 높이는 전이함수 모형을 제시하고 예측한다.

      • 전후 유럽 도예가들의 ‘기(器)'를 바라보는 관점 : 루시 리, 한스 쿠퍼, 루스 덕워스를 중심으로

        백경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器)’는 도자예술의 탄생과 발전을 함께하며 그 핵심적 요소로 자리 잡아 왔다. 그러다 20세기에 공예가 예술에 편입되는 과정에서 도예가는 각기 다른 시각과 입장에서 ‘기’를 바라보게 되었고, 각기 자신만의 시각을 가지고 '기' 작업을 시작하였다. 이 연구는 이러한 20세기 도자예술 분야의 흐름을 살펴보되, 특히 도자기의 역사성에 현대성을 입힌 작품으로 최근 재조명받고 있는 루시 리, 한스 쿠퍼, 루스 덕워스의 ‘기’를 바라보는 관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20세기 초반 일상적인 면이 드러나는 ‘기’를 만들었던 버나드 리치, 마이클 카듀, 윌리엄 머레이와 같은 1세대 공방 도예가들이 있었는데, 이들은 서로 다른 관점을 가지고 ‘기’를 만들었음에도 결과물은 모두 생활에 밀착되어 있는 익숙하고 기능적인 형태였다. 그러나 이때부터 사회에서는 손으로 직접 만들었다는 사실에 큰 의미를 부여하며 이들이 만든 작품을 특별한 사물 혹은 예술품으로 여기는 경향이 생겨났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루시 리, 한스 쿠퍼, 루스 덕워스는 ‘기’의 조형적, 형태적 측면에 접근하여 작업을 풀어 나갔다. 즉, 이들은 공통적으로 ‘기’를 조형적 모티브로 생각한 것인데, 그러면서도 각기 조금씩 입장을 달리하였다. 우선 한스 쿠퍼와 루시 리는 둘 다 기능성을 일종의 표현요소로 사용하였지만, 루시 리가 전통적인 ‘기’의 형식 자체를 미학적으로 바라보고 그 형식 속에서 아름다움을 추구하였다면, 한스 쿠퍼는 전통적인 형태와 기법을 바탕으로 하되 적극적으로 형태를 변형하여 비일상적인 영역으로 다가섰다. 기능성을 완전히 포기한 루스 덕워스의 ‘기’ 작업은, 안과 밖이 구분되고 무언가를 담을 수 있다는 기능을 은유하는 선에서 ‘기’의 개념이 적용되었다. 루스 덕워스는 비일상적인 영역에서 ‘기’를 다루었지만 그 형태의 아름다움을 작품에 끌어들였다. 한편, 1960년대부터 활발히 작업하였던 미국 추상표현주의 도예가들은 ‘기’를 해체하고 재정립해야 할 관념으로 바라보았고, 이러한 관점은 ‘기’의 기본 형태를 찢고 찌그러트리는 식으로 구현되었다. 이들 20세기 유럽과 미국을 대표하는 도예가들 중에서도 특히 ‘기’를 조형적 모티브로 생각하였던 루시 리와 한스 쿠퍼, 루스 덕워스의 관점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은 이들의 작품에서 기존의 도자기에서는 찾을 수 없었던 ‘그릇다움’에 대한 고민이 엿보이기 때문이다. ‘기’의 범주 안에서 생각하고, 표현하며, 또 그 영역을 넓히려 하였던 이들의 작품은 공예의 정의를 다시금 내려주는 것이었고, 방향성을 제시해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항공보안강화를 위한 미국과 한국의 사전입국관리제도의 비교법적 연구

        백경원 한국항공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9.11 이후 미국을 비롯한 주요 국가들은 항공운송에 있어서 보안강화와 입국을 사전통제하기 위해 입국관리방식을 강화했다. 본 논문은 입국에 대한 사전관리하는 방식으로 미국이 해외공항에서 시행하는 ‘사전입국심사’제도와 한국의 ‘탑승자사전확인제도’를 비교법적으로 연구했다. 미국의 ‘사전입국심사’(Preclearance)는 양자협정에 의해 세관․국경보호청(CBP)이 외국공항에서 실시하는 제도이다. 미국행 항공기에 탑승하는 승객과 수하물을 외국공항에서 사전에 확인하여 입국 허용여부를 결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미국에 도착하면 입국심사를 받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또한 미국 교통보안청(TSA)이 항공보안수준을 인증한 공항에만 도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미국 CBP와 TSA는 항공기 탑승객의 승객에 대한 분석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제도의 실효성을 확보하고 있다. 2015년 미국은 의회의 국토안보부에 대한 감시권을 강화시키고, 이 제도의 확대를 위해 Preclearance Authorization Act 2015를 발의하였다. 이 법안은 최종적으로 Trade Facilitation and Trade Enforcement Act of 2015(TFTEA)의 Title VIII에 흡수되어 통과되었다. 반면 2017년 4월부터 한국이 해외 모든 공항에서 한국행 탑승객에 대하여 실시하고 있는 ‘탑승자사전확인제도’는 항공보안과의 정보공유 없이 전적으로 입국관리업무에 해당한다. 항공운송사업자가 예약승객의 정보를 법무부 탑승자사전확인시스템에 전송하고 이를 분석하여 위험한 승객의 경우 발권을 거부하여 항공기 탑승을 차단하는 제도로 2017년 전면시행했다. 탑승자사전확인제도는 출입국관리법 제 73조 및 제73조의2에서 항공운송사업자의 의무규정을 통해 시행하고 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승객에 대한 항공보안관련 분석이 개입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없는 실정이다. 한국에서 탑승객에 대한 항공보안은 출국하는 승객에 대하여 보안검색을 실시하는 것에 국한되어 있다. 그리고 외국공항에서 탑승자사전확인을 거친 승객이라도 한국에 도착하면 입국심사를 받아야 하는 것도 미국의 제도와 차이점으로 분석됐다. 본 연구를 통해 미국은 TSA가 일정한 항공보안수준을 인증한 외국공항 대해서만 CBP의 ‘사전입국허가’제도를 시행하도록 하고 있고, 두 기관간에 정보공유를 통해 제도에 대한 실효성을 확보하고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 ‘탑승객사전확인제도’를 시행함에 있어서 ‘항공보안’ 담당기관과 정보공유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점은 미비점으로 파악했다. 특히 한국에서 항공보안검색은 출국에서만 시행하고 있다. 따라서 탑승자사전확인제도의 더 강화된 효과를 위해, 입국승객들에 대한 항공보안 위해승객 여부를 분석할 수 있는 근거 법률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항공보안법’에 이를 반영하고, 승객의 항공보안관련 분석결과에 따른 항공보안위해승객이 입국금지대상자에 포함될 수 있도록 ‘출입국관리법’의 개정의견을 제시하였다. Since 9/11, the U.S. and other major countries have revised their immigration program to strengthen aviation security and pre-control of entry. This thesis studied the 'Preclearance' of the U.S. and the 'i-Prechecking program' of South Korea using a comparative legal method. The U.S. Customs and Border Protection (CBP) established the 'Preclearnce' as a pre-embarkation control program at foreign airports under a bilateral agreement. The US CBP checks passengers and baggages boarding U.S.-bound flights at foreign airports. The US CBP officer determines if travelers are allowed to enter the United States. Therefore, passengers don't need to be subject to immigration process when they arrive in the USA. The U.S. Transportation Security Administration (TSA) certifies aviation security level of foreign airports for the 'Preclearance'. In addition, the US CBP and the TSA share passengers' information. In this way, the US CBP coordinates with the TSA to tag and identify airports to establish the 'Preclearance'. In 2015, the U.S. proposed the 「Preclearance Authorization Act 2015」 to strengthen the authority of the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to oversea and to expand the Preclearance. Finally, the bill was passed as the Title VIII of the Trade Facilities and Trade Enforcement Act of 2015 (TFTEA). On the other hand, South Korea started the 'i-Prechecking Program' for all South Korea-bound passengers from foreign airports since April 2017. This program analyzes the potentially dangerous passengers in advance and notifies airlines. The airlines should prevent boarding of any person whom immigration control officials designate as ineligible for boarding a flight. Articles 73 and 73bis of the Immigration Act enacted this program as the obligation of air carriers. However, there is no legal basis to analyze aviation security matters of passengers in the 'i-Prechecking Program'. The TSA coordinates with the US CBP to accomplish the 'Preclearance'. In South Korea, however,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the Ministry of Justice don't share passengers' information in the 'i-Prechecking Program'. It is suggested to establish a legal basis to analyze aviation security risks of passengers and to share passengers' information on South Korea-bound flights. Accordingly, this thesis proposes amendments to the 'Aviation Security Act 'and the 'Immigration Act'.

      • 항공소프트웨어의 제조물책임에 관한 연구

        백경원 한국항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제4차 산업혁명은 항공기 기술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핵심에는 소프트웨어가 존재한다. 또한 향후 도심항공교통에 자율비행시스템을 적용한 항공기가 등장하게 될 것이다. 그런데, 2018년 10월과 2019년 3월, 불과 5개월 사이에, 보잉의 737Max가 MCAS 소프트웨어의 결함으로 인해 비행기가 추락 사고가 두 건이나 발생했다. 이에 ‘곧 상용화가 될 항공기의 새로운 기술인 자율비행 소프트웨어 뿐만 아니라 현재의 항공소프트웨어가 현행 한국의 「제조물책임법」에서 다루어 질 수 있는가’로부터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제2장에서는 항공기의 고급자동화 기술을 넘어 최근 항공기에 있어서 자율비행 항공기의 개발에 대한 논의를 위하여 공학적인 측면에서 항공기의 자동화와 자율화 및 이를 실행시키는 소프트웨어의 기능 등에 대하여 항공기 기술과 관련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항공소프트웨어의 책임과 관련하여, 현행 한국의 「제조물책임법」상 몇 가지 문제점을 제기하였다. 먼저 소프트웨어의 제조물인가, 소프트웨어 개발업체의 제조물책임의 주체가 될 수 있는가, 나아가 항공안전을 위하여 감항성 인증을 위한 규제기준의 준수(법령준수)가 제조물책임에 대한 면책 항변으로의 타당한가 하는 점이다. 그리고 무과실책임 법리에 따른 제조물책임이라 하더라도 제조물의 결함과 손해, 그리고 손해와 결함 사이의 인과관계를 피해자가 증명해야 하는데, 고도의 기술적이고 과학적인 영역에 대하여 일반인인 피해자는 그 결함을 증명하기 힘들다는 점 때문에 증명책임의 완화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을 제기했다. 이러한 한국 「제조물책임법」상 소프트웨어에 대한 제조물책임에 있어 제기된 쟁점들에 대하여, 제3장에서 판례법 국가로서 미국의 오랫동안 축적된 제조물책임 법리와 판례를 연구하였다. Restatement of Torts(Product Liability)를 중심으로 항공소프트웨어에 대한 감항성 인증을 위한 연방규정(FAR) 법령준수와 제조물책임에 있어 Preemption의 문제를 최근의 판례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또한 소프트웨어를 상품으로 볼 것인가로부터 파생되어 논의되고 있는 제조물 판단여부, 제조물 책임의 주체, 결함에 대한 판단, 증명책임등을 연구하여, 한국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부분을 도출하였다. 이어 제4장에서는 성문법 국가인 EU의 「제조물책임지침」 및 「제조물책임지침 제안서(2022)」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한국과 같은 대륙법계 국가들로 구성된 EU에서 항공소프트웨어등에 대한 감항성 인증에 대해 살펴보고, 현행 [제조물책임지침]상 자율비행 소프트웨어에 대한 제조물성과 책임주체, 결함판단, 증명책임을 어떻게 판단할 수 있는지 고찰하였다. 나아가 소프트웨어 및 디지털요소등을 포함한 제조물 등 최근 기술발달에 따른 제조물의 개념변화를 명시적으로 반영한 2022년 9월28일 유럽집행위원회에 의해 제안된 「제조물책임 지침제안서(2022)」를 검토하여 한국의 제조물책임법 개선에 반영할 수 있는 사항을 연구하였다. 제5장에서는 제3장과 제4장에서 검토한 미국과 EU의 자율비행시스템을 포함하여 모든 항공소프트웨어의 결함에 대한 제조물책임의 내용을 제2장에서 제기한 한국의 「제조물책임법」상의 문제점에 대하여 현재 논의되고 있는 쟁점과 함께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의 「제조물책임법」을 개선하기 위한 방향으로 소프트웨어의 제조물성 및 제조물책임 주체의 확대에 대하여는 EU의 「제조물책임지침 제안서(2022)」를 토대로 개선사항을 도출하였고, 항공소프트웨어에 대한 감항성 인증과 관련한 법령준수의 면책항변에 대하여는 미국 제3차 Restatement 및 EU 「제조물책임 지침 제안서(2022)」의 내용을 조화롭게 수정하여 개선사항을 도출했다. 나아가 소프트웨어의 결함에 대한 판단과 그것의 피해자의 증명책임이 최대한 완화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은 EU의 「제조물책임지침 제안서(2022)」를 통해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자율비행)항공소프트웨어의 결함에 대한 제조물책임을 실질적으로 논할 수 있기 위해서는 「제조물책임법」의 개정이 필요하다. 한국은 대륙법계로서 성문법 국가이기 때문에, 제6장 결론에서는 상기에서 제기되었던 한국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제조물책임법」상 문제점 - 항공소프트웨어의 제조물성, 책임의 주체, 결함의 판단, 증명책임, 법령준수의 항변 등 - 은 입법화를 통해서만 해소될 수 있음을 주지하고, 「제조물책임법」의 제정목적에 상응하고 변화하는 시대에 부응할 수 있도록 「제조물책임법」에 대한 개정의견을 입법제안 하였다.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also affecting aircraft technology. At the heart of these technologies is software. In addition, aircraft with autonomous flight systems will appear in urban air mobility shortly. However, between October 2018 and March 2019, just five months apart, two Boeing 737Max crashes occurred due to defective in the MCAS software. Accordingly, this study began with whether current aviation software, besides autonomous flight software, a new technology for commercially available aircraft, could be covered by the current Korean 「Product Liability Act」. Chapter 2 discusses the development of autonomous flying aircraft in recent aircraft beyond the advanced automation technology of aircraft, the automation and autonomy of aircraft from the engineering point of view, and the function of the software that executes it. In addition, concerning the liability of aviation software, problems occurred under the current Korean 「Product Liability Act」. They are whether the software is a product, whether the software developer can be the subject of product liability, and whether compliance with regulatory standards (compliance with laws) for certification of airworthiness for aviation safety is appropriate as an exemption defense against product liability. Although product liability follows the principle of strict liability, the victim must prove the damage and defect of the product and the causation for damage and defect. Because of this, it raised the issue of easing the burden of proof. Regarding the issues raised in product liability for software under the Korean 「Product Liability Act」, Chapter 3 studied the long-accumulated product liability legal principles and judicial precedents of the United States as a Common law system. This thesis reviewed compliance with the Federal Regulation for Airworthiness Certification for Aviation Software and preemption issues in product liability focused on recent precedent and the Restatement of Torts. In addition, by studying whether to judge software as a product, subject of product liability, judgment on defects, burden of proof, etc., the parts that can supplement problems of the Korean Product Liability Act proposed. Subsequently, in Chapter 4, the study focused on the 「Product Liability Directive」 and 「Proposal for Revised Product Liability Directive (2022)」 of the EU, which is a statutory country. Examine the airworthiness certification for aviation software in the EU, which is composed of civil law system, and how the current [Product Liability Directive] applies the definition of products, subject of liability, judgment of defect, and burden of proof for autonomous flight software Considered. Furthermore, this study reviewed the 「Revised Product Liability Directive (2022)」 proposed by the European Commission on September 28, 2022. The proposal explicitly reflects changes in the concept of products due to recent technological developments, such as products including software and digital elements. Then this thesis studied these that can apply to Korean Product Liability Act. Chapter 5, the contents of Korean product liability issues mooted in Chapter 2 for defects of aviation software of the US and EU reviewed in Chapters 3 and 4, including the autonomous flight systems studied comparatively. Through this, in the direction of improving the Korean 「Product Liability Act」, improvements presented based on the EU 「Proposal for Revised Product Liability Directive (2022)」 regarding the product property of software and the expansion of product liability subjects, regarding the exemption from legal compliance related to airworthiness certificate for aviation software, improvements proposed by revising the contents of the 3rd Restatement of the US and the EU 「Product Liability Directive Proposal (2022)」 in harmony. Furthermore, this thesis suggested through the EU's 「Product Liability Directive Proposal (2022)」 to ensure that the judgment on software defects and the burden of proof of its victims are alleviated as much as possible. Because Korea is one of the countries with civil law systems, to practically discuss product liability for defects in (Autonomous Flight) aviation software, the 「Product Liability Act」 needs to be revised. Therefore, the conclusion of Chapter 6 emphasized that the above problems - whether aviation software is a product, whether it is a subject of liability, determination of defectiveness, the burden of proof, and legal compliance defense could resolve through legislation. Recognizing that this could be the case, this thesis proposed a legislative proposal to amend the 「Product Liability Act」 to correspond to the purpose of enactment of the 「Product Liability Act」 and to respond to the changing times.

      • 패션 마케팅 활동에 나타난 지속가능디자인에 대한 분석

        백경원 대구가톨릭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Sustainability, the new value in the 21st century, is the most powerful key of trend that is affecting the global market. At first, sustainability was initiated as an environmentally-friendly concept, such as ‘eco’ or ‘green’, from the fear of destructing the global environment. Now, it has been expanded, in a broader perspective, as a direction in which our world needs to move toward a realistic and constructive way in a large frame of the global environment. Especially, since fashion markets continuously pursue something new, they are indeed the most sensitive area that reflects the sustainability, which is the global trend nowadays. As the meaning of sustainability has increasingly become significant, the approaches to the more substantial sustainable design and sustainable marketing strategy are demanded than before.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and classify the connection of sustainable design that is variously and widely discussed in a paradigm of sustainability, so that integrated understanding for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design is promoted. In addition, some examples of sustainable design from fashion companies and brands engaged in sustainable marketing will be analyzed, leading to the current status of sustainable design. Moreover,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efficient sustainable design products, helping build a brand image that differentiates from others. Research contents and problems are as follows. 1. Identify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sustainable design by investigating the concept, development, and practice examples of sustainable design and classify them through extracting the connectivity. 2. Develop a criterion that can assess the direction and extent of sustainability and analyze the sustainable design and sustainable marketing practices in the domestic fashion market based on the criterion. 3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sustainable design in the domestic fashion market by analyzing and comparing the sustainable design and sustainable marketing of fashion companies and brands. Research is mainly progressed by studying documents such as books, papers, news reports and articles, internet data, research reports from government agencies and companies. Based on these documents, the criterion for the practice assessment of sustainable design is introduced to investigate the trend for sustainable design of fashion-related companies and brands. In terms of the range of this research, fashion market is defined as in the narrow sense, which designates fashion companies and brands in the domestic fashion market that are practicing sustainable design and sustainable marketing. Mainly investigated are designer brands, major to minor enterprises of manufacture brands, retail brands, as well as global fast fashion brands and etc., all of which are fully performing sustainable design and marketing. Data were collected from 2009, when the awareness of the sustainable design began to expand domestically, to October 2012 through portal sites and professional websites on design or fash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s a result of understanding, identifying the connectivity and classifying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sustainable design through concept and case study of sustainable design, sustainable design was divided into six sub-dimensions according to eco-friendliness, publicness, and economics. 2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actices for the sustainable design and sustainable marketing in the fashion market based on the rating scale assessing performance of sustainable design, the running direction and the extent to which each fashion companies and brands execute sustainability were found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mpany's philosophy, brand's style, or business scale and distribution network. That is, global fashion companies could perform sustainable design that considers all of environmental-friendliness, publicness, and economics; especially fast fashion brands executed sustainable marketing throughout the entire production line and advertised extensively. Also, existing eco-friendly brands strengthened publicness, such as fair trade, ethics, and welfare, while small and medium sized casual brands formed their sustainable brand images by community consciousness and eco-friendly campaign rather than dealing with sustainable design products. It is shown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at concept and value of sustainable design take all dimensions of eco-friendliness, publicness, and economics into account, widely affecting our overall lives such as lifestyles and ways of working. In addition, through case studies for sustainable marketing of fashion companies and brands, it is possible to confirm social interests in alternative lifestyles, such as contribution to society, socially responsible investment, social enterprise, fair trade, ethical consumption, and organic farming, which are currently increasing rapidly. In the future, with the changes of the times, many fashion companies are expected to develop more advanced sustainable marketing strategies, trends, and sustainability practices that meet the needs of the domestic environment, keeping pace with this flow of the ti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