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산재근로자의 재활서비스 이용욕구 변동 연구

        배화숙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8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6 No.7

        This study is purposed to analyze how the utilization of rehabilitation services and the desire for service utilization changes with time, to explain the factors affecting service needs and to suggest direction of policy improvement for injured workers. Using the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Panel Data ver.1∼3, this study analyzed 5,004 observations. Pane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TATA to examine changes over time. Two key findings were made: first,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egree of need for rehabilitation services were age, educational period, ability on job performance, community service experience, re-employment and unemployment; second,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the degree of need for rehabilitation services according to time were age, education period, unemployment, ability on job performance, and experience in using community services. That results were different from the previous cross-section analysi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check and adjust the initial intervention contents after the end of the period of care on a timely base.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산업재해근로자의 재활서비스 이용실태와 서비스 이용에 대한 욕구가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둘째, 어떤 요인들이 재활서비스 이용 욕구 변화에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통해 산재근로자를 위한 정책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산재보험패널 1∼3차 자료 5,004 관측치를 대상으로 STATA를 이용하여 패널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횡단분석에서 재활서비스 필요정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연령, 교육연수, 현재 직무수행능력, 지역사회서비스 경험, 재취업, 미취업으로 나타났다. 시간의 변화에 따른 재활서비스 필요정도에 유의미한 영향 요인은 연령, 교육연수, 미취업, 현재 직무수행능력, 지역사회서비스 이용 경험으로 앞의 횡단면 분석과 다르게 나타났다. 따라서 산재근로자의 연령, 학력, 경제활동 형태 등에 따라 재활서비스 내용과 그 필요 정도가 시간에 따라 변한다는 점에서 요양기간 종료 후 초기 개입 내용을 시기별로 점검하고 조정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동유럽 국가의 의료보장 변화를 통해서 본 남북한 통일 후 의료보장제도의 과제

        배화숙 평화문제연구소 2005 統一問題硏究 Vol.17 No.1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dicate tasks of a medical security scheme for a unified Korea. To estimate the problems of medical security that could occur after unification I analyze the processof unifying medical security systems in unified Germany which had experienced many difficulties in the drastic process of unification and the change of systems of Eastern Europe in transition. As the result of the study, the tasks of medical security scheme include the factors which are the comprehensive provision of all necessary services, equitable contribution, and the macro-budget system as a payment and reimbursement system which is effective in stabilizingpublic finance and controling supply of medical services. Also it emphasizes central role of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 in paying for medical costs especially for poor, unemployed, and migrated people who can not afford to contribute for health care insurance.

      • KCI등재

        근로자의 구직활동과 성공한 구직방법의 실태와 시기별 차이분석

        배화숙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4

        Social responses are needed to cope with changes in the labor market where job security continues to decline.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 main job search and successful job search activities of Korean workers, and to identify the change in the proportion of job search activities. For the purpose, the 10th, the 15th, and the 20th KLIPS(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were descriptively analyzed and utilized the chi-square test as wel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main job search activities, the use of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the Internet was the most common, and the dependency on personal networks was still high.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oth between the employed and the unemployed in the main job search activities, and between regular workers and non-standard ones in successful job search methods. Final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job searching channels and successful job search methods depending on the time of survey, too. There are a lot of job hunting in the private networks, on the other hand, fewer ways to find work in a successful job search, and as time goes by, its share decreases. In the successful job search activities, the share of job search activities through computer networks, such as the Internet, skyrocketing. It is necessary to develop social services that take into account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job seekers and to create a job search environment that supports smooth labor market transition so that workers can effectively access successful job path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however, was that it was not possible to analyze changes in job-related variables over time. Therefore, the future research will be to figure out the changes and impacts of labor market performance-related variables, through longitudinal analysis using various empirical data. 고용안정성이 지속적으로 낮아지는 노동시장 변화에 대하여 사회적 대응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근로자의 주된 구직활동과 성공한 구직활동의 실태를 분석하고 구직활동 내용의 비중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노동패널 10, 15, 20차 자료를 대상으로 기술분석과 카이검정 등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주된 구직활동에서 인터넷 등 통신망 이용이 가장 많았고 개인적 연결망 의존도도 여전히 높았다. 둘째, 주된 구직활동에서 취업자와 미취업자 간, 그리고 성공한 구직방법에서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구직활동과 성공한 구직방법은 조사 시점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개인적 관계망은 구직활동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한데 비해 성공한 구직방법에서 비중은 그에 미치지 못하고 시간이 지날수록 비중이 낮아진다. 성공한 구직활동에서 인터넷 등 전산망을 통한 구직활동의 비중은 급상승한다. 근로자들이 성공적인 구직 경로에 효과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구직자의 개별 특성을 고려한 사회서비스를 개발하고, 원활한 노동시장이행을 지원하는 구직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시간의 흐름에 따른 구직활동 관련 변수의 변화를 분석하지 않은 것이 본 연구의 한계이다. 따라서 다양한 실증적 자료를 이용한 종단적 분석을 통해 노동시장이행 관련 변수의 변화와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 추후 연구과제가 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직업훈련 경험의 시기별 차이와 경험유무 영향요인 연구

        배화숙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19 공공정책연구 Vol.3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direction for vocational training policies to maintain employment stability and to effectively support the transitional labor market.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 vocational training, the differences of workers’ experiences by the period, and factors influencing vocational training experience. For the purpose, the KLIPS(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were descriptively analyzed and utilized the b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s wel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orkers with vocational training experience were less than 10%, and the proportion of training by government has increased.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oth in vocational training fields according to the employment status, and in the type of that according to the turnover experience. Finally, the probability of getting a vocational education increased with higher levels of education and as the company in size. Temporary and daily workers were more likely not to receive vocational training.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vocational training policy to effectively respond to job insecurity.

      • KCI등재

        사회복지학 교과목 플립러닝 적용 사례분석과 효과적 운영 방안

        배화숙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1

        Flipped learning is an emerging method for effective operation in university classes based on educational environments change and the students’ learning ability.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present a summary of social security course with flipped learning (FL), to analyze the evaluation of learners who have experienced FL learning classes,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successful FL. For this, it was analyzed that course evaluation of students who took the course in 2017-2019. The results are that students positively evaluated that FL activated the interaction both between learners and learners and between learners and teachers and that they rated the teaching methods as increasing their interest in learning.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lipping class and teacher-centered learning in the question of whether the class improved knowledge in their major. The future research will be to obtain objective data on the effects of FL and to develop a teaching model with it to the specific subject. 대학 교육환경과 수강자 학습 역량의 성격이 변하는 가운데 효과적인 수업 운영을 위해 부상한 방법이 플립러닝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학 교과목인 사회보장론 플립러닝 사례를 요약하여 제시하고, 플립러닝 수업을 경험한 학습자의 평가와 만족도를 분석하여 향후 플립러닝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7-2019학년도에 수행한 플립러닝 수업 운영 사례와 수강자대상 설문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로, 플립러닝은 학습자간 교수자와 학습자 간 상호작용을 활성화시키고 수업 내용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가지게 했다는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그러나 수업으로 해당분야의 지식이 향상되었는가에 문항에 대해서는 플립러닝을 적용하지 않은 수업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플립러닝의 영향에 대한 객관적 자료 확보와 특정 교과목 목표에 부합하는 수업 모형 개발이 추후 연구과제이다.

      • KCI등재

        산업재해 후 실직・비경제활동인구의 욕구분석과 노동시장이행서비스 개선방안

        배화숙 한국직업재활학회 2015 職業再活硏究 Vol.25 No.2

        This study analyzed the job-related needs and vulnerability of the job-injured workers, who were unemployed, to develop a strategy for dealing with labour market transition services. The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Panel data ver.1, which surveyed by the Korean Workers’ & Welfare Service in 2013, was used. Four key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occupational injured workers who could not return to work had very low degree of disability. The physical disability was not the key cause of unemployment. Second, the majority of respondents looked for a job not through public institution such as Workers’ & Welfare Service and public employment information but through by informal social network. They had difficulties with finding jobs such as lack of experience, inadequate working conditions, unsuitable working hours and relatively old age. Third, a higher proportion of people had not experiences in getting information related to return-to-work service, receiving occupational training and using community services except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Finally, half of the unemployed selected employment assistance services and 50.5% of the economically inactive populations did health promotion services among the community association sectors. The result suggests that policy makers ne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employed after suffering job injured and develop efficient vocational training program. It is needed to support labours, who could not return to work, community social service programs based on the transitional labour market 산업재해 이후 실직상태에 있는 근로자의 노동시장이행 지원 서비스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한 본 연구는 근로복지공단이 주관한 산재보험패널 ver.1 데이터를 이용하여 노동시장에 재진입하지 못한 근로자의 일자리 관련 욕구를 분석하여 이들이 겪는 문제점과 취약성을 파악하고자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산업재해 이후 노동시장에 재진입하지 못한 실직자와 비경제활동인구로 구분된 이들은 장해정도가 높지 않았고 장애등록률도 낮게 나타났다. 장애가 미취업의 중심요인이라고 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일자리를 알아보는 방법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응답은 비공식적 관계를 통해서였고, 구직상의 어려움에 대해서는 실업자와 비경제활동인구가 동일하게 경험하고 있었다. 셋째, 재활서비스 이용 외에는 직업복귀 관련서비스 안내받은경험, 직업훈련 경험, 지역사회 서비스 받은 경험을 하지 않은 쪽이 절대적으로 비중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재취업, 직장적응, 원직장 복귀 등을 위한 재활서비스가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중이높게 나타났다. 산재 이후 노동시장에 복귀하지 못한 이들을 위해서 미취업자의 특성을 파악하고, 노동시장이행의 성과를 가져올 수 있는 직업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그리고 장기적관점에서 지역사회 자원과 프로그램 연계가 필요하며 이행노동시장 관점에서 계획을 수립하고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정규직과 비정규직 노동자의 기업복지 차이 연구 : 한국노동패널(KLIPS) 6차 자료를 중심으로

        배화숙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05 사회복지정책 Vol.21 No.-

        본 연구는 급증하고 있는 비정규직 노동자에 대안 기업복지 제공 현황을 정규직노동자와 비교함으로써 비정규직의 상대적 취약성을 검토하고, 분석결과를 통해 기업복지에서 비정규직 노동자의 소외와 차별을 완화시키기 위안 대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2003년 한국노동패널 6차 자료에서 임금 근로자 4053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비정규직 노동자는 정규직 노동자에 비해 소규모 기업에 더 많이 고용되어 있으며, 여성 노동자의 비율이 높고, 연령층도 높은 편이었다. 기업복지 급여 제공의 대부분 항목에서 정규직과 비정규직 노동자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급여를 실제로 받을 수 있는가에 대해서도 식사비 보조와 같은 가장 기본적 급여를 제외한 나머지 문항에서는 정규직 노동자와 비정규직 노동자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비정규직 노동자 내에서 집단을 구분하여 차이를 비교한 결과 남성 비정규직 노동자와 여성 비정규직 노동자간에는 식사비용 보조항목 외에는 유의미안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시간제 비정규 노동자와 그렇지 않은 비정규 노동자간에는 식사비용 보조, 학비보조, 경조사 지원 등에서 유의미안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 직접 고용과 간접 고용 간에는 전체 항목에서 유의미안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비정규직 노동자의 기업복지와 관련한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정규직 노동자와 비교하여 불평등한 급여를 최소좌하여 복지의 차이를 줄여가는 정책들이 제시되어야 하고, 다양한 기업복지 프로그램 개발 및 사내근로 복지 기금과 같은 자원이 형평성 있게 분배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아울러 공공 산업복지의 확대를 통해 근로기간 동안의 복지에 대안 소외가 퇴직 후 혹은 노후에 연결되지 않도록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Non-standard workers have sharply increased because of Structural change of Labor market. However, the existing non-obligatory welfare services have limited to protect contingent workers. The purpose of this paper are to examine the distinction of non-obligatory welfare services between standard and non-standard workers. This study used the individual data of KLIPS(6th) collected in 2003. From data analysis, this study found the non-standard workers' employment conditions have serious problems and were discriminated against the standard workers in being supported not only the public welfare program but also the non-obligatory welfare service. Therefore, this study emphasizes to develop the various non-obligatory welfare programs and to compel the redistribution program for prevention of welfare discrimination and including the contingent workers in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