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안나카레니나』에 나타난 안나의 자기존재에 대한 실존치료적 접근

        배지연 ( Bae Jiyeon ) 한국목회상담학회 2018 목회와 상담 Vol.30 No.-

        본 논문은 톨스토이가 자신의 현실적인 자기와 이상적인 자기를 투사시킨 안나와 레빈이라는 두 인물에 집중할 것이다. 즉, 자신의 욕망과 사랑의 화신으로 등장시킨 안나를 죽이고 이상적인 삶의 표상으로 등장하는 레빈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러한 접근은 안나를 중심으로 한 주변인물과 당시의 결혼생활과 가족의 역동과 사교세계의 역동성을 통해 안나라는 한 인물이 비춰주는 실존과 그녀의 그림자를 탐색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이론적 토대로는 하이데거의 세계내 존재(being-in-the-world)에 대한 개념을 토대로 발전시킨 빈스방거의 현존재분석과 미국의 실존심리학을 형성한 메이(Rollo May)의 관점과 틸리히의 소외에 대한 실존신학적 관점을 바탕으로 안나의 자기와 세계의 관계를 중점으로 본 논문을 전개해 나갈 것이다. 특히 롤로 메이의 실존적 인간이해와 폴 틸리히의 실존 신학적 인간이해에 대한 변증법적 연구를 통해 제시된 배지연의 실존심리신학적인 자기 이해에 대한 세 가지 렌즈를 적용할 것이다. 그것은 첫째 소외된 자기, 둘째 새로운 자기, 셋째 영적인 자기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 세 가지 렌즈를 기초로 하여 안나에 대한 자기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이를 중심으로 안나의 현존재적 실존에 대해 심층적으로 조명함으로써 하나의 실존치료적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유비와 변증법적 방법을 토대로한 이러한 연구는 한 인간에 대한 파편적인 이해가 아니라 심층적이고 총체적인 이해를 가능케 함으로써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심묘막측하게 창조된 인간 이해를 통한 온전한 치유와 회복의 길로 안내할 수 있는 하나의 좋은 사례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deeply who and what Anna is, not through her superficial unhappy family life and the acting out of her desire, but rather through the relation between herself and her world, based on the concept of Heidegger’s ‘being-in-the-world’ with the lens of multi-perspectives. For this study, the theories utilized are Heidegger’s concept of ‘being-in-the-world’ and Binswanger’s three models of relation, such as Umwelt (Environment around us), Mitwelt (People around us) and Eigenwelt (Self within us). The theory utilized for this study comes from the product of dialectic between Tillich and May, including the concept of shadow and complex in conventional psychoanalysis and analytical psychology. The three different levels of being such as being the estranged self, being the new self and being the spiritual self from Jiyeon’s theory was used for the sake of exploring Anna’s relation with herself and her world in her being-in-the-world. The insight gained from Anna’s life and death makes us aware of the value of intentionality for the spiritual union with God, to expand human’s limited life toward the ultimate spiritual life, which would lead us from estrangement to a new life while encountering the New Being Jesus Christ. This study implies that our life would be completed as an immortal work only by the spiritual union with God just as Tolstoy produced Anna Karenina as a masterpiece.

      • KCI등재

        최인훈 소설의 정치적 지향과 그 기원으로서의 서구 근대사상

        배지연(Bae, Ji-Yeon)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writing is to closely examine the political orientation in Choe In-hun"s literature through it while tracing the Kantian reason that is shown in Choe In-hun"s literature. Choe In-hun ever mentioned that it is a writer"s political orientation with naming the modernly political sense in Europe as "political utopian." Based on it, this study is considering the political nature in Choe In-hun"s literature through the modern reason in the Western Europe. Choe In-hun emphasized a literary role by reviving phenomena of realistic world in novels as for a political system and an ideological matter that suppress an individual. This conceptualizes rationality and leads to the modern planning by Kant who had pursued a problem of individual"s political freedom as its practice. What reads out "Kant" in Choe In-hun"s literature can be said to function as a key that investigates a characteristic in Choe In-hun"s literature that is both ideological and political.

      • LC-MS/MS를 이용한 과일류 중 나타마이신 시험법 개발

        배지연 ( Ji-yeon Bae ),윤다영 ( Da-young Yun ),송하나 ( Ha Na Song ),최원조 ( Won-jo Choe ),장귀현 ( Gui Hyun Jang ) 한국환경농학회 2022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2 No.-

        나타마이신은 Streptomyce natalenesis에 의해 발효 중 생성되며, 국내에서는 과일류, 치즈, 육류 등 곰팡이 오염방지를 위한 식품첨가물로 사용된다. 국내 미등록 농약인 나타마이신이 파인애플에 검출되었다는 위해정보에 따라 과일류 중 나타마이신 긴급 시험법 마련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나타마이신의 안전관리를 위해 농산물 2종 (감귤, 파인애플)에서 모두 만족하는 잔류 시험법을 개발하였다. 검체를 메탄올로 2회 추출한 후 HLB 카트리지로 정제하여 LC-MS/MS로 분석하였다. LC-MS/MS 분석으로 발생하는 matrix effect에 대비하기 위해 무처리 시료용액을 이용하여 0.002∼0.1 mg/L 범위에서 6농도로 각각 matrix matched 검량선을 작성하였으며 모든 검량선의 상관계수(R<sup>2</sup>)는 0.999 이상으로 높은 직선성을 나타내었다. 정량한계(limit of quantitation, LOQ)는 0.01 mg/kg이었으며 정확성 및 반복성을 검증하기 위해 정량한계, 정량한계의 2배, 정량 한계의 10배의 3수준에서 회수율 검증을 수행한 결과, 76.0-90.0%의 회수율을 보였으며 상대표준 편차(Coefficient of variation; CV)는 7.8% 미만으로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의 ‘식품 등 시험법 마련 표준절차에 관한 가이드라인(2016)’을 만족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기억의 서술과 문학적 재현 -김숨의 일본군 ‘위안부’ 관련 소설들을 중심으로-

        배지연(Bae, Ji-yeon) 우리말글학회 2020 우리말 글 Vol.86 No.-

        본 연구는 일본군"위안부"를 다룬 김숨의 연작소설을 대상으로, 증언을 매개로 한 재현양상과 방식을 분석함으로써 증언의 역사성이 서사화되는 방식을 고찰하고자 한다. 『한 명』과 『흐르는 편지』에 나타나는 일본군"위안부" 증언을 발췌·직접 인용하거나, 전작의 서사를 겹쳐쓰는 방식은, 증언록 독자로서 그것의 재형상화(re-figuration)과정을 부각하고, 시간과 이야기의 겹쳐읽기/쓰기를 통해 증언의 역사성을 소설 텍스트에 끌어오는 서사전략이다. 본 연구는 김숨의 연작소설에서 증언이 배치되는 방식, 생존자의 증언 과정을 서사화하고 주인공이 증언에 나서는 과정을 재현하는 방식과 함께, 실제 증언 자체를 상상적으로 서사화함으로써 소설과 증언록을 교차하는 방식 등을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일본군 ‘위안부’라는 역사적 실체를 재현하는 ‘증언의 메타서사’로서의 김숨 소설의 가능성을 제고하였다. 본 연구에서 미처 다루지 못한 『숭고함은 나를 돌아보는 거야』, 『군인이 천사가 되기를 바란 적이 있는가』에 대한 논의는 향후 과제로 남기며, 이로써 증언의 서사로서 문학의 동학(動學)을 재구하고 ‘증언의 서사학’으로서 문학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way historicity of the testimony became the narrative by analyzing the representation patterns and methods through the testimonies from the series of novels by Kim Soom, which features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This study enhances the possibility of Kim’s novel as the "meta-narrative of testimony" that describes the historical reality of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To do so this study analyzes his novels in terms of the way to compose testimony, representation skills that explain the process of giving testimony by the main character, and the way to compose the narrative of the testimony course by survivors. Besides this study covers investigation about the transposition methods of fiction and testimony by imaginatively organizing the narrative with the actual testimonies.

      • KCI등재후보

        롤로 메이의 실존적 인간 이해와 실존 치료

        배지연 ( Bae Ji-yeon ) 한국철학상담치료학회 2014 철학 실천과 상담 Vol.5 No.-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주제는 롤로 메이의 실존적 인간 이해 관련된 기초 개념이다. 메이는 심리적인 차원을 넘어 존재론적인 관점에서 인간을 이해하고자 하였고 존재, 의식, 그리고 한계 등의 개념으로 인간의 인간됨을 기술했다. 그리고 본 논문은 메이의 거의 모든 문헌에 명시된 존재론적 인간성으로서 대극성에 대해 논하였다. 특별히 개별화와 세계, 주체과 객체, 그리고 자유와 운명을 중심으로 대극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조명하였다. 나아가 메이의 실존적 인간 이해에 대한 이론에 기초한 임상적 활용을 위해 ‘존재’, ‘의식’, ‘자유’라는 인간의 핵심적 특성을 치료적 상황으로 끌어와 실존 치료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some fundamental concepts related to the existential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of Rollo May. He has specified clearly the concepts of what becoming being is includes 'being,' 'consciousness,' and limitedness(or destiny) in his books. This paper also is to discuss the concepts of 'polarity', such as individuation and world, subject and object, and freedom and destiny, which is one of the main themes in mostly his literatures. Further, this paper presents what Rollo May says about the existential counseling in the above proposed themes such as being, consciousness, and freedom.

      • KCI등재

        최인훈 초기 소설에 나타난 근대의 양가성

        배지연(Bae, Ji-yeon) 한국현대문학회 2017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2

        『GREY Club Story』 and 『Raul"s Story』 are showing the point of intellectual youths" worry about and pursuit for "what is modern" or "modern people"s sensation" in Korean society with having Christianity as a medium. Christianity is situated just at the point that a modern individual, who has believed that the world can be recognized through the conceptual activity of rationality, finds the impossibility of awareness on the world. Hyeon, who is the main character in 『GREY Club Story』, is "a human in a window type" as saying of willingly trusting only what is visible, but comes to be concerned about the invisible existence like God or the unknown existence like a woman through the Christian opportunity like Jehovah"s Witness. 『Raul"s Story』 is intensively showing a crack of recognition that the modern entity has, through reproducing a reason of Raul who comes into a conflict between the phenomenal world and the invisible world with the Jesus presence. The leading characters" thinking aspects of being mediated by Christianity in these two novels are showing two ambivalent worlds for which the modern subject seeks. The perceivable phenomenal world and the world in the thing-in-itself(Noumena) unavailable for being perceived should not be reverted to any sides, and need to exist with maintaining its interval harmoniously. However, the Western modernity based on Christian culture ever exposed a contradiction in which enlightenment itself becomes myth, through being returned to one axis between mythology and enlightenment. The aspects of the epistemological crack in the modern subject, which appeared in these novels, are ultimately converged as a problem of Korean modernity. The process of finding a crack and ambivalence immanent in what is modern with having Christianity as a medium leads to the reflective introspection on Korean society and own self. The power of ratifying the modern subject in these novels comes to discover a fact called Western theory and thought. This self-reflection appears as what raises a critical problem in a novel after this.

      • KCI등재후보
      • GC-MS/MS를 이용한 에틸렌옥사이드 시험법 개발

        배지연 ( Ji-yeon Bae ),윤다영 ( Da-young Yun ),최원조 ( Won Jo Choe ),장귀현 ( Gui-hyun Jang ),김현경 ( Hyun-kyung Kim ) 한국환경농학회 2023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3 No.0

        Since ethylene oxide (EO) residues were detected in sesame seeds from India in 2020, there have been frequent reports for detection of EO residues in agricultural products. Therefore, we developed a method for analysis of EO residues in agricultural products. In order to separate and quantify EO and 2-chloroethanol (2-CE) in agricultural products, EO needs to be converted to 2-bromoethanol (2-BE) using hydrobromic acid (HBr). For analysis of EO, the sample was added into 0.5M HBr solution, neutralized with sodium bicarbonate, purified using n-hexane, and finally extracted with ethyl acetate. For analysis of 2-BE and 2-CE, the sample was extracted with acetonitrile and QuEChERS EN kit. The extract was purified using 150 mg of MgSO<sub>4</sub>, 25 mg of PSA, and 25 mg of C<sub>18</sub>. The average recoveries of analysis with the solution spiked with the standards at three concentration levels (LOQ, 10 LOQ, 50 LOQ) were in the range of 70.1~116.2% and the relative standard deviation values were less than 19.8%, that meets the Codex guideline (CODEX CAC/GL 40) and food safety evaluation department guidelines. Therefore, the developed method is suitable and useful for EO residue analysis in agricultural products.

      • KCI등재

        일반논문 : 김우진 「이영녀」의 탈식민성 연구

        배지연 ( Ji Yeon Bae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1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44

        이 글은 김우진이 서구문학을 적극적으로 조선에 소개했다는 사실에 주목하면서, 김우진 문학의 탈식민적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일본 문화에 직접적 저항의 메시지를 표출했던 동시에, 서구문학의 수용을 ``모방``과 ``비판``으로 보았던 김우진의 문학이 탈식민적 가능성을 충분히 지니고 있음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이 글은 탈식민주의 이론의 중핵에 해당하는 ``저항``과 ``전유``의 측면에서 그의 문학을 분석하고자 한다. 김우진은 당시 조선에 성행했던 일본식 신극(신파극)을 강하게 비판하며 서구 근대극을 소개했다. 이 과정에서 그는 평론을 통해 일본문화를 비판하면서 ``일본식`` 지식인들을 비난하고 있다. 일본문화에 동일화된 그들을 통해 창작된 문학과 신파극이 ``속중``을 양산하고 있다고 보았다. 그의 희곡 「이영녀」는 식민제국의 이데올로기에 동화된 주체들을 비판함으로써 일본제국에 대한 저항의 메시지를 담고 있다. 이렇듯 그는 일본문화 및 식민제국의 이데올로기에 대한 반동일화의 기제로 서구문학을 수용하였다. 또 김우진은 서구 근대극을 전유한 작품을 창작함으로써 조선 근대극 수립을 모색하였다. 이 과정에서 서구 근대문명을 폐해를 적극적으로 알리고, 서구 근대와 변별되는 식민지 조선의 현실을 재현하고자 했다. 그는 탈식민적 전유가 차용한 작품과 다른 의미를 생산하여 식민지 조선의 현실을 드러내는 방식이라고 볼 때, 「이영녀」는 자신이 번역한 버나드 쇼의 「워렌부인의 직업」의 변용을 통해 차이를 드러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서구 근대가 지닌 자본주의의 속악성이 1920년대 식민지 조선에 이르러 더욱 모순과 폭력성을 드러내고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김우진은 식민주체인 일본의 문화와 그에 동화되는 지식인과 속중을 비판하였다. 그는 서구문학을 통해 식민주체인 일본문화에 저항하고, 조선 근대문학의 수립을 모색하였다. 자신의 희곡을 창작하면서 서구문학을 전유했고, 서구(문학)와의 비동일화를 통해 탈중심적이고 복수적이며 다층적인 경험의 공간으로 끌어들였다. 이렇게 볼 때, 김우진은 서구문학의 단순한 모방이나 복사를 넘어서 차이와 저항을 보였다고 하겠다. This writing aims to consider post-colonial significance in Kim U-jin`s literature with paying attention to a fact that Kim U-jin positively introduced western literature to Joseon. The aim is to closely examine that Kim U-jin`s literature, which had regarded acceptance of western literature as ``imitation`` and ``criticism`` as well as having expressed message of direct resistance to Japanese literature, has enough post-colonial possibility.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Kim U-jin`s literature in the aspect of ``resistance`` and ``appropriation,`` which correspond to the central core of post-colonial theory. Kim U-jin introduced western modern theater with strongly criticizing Japanese-styled Shingeuk(Shinpageuk), which had been prevalent in Joseon at that time. In this process, Kim U-jin is criticizing ``Japanese-styled`` intellects who had entered after passing through Japan, while obviously criticizing on Japanese culture through critique. He saw that literature and Shinpageuk(신파극), which had been created through them as those who were identified into Japanese culture, are mass-producing ``Sokjung(俗衆: the common).`` In addition, his drama <Iyeongnyeo(李永女)> criticizes the main subjects, which were assimilated with ideology of colonial empire, thereby containing message of resistance to Japanese colonial empire. In this way, Kim U-jin aimed to accept western literature as mechanism of anti-identification on Japanese culture and ideology of colonial empire. Also, Kim U-jin sought for establishing modern theater of Joseon by creating a work with appropriation of the western modern theater, simultaneously with introducing and researching into western modern literature. In this process, he positively informed of the harmful effect in western modern civilization, and tried to revive the reality of colonial Joseon, which is discriminated from the western modern. When seeing it as a method of revealing the reality of colonial Joseon different from the western modern by producing a meaning different from the work that post-colonial appropriation borrowed, <Iyeongnyeo(李永女)> can be known to reveal its difference through transforming Bernard Shaw`s <Mrs. Warren`s Job> that was translated by himself. This difference is suggesting that Sokakseong(俗惡性) of capitalism, which is possessed by the western modern, is revealing more inconsistency and violent characteristic with reaching colonial Joseon in the 1920s. Kim U-jin criticized Japanese culture, which is the colonial entity, and intellect and the common that are assimilated with it. He resisted Japanese culture, which is the colonial entity through the western literature, and further pursued establishment of modern literature in Joseon. He appropriated western literature while creating drama, and brings it to the space that is happened de-central, plural, and multi-layered experience, through non-identification with the West(literature). Seeing in this way, Kim U-jin can be said to have shown the difference and resistance beyond simple imitation or reproduction by accepting western literature.

      • KCI등재

        비극적 모빌리티 서사와 증언의 문제 - 대구지역 일본군 ‘위안부’ 문옥주의 증언을 중심으로

        배지연(Bae, Ji-yeon) 한국비평문학회 2022 批評文學 Vol.- No.83

        이 글은 일본군 ‘위안부’의 서사에 나타나는 비극적 모빌리티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작업으로서, 대구 지역에 살았던 일본군 ‘위안부’ 문옥주의 증언과 그것을 서사화한 여러 자료를 통해 문옥주의 비극적 모빌리티가 서사화되는 다양한 방식을 살펴본 것이다. 중국 만주 지역과 남방의 버마 전선의 위안소를 거쳤던 문옥주의 이동이야말로 전쟁이 남긴 가장 비극적 모빌리티의 흔적이다. 문옥주는 공식 증언 이후 위안부 해결 운동에 앞장서며 다양한 증언 활동을 해왔다. 문옥주의 증언을 다룬 다양한 자료들-녹취파일 및 녹취록, 증언집, 신문 연재 기사 등은 일본군 ‘위안부’ 문옥주의 삶을 바라보는 서술자의 관점에 따라 다양한 차이를 드러낸다. 문옥주의 증언을 서사화한 자료들은 같은 1인칭 시점으로 서술되더라도 서술자를 둘러싼 당대 사회의 사고방식과 문법, 그리고 그들의 신념에 따라 상이한 방식으로 서사화된다. 면접과 해석의 과정에서 의미의 맥락을 풀어서 선별하고, 얽혀 있는 기억의 맥락을 찾아내는 전 과정을 통해 구술된 증언은 독립된 서사로 거듭난다. 문옥주의 증언이 서사화되는 다층적인 과정은 일본군 ‘위안부’ 증언을 기반으로 한 김숨의 일련의 소설들에서 시도되는 서사화 방식들을 고찰하는 데 중요한 참조가 될 것이다. 문옥주의 증언 서사물은 피해자로서 ‘위안부’ 서사에서 자신의 삶을 포기하지 않았던 생존자 혹은 한 인간의 서사를 다루는 방식으로 변화되는데, 이는 김숨의 연작소설이 변모되는 과정과도 이어진다. 살펴본 문옥주의 증언과 서사들은 증언이 소설 쓰기를 추동하는 김숨의 소설뿐 아니라 ‘증언의 재현’을 모색하는 글쓰기에 중요한 화두를 제시하고 있다. As the basic work to analyze tragic mobility that is shown in the narratives of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this writing figured out diverse methods in which Mun Ok-ju’s tragic mobility is narrated through many materials that narrated it along with the testimony of Mun Ok-ju as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an’ who had lived in Daegu region. Mun Ok-ju’s movement, which had gone through the Japanese army comfort station in Manchuria of China and the southern Burmese front line, is certainly the most tragic trace of mobility left by the war. Mun Ok-ju had engaged in various testimony activities with taking the lead in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resolution campaign after official testimony. A variety of materials such as recordings and transcripts, a testimony book, a series of newspaper articles, etc. that addressed Mun Ok-ju’s testimony reveal many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perspective of the narrator(or the speaker) who looks at Mun Ok-ju’s life as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an.’ Even though the materials that narrated Mun Ok-ju’s testimony are described in the same first person perspective, those data are narrated with a different method according to the thinking style and grammar of the contemporary society surrounding the narrator and to their beliefs. In the process of interview and interpretation, the testimony that was stated orally through the entire process of solving and selecting the context of a meaning and of finding out the context of the intertwined memories is reborn as an independent narrative. In this sense, testimony is a joint product between the testifier who talked about it and the narrator who describes it. The multi-layered process in which Mun OK-ju’s testimony is narrated will become an important reference in considering the narrative styles of being attempted in a series of novels by Kim Sum based on the testimony of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Mun Ok-ju’s testimony narratives can be examined a change from a method of dealing with the narrative of the Japanese army comfort women as a victim to a way of addressing the narrative in a survivor or a human who had not given up own life. This is connected even with the process that is transformed Kim Sum’s series of novels. Mun Ok-ju’s testimonies and narratives, which were inspected, are presenting an important topic not only to Kim Sum’s novel where testimony drives the fiction writing but also to the writing of seeking the ‘reproduction of testimon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